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활동의 경향성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 참여주체, 정보수집,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서인해 ( In Hae Seo ),공계순 ( Gye Soon Ko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3 사회복지연구 Vol.44 No.4

        우리나라에서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관련 학문이 도입된 지 20여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에 진행된 이론연구의 추가적인 현장 조사 연구로서, 사회복지기관들의 프로그램 개발활동의 경향성이 우리나라 실천 현장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연구 분석틀은 3가지 분석영역인 개발활동참여주체(누가), 개발활동에 활용된 지식(무엇으로), 개발활동 과정 지속성(어떻게)이며, 이러한 3가지 영역 속에 들어있는 두 가지 대칭적 활동경향을 토대로 구성된 4가지 개발활동의 경향성, 즉 지식주도형, 현장중심형, 통합형, 무관심형이었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복지관에서 두 곳의 외부 프로그램 공모사업에 지원·선정되어 수행된 220개 사회복지 프로그램 사례이며, 프로그램의 개발 및 수행을 책임진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최종분석에는 196개의 사례가 포함되었으며, 통계분석으로서는 실태분석에 적용되는 기술 분석기법들이 적용되었다. 분석결과, 현장의 사회복지 기관들의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활동에서 다양한 특징과 경향성들이 발견되었다. 우리나라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활동에서는 대체로 정보수집활동은 보편적 정보보다는 지역적 정보를 더 많이 수집하는 경향이 있으며, 기관외부 관련자들 보다는 기관내부 종사자들이 더 높은 참여활동을 하고 있으며, 기획단계뿐만 아니라 집행과정에서도 지속적인 개발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활동의 3가지 영역의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프로그램 개발활동의 경향성을 전체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통합형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무관심형, 현장중심형, 지식주도형 순서로 나타나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활동에 대한 실천 및 정책적인 함의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As almost 2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foreign knowledges of the program development introduced to the field of social work in Korea, the study was undertaken to describe the approaches of the social work program development activities in Korea in terms of (1) who are involved, (2) what kinds of information are collected, and (3) how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ss are interrelated. On the basis of the three foci, the researchers attempted to identify the four types of the models, which were resulted from their theoretical study conducted in 2009.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sent to each social worker in charge of developing the 196 social work programs implemented with financial assistance of the two main Korean funding organizations.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in the analysis of the 196 cases; more local knowledge than universal knowledge, and more local participators than outside participators, continuity in the both processes of the design and the implementation. In addition, the most dominant approach in the cases is considered as the Convergent Model, which tends to develop a program in the combination of the knowledge and people oriented approaches. The second one is the Indifferent Model, which features less activities in utilizing knowledge, collaborating with local and outside participators, and interrelating activities in the processes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The third one is the People Oriented Model, which focuses more on local knowledge, local people`s participation, and the development activities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e least dominant model is the Knowledge Based Model on universal knowledge, outside experts, and design oriented planning.

      • KCI등재

        메타분석연구에서 나타난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실태 : 증거기반 프로그램 개발의 관점에서

        서인해 ( Seo In Hae ),공계순 ( Kong Gye Soo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8 사회복지연구 Vol.49 No.3

        메타분석을 프로그램 개발 측면에서 조사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18년간 발표된 메타분석연구논문에 나타난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증거수준’을 파악하여 프로그램 개발활동에서 어떤 의미를 주는가를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2000년부터 2017년 6월 현재까지 전국주요학술지에서 검색된 사회복지, 심리, 상담, 보건 영역의 110개 메타분석연구논문(5,781개 프로그램 평가논문)이며 분석방법은 내용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메타분석논문은 인구대상, 문제, 프로그램 유형에서 범위를 좁혀 연구하는 경향이 많았지만, 여러 이질적인 유형을 포함하여 분석하는 경우도 상당했다. 통계분석방법에서는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이질적 배경이 되는 요인을 설명할 수 있는 조절효과분석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메타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선정은 연구자의 임의적인 선택도 매우 많았으며, 특정한 구성요소들 중심으로 편중되게 조사하는 경향이 있었다.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효과성과 관계된 통계적인 유의성 비율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대상자의 연령과 문제 심각성, 제공자의 전문성, 개입강도와 개입활동내용이 높은 수준의 ‘프로그램 구성요소 증거수준’을 보여주고 있었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프로그램 메타분석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한 과제도 제시되었다. In the absence of a research study on meta-analysis in terms of program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meta-analysis research studies which has been conducted for 18 years, and is to identify the level of program component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work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study analyzed the feature and usefulness of the 110 meta-analysis studies(5,781 program evaluation studies)published from 2010 to June 2017 in major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the areas of the social welfare, psychology, counseling and health.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110 meta-analysis studies tended to narrow down the scope of the population, problems, and program types, but they also included a lot of heterogeneous types. In the statistical methods, there were relatively few studies to explain the factors behind the heterogeneity of program effectiveness. In addition, researchers tended to select program components arbitrarily with bias on specific components. The important program components with the statistical validity are as follows; the age of the subjects, the severity of the problem, the expertise of the providers, and the strength and activities of the intervention, The academic meanings of the study results was discussed,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as presented to increase the usefulness of the meta-analysis for program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

        사회복지 프로그램 제안서에 나타난 프로그램 디자인 활동의 특성에 대한 연구

        서인해(In Hae Seo),공계순(Gye Soon K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사회복지학 Vol.60 No.1

        본 연구는 프로그램 디자인 활동의 결과물인 제안서의 분석을 통하여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디자인 활동의 특징들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민간복지재단에서 전국의 사회복지실천현장을 대상으로 공모한 사업에서 2005년 및 2006년도에 제출된 노인복지분야의 73개 제안서이다. 분석방법으로는 내용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일반적인 특성과 프로그램 디자인의 특성에 관하여 주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서는 제안서의 구성과 작성하는 방법이 공모사업에서 이미 정형화가 되어 있지만 개별적인 제안서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 구성요소상의 디자인 활동은 매우 다양하며, 구성요소의 영역별로 질적인 측면에서 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제안서 작성에서 프로그램 디자인 구성요소의 개념 및 요소간의 논리성, 조사기술의 적용, 실천현장에서의 구체적인 절차화와 관련된 다양한 어려움과 혼란도 나타나고 있었다. 끝으로 실천현장의 이러한 프로그램 디자인 활동의 어려움과 혼란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 교육, 실천적 과제를 제시하였다. Recently, it has been observed that social workers in Korea face diverse difficulties in designing social work programs. These difficulties require researchers to conduct a study on the contextual features of the difficulties.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work program proposals on the basis of program components. Research method used in the study is content analysis. Two researchers developed the analytic tool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a pilot test, and analyzed 73 proposals submitted to a private welfare foundation from nationwide social work agencies in 2005 and 2006. As a result, although each program was designed in a proposal according to standardized form, there were creative diversities in designing social work programs. In addition, there were confusions in the three areas: conceptual and logical confusion, research and analytical confusion, and concrete and procedural confusion. Finally the researchers suggested several task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areas of research, education, and practice to solve these confusions in Korea.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지역사회욕구조사에 나타난 이해관계자들의 욕구시각에 대한 비교 연구

        서인해(Seo, In-Hae),공계순(Kong, Gye-Soo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4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지역사회욕구조사에서 이해관계자들의 욕구시각이 어떻게 다르게 나 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조사방법은 군(郡)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 사회복지기관의 실무자, 사회복 지전담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 방법은 기술통계, 우선순위분석, 집단간차이검증통계를 함께 활용하여 욕구시각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의 문제에 대해서 사회복지 실무자들이 가장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는 반면에 지역주민들은 가장 덜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지역사회의 문제보다는 문제해결 과 관련된 서비스 활동영역에서 이해관계자들의 욕구시각의 차별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이해관계 자들의 욕구시각은 우선순위방식 및 집단차이검증 분석에 따라 주요 욕구의 내용과 집단 간의 일치정 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연구발견에 대한 학문적인 논의와 지역사회 욕구조사활동과 관련된 실천적인 제언들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stakeholder views the community needs in a different way in the local district of Korea. The researchers delivered the 3 independent questionnaires to the three types of the community people who are residents, social service providers, governmental officials in charge of local social services. An in-depth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the stakeholder toward the community needs on the basis of the combined approach with the order ranking method and two independent sample T and Z tests. As the result, the three noticeable findings were discovered as follows: First, while the social service providers reported the community needs at the most serious level, the residents expressed the community needs at the least serious level. Second, the stakeholder showed more diverse opinions for the needs of the service activities than the community problem.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the stakeholder in the degree of consensus according to the two different analysis methods.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implication of the major findings in relation to the community needs assessment, and suggested the practical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activities of the community needs assessment for the community welfare planning in Korea.

      • KCI등재

        사회복지 프로그램 구성요소개발활동의 실태 및 구성요소의 동질적인 범주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 3단계 디자인 활동 중심으로

        서인해 ( In Hae Seo ),공계순 ( Gye Soon Ko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3 사회복지연구 Vol.44 No.3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프로그램개발 활동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 디자인작업의 구성요소의 특징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개별 구성요소의 디자인 작업정도가 프로그램 실행지침개발단계 및 수행·평가단계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동질적인 범주로 구성 및 변화되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분석틀은 프로그램 디자인 및 구성요소 개발과 관련된 이론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3 단계 디자인 활동’ 모형 속에서 8개의 구성요소 디자인 범주에서 24개의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설정하여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복지관에서 외부 재정지원 단체의 공식적인 프로그램 공모사업에 지원·선정되어 성공적으로 수행된 실제 사회복지 프로그램 사례이며, 이에 대한 자료 수집은 해당 프로그램의 개발 및 수행을 책임진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 최종분석에는 195개의 사례가 포함되었으며, 통계분석방법으로는 기술 분석과 요인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2단계 실행지침개발단계에서의 프로그램 구성요소 디자인 작업은 생각보다 활발하였으나 3단계 프로그램 수행·평가과정단계에서의 구성요소 디자인 작업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프로그램 구성요소별로 디자인 활동의 정도는 편차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개입모델, 프로그램 직원교육, 개입윤리 및 가치, 개입절차 및 과정과 같은 항목은 실행지침 및 수행·평가과정 디자인활동 단계 모두에서 매우 낮은 수준의 디자인 활동을 보여주고 있었다. 프로그램 구성요소에 대한 동질적 범주성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로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나온 8개의 디자인영역이 실행지침개발단계에서는 6개, 프로그램 수행·평가단계에서는 4개의 동질적인 범주(blocking)로 묶이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각 구성요소 디자인 범주의 세부적인 구성요소의 성격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자들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학술적인 함의와 현장의 사회복지 구성요소 디자인 활동을 보다 체계화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describe the feature of the program components, and to identify their changes in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social work programs in the community service agencie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s constructed an analytical framework including 24 program components derived from the related literatures.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swered by the social work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applied to exam the features of the program components in 195 social service programs developed by the funds from the Community Chest of Korea and a private funding foundation.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three noticeable features are found; (1) the agencies have very actively involved in the designing work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practice guideline, however they have less involved in the designing work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program; (2) program components which are low level in design activities are intervention models, staff education, and practical ethics; (3) 8 categories of components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are reduced to 6 categories in the process for developing practice guidelines, finally to 4 categories in the process for implementing the programs. The implications of major findings were discussed in academic and practical perspectives in Korea, including future research works in the area.

      • 호스피스 병동 입원 환자의 삶의 질 변화

        박테레지아,송혜향,서인,조영이,박명희,허정희,김은경,박순주,라정란,Park, Theresia,Song, Hae-Hiang,Seo, In-Ok,Cho, Young-Yee,Park, Myung-Hee,Heo, Jeong-Hee,Kim, Eun-Kyung,Park, Sun-Ju,Ra, Jeong-Ra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0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3 No.1

        목적 : 본 연구는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들의 입원 시 삶의 질과 간호서비스를 받는 동안 삶의 질 변화와 호스피스 간호서비스가 말기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방법 : 1999년 10월부터 2000년 3월 사이에 가톨릭 대학교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와 가족 100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개발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 1) 간호제공자에 의해 인지된 환자의 삶의 질 평점은 입원시, 입원 1, 2, 3, 4주에 각각 3.31, 3.68, 3.56, 3.73, 3.75로 입원 당시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입원시점에 따라 항목별로 살펴 볼 때 "신체적 청결"(F=6.50, P=0.0001) "통증조절"(F=18.01., P=0.0001) "대변상태"(F=2.96, P=0.0237) "수면상태"(F=3.99, P=0.0048) "메스꺼움/구토"(F=4.50, P=0.0022) "의료진의 편안한 돌봄"(F=3.95, P=0.0051) "가족들의 돌봄"(F=2.76, P=0.0317) "불안감"(F=3.14, P=0.0177) "마음이 편안함"(F=3.63, P=0.0085) "인간적인 대우"(F=3.32, P=0.0136) "죽음이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라고 생각함"(F=2.54, P=0.0450) 등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환자 자신에 의해 인지된 삶의 질 평점은 입원 시와 입원 1주에 각각 3.63, 3.83으로 향상되었지만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입원시점에 따라 항목별로 살펴볼 때 "통증조절" 항목만이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3) 사망시점으로부터 삶의 질 평점은 사망 5주전, 4주전, 3주전, 2주전, 1주전에 각각 3.48, 3.51, 3.44, 3.46, 3.50이었으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호스피스 서비스는 말기 환자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여졌다. 따라서 호스피스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호스피스 환자들을 지지해 줄 중재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특히 간호의 영적 영역에 초점을 두어야 하겠다. 또한 말기 환자의 주관적인 삶의 질 측정을 위해 도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대상자를 확대하여 계속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admitted to the hospice unit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at admission and after weeks hospice service and to assess the effects of hospice service on the quality of life of terminal cancer patients. Methods : This study subjects were 100 patients admitted to the hospice unit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between October 1999 and March 2000, and their primary caregivers. Quality of lif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revised by the authors and were analyzed by means of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 1) Patient's quality of life as perceived by the primary caregiver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mean score was 3.31, 3.68, 3.56, 3.73, 3.75 at admission and week 1, 2, 3, 4. With the detailed item analysis, the following item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improved: "clean bodies"(F=6.50, P=0.0001) "pain control"(F=18.01, P=0.0001) constipate"(F=2.96, P=0.0237) "sleep"(F=3.99, P=0.0048) "nausea/vomiting"(F=4.50, P=0.0022) "medical team's comfortable care" (F=3.95, P=0.0051) "family's care"(F=2.76, P=0.0317) "anxiety" (F=3.14, P=0.0177) "comfort"(F=3.63, P=0.0085) "treat with dignity"(F=3.32, P=0.0136). The item of "death is not the end of life rather the beginn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F=2.54, P=0.0450). 2) Patient's quality of life as perceived by the patient showed an improvement but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nd the mean score was 3.63 and 3.83 at admission and week 1. With the detailed item analysis, the item of "pain control"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improved(F=9.19, P=0.0251). 3) The quality of score in the last week of life of patient were 3.48, 3.51, 3.44, 3.46, 3.50, respectively, from 5 week prior to 1 week prior to death and these changes were insignificant. Conclusion :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a positive effect of hospice service on quality of life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admitted to the hospice uni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we need first of all to develop hospice intervention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spiritual aspect of patient. Secondly, measurement instruments need to be developed to collect the quality of life of the hospice patients who become weakened especially in the last weeks of their life and with this effort more representative data of hospice patients may be collec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