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축형 행복 척도(COMOSWB) 개발 및 타당화

        서은국,구재선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간략하여 사용이 간편하면서 동시에 문화적 공정성을 지닌 행복 척도를 개발 및 타당화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 주관적 안녕감의 핵심요소인 삶의 만족,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를 측정하는 단축형 행복 척도(COMOSWB: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9문항을 개발했다. 삶의 만족은 자신의 개인적 측면에 대한 만족 외에 대인관계와 소속집단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문항을 포함했고, 정서적 행복은 2회의 경험적 연구를 통해 행복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각성수준 고, 중, 저의 긍/부정적 정서 경험으로 문항을 구성했다. 이렇게 개발된 단축형 행복 척도(COMOSWB)는 문항수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새로운 행복 척도는 적절한 수준의 내적 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 구인타당도, 수렴 및 변별 타당도가 있었고, 친구들의 행복 평가와도 일치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끝으로 새롭게 개발된 단축형 행복 척도(COMOSWB)가 갖는 의의에 대해 논의했다. A concise, culturally nuanced 9-item subjective well-being scale is introduced. The measure includes 3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items, respectively, representing high, medium, and low levels of arousal. Satisfaction is measured in three separate domains of life—personal, relational, and collective. This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COMOSWB) shows strong levels of reliability (internal, test-retest) and clear patterns of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Compared to existing measures of happiness, the COMOSWB adds interdependent aspects in measuring satisfaction and includes emotion items that are more balanced in terms of arousal level.

      • KCI등재

        한국인, 누가 언제 행복한가?

        구재선,서은국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5 No.2

        본 연구는 행복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과 상황적 맥락을 파악함으로써, 한국사회에서 누가 그리고 언제 행복한가의 질문에 답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응답자의 행복 수준을 회고식 평가 방식(연구 1)과 경험 표집 방식(연구 2)으로 측정하여 다양한 인구학적, 심리적, 상황적 변인들과의 관계를 검토했다. 그 결과, 선행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국사회에서도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데 외적, 상황적 요인보다 개인의 심리적 특성이 중요하다는 사실이 재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성격 특성과 행복에 대한 긍정적 관점은 회고적 행복 판단을 18% 예측했으며, 실시간적 행복 경험의 경우 40% 이상이 내적 동기와 의미감에 의해 설명되었다. 반면에 인구학적 특징에 따른 행복의 차이는 매우 미약했다. 개인이 경험하는 행복 수준은 연령, 성별, 결혼여부, 종교, 학력 및 직업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소득을 포함한 모든 인구학적 변인은 행복의 개인차를 단지 3%만 설명했다. 이러한 결과는 학벌이나 소득과 같은 개인의 외적 요소가 강조되는 한국 사회에서도 행복의 개인차가 객관적 삶의 여건보다 심리적 요인에 의해서 더 잘 설명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한국인의 행복 증진을 위한 사회적 노력의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A representative Korean adult sample (N=1,000) was examin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major demographic and personality variables (Study 1). An experience sampling study was conducted additionally (Study 2; N=160) to reduce global memory biases. Consistent with past findings (Diener et al., 1999), individual's characteristics played a far more significant role than objective resources in predicting Koreans' happiness. Personality traits and lay beliefs of happiness accounted for about 18% of the variance in the self-reports, and sense of meaning and internal motivation accounted for more than 40% of the variance in predicting when people are happy. In comparison, demographic factors (e.g., age, marital status, religion, education, income) accounted for only 3% of the happiness variance. In sum, even in Korea where objective conditions of happiness are highly sought after, who the person is (his/he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eems to be more important than what the person has (objective resource) in predicting happiness.

      • KCI등재

        사람의 내-외적인 모습에 두는 상대적 비중과 행복관과의 관계

        박정현,서은국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19 No.4

        When understanding other people, individuals differ in the extent to which they weigh the target person's inner (e.g., mood) versus external (e.g., behavior) aspects of the self. This epistemological value placed on the overt versus covert aspects of the self i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type of personal theory of happiness held by each individual. Those who place a premium on the overt aspects of the self tend to cherish conditions of happiness that are relatively visible and easily observable by other people (e.g., social status). Interestingly, the tendency to emphasize external conditions of happiness is related inversely with actual levels of subjective well-being.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lay theories of self and happines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cul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을 이해하는 방식(“인간관”)에서 나타나는 개인차를 살펴보고, 이러한 인간관이 사람들이 행복을 얻기 위해 추구하는 조건들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결과, 사람을 파악하고자 할 때, ‘감정’과 같이 관찰되기 어려운 내적인 단서에 비해 ‘행동’과 같이 비교적 직접적인 관찰이 가능한 외적인 단서를 비중 있게 고려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행복을 위해서도 ‘외모’나 ‘사회적 지위’와 같은 외적조건들을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복의 외적조건을 내적조건 보다 중요하게 생각할수록 정서적인 안녕감이 낮게 보고되었으며 특히, 자신의 행복을 위해 외모를 중요하게 생각할수록 주관적 안녕감이 낮은 경향이 있었다.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과 논의가 제시되었다.

      • KCI등재

        외향적 기질과 행동이 유발하는 정적 정서

        이화령,서은국,임낭연,류초롱,박수진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2 No.1

        A strong link exists between trait extraversion and positive affect (Diener & Lucas, 1999). However, Fleeson, Malanos, & Achille (2002) have recently found that acting extravertedly can also boost positive effect even among dispositionally introverted individuals. Three studi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interactive influence of trait extraversion and extraverted behavior on positive affect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In Study 1, we found that people spontaneously choose personality congruent situations in everyday life settings, such as when they decide to appear as a participant on a TV program. Extraverted people were drawn more to a show program, whereas a quiz program attracted highly open individuals. In Study 2, consistent with Fleeson et al.(2002), behaving in an extraverted manner accentuated positive affect even among introverts. Finally, the amount of positive affect experienced when engaging in varying levels of extraverted actions depended on the person's trait extraversion leve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co-influence of the trait-level and behavioral expressions of extraversion on positive affect are discussed. 외향적 기질과 행동이 모두 정적 정서를 유발할 수 있다는 가설을 가지고 세 연구가 실시되었다. 연구 1에서는, 두 방송 프로그램 참가자의 성격 분석을 통해, 실제로 기질적 외향성이 높은 사람들이 일상의 구체적 선택 상황에서도 자신의 외향성 수준과 잘 맞는 상황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외향적인 사람들은 기존 연구들과 유사하게 정적 정서를 비롯한 주관적 안녕감 수준도 높은 경향을 보고했다. 연구 2에서는 선천적인 기질에 관계없이, 외향적 행동을 한 실험 참가자들에게서도 내향적으로 행동하는 경우보다 정적 정서가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3을 통해 외향적 행동으로 유발된 일시적 정적 정서는 각 개인별 기질적 외향성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외향적 행동 수준이 극단적이지 않을 경우 선천적 외향성과 정적 정서 간 정적 상관관계를 보임을 확인했다. 세 연구 결과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시사점과 논의, 한계점이 제시되었다.

      • KCI우수등재

        왜 한국 대학생이 미국 대학생보다 불행한가? 상대적 외적 가치, 사회적 지원, 사회비교의 영향

        구재선,서은국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9 No.4

        상대적 외적 가치(relative extrinsic value), 즉 내재적 가치(대인관계, 건강 등)에 비해 외재적 가치(돈, 외모, 타인의 인정 등)를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정도와 행복(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해서 두 개의 연구를 실시했다. 그 결과, 한국 대학 신입생들은 미국 대학 신입생들 보다 외재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더 높고, 내재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더 낮았다(연구1). 또한 상대적 외적 가치는 동일 시점에 측정된 행복의 국가 차이(연구1)와 1년 후 행복의 개인차(연구2)를 설명했다. 끝으로 상대적 외적 가치와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비교와 사회적 지원의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연구1과 연구2). 이러한 결과는 개인이 추구하는 가치가 사회비교와 사회적 지원을 통해서 행복을 결정하는 하나의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 extrinsic value, that is the relative importance to extrinsic values (such as money, physical appearance, and other's approval) compared with intrinsic values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more focused on extrinsic values and less concerned with intrinsic values than U.S. counterparts (Study1). Secondly, relative extrinsic values explained both national (Study1) and individual (Study2) differences of subjective well-being. Finally, path models demonstrated that relative extrinsic values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social support and social comparison (Study1 and Study2).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values one pursuits have an important role in subjective well-being and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social support and social comparison.

      • KCI등재

        행복의 양이 한정되어 있다는 믿음(BIFAH)과 주관적 안녕감

        구자영,서은국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의 행복에 대한 내재이론과 주관적 안녕감 수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여기서 행복에 대한 내재이론이란 행복의 양이 한정되어 있다는 믿음으로, 나와 남들 사이의 행복의 총량과 내가 평생 누릴 수 있는 행복의 총량을 포함한 새로운 개념이다. 연구 1에서는 행복의 양이 한정되어 있다는 믿음을 수량화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척도를 개발하여 연구 2, 3, 4를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행복의 양이 정해져 있다고 강하게 믿는 사람일수록 다른 사람들보다 덜 행복하였다. 둘째, 행복의 양이 한정되어 있다는 믿음은 외향성과 신경증을 통제한 후에도 유의미하게 주관적 안녕감을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믿음은 주관적 안녕감과 관련된 다양한 인간관계적, 행동적, 인지적 특성을 보였다. 즉, 행복의 양이 한정되어 있다고 강하게 믿는 사람일수록 1) 주변의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호감이 덜 간다는 평가를 받았고, 2) 자신의 긍정적인 사건을 남에게 덜 알렸으며, 3) 그래프 상에서 최근 행복했다면 가까운 미래에는 덜 행복해질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The present research examined the link between people's lay theories of happines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level. Specifically, it was predicted that those who strongly believe that only a fixed amount of happiness exists in this world and also in each person's life would be less happy than others, even after controlling for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In addition to mean levels, this belief in limited happiness was expected to predict various relational, behavior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 It was found that those who strongly endorsed the BIFAH 1) were rated less favorable by others, 2) capitalized less on positive events, and 3) made trend-reversing forecasts of future happiness.

      • KCI등재

        정서 경험의 긍정성 비율과 번영

        김진주,서은국,구자영,허성용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1 No.3

        Fredrickson and Losada(2005) have recently found that the positive (PA) to negative (NA) affect ratio of 2.9 or more is predictive of human flourishing. Potential cultural and individual differences of this phenomenon was examined among 143 Korean college students across three time periods. Three findings emerged. First, the positive to negative affect ratio of 2.45, instead of 2.9, was found among the flourishing group in this East Asian sample. Second, self-construal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PA, NA, and flourishing. PA was a better predictor of flourishing than NA among those with a salient independent self, whereas a reverse pattern occurred among those with a strong interdependent self. Finally, the longitudinal analyses suggested that reciprocal enhancement takes place between positivity ratio and flourishing over the course of 4 weeks. Fredrickson & Losada(2005)는 서양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을 종합하여 2.9 이상의 긍정정서 대비 부정정서 비율이 개인의 정신건강의 번영과 관련되어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문화에서 번영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긍정성 비율이 더 낮을 것으로 예상하고 자아개념이라는 개인차 변인을 사용하여 긍정성 비율과 번영의 관련성의 문화차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번영하는 한국 참가자들의 정서 경험의 긍정성 비율은 기존 서양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보다 낮았다. 또한, 한국 문화 내에서 서양문화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독립적 자아를 가진 참가자들은 긍정정서만 번영의 변화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나 동아시아문화에서 보편적인 상호의존적 자아를 가진 참가자들은 긍정정서보다 부정정서가 더 유의미하게 번영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이에 더하여 종단 연구를 통하여 정서 경험의 긍정성 비율과 정신건강의 번영이 상호적 인과성을 보여 선순환 관계에 있음을 밝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