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자학습(e-러닝)에서 학생들의 학습 촉진을 위한 메시지 제시 전략 탐구

        서순식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6 미래교육학연구 Vol.19 No.2

        전자학습(e-러닝)은 정보통신네트워킹에 의해 창조되는 전자공간을 기반으로 교수학습이 진행되는 교육체제이며, 면대면 교수학습 상황과는 구별되는 고유한 상징체계(symbol system)를 갖는다. 전자학습체제의 화면설계를 위해서는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한 필수적인 학습내용을 선정하고, 학습자ㆍ교수자간에 개별화된 상호작용을 위한 전략을 고안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정보처리이론에 근간을 둔 전자학습 콘텐츠 설계 및 개발 전략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전자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인지활동을 촉진하고 깊은 수준의 이해 촉진을 위해서 어떻게 학습콘텐츠를 설계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실천적 시사점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e-Learning delivered through the cyber space is a new educational system and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ffline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weaknesses of the offline education, such as lack of individualized interaction, and to offer effective learning contexts, this paper introduce the six strategies for designing the interface of e-Learning program. The strategies are below: 1. Applying the multimedia principle: use words and graphics rather than words alone; 2. Applying the contiguity principle: place corresponding words and graphics near each other; 3. Applying the modality principles: present words as audio narration rather than on-screen text; 4. Applying the redundancy principles: presenting words in both text and audio narration can hurt learning; 5. Applying the coherence principle: adding interesting material can hurt learning; 6. Applying the personalization principles: use Conversational Style. In this paper, research results regarding the best use of media elements, such as sound, graphics, and text are summarized. Also, the discussion of the specific implications to design and develop e-Learning contents based on information-processing theory are described.

      • KCI등재

        교류협력국 교원 초청 교육정보화 연수의 성과 분석

        서순식 한국정보교육학회 201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1 No.2

        각 시·도교육청은 “이러닝 세계화 사업”의 일환으로 교류협력국의 교원을 초청하여 교육정보화 연수를 진행하 고 있다. 이 초청 연수의 목적은 이러닝 국가경쟁력 유지와 영향력 강화에 따른 국가 브랜드 제고, 우리의 선진 교육정보화 사례를 공유하여 국가 간 지식정보 격차 해소, 교육정보화 분야 교류협력을 통한 동반자적 관계 구 축, 교류협력국 선도 교원들이 자국의 교육정보화를 발전 및 확산할 수 있는 역량 강화 등이다. 2005년에 시작된 교류협력국의 교원 초청 교육정보화 연수가 10주년이 되는 시점을 맞이하여, 그간 진행된 연수 프로그램의 성과 를 반추하고 지속적인 발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황, 투입, 과정, 산출에 따른 현황을 분석하 기 위해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시·도교육청의 초청 연수 담당 장학사, 주무관, 그리고 해외 교원 등을 대 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그 면담 결과를 주제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Each City &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has provided educational informatization training, which invites its partner country’s teachers as part of ‘e-Learning Globalization Project.’ The purposes of this training program are, a) improving nation brand power by maintaining e-learn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strengthening influence, b) solving digital divide by sharing Korean best practices, c) establishing partnership through exchanges and cooperation, d) capacity building which support partner country’s leading teachers can play key roles to spread educational informatization in their own country. It is necessary to reflect outcomes of training program until now and to find sustainable development plan, at 10th anniversary of Education ICT training program now. In order to fulfil purposes,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current status based on context, input, process, and product phases, and to find sustainable development alternative. In-depth interview(IDI) was conducted among supervisor, officials, and teachers from partner countries. Also, the result of IDI was analyzed by themes.

      • KCI등재후보

        아세안 고등교육 이러닝 수준 도구 개발 및 진단

        서순식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현장수업연구 Vol.1 No.2

        이 연구는 아세안(ASEAN) 회원국의 이러닝 준비도 및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조사 도구를 개발하고 아세안 각국의 자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다(多)국가간 사이버대학 설립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러닝 준비도, 성숙도 등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 및 종합함으로써 이러닝 수준 진단 모형 및 도구를 개발하였다. 2차의 타당화 과정을 거쳐 핵심지표를 수정 및 보완하였고, 아세안 회원국의 교육부, 온라인 및 오프라인 대학들을 대상으로 구글폼 온라인 설문과 엑셀파일 형식의 설문 조사를 병행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세안 회원국 10개국의 이러닝 준비도 및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최종 진단 모형은 정책(비전 및 계획, 법 규정, 조직, 예산), 인프라(ICT 접근성, ICT 이용도, ICT 활용능력), 학습자원(디지털 학습자원 및 커리큘럼), 사회·경제·문화적 환경, 이러닝 활용 등 총 5개 영역, 50개 핵심지표로 구성된 진단지표를 개발하였다. 둘째, 아세안 10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고등교육 이러닝 수준 측정을 위한 설문조사의 주요 결과를 각국 이러닝 수준이 명료하게 비교될 수 있는 영역인 인프라, 사회·경제·문화적 환경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多)국가간 사이버대학 설립 결정 및 운영 과정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다(多)국가간 사이버대학의 성공을 위해서는 해당 국가의 정책, ICT 인프라, 학습자원, 사회·경제·문화적 환경, 이러닝 운영현황 등 다양한 영역들이 충분히 통합적, 체제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다(多)국가간 사이버대학 설립유형이나 운영방식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각국의 ICT 활용 경향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다(多)국가간 사이버대학의 궁극적인 성공은 ‘교육적 측면’을 얼마나 심도있고 폭넓게 고민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diagnostic model of e-learning preparedness, that is, an evaluation model which is suitable for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ASEAN countries (Brunei, Cambodia, Indonesia, Laos, Malaysia, Myanmar, Philippines, Singapore, Thailand and Vietnam). For the data collection, both online questionnaire and Microsoft Office Excel files were developed and used for the ASEAN Member Ministry of Education, online and offline universities. In addition, during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e-learning present status of each country, information such as basic infrastructure, digital economy and labor market were collected and actively utilized by UNESCO, the World Bank,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ITU.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inal diagnostic model for measuring e-Learning preparedness in 10 ASEAN member countries is composed of 5 constructs including policy (vision and planning, legal regulations, organization, budget), infrastructure (ICT access, ICT use, ICT skills), learning resources (digital learning resources and curriculum), socio-economic & cultural environment, and e-learning utilization, as well as 44 core indicators. The main results of the survey in the area of infrastructure and socio-economic & cultural environment where e-learning status in 10 ASEAN countries can be clearly compared with each other.

      • KCI등재후보

        정보윤리 강사교육에서 개인의 배경 특성이 교육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서순식,박종선 한국기업교육학회 2007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9 No.2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or participants in Information-Ethics Education,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attendance. This study was based on a survey of 339 participants who had attended Information-Ethics Education courses for instructors provided by the government institute,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KADO). The focus was on how each participant's background influenced the participants' motivation, and the specific factors that related to each motivational factor. As a result,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Information-Ethics Education for instructors. After conducting a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tion in the Information-Ethics Education for instructors, it was found that gender, education level and maj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Ethics Education for instructors,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must be considered. Designing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s taking into account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and corresponding motivations are essential. 이 연구의 목적은 역기능 문제를 대응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정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정보윤리 강사교육 참여자들의 참여동기와 개인적 배경 특성 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정보윤리 강사교육 프로그램 수료자 339명을 대상으로 교육참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배경 특성 요인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결과교육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육참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별, 학위, 전공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정보윤리 강사교육 참여자의 개인적 배경 변인과 참여동기의 파악이 중요하며, 이를 고려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활용 실태

        서순식,고유하 한국정보교육학회 2016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0 No.2

        스마트디바이스의 기술적 발전은 학교 교육체제의 변화를 이끄는 동인이다. 스마트교육이 학교 내 안착하려면 최종 수용자 집단인 다수 일반교사들이 스마트교육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들의 실제 활용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일반교사들이 인식하는 스마트교육의 특성을 질적 연구 방법으로 도출한 후, 학교현장에서 스마트교육의 활용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차이를 양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여 일반교사가 체감하는 스마트교육의 실태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스마트교육 속성에 대한 일반교사의 인식을 규명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였고, 8명의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수업 관찰 및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심층면담 등 질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였고, 스마트교육에 대한 그들의 1차 핵심 개념 72개를 선정하였다. 그 후 연구자간 논의를 거쳐 16개의 최종 개념, 6개의 하위 범주, 3개의 상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16개 개념을 토대로 일반교사들의 스마트교육 속성에 대한 중요도-실행도를 분석(IPA)하였으며, 스마트교육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중요성 인식과 활용 수준에 대한 도출 결과를 토대로 진일보한 스마트교육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development of Smart devices has become a key influence on the changes of the school system. As Smart education is integrated and institutionalized in school systems, how it is perceived and utilized by teachers should be investigated. This study is conducted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on characteristics of Smart education,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to analyze importance-performance, using additional quantitative analysis. To figure out the perceptions of the attributes of Smart education by teachers, related literatures were reviewed. The 8 teachers were selected and the data on their perceptions of Smart education were collected through direct observation of class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After researching, we finally drew out 16 final concepts, 6 sub-categories, and 3 categories in the open coding process. Based on the 16 concepts on teachers’ perceptions on Smart educatio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ere conducted to identify areas that need focus and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eachers’ perceptions on importance of and the levels of use of Smart education, recommendations were provided for better practice of Smart education in school.

      • KCI등재

        초등학생의 e-러닝 학습전략 요인 분석

        서순식,조나영,서원석 한국정보교육학회 200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3 No.4

        이 연구는 e-러닝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학습전략의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초등학생에게 효과적인 e-러닝 학습전략의 구조 변인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기존에 e-러닝 수강 경험이 있거나 현재 e-러닝을 수강하는 수도권 소재 초등학생들이며, 면대면 학습 상황과 e-러닝 학습상황의 학습전략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학습전략 검사 도구를 분석하여 e-러닝 환경에서 초등학생이 사용하는 학습전략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등학생의 e-러닝 학습전략은 학습활동전략, 학습태도전략, 자원활용전략, 계획전략, 과부하관리전략의 다섯 가지로 규명되었으며, 각 전략은 제시한 순서대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strategy, one of the predictor variables that have influence on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in e-learning environment and to define the factors of e-learning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ceding studies on face-to-face strategy and e-learning strategy, and existing face-to-face and e-learning strategy test sheets were analyzed. Questions a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to make clear the area of leaning strategies us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learning environment and to analyze the e-learning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the e-learning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shown in five areas including strategy for learning activity, strategy for learning attitude, resource use strategy, planning strategy, and overload management strategy. It was found that five strategy areas have explanatory power in the order of strategy for learning activity, strategy for learning attitude, resource use strategy, planning strategy, and overload management strategy.

      • KCI등재

        교원능력개발 원격연수 시범운영 분석

        서순식,김성완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5 No.3

        교육과학기술부가 원격교원연수원을 2000년 12월부터 지정ㆍ인가해 주기 시작한 이래로 지속된 교원 원격연수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연수시간 확보의 어려움, 통신 인프라 문제,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어려움, 온라인 평가의 공정성 문제, 콘텐츠 갱신의 어려움, 연수생 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기대만큼 고품질의 원격연수가 운영되지는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원능력개발평가와 연계하여 교원 원격연수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일환으로 16개 시․도 교육연수원에서 분담 개발한 교원능력개발 원격연수 콘텐츠의 시범연수에 참여한 연수생 및 연수운영자의 원격연수에 대한 만족도와 건의사항, 연수시스템의 활용 숙련 수준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Since MEST accredited web-based training institutes for teacher training in December 2000, although there have been growth quantitatively, due to the issues such as difficulty in securing time for training, in 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in interactions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n fair online evaluation, in contents renewal, in management of learners, web-based training could not reach the potential we expec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teachers' web-based training along with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 survey and interview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ylze the satisfaction research and suggestions, levels of training system use of trainee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pilot test of web-based training.

      • KCI등재

        기업교육에서 블렌디드 학습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서순식,김성완,이현경,Suh, Soon-Shik,Kim, Sung-Wan,Lee, Hyun-Kyung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0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ects of a blended learning program based on case study approach and to suggest implications in appropriately evaluating blended learning in practices for corporate education and training.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issues such as the ones related to blended learning including development and status quo of blended learning programs in the field of corporate education and training and operation models for the blended learning were reviewed. Then, the outcomes of a blended learning program were completely analyzed through systems approach.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was a mixed research method which was comprised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blended learning itself seeme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eadership capability in general assessment and self assessment. The most viable effects of blended learning in leadership training are said to be actual change of actions and activities in leadership capability of the participants followed by changes in their job tasks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managerial performance of the company, good transfer to current job tasks, and implementation of the practice plans.

      • KCI등재

        웹을 활용한 PBL에서 집단지성의 스캐폴더 역할 연구

        서순식,허동현,Suh, Soon-Shik,Heo, Dong-Hyeon 한국정보교육학회 200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2 No.3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the role of scaffold as a learning support strategy is necessary. Collective intelligence provides scaffolding in the sense that it integrates users' knowledge, information, experiences, values, etc. Based on these factors, collective intelligence determines the direction of behavior, revises the direction continuously, and provides problem-solving methods.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emphasize learners' initiative,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if collective intelligence can be an effective and attractive alternative of learning strategy. Specifically,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how collective intelligence performs the role of scaffold on the Web and what types of scaffolding are provided to learn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ollective intellig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learning attitude, confidence, interest, etc. in the affective aspect, but its effect on the cognitive aspect was different according to learners' school year and learning level. Because collective intellig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we identified scaffolding types explanation, suggestion of direction, illustration and feedback in the cognitive aspect, and positive response and encouragement in the affective aspect.

      • KCI등재

        교육CEO의 직무별 정보활용 역량 진단도구 개발

        서순식,장윤정,김현덕 한국정보교육학회 200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2 No.2

        교원은 정보화 사회의 변화와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자신의 직무와 직급에 따라 정보활용 역량을 지속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교원이 정보활용 역량 구축을 위해,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화 연수과정을 선택 하는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표준화된 정보활용능력 기준제시가 필요하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정보활용능력 평가와 기준들은 정보통신기술의 소양 수준을 측정하는데 머물고 있어 교원이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활용능력의 충족 정도를 진단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단위 학교의 관리자로서 교육 정보화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함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교육CEO1)의 정보활용 역량 진단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CEO가 수행하는 직무(job), 임무(duty), 과업 (task)을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CEO의 직무를 ①학교 발전의 비전제시, ②교수․학습 지원, ③조직과 자원의 관리, ④대외협력의 4가지 영역으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4가지 직무영역을 기준으로 선행 연구 결과를 유목화 하여 임무, 과업을 도출하였고, 직무에 따른 임무, 과업별로 관련된 ISST 요소를 결합하여 직무-ISST 이원분류표를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CEO가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활용능력 수준을 자가 진단할 수 있는 63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Teachers should actively maintain and improve their ICT competency in today's ever changing information society. A standardized system should now be developed to assist educators when choosing courses to improve their ICT competency. Previous ICT competency studies have only measured one's current ICT abilities rather than analyzing the skills necessary for educators to be successful in the educational system. This study developed an assessment tool to measure the ICT competency levels of CEOs who have the potential to be the decision makers in ICT edu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he jobs, duties, and tasks of educational CEOs were analyzed against the ICT Skills Standards for Teachers to determine which ICT skills are required by educational CEOs. Sixty-three questions were extracted from this analysis, guiding educational CEOs in the determination of their own ICT skills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