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앙행정기관의 공공 스마트폰앱 성숙도 수준 및 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교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중앙행정기관의 공공앱 구축 및 서비스 제공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정부조직법에 근거한 중앙행정기관의 공공앱을 전수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각각의 공공앱에 대한 기초데이터를 수집하여 공공앱 발전단계모형에 의거하여 공공앱 성숙도 수준을 측정하였다. 또한 공공앱 성숙도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위수준 앱 2개와 하위수준 앱 2개를 선정하여 공공앱의 담당공무원 및 개발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면접기법으로 비교사례분석을 하였다. 먼저 전수조사 결과 중앙행정기관에서는 172개의 공공앱을 제공하고 있었다. 행정자치부가 가장 많은 공공앱을 서비스하고 있었고 농림축산식품부, 국무총리실이 그 뒤를 이었다. 또한 중앙행정기관에서는 다양한 서비스유형의 공공앱을 제공하고 있었고 그중에서도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이프스타일’ 유형의 공공앱이 가장 많았다. 다운로드 건수를 통해 공공앱의 실제 이용률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공공앱은 일정수준 국민의 호응을 얻으며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공앱 성숙도 수준 역시 공급자와 수요자의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단계인 4단계 이상의 앱이 112개로 전체 공공앱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공공앱이 단순히 정보제공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민과 소통하며 행정업무처리까지 가능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공공부문의 모바일 서비스는 점점 더 고도화되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이 예상된다. 다음으로 공공앱 성숙도 수준의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상위수준 앱과 하위수준 앱의 구축과정을 기획단계, 실행단계, 종료단계로 구분하여 비교사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앱 수준 간 차이는 종료단계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종료단계에서 ‘정보의 주기적 업데이트’, ‘사용자 평점과 리뷰에 반응한 정보 업데이트’ ‘기술적 문제에 대한 피드백’ 등의 사후관리 여부에서 공공앱 성숙도 수준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사후관리 여부는 공공앱의 이용률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어 공공앱 제공 후에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비교사례분석의 결과를 뒷받침하기 위해 실시한 순서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도 ‘업데이트 시기’가 유의미한 변수로 파악되어 공공앱의 사후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모바일 정부의 핵심 서비스인 공공앱의 구축현황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수준까지 측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비교사례분석을 통해 공공앱 성숙도 수준의 결정요인을 깊이 있고 구체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기존 양적 연구에서 발견하지 못했던 새로운 변수를 발견하였다는데도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정부의 모바일 서비스 현황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기존 공공앱 서비스에 대한 보완점 및 개선방향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공공앱 정책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방향과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전단키의 크기와 섬유혼입율에 따른 그라우트 연결부의 부착강도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서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Offshore wind power is on trend with larger scale and capacity that is to reduce cost of power generation. Due to this trend, material and structural investigation on connection part of tower and substructure is considered significantly. In this study, bond strength of grout is evaluated, which is depended on size of shear key(height-to-spacing of shear key) and mix ratio of stainless steel fiber as reinforcement, by simulated experiments on connection part of monopile offshore wind structur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variables on mix ratio of stainless steel fiber (0%, 0.5%, 0.9% and 2.3%), and on size of shear key (0.013 and 0.056). As a result, size of shear key is more effective to bond strength of grout than mix ratio of stainless steel fiber. 해상풍력 발전은 발전 단가를 절감하기 위하여 점차 대형/대용량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지지구조물의 대형화에 따른 해상풍력 타워와 지지구조물 간의 연결부에 대한 재료 및 구조적 검토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노파일 연결부의 전단키 크기와 강섬유 함유량 에 따른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의 연결부를 축소 모사한 강섬유 보강 그라우트의 부착강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강섬유 함유량(0%, 0.5%, 0.9%, 2.3%)과 전단키 크기(0.013, 0.056)에 따른 실험을 실시하였고, 실험결과, 강섬유 함유량 보다 전단키의 형상이 부착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복합호흡훈련이 뇌졸증 환자의 폐기능 및 호흡근 활성에 미치는 영향

        서교 대구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18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 determine whether complex breathing exercise might increase the pulmonary function, muscle activity of the patients with stroke. Fourty-Five patients with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experimental group[complex breathing exercise group(n=15), feedback breathing exercise group(n=14), control group(n=16)]. During eight weeks, each group participated thirty minutes for three times per week. Subjects were assessed using pre-value and post-4 weeks value and post-8 weeks measurement by pulmonary function(forced vital capacity, 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FEV1/FVC, peak expiratory flow, vital capatity, tidal volume, expiratory reserve volume, inspiratory reserve volume) and respiratory muscle activity(trapezius, latissimus dorsi, rectus abdominis, external abdominal oblique, internal abdominal oblique). The stroke patients in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FEV1/FVC, TV changes during maximal inspiration in relation to their position. In particular, sitting in the complex breathing 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p<0.05). And, for respiratory muscle activation, hemiparetic upper trapezius, rectus abdominis muscle in the respiratory training group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the other groups. Breathing and respiration, particularly in patients with complex respiratory training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to higher than feedback training group. In summary, it seems that a breathing exercise of a certain intensity and duration to strengthen respiratory muscles, using a breathing assistant tool, helps to enhance a pulmonary function and activation of the respiratory muscles, along with a therapist’s direct inspiratory resistance training and a patient’s active expiratory resistance training, by increasing pulmonary ventilation and improving movement of the chest wall and muscular activation of the abdominal muscle. It is expected that a combination of various breathing exercises would enhance respiratory function of stroke patients. 뇌졸중은 다양한 장애를 일으키는데, 특히 호흡기능 장애로 인해 신체적 기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래서 호흡훈련을 통해 질병으로부터 초래된 장애를 최소화시키고 기능적 향상을 시키는 목적으로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호흡훈련이 폐 기능과 호흡근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뇌졸중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복합호흡 훈련군 15명, 피드백 호흡훈련군 14명과 대조군 16명으로 무작위 그룹 배정을 하였다. 복합호흡 훈련군은 재활운동치료 30분과 피드백호흡운동 15분, 횡격막 호흡운동과 입술 오므리기 호흡운동을 결합한 운동을 15분 구성하였고 피드백 호흡훈련군은 재활운동치료 30분과 피드백 호흡장비 운동을 30분을 구성하였으며, 대조군은 재활운동치료 30분으로 구성하였다. 운동은 주 3회 8주간 실시하였다. 측정은 실험 전과 실험 4주후, 8주후에 폐 기능(노력성 폐활량, 1초간 노력성 호기량,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 최대 호기 속도, 폐활량, 평상시 1회 호흡량, 흡기용량, 호기 예비 용적, 흡기 예비 용적)과 호흡근 활성(승모근, 광배근, 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을 측정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폐기능 검사측정에서는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 평상시 1회 호흡량에서 복합호흡훈련군이 두 군보다 더 유의하게 증진을 나타났다. 또한 체간 호흡근의 근활성도에서는 마비측 상승모근, 마비측 복직근에서 호흡훈련군이 대조군보다 더 유의하게 증가한 결과를 나타났다. 특히 호흡훈련군에서 복합호흡훈련군이 피드백 호흡훈련군보다 더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호흡장비를 이용하여 일정한 시간과 강도로 호흡근의 강화시키는 노력성 호흡훈련과 치료사의 직접적인 저항성 흡기훈련과 환자의 능동적 호기성 저항운동을 통해 폐의 환기를 증가시키고 흉벽 움직임의 향상과 복부근의 근활성을 통해 폐 기능과 호흡근 활성의 증진이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계속해서 복합호흡훈련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향상을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상지 능동 진동운동이 노인의 두뇌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교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상지 능동 진동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두뇌활용능력(인지속도, 인지강도, 집중력,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연구로써,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은 D광역시 D군 소재 2곳의 마을회관에서 실버벨 신바람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70세 이상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실험은 2023년 3월부터 5월까지 매회기 50분간, 주 2회, 7주간 총 14회기 실시하였다. 상지 능동 진동운동 프로그램은 임현승(2019), 정호진(2020), 박성환(2023)이 사용한 프로그램을 본 실험 참여자인 노인의 실정에 맞게 재구성하여 적용하였으며, 두뇌활용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Brain TestTM이었다. 자료처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실험 전과 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SPSS PC+ for Windows ver. 26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95%의 신뢰구간에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지 능동 진동운동은 노인의 인지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상지 능동 진동운동 프로그램은 템버링에서 전해오는 진동의 자극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음악에 맞는 동작 등을 통한 자극으로 인하여 노인들의 혈액 순환과 근력 강화로 인하여 기억력이 향상함으로써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어 노인의 인지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상지 능동 진동운동은 노인의 인지속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상지 능동 진동운동 프로그램은 빨라지는 리듬과 템버링에서 손으로 전해오는 진동의 자극과 동작의 순서와 움직임을 익히고 발현하는 과정에서 동작의 순서가 맞고 틀림을 판단하는 속도가 향상되어 노인의 인지속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상지 능동 진동운동은 노인의 집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템버링에서 전해오는 진동의 짜릿함과 다양한 동작을 통해 팔 움직임의 속도와 구슬의 속도를 맞춰가며 음악과 조화를 이루는 과정에서 구슬 구르는 소리와 손바닥에 느껴지는 진동에 집중하며, 메들리 음악을 한반도 쉬지 않고 실행한 후 정신적, 육체적 힘듦을 호소하면서도 만족하는 반응을 보이는 등의 운동프로그램 수행과정을 통하여 노인의 집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넷째, 상지 능동 진동운동은 노인의 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상지 능동 진동운동은 템버링을 이용하여 활동하는 과정에서 손에 느껴지는 진동과 익숙하고 즐거운 음악을 통한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동작으로 인하여 손의 감각이 살아나고, 힘이 생기며, 어깨가 부드러워지고, 깊은 수면을 취하는 등의 반응을 통하여 노인의 스트레스 해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 자세변화에 따른 피드백 호흡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서교 대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18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 determine whether feedback breathing exercise in position changes might increase the pulmonary function of the patients with stroke. Thirty-one patients with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experimental group〔0˚ supine position exercise group(n=10), 45˚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n=10),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n=11)〕. During four weeks, each group participated thirty minutes for three times per week. Subjects were assessed using pre-value and post-value measurement chest length(chest length for resting, chest expansion) and pulmonary function(forced vital capacity, 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FEV1/FVC, peak expiratory flow, vital capacity, tidal volume, expiratory reserve volume, inspiratory reserve volum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comparison of chest length for resting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chest length for resting was significant in the 0˚ supine position exercise group and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he length for resting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p>.05). 2. In comparison of chest expansion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chest expansion was significant in the 0˚ supine position exercise group and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he chest expansion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p>.05). 3. In comparison of FVC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FVC was significant in the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he FVC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p>.05). 4. In comparison of FEV1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FEV1 was significant in the 45˚ supine position exercise group and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he FEV1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p>.05). 5. In comparison of FEV1/FVC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FEV1/FVC was not significant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he FEV1/FVC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p>.05). 6. In comparison of PEF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PEF was significant in the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he PEF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p>.05). 7. In comparison of VC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VC was significant in 0˚ supine position exercise group and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he VC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p>.05). 8. In comparison of TV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TV was not significant in 0˚ supine position exercise group and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V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p>.05). 9. In comparison of ERV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ERV was significant in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he ERV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p>.05). 10. In comparison of IRV between pre and post value, the IRV was significant in 0˚ supine position exercise group and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p<.05). In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f the IRV among 3 group,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experimental exercise group(p>.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ree experimental exercise group can be used to improve chest expansion, pulmonary function in stroke patient. In comparison of three experimental exercise group,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 was more improved. In conclude, 90˚ sitting position exercise group helped improving function of pulmonary volume and respiratory muscle, and thus it indicates that the functions will be more improved through the continued respiratory exercise program. 이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폐 기능 장애의 정도를 측정하고, 0도 누운 자세와 45도 앉은 자세와 90도 앉은 자세에서 피드백 호흡장비 운동(feedback breathing device exercise: FB)를 이용한 호흡기계 물리치료가 폐 기능과 흉곽의 크기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뇌졸중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0도 누운 자세 실험군, 45도 앉은 자세 실험군과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으로 무작위 그룹 배정을 하였다. 각 실험군은 기본적인 운동치료 30분과 각각 세가지 자세각도에 따른 피드백 호흡운동 30분으로 구성하였다. 운동은 주 3회 4주간 실시하였다. 측정은 실험 전과 후에 흉곽 크기(휴식시 흉곽길이, 흉곽 확장)와 폐 기능(노력성 폐활량, 1초간 노력성 호기량,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 최대 호기 속도, 폐활량, 평상시 1회 호흡량, 호기 예비 용적, 흡기 예비 용적)을 측정하여 중도에 탈락한 11명을 제외한 31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0도 누운 자세 실험군과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휴식시 흉곽 길이가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2. 0도 누운 자세 실험군과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흉곽 확장이 실험 후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3.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노력성 폐활량이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4. 45도 앉은 자세 실험군과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이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5. 0도 누운 자세 실험군과 45도 앉은 자세 실험군과 90도 자세 실험군에서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가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6.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최대 호기 속도가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7. 0도 누운 자세 실험군과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폐활량이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8. 45도 앉은 자세 실험군과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평상시 1회 호흡량이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9.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호기 예비 용적이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10. 0도 누운 자세 실험군과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흡기 예비 용적이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 전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전후 변화량에서의 그룹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0도 누운 자세 실험군, 45도 앉은 자세 실험군,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피드백 호흡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흉곽 크기와 폐기능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특히, 90도 앉은 자세 실험군에서 더욱 증가한 양상을 보였다. 앞으로 계속해서 90도 앉은 자세에서 꾸준한 피드백 호흡장비 운동의 적용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호흡 기능 증진을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객관적 피드백과 가치기반 피드백이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사례관리 수행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

        서교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의 목적은 수행결과에 대한 객관적 정보와 더불어 일의 가치와 명분을 인식할 수 있는 가치기반 피드백이 정신사회재활 서비스 중 사례관리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독립변인은 피드백 정보로서 객관적 피드백과 가치기반 피드백을 구분하였다. 객관적 피드백은 개인의 과거 수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고, 가치기반 피드백은 수행업무가 가지고 있는 가치, 명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종속변인은 정신건강전문요원이 정신장애인 대면상담 중 욕구평가를 수행 하는 비율과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빈도였다. 본 연구는 현장 연구로 ABCB 피험자내 설계를 사용했고 총 5명이 참가 하였다. 기저선(A) 측정이 끝나고 난 후 참가자는 지난 수행결과에 대한 객관적 피드백을 제공받았다(B). 다음 단계에서는 객관적 피드백과 함께 수행결과가 가지는 가치기반의 피드백을 제공받았으며(C), 그 후 객관적 피드백으로의 역전 설계 단계가 적용되었다(B). 연구 결과 객관적 피드백과 가치기반 피드백은 모두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사례관리 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피드백 조건이 수행 변화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를 비교해보았을 때는 가치기반 피드백 제공이 객관적 피드백 제공보다 수행의 향상과 유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객관적 피드백은 수행을 향상시키는데 효과는 있지만 시간 경과에 따라 이를 유지시키는 것에는 한계를 보인 반면 가치기반 피드백은 수행을 향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수행을 유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일의 가치나 명분에 대한 인식이 근로자의 직무수행에 효과적이라는 이전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이에 나아가 수행 결과가 가진 명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가치기반 피드백이 결과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객관적 피드백에 비해 업무의 결과인 성과 향상 뿐만 아니라 성과달성을 위한 과정과 절차와 관련한 수행역시 향상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ve effects of objective feedback and value-based feedback on the case management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Objective feedback provided information about an individual's past performance, and value-based feedback provided information about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result of the performance.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rate of mental health specialists performing needs assessment of persons with mental illness and frequency of providing case management services. This study adopted ABCB within-group design as a field study and total 5 participants participated. After baseline (A), participants received objective feedback on past performance (B). In the next phase, participants received objective feedback and value-based feedback on performance results (C), and then to reverse feedback design to objective feedback (B).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objective feedback and value-based feedback improved the performance of case management of mental health specialists. In addition, the value-based feedback provision had a tendency to improve performance and maintenance effect rather than objective feedback. Objective feedback, in particular, was effective in improving performance, but there was a limit to maintaining it over time. On the other hand, value-based performance tended to be more effective at maintaining performance while improving performance. This study was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 that perception of the significance of task was effective in the performance of the worker's job. In addition, value-based feedback tended to improve not only performance as a result of work, but also as a process and procedures for achieving performance as compared to objective feedback.

      • 미세캡슐화 기술을 이용한 바이오시스템 기능 향상

        서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1823

        This thesis describes a method to improve a biosystem ability using micro encapsulation. In chapter 1, rapid measurement of biochemical oxygen demand by a flowing injection analysis method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cells encapsulated in a high cell density. In chapter 2, the method for utilizing micro encapsulation was suggested by using cosmeceutical activity of Kalopanax septemlobus root extract. [Chapter 1] The most widely used measurement of organic matter applicable to both wastewater and polluted waters is 5 day biochemical oxygen demand or BOD5. this determination involves measurement of dissolved oxygen used by microorganism in biochemical oxidation of organic matter. The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determination was studied using a novel flow injection analysis (FIA) system with encapsulated Saccharomyces cerevisiae cells and an oxygen electrode and w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5-day BOD tests. S. cerevisiae cells were packed in a calcium alginate capsule at a dry cell weight of 250 g/l of capsule core. The level of dissolved oxygen (DO) was reduced due to the enhanced respiratory activity of the microbial cells when the injected nutrient passed through the bioreactor. The decrease in DO (?DO) was intensified with the amount of microbial cells packed in the bioreactor. However, the specific ?DO decreased as the amount of cells loaded in the bioreactor increased. The ?DO value was dependent on the pH and temperature of the mobile phase and reached its maximum value at 35?C and pH 7?8. Also, ?DO became larger at longer response times as the flow rate of the mobile phase decreased. The measurement of ?DO was repeated more than six times consecutively using a 20-ppm standard glucose and glutamic acid solution, which confirmed the reproducibility with a standard deviation of 0.95%. A strong linear correlation between ?DO and BOD was also observed. The 5-day BOD values of actual water and wastewater samples were in accordance with the BOD values obtained by this FIA method using encapsulated S. cerevisiae cells. Unlike the cell-immobilized bead system, there was no contamination of the bioreactor resulting from any leak of yeast cells from the sensor capsules during BOD measurements. [Chapter 2] This study was investigated for the cosmeceutical activity of Kalopanax septemlobus root extract and capsulation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for the application of cosmetic, functional food and health care industri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Polyphenol contents, which have a various activity such as prevent cavities, hypertension inhibition, anti-oxident and anti-cancer, showed 232.4 mg/l in the Kalopanax septemlobus root extract and especially, Ethyl acetate frac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s. Anti-oxidant activity experiments in the this study were investigated by using the electron donating activity(EDA), ABT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superoixde radical inhibition activity, hydrogen peroxide inhibition activity, SOD-like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experiments, except for SOD-like activity were found in the anti-oxidant activity. In particular, ethyl acetate fraction was able to check the most powerful anti-oxidants.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Kalopanax septemlobus root extract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nitrite activity, anti-wrinkle activity was confirmed by the measurement of collagenase inhibition activity. The experimental results confirm the effect of both valid and in particular, ethyl acetate fraction was able to check the most powerful effect. but, astringent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did not show the effect. Kalopanax septemlobus root extract to determine the cytotoxicity was determined by MTT assay, 100ug/ml had little or no effect. The results of structural analysis were detected Kalosaponin A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and Kalosaponin B in the butanol fraction by NMR PMMA capule containing Kalopanax septemlobus root extract was confirmed by SEM. The average particle size by Particle size analysis was found to be about 7.4?m. Releasing test of capsule was measured three kinds of solution (ethanol solution, ethanol/water (7:3, V/V), water) according to the polarity. All solutions up to 1 hour showed a quick release phenomenon since its release rate is delayed by 7 hours. Micro encapsulation containing natural activity ingredients for application of indus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