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흡연자의 금연효능감 예측요인 탐색

        서경현 한국건강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8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that could predict female smokers’ self-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help them quit smoking. Participants were 337 female smokers.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 craving for smoking or nicotine dependence of female smokers the lower the self-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while the more they recognized that weight gain or premenstrual syndrome hindered their smoking cessation, the lower the self-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The decision tree model included craving smoking, handling smoking, daily amount of smoking, smoking period, nicotine dependence, and motivation to quit smoking. These findings suggest useful information for future studies. They can also help females stop smoking and construct a program for females’ smoking cessation. 이 연구는 여성 흡연자의 금연효능감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들을 탐색하여 그들의 금연을 도울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들은 337명의 여성 흡연자였다. 상관분석 결과, 여성이 흡연갈망에 의해 흡연을 하거나 니코틴 의존도가 높을수록 금연효능감이 낮았으며, 체중증가나 월경 전 증후군이 금연을 방해한다고 인식하면 금연효능감이 낮았다. 낙관적 편향과 지연할인 인식은 금연동기와는 부적 상관이 있었지만 금연효능감과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의사결정나무모형에는 갈망형 흡연, 손장난형 흡연, 1일 평균 흡연량, 흡연기간, 니코틴 의존도 및 금연동기가 포함되었다. 이런 결과는 추후 연구와 여성 흡연자의 금연을 중재하거나 그들을 위한 금연 프로그램 구성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소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 KCI등재

        초기 청소년기에 있는 아동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불일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

        서경현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초기 청소년기에 있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부모 간 양육태도 불일치가 사회불안과 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생 358명(남: 180, 여: 178)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의 연령 분포는 만 10세에서 13세(M=11.40, SD=.88)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형태 검사, LaGreca(1998)의 사회불안 척도 및 한국판 아동용 사회불안 척도이다. 분석 결과, 부모양육태도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는 남아보다는 여아에게 강하게 나타났다. 특히 부모양육태도 중에서 과잉간섭이 사회불안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사회불안 중에서 일반적 상황에서의 두려움이 부모양육태도와 관계가 있었다. 한편 부모 간 양육태도 불일치가 초기 청소년기에 있는 아동의 사회불안과는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부모양육태도 조합이나 개인-환경 적합도 개념과 함께 논의하였으며 임상적 함의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attitude, child rearing disagreement, and social anxiety of children in early adolescence. The participants were 358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5 and 6 grades (180 males and 178 females), whose ages ranged from 10 to 13 (M=11.40, SD=.88).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the Korean version of Parental Bonding Instrument, LaGreca(1998)'s Social Anxiety Scale, and the Korean version of Social Anxiety Scale. Results indicated that relationship of parental attitude and social anxiety was more distinct in females than males. Parental interference, especially, close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while fear of general situation among social anxiety closely correlated with parental interference. Beside, child rearing disagreement had no relation to social anxiety of children in early adolescence. It was discussed roles of the compound of parental attitude and concept of person-environment fitness with previous studies and clinical meaning was recommended.

      • KCI등재

        데이트 폭력의 공격적 피해여성들의 특성과 연인관계에 대한 개입

        서경현,안귀여루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victims, especially aggressive victims of dating violence, and examine how they constructed the dating relationship and their commitments in dating relationships. The participants were 526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d the experience of heterosexual dating relationships, whose ages ranged from 18 to 37 (M=20.10, SD=2.70).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Straus' Conflict Tactics Scale, Foo and Margolin's Justification of Violence Scale, Korean Version of Gender-Role Scale, and Lee and Han's Relationship Measures. Results revealed that aggressive victims of dating violence were more likely to receive mild violence as well as severe violence from their dating partners than victims only, while women who were victim only experienced sexual harassments more than aggressive victims from their dating partners. Aggressive victims of dating violence had experienced fathers' domestic violence more than women who had not experienced dating violence. Victims of dating violence showed less negative attitude toward dating violence than women who had not experienced dating violence. Victims of dating violence showed stronger commitments in their dating relationships than women who had not experienced dating viol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professionals who help victims of dating violence.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트 폭력 피해여성, 특히 공격적 피해여성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이 연인관계를 형성하고 그것에 개입하는 방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데이트 경험이 있는 526명의 여대생들이었고, 그들의 연령 분포는 18세에서 37세(M=20.10, SD=2.70)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Straus의 갈등책략척도, Foo와 Margolin의 데이트 폭력 정당화 척도, 정진경의 한국판 성역할 검사, 이경성과 한덕웅의 상호이해, 관계만족 및 관계개입 척도이다. 분석 결과, 순수 피해자보다 공격적 피해자가 심하게 구타당하는 경우도 많지만 약한 정도의 신체적 가해를 당하는 비율도 상당히 높았다. 반면에 공격적 피해자보다 순수 피해자가 성폭력을 당하는 비율이 높았다. 공격적 피해자가 데이트 폭력 미경험자보다 아버지의 가정폭력을 목격한 경험이 많았다. 데이트 폭력 피해 여성이 데이트 폭력 미경험 여성보다 데이트 폭력에 관해 관대한 태도를 보였다. 그리고 데이트 폭력의 피해여성이 미경험 여성보다 관계에 더 개입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데이트 폭력 피해를 예방하고 피해자의 추후 위험 요인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간호사의 강박신념, 경험회피, 에이즈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에이즈 공포 간의 관계

        서경현,양승애 한국건강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7 No.3

        This study examined how obsessive beliefs, such as threat overestimation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experiential avoidance, and AIDS-related knowledge/attitude are related to AIDS phobia among nurses. Participants were 326 nurses at general hospitals, whose ages ranged from 21 to 54.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Multicomponent AIDS Phobia Scale, Obsessive Beliefs Questionnaire-87,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s-16, and Questionnaire for AIDS-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The results indicated that attitude toward AIDS was closely correlated to the nurses’ AIDS phobia, whereas knowledge of AIDS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Both threat overestimation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among obsessive belief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nurses’ AIDS phobia. Emotional avoidance and emotion-focused inaction factors of experiential avoida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nurses’ AIDS phobia; yet, those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fear of AIDS infection among those with AIDS phobia.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ttitude toward AIDS was a determinant variable of the nurses’ AIDS phobia, and accounted for around 20% of the variance. Additionally, threat overestimation accounted for more than 5% of the variance in the nurses’ AIDS phobia. Moreover,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emotional avoidance had partial covariance with the nurses’ AIDS phobia independently. Moreover, attitude toward AIDS partly mediated the relation of the threat overestimation as well as emotional avoidance and the nurses’ AIDS phobia. These results was discussed with previous studies as well as with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본 연구에서는 위협에 대한 과대평가와 불확실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같은 강박신념과 경험회피, 에이즈에 대한 지식 및 태도가 간호사의 에이즈 공포증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326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만 21세에서 54세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중다성분 에이즈 공포증 척도, 강박신념 질문지, 수용-행위 질문지, 에이즈 지식 질문지, 에이즈 태도 질문지이다. 분석 결과, 에이즈에 대한 태도는 간호사의 에이즈 공포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나 에이즈에 관한 지식은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강박신념 중에 위협에 대한 과대평가와 불확실에 대한 인내력 부족 모두 간호사의 에이즈 공포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경험회피의 요인인 정서 회피와 정서중심 반응도 간호사의 에이즈 공포와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에이즈 공포의 요인 중에 에이즈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단계적 회귀분석에서는 에이즈에 대한 태도가 간호사의 에이즈 공포에 대한 가장 강력한 변인이었으며, 변량을 약 20% 가량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협에 대한 과대평가도 그것에 더해 간호사의 에이즈 공포의 변량을 5%이상 설명하고 있었다. 불확실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 회피에도 간호사의 에이즈 공포를 독립적으로 설명하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에이즈에 대한 태도는 위협에 대한 과대평가나 정서 회피와 간호사의 에이즈 공포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들과 합리적 행위이론과 계획된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성격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Big 5 성격요인과 BAS/BIS를 중심으로

        서경현,김정호,유제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5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especially tempera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participants were 681 college students (211 males and 470 females), whose ages ranged from 17 to 37 (M=20.91, SD=2.36). The instruments utilized in the present study were Korean Version of BAS/BIS Scale, The Big Five Locator,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Life Satisfaction Motivation Scal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 Emotion Frequency Test, and Subjective Happiness Scale. Result indicated that women expected more positive future than men did, while no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any other well-being variables. Correlational analyses revealed that emotional stability and extroversion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happines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whereas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and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BIS) were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motivation to live and expectancy of satisfactory life. There was close relationship between conscientious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because they were college students. As a internal factor, personality was better predictor for subjective well-being of female students. For instance, it accounted for around 35% variance of female's subjective happiness. The present findings reiterate the role of personality in quality of life, and it was discussed with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ituational factors, and previous studies. 본 연구는 성격, 특히 기질적 차원의 성격이 주관적 웰빙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681명의 남녀 대학생(남: 211, 여: 470)이었고, 그들의 연령 분포는 17세에서 37세(M=20.91, SD=2.36) 사이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심리검사는 한국판 BAS/BIS 척도, Howard 등의 대오탐지척도, Diener 등의 삶의 만족 척도와 그것을 변형한 삶의 동기 척도와 삶의 기대 척도, 정서빈도검사, Lyubomirsky와 Lepper의 주관적 행복 척도이다. 분석 결과, 다른 주관적 웰빙 변인들에는 성차가 없었지만,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미래에 대한 기대가 컸다. 정서적 안정성과 외향성은 삶의 만족, 주관적 행복, 긍정 및 부정 정서와 밀접한 상관이 있었으며, BAS와 BIS는 삶의 동기 및 기대와 더 상관이 있었다. 대학생이기에 성실성도 주관적 웰빙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개인의 내적인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성격은 여성의 주관적 웰빙을 더 많이 설명하고 있었는데, BAS와 BIS를 포함한 성격 요인으로 여학생의 주관적 행복의 변량을 약 35%정도까지 설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성격이 개인의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본 연구의 결과를 대상자의 특성과 처한 환경 및 선행 연구 등을 토대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기 청소년기에 있는 아동의 자기애 및 자존감과 우울 및 행복감 간의 관계

        서경현,신현진,양승애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10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how narcissism are related to depression and feeling of happiness with self-esteem of children in early adolescence. The participants were 315 (161 males and 154 femal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5-6 grades. Results indicated that narcissistic tra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and shared approximately 33% variance. Correlational analysis revealed that narcissistic trait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happiness of children, whereas it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o depression. As it was adjusted by self-esteem i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entitlement, a factor of narcissism, was positively related to depression, and only authority related to happiness of children. It was not found anything pathologically special with children with high degree of narcissism and low self-esteem. It was discussed roles of narcissism and self-esteem in mental health and well-being among children in early adolescence with previous studies.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기에 있는 아동의 자기애 성향이 자존감과 함께 우울이나 행복감과 어떻게 관계하고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초등학교 5-6학년생 315명(남학생 161명, 여학생 154명)이다. 연구 결과, 자기애는 자존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33% 가량의 변량을 공유하였다. 상관분석에서 자기애는 행복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우울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자기애에서 자존감 요소를 제거하면 자기애의 요인 중에 특권의식이 아동의 우울과 정적으로 관계하고 있었으며, 우월감만이 행복감과 정적으로 관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애 성향은 강하지만 자존감이 약한 아동들에게서 우울이나 행복감과 관련하여 특이사항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초기 청소년기의 정신건강과 웰빙에 대한 자기애와 자존감의 역할을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식생활 양식이 분노에 미치는 효과 : 중다회귀분석

        서경현,송숙자,김명석,김선애 한국미술치료학회 2000 美術治療硏究 Vol.7 No.1

        수 십년 전 Alexander(1939)는 실증적인 자료에 기초한 것은 아니었으나, “고혈압은 분노와의 투쟁의 결과”이며, 분노를 억압하려는 지속적인 노력은 자율신경계와 심장혈관에 만성적 활동을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혈압이 높아지게 된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근래에 들어서 인간의 마음이 신체적 건강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이 행동의학에서 많은 연구로써 검증되어지면서 Alexander의 가설은 더욱 신빙성을 입증받고 있다. 고전적인 정서 이론인 James-Lange의 이론을 바탕으로 해석해 본다면 인간의 정서 중에 하나인 분노도 생리적 각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인간의 생리적 작용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인간의 행동이 바로 식습관이라 할 수 있다면 식생활 양식이 인간의 행동에 밀접한 관계가 (Feingold, 1974) 뿐 아니라, 식생활 양식 따라 인간의 신체건강은 물론, 인간의 정서와 정신건강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Little research has add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emotion and eating pattems. The present study examined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 a sample of 219 male ancl female urban college students to cldermine what factors of 12 eating habits (including legal drugs ingestion) best predicted anger. Expecting the sets of preclictors to be constructed, sever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clucted to analyze the predictors from eating pattem associated with engaging in anger and its expression. Results inclicatecl that cigarette smoking and use of alcohol beverage increase state anger while eating brown rice or rice mixed with minor grains clecrease trait anger. Ingestion of coffee, salty and spicy food, and low frequency of intake of fruit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nger expression. Although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ose who had eaten breakfast and those who had not eaten breakfast in trait anger the absent of breakfast was not a predictor of anger expression.

      • KCI등재

        흡연 청소년의 흡연 유형 및 흡연의존 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서경현,서정열 한국건강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8 No.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with smoking styles and proneness of tobacco dependence among adolescent cigarette smoker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researchers analyzed the relations of gender, age, low academic achievement, impulsiveness, peer deviant conformity, self-esteem, and conflicts with parents to smoking styles and nicotine depende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smoking cigarettes. The participants were 201 high school students (118 males and 88 females), whose ages ranged from 14 to 18. Correlational analysis indicated that ag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smoking styles except smoking for stress release, while low academic achieve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moking for sensation seeking and impulsive smoking. Moreover, self-estee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smoking styles except impulsive smoking and habitual smoking. Peer deviant conformity was closely correlated with smoking styles. Impulsiveness and conflicts with parents, as well as peer deviant conform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smoking styles. Gender, impulsiveness, peer deviant conformity, self-esteem, and conflicts with parents, except low academic achieve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nicotine dependenc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for nicotine dependence revealed that peer deviant conformity, gender, and ag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however, low academic achievement, impulsiveness, self-esteem, and conflicts with parents were eliminated form this model. Peer deviant conformity was a determinant factor for nicotine dependence of adolescents; its accountability was around 21.9%.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s suggested the discussion and information for further studies. 본 연구는 흡연하는 청소년들을 흡연 유형과 흡연의존 경향성과 관련된 요인들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흡연하는 고등학생들의 성별, 연령, 낮은 학업성적, 충동성, 또래 일탈동조, 자존감 및 부모와의 갈등과 흡연 유형 및 니코틴 의존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흡연하는 고등학생 201명(남성 113명, 여성 88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만 14세에서 18세 사이였다. 상관분석 결과, 연령은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흡연을 제외한 모든 흡연 유형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낮은 학업성적은 자극추구를 위한 흡연이나 충동적 흡연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자존감은 충동적 흡연이나 습관성 흡연을 제외한 다른 흡연 유형들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래 일탈동조는 흡연 유형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는데, 또래 일탈동조는 물론 충동성과 부모와의 갈등은 모든 흡연 유형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낮은 학업성적을 제외한 성별, 즉 남성, 연령, 충동성, 또래 일탈동조, 자존감 및 부모와의 갈등 모두 니코틴 의존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니코틴 의존을 준거변인으로 하는 단계적 회귀분석에서는 낮은 학업성적, 충동성, 자존감 및 부모와의 갈등은 모형에서 제외되었으며, 또래 일탈동조, 성별 및 연령이 유의한 예언변인이었다. 또래 일탈동조가 청소년의 니코틴 의존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설명력이 약 21.9%이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연구를 위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삶에 대한 기대와 주관적 웰빙: 일반 성인과의 비교 연구

        서경현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1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and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such as life satisfaction, negative/positive emo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comparing with those of adults. Participants were 418 high school students, 308 college students whose ages were below 24, and 299 adults whose ages were 30 or more. Results indicated that adolescents showed lower life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than adults. Moreover, adolescents were less satisfied with their life than adults, they experienced more negative emotions and less positive emotions than adults.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of adolescents and adults was clos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negative/positive emo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An interaction effect of lif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in subjective happiness was significant for college students. For college students with higher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there was noticeable difference in subjective happiness by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is determinant for subjectiv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기대와 주관적 웰빙 요인, 즉 삶의 만족, 부정정서, 긍정정서 및 주관적 행복을 일반 성인과 비교하며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418명의 고등학생과 24세 이하 308명의 대학생 그리고 30세 이상의 일반 성인 299명이었다. 분석 결과, 청소년의 삶의 동기와 기대 수준이 일반 성인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청소년은 일반 성인보다 자신의 삶에 만족을 덜 하고 있었으며 부정정서를 많이 경험하고 긍정정서는 덜 경험하고 있었다. 청소년과 일반 성인 모두의 삶의 기대가 삶의 만족, 부정정서 및 긍정정서 그리고 주관적 행복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한편, 대학생의 주관적 행복에는 삶의 만족과 삶의 기대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다. 삶의 기대 수준이 높은 대학생의 경우 삶의 만족 수준에 따라 주관적 행복 수준에 더 큰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행복에 삶의 기대가 결정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