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도덕과에서의 프로젝트 중심 학습 프로그램 연구

        서강식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7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7 No.1

        프로젝트 중심의 학습은 다양한 지능이 존재함을 인정하고 다양한 학습 양식어 존재 함도 인정한다. 프로젝트 학습은 교육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구성주의적 관점에도 부 합하는 학습 양식이다. 전통적인 농경사회나 산업사회에서는 교사가 교수-학습 활동에 서 주도적 위치를 차지하지만 정보 사회에서는 학생들도 교수-학습 활동에서 주도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학습 활동을 이끌고 나갈 경우, 교사들은 조언자, 안내자, 협력자의 입장에서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적극적으로 후원하고 지지해 야 한다. 프로젝트 중심 학습은 학생들의 책임을 더욱 가중 시키는 학습 형태이다. 학생들은 자신들이 스스로 프로젝트의 주제를 정하고 프로젝트 계획을 세워 프로젝트를 수행하 므로 결과물에도 당연히 자신들이 책임을 진다. 도덕과에서는 프로젝트 중심 학습 프 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은 우리의 문화적 풍토와 교육 여건상 현실적으로 상당히 어렵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 중심 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학교 현장에 적용할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할 토대를 마련하고자 차시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이 연구를 토대로 도덕과에서도 많은 프로젝트 중심 학습 프로그램이 구안되기를 기대한다. There are various intelligence with cognitive intelligence and various learning mode in project-based learning. The Project-based learning is harmonious with constructivism. The teacher has gotten leading role in teaching-learning activity at agricultural and industrial era, but the student so does at inform society. In that case the student will get more burden, and the teacher have to support the activity of student’s learning as a co-worker, guide, helper, adviser. Students have to decide the theme of project, make a plan of project, and do the project. They have responsibility for the output of theirs own project. It is very difficult to adopt the project-based learning in moral subject matter education. Because our culture is very different from western culture, and our educational condition is not enough to do project-based learning. Although we are going to develop the project-based learning program in moral subject matter education. Maybe it will urge us to develop the teaching-learning plan according to each period.

      • 수신교과서에 나타난 근대 여성상 연구

        서강식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6 敎育論叢 Vol.53 No.1

        이 연구를 통해서 일제 강점기 시절에 발간된 초등학교 수신교과서에 나타난 근대의 여성상이 어 떠했는지를 고찰하고자 했다. 근대기의 일본여성은 메이지 유신에도 불구하고 봉건적인 굴레에서 벗 어나기 어려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근대 여성의 변화가 이때 시작되었다. 가부장적 관점 에서 수신교과서에 나타난 여성을 고찰하면 현모양처라는 전통적 가치관에 갇혀 있는 것으로 드러 났다. 산업사회 관점에서 수신교과서에 나타난 여성을 고찰하면 가정을 벗어나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여성상이 등장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현상은 일본 본토에 국한 된 것이고, 안타깝게도 조선 땅 의 여성상은 여전히 전통적 가치관에 매몰되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 초등학교 정보통신윤리교육의 교육과정 연구

        서강식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5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5 No.2

        컴퓨터와 통신기술의 결합을 바탕으로 정보의 수집, 가공, 유통 능력이 극대화되면서 정보의 가치가 산업사회의 물질과 에너지 이상으로 중요하게 되었다. 정보 사회의 도 래는 산업사회의 삶의 양식을 혁명적으로 변화시켰고, 삶의 질의 향상을 가져왔으나 동시에 인터넷 • 게임 중독, 현실도피 • 일상생활의 파괴로 인한 개인의 정체성 상실 등 의 비인간화 현상, 음란물 • 푹력물 • 허위정보 등의 불건전 정보유통, 사생활침해, 불법 복제로 인한 지적재산권 침해, 컴퓨터 바이러스유포 • 해킹 • 크래킹 • 스펨메일 둥의 불 법행위 문제 등 여러 가지 역기능과 많은 문제들도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이 성인뿐 아니라 청소년 수준에서도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어 이에 대 한 정보통신윤리교육이 초등학교 때부터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도덕교육에 기반을 둔 초등학교 정보통신윤리교육의 목표와 지도 내용, 그리고 교수-학습 지도 방법 등을 포함한 초둥학교 정보통신윤리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자 하였다. We live in the age of information societ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developing the curriculum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e want to educate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ystematically. First we suggested the goal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Second we suggested the contents, and Finally learning-teaching method. Moral intelligence was formed at elementary school age, that is called 'era of conscience’. With this poi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is emphasized from elementary school.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ll grow out, and they will take a proper leading role in future information society. I hope the study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of middle and high school will be continued.

      • 20세기 초엽의 미국의 도덕교육

        서강식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6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6 No.1

        식민지 초기에 미국에 정착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족에게 종교교육을 통한 도덕교 육의 일차적 책임을 돌렸다. 당시 부모들은 성경 읽기, 교리문답 가르치기 등을 통해 도덕교육을 엄격하게 실시했다. 20세기 초엽의 미국교육은 직장의 변화와 새로운 사회 적 및 문화적 변화에 대한 반응으로 인해 커다란 팽창과 변형을 경험했다. 새로운 질 서 속에서의 다양한 교육 요구에 부응하고자 교육자들은 이전보다 학생들의 학업 성취 와 사회적 능력 획득에 관심을 가졌다. 급속하게 발전하는 현대사회의 맥락에서 미국인들은 도덕교육에서 목표로 하는 도덕 성의 의미에 대해 의문을 지녔다. 이런 의문은 도덕교육에 대한 세 가지 양상으로 나타 났다. 첫째는 계속하여 인격교육운동을 지양하는 것이다. 이는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도 19세기에 발달된 가치의 틀을 고수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둘째는 진보주의적 교육개혁 운동으로 특정 인격 함양을 목표로 특정한 도덕적 가치를 가르치는 것을 비난하는 것이 었다. 셋째는 개신교계의 입장으로 여전히 기독교 신앙의 토대 위에서 종교 교육과 도 덕교육을 연계시키고자 하는 것이었다. 20세기 초엽의 미국 도덕교육의 양상이 우리의 학교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 고찰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The many of European peoples who settled the American colonies assigned primary responsibility for moral education to the family. Generally parents made a moral education rigidly by Bible-reading and catechism. The vast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of education in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represented a response both to change in the workplace and to new social and cultural forms. As educators struggled to meet the varied demands of the new order, they gave for more attention to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competence than had their nineteenth century predecessors. School became complex institutions with a variety of purposes. American raised a new set of questions about the meaning of morality in the context of a rapidly developing modern society. What emerged from these questions at the level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was three divergent responses to the problem of moral education in the modem world. First, character education sought to meet the challenges of new order in the framework of values that had developed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other approach, the product of progressive education movement, denigrated both the teaching of specific moral tenets and cultivation of particular character traits and emphasized instead a more flexible and critical approach to moral education. Finally outside public school, religious educators followed a third path, continuing to argue the necessity of grounding moral education in the tenets of faith. Decline and revival of moral education in America suggest that we don’t have to give up moral education in school.

      • 일제강점기 하의 보통학교 수신 교과서 내용 분석 연구

        서강식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1 敎育論叢 Vol.48 No.1

        일제강점기 시대의 동화정책은 조선인의 일본인화와 황국신민화로 나타났고, 교육정책과 교육목표도 이를 추진하는 수단이 었다. 이 연구에서는 특별히 일제강점기 시대의 동화정책 중에서 황국신민화에 주안점을 두고 일제강점기 시대의 보통학교 수 신 교과서에서는 황국신민화를 어느 정도나 도모하고 있는지를 살피고자 했다. 이와 같은 연구 수행을 위한 수신 교과서 내용 분석의 주요 준거는 내용, 삽화, 인물, 덕목이었다. 분석결과 초등학교 1, 2학년에서는 학생들의 학교 적응을 추구하며 황국신 민화를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3학년부터는 본격적으로 황국신민화를 추구하기 시작하고 있으며, 6학년에 이르러서 는 황국신민화를 노골적으로 제시하고 6학년 마무리 단원에서는 황국신민화가 6년 동안의 보통학교 교육 목표였음을 천명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은 본문의 내용과 삽화의 배경, 등장인물 등이 황국신민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수신서의 도덕적 덕목이 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덕목과 상당수가 일치하는 보편적 덕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덕목을 활용하여 실제로는 조선인의 황국신민화를 목표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가치 전수와 내면화가 교화 라고 비판을 하는 학자들의 주장을 유의해서 경청할 필요가 있다. 즉, 도덕적 가치의 전수와 내면화뿐 아니라 도덕적 사고력 및 판단력의 함양도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에서 매우 중요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