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고학 성과로 본 동북 아시아고대문화 - 환발해만 전기 청동기시대문화 중심으로 -

        복기대 동아시아고대학회 2008 동아시아고대학 Vol.17 No.-

        환발해만은 동북아시아의 인후부이다. 이 지역에서 청동기시대문화가 시작된 것은 지역적으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빠른 지역은 기원전 23세기 무렵부터이다. 요서지역의 하가점하층문화, 심양지역의 고태산문화, 요동산지의 마성자문화, 요동반도의 쌍타자문화, 경진지구의 대타두문화, 그리고 산동지역의 악석문화이다. 이 문화들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것은 1920년대부터인데 연구 초기에는 주로 중원문화와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 기본이었다. 그렇지만 학문적인 연구결과가 쌓이면서 이 지역 문화와 중원지역 문화간에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만주지역과 중원지역차이는 확연하게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그동안 만주지역의 고대문화들이 중원지역의 영향을 받아 발전한 것으로 생각하던 견해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이었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고고학발굴을 통한 결과를 근거로 하는 견해들이기 때문에 충분히 신뢰할 만하다고 하겠다. 이러한 견해가 제기되자 이 지역을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은 이 지역의 고대문화를 어떻게 해석할 것 인가에 대하여 고민을 하게 되었다. 그 고민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로 귀납되었다. 환발해만지역의 청동기시대문화는 중 악석문화는 동이문화로 볼 수 있고, 나머지 북방지역 문화는 그들 고유문화로 보는 것이 맞다는 것으로 연구되기 시작 하였다.무엇보다도 중국학계에서 이런 견해들이 제기된다는 것은 한국학계나 일본학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 한국학계의 경우 한민족문화의 기원지로 인식하는 경향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일본학계 역시 그들의 선조문화가 이곳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보는 견해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최근 언어학자들도 증명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도 불구하고 연구상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도 현실이다. 현재 연구의 주도권은 중국이 잡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중국은 이 지역의 역사문제를 다루는 국가기구를 만들었다. 그 기구에서 무조건적으로 만주의 고대문화를 중국역사와 직접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정리하고 있다. 이것은 순수한 학자들의 견해와 다른 것으로 그 파장은 매우 클 것으로 볼 수 있다. 중국의 이러한 행동은 먼저 중국 스스로가 철회를 해야 할 일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학자들이 나서서 연구결과로 맞서야 할 것이다. Bohai bay Round-sea Area is located in the throat of northeast. Early beginning of bronze age in this area was around 2300 B.C. though there ar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start of bronze age. There are many cultures in this era, which were Under Xiajiadin culture in Liaoxi, Gaotaisan culture in ShenYang, Machengzi culture in mountain area of Liao-dong, Sangtuozi culture in field area of Liao-dong, Datuotu culture in Jingjin area, and Ywesi culture in Liao-dong. The study for these cultures were started in 1920. In the early reports, most of them were focu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relevances with Jung Won Cultural Area. However, continuous studying on these cultures found major differences between these area, especially Manchuria, and Jung Won area. This is head-on contradiction to deny the concept that the developing of ancient Mancuria cultures were mainly affected by the Jung Won area. The contradiction, above all, which is based on the studying through the archeological excavation, is so reliable. This contradictory concept gave birth to the controversial effect on the manners of interpretation for ancient culture in these areas. As a results, we provisionally concluded as follows; In many Bronze age cultures of Bohai bay Round-sea Area, Ywesi culture was considered to be originated from Tong'i culture and other northern cultures were belong to the their own native culture. First of all, It is the fact that this thesis was suggested by chinese academic society that had an effect on Korea or Japan academic society. In case of Korea academic society, they were increasingly acquainted with the fact that hanminjok culture was originated from Bohai bay Round-sea Area. This inclination was also applied to the Japan academic society. Additionally, linguists also demonstrated and supported the thesis. However, in spite of the thesis spreading, there is still a lot of existing problems to keep studying because China has still taken the lead in studying of this field. Furthermore, they founded national committee organization to deal with the historical problem in Bohai bay Round-sea Area. The committee in china unconditionally tried to subordinate the ancient Manchuria culture to their own history. It is totally different from scholar's opinion that may cause big trouble. The act like this should be retreated for themselves. Otherwise, the scholars may confront to reveal the truth by their studyi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몽골족 기원에 대한 한 가지 가설

        복기대 한국몽골학회 2014 몽골학 Vol.0 No.36

        It is commonly belief that the origin of Mongolia was associated with‘Xiongnu’ in the studies on the origin of Mongolia. This origin stemmedfrom Sa Ma-Chion’s <Shiji> and <Xiongnu liezhuan>, which refer to thenorthern area of Earlier Han by ‘Xiongu’ in the vague manner, and thesesay that xiongu became extinct and scattered and became Mongolia tribe. But this commonly held view has some problems. Above all, there aremany tribes in Mongolia. They have many different religions and differentcustoms and manners internally. Then, it cannot be seen that theyoriginated from the same ethnicity. In this respect, I would like to revealthe “pure” origin of Mongol tribe in this paper. According to this study, the origin of Mongol tribe was formed as apolitical association around the 12th century A.D. This politicalempowerment was done by Jingiz Kahn and was well-known by him. Ofcourse, before this political empowerment, people already lived there asthey maintained some groups. In that period, however, no groups couldbecome a strong group and be a threatening power anywhere because ofthe characteristic of Mongolia. It was not until the period of Jingiz Khanthat they were known as political associ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origin of Mongolia is highly related with Khitantribe, in particular, in that they had similar customs and manner andclothes and they performed ancestor rites in common. And it is surprisingthat Xiongnu worshipped Jumong who was the first king of Goguryeo,almost the divine existence of Goguryeo history as everyone knows. Obviously, there are some historical reasons why Mongolia tribeworshipped Jumong. Among them, I propose a hypothesis that thedescendants of Goguryeo migrated into somewhere after Goguryeocollapsed. This hypothesis could also be supported by a lot of evidences putforward by recent studies. These studies show that it is likely that theorigin of Buryatia was not Siberia, but the east part of Great Khingan. Thisview suggests a lot to us. In this regard, I confirmed that the record whichshows that the origin of Khori-Buryatia might be in the whole region of FuXin, Liaoning Province in China. This could help to deal with the problem of the origin of Mongol tribewhich has not been solved in the meantime. Overall, it could be assumedthat the origin of Mongol tribe probably formed as Khitan people movedfrom the northwest of Manchuria to the north part.

      • KCI등재

        시론 강화도 塹城壇 유적을 통해 본 단군관련 제사유적

        복기대 동아시아고대학회 201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23

        글쓴이는 이 글에서 강화도 참성단을 통해서 만주지역에 남아 있는 한민족관련 제사유적과 그 대상, 그리고 그 후대로 이어지는 전승과정을 알아보았다. 만주지역에서 제사유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은 지금부터 5500년경 홍산문화후기 부터이다. 이 시기부터 시작하여 지금까지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공통된 특징은 산에서 지내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제사장의 형식은 시대마다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면 홍산문화시기는 조상신에 대한 제사장과 조상신에 대한 제사를 지내던 사람이 같은 지역에서 공존하는 것을 볼 수 있고, 하가점하층문화시기는 부족적인 제사장과 권력연맹체의 제사장은 다른 지역에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후 고구려, 신라, 고려, 조선 등에서 나타나는 조상에 대한 제사는 제사장과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과 같은 지역에 자리하지 않고 서로 다른 자리에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제정이 분리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들이 지낸 제사의 대상이 단군이었다는 것은 어떻게 설명이 되어야 하는 건가 하는 것이다. 고조선은 그 자체만으로도 단군을 설명할 수 있으나 고구려나 신라는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그들이 단군과 무슨 관련이 있을까 하는 것이다. 이런 문제는 이미 문헌에서 고구려, 신라는 고조선의 후예라는 것을 설명하고 있고, 심지어 조선왕조실록에서도 조선의 시조는 단군으로 보고 있는 것 등을 볼 때, 특별히 문제될 것이 없을 것으로 본다. 지금까지 한반도에 남아 있는 단군관련 제사장은 참성단이 남아 있다. 우리는 이를 통하여 강화도 참성단은 한민족의 전통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 참성단의 의미를 21세기에서 다시 음미해보고 되살려야 할 것이다. Archaeological or historical information on Ganghwa Island Chamseungdan or worship places in Manchuria has been studied in this article. Worship places in Manchuria emerged about 5,500 years ago late Hongshan culture period. From this period on, worship rituals in the remains have been done in hilltop places; the pattern continued for several thousand years. Even so, the political nature of chief priests changed in each period. For example, in Hongshan culture period, the chief priests performing different kinds of rituals lived together in the same place while tribe priests and the chief priests of the league started to live in different regions when it comes to Lower Xiajiadian culture period. The worship rituals for ancestors in Korean kingdoms such as Goguryeo, Silla, Goryeo, Chosun etc. were done by priests who were living in the other places than the political chiefs did. In this article, we tried to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the worship ritual was done for Dangun. In case of Old Chosun, the speculation might not be easily ruled out. However, Dangun could not be easily speculated by us, as the subject of worship rituals performed by peoples of the other Korean kingdoms. However, considering that most of Korean kingdoms were known to be founded by descendants of Old Chosun, the possibility could not be easily denied even for the countries.

      • KCI등재후보

        試論 紅山文化 原始龍에 대한 재검토 : 孫守道의 ‘猪龍’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복기대 백산학회 2007 白山學報 Vol.- No.77

        The dragon occupie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all the East Asia countries. Especially, in the ancient times, the dragon was the monopoly of the china, which pretended to Great Country in East Asia. The people of China regarded the dragon as a messenger of the Heaven as well as representative in enforcing the Heaven’s will. There were many concerns where the China dragon was originated. In the middle of that, it was reported that ancient dragon was found in the Hongsan culture. This was firstly suggested by the scholar Su dao, Shun, who believe that the ancient china dragon was originated from the Hongsan culture. However, on the authority of my own presented data, the beast head-shaped jade porcelain, so-called Hog Dragon in Hongsan culture, might be considered as realistic description of ill or pig rather than China Dragon. Above all, the reason is becausethere certainly would be existing fatal errors in the verifying process of Hog dragon at first. The jade porcelain was not a special thing when the Beast-shaped jade porcelain was firstly found in the Wongniuteqi Sanxingtara inner Mongolia. However, judging from the curved dragon found at the Fuhaomu of Yinxu in 1980, which was located in the capital city of late Sang country, the Beast-shaped jade porcelain was determined as the first China dragon after running back of 200 years. Comparing with these two wares, there were too many existing differences, which was originally ascribed in the verifying processes of declaration of dragon. Thus, it would be more reasonable that so-called Hog dragon was, in fact, realistic description of pig or ill but not dragon. If so, our concerning is where the first china dragon was originated from. In this book, I have introduced the relic of Henanseng Fuyangcun Xisuiper, which would be an origin of China dragon by the comparing of multiple evidences structurally. Although this is, of course, not a first suggestion by me but suggested by others continuously, the origin of dragon was not thought to be a sole just because of their historical view and outlook on the world. So, great attention could not be paid the dragon in Fuyangcun. However, I carefully presumed that the China dragon might be originated from a certain place and then dispersed more and more afterwards.

      • KCI등재후보

        철령위 위치에 대한 재검토

        복기대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0 선도문화 Vol.9 No.-

        The Ming’s establishment of Cheollyeongwi (Cheollyeong Military Base)not simply defined the Goryeo-Ming borderline, but posed a big obstacle to Goryeo’s efforts to recover its land. Thus, how Goryeo could stop such a scheme of the Ming, importantly, was linked to whether it could recover the land lost to the Yuan. At the long last, Goryeo sent troops to Liaodong to solve this issue through a war with the Ming. This means that Cheollyeongwi was located somewhere in Liaodong. Nonetheless, the Korean academic circles presumed Cheollyeongwi was located in the Wonsan Harbor area on the Korean Peninsula, not in Liaodong, China,thereby causing a great confusion to the history of Korea. This viewpoint was initiated not by the Korean academia, but by the Japanese academia. During the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Japanese scholars, as they tried to locate the military base within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colonial perspectives, discovered the present-day Cheollyeong area bordering Gangwon-do and Hamgyeongnam-do, defined it as the location of Cheollyeongwi and asserted Cheollyeongwi as the eastern borderline. The Korean academia positively accepted this viewpoint, and defined the location of Cheollyeongwi as an area near the Wonsan Harbor. This greatly influenced not only the demarcation of the borderline at the end of Goryeo and in the early Joseon period, but the demarcation of the whole Goryeo-period’s borderline, and Joseon-period’s borderline. Against such a backdrop, this study, based on the historical research on various records, newly proved that Cheollyeongwi, a big issue between Goryeo and Ming, constitutes the present-day Benxi area in Liaoning Province, China. Further studies have yet to be conducted, but if the location of Cheollyeongwi is confirmed as a present-day territory of China, the issue of Ssangseong Provincial Office should be reexamined. This is because the site of Ssangseong Provincial Office has thus far been deemed to be located on Cheollyeongwi on the Korean Peninsula. Thus,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link the site of Cheollyeongwi and Ssangseong Provincial Office. The Korean academia should focus on researching on the borderline of the Goryeo period along with these issues. This is because the History of Goryeo, compiled during the Joseon period, says that for borderlines of the Goryeo period, to the north, Seonchullyeong Passwas the borderline, and to the west, the borderline was the land of Goguryeo;these records are greatly different from the borderline of the Goryeo period as we know today. 명나라의 철령위 설치는 단순하게 고려와 명나라의 국경선 확정에머무르지 않고 고려의 고토회복에 가장 큰 장애물로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고려에서는 이 철령위 설치를 어떻게 막아내느냐에 따라 원에게 빼앗겼던 고토를 찾을 수 있을지 없을지가 결정되는 중요한 사안이 된 것이다. 고려는 이 중요한 사안을 결국 명나라와 전쟁으로 해결하고자 요동으로 군사를 출병시켰다. 이것은 결국 철령위가 요동 어딘가에 있었다는 것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간 한국학계에서는 철령위가 중국의 요동이 아닌 한반도의 원산만 지역으로 비정하여 한국사의 큰 혼란을 자초하였다. 물론 이런 견해의 시발은 한국학계가 아니고 일본학계였다. 과거 대일항쟁기에 일본학자들이 한국사를 식민사관에 의하여 한반도 안으로 축소시키는 과정에서 오늘날 강원도와함경남도 경계에 있던 철령지방을 찾아내어 그곳이 철령위를 동쪽경계라고 주장을 하였고, 한국학계에서는 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아예 철령위 위치를 원산만 부근으로 고정시켰던 것이다. 이로써 여말선초의 국경뿐만 아니라 고려시대 전체 국경선과 조선시대 국경선획정에 큰 영향을 받게 된 것이다. 이에 글쓴이는 여러 가지 자료를 검토하여, 고려와 명나라 간의 가장 큰 문제였던 철령위는 오늘날 중국 요녕성 본계시 일대라고 고증하였다. 보충적인 연구가 뒤따라야 하겠지만 철령위 위치가 오늘날 중국땅에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면 그와 더불어 쌍성총관부 문제도 다시검토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인식했던 쌍성총관부 자리는 그간 알고 왔던한반도 내의 철령위 자리였다고 생각해왔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철령위위치와 쌍성총관부 자리는 연결시켜 연구를 해봐야 할 것이다. 이들 문제들과 아울러 기회가 된다면 우리 학계에서는 고려시대국경선 연구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조선시대 기술한 고려사에는 고려의 국경선이 북쪽으로는 선춘령, 서쪽으로는 고구려를넘지 못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 기록들은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고려시대 국경선과는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 南滿洲지역 청동기시대문화와 민족문제에 관하여

        卜箕大 만주학회 2005 만주연구 Vol.- No.3

        The Bronze Age in Southern Manchuria began 24th century BCE. When the Bronze Age culture was first discovered there, scholars often tried to connect it with the Chinese culture or interpreted it as the culture of the Inner Asian people who came under the deep influence of the Chinese. However, with accumulation of new archaeological data, a new interpretation has become possible, and one must recognize it as a unique Manchurian culture. Ancient texts and myths suggest that the Old Chosdn of Korea should be considered as the subject of the Bronze Age culture in Manchuria. In other words, the Bronze Age culture in southern Manchuria had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formation of Korean nation and history. The Korean academic circle should pay a close attention to the issue of the Bronze Age culture and ethnicity in Southern Manchuria. 남만주지역의 청동기시대는 기원전 24세기 무렵에 시작되었다. 이 문화들을 소유했던 민족들이 어 떤 민족이었나 하는 것은 시대마다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청동기시대문화들이 발견되었을 초기에는 대부분이 중원문화와 깊은 관계를 두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그렇지 않으면 중원문화의 영항을 받은 북방민족의 문화로 인식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던 것이 남만주지역의 고고학자료들이 점점 쌓 이면서 새로운 해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 새로운 해석은 만주지역의 고유문화로 보아야 한다는 것 이다. 이는 매우 중요한 변화이다 만주지역의 고유문화로 본다면 이들 문화의 주인공들도 중원지역이 아닌 만주지역의 사람들이었던 것으로 봐야 한다. 고대문헌이나 전설 등을 볼 때 만주지역의 청동기 시대문화의 주인공은 한국사의 여명기였던 고조선으로 봐야 한다는 견해들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즉 남만주의 청동기시대문화는 한국민족과 역사를 형성하는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렇 다면 한국의 학계의 주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봐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