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문화정책과 문화정체성의 문제 : 세계화시대 문화정체성 확립을 위한 정책을 중심으로

        변청자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세계화'(Globalization)는 국가간 상호교류를 전방위적으로 증폭시켜 국가 상호간의 의존도를 점점 더 빠른 속도로 증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경제적, 정치적 측면에서 시작되어 문화의 세계화로 확산되었다. 특히 지식정보화사회로의 전환과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달은 문화의 세계화를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다. 이와 더불어 대중문화, 미디어문화, 문화산업, 관광산업 등이 문화 분야에 포함됨으로써 문화의 영역 또한 확대 재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문화는 정치, 경제, 사회 전반의 변화를 포괄적으로 선도하면서 앞으로의 세계화를 이끌어 갈 첨병이 되고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문화의 세계화는 세계성/지역성, 보편성/특수성, 상호침투성/혼융성과 같은 대립적 개념을 변증법적으로 포용하면서, 이것을 통해 하나의 통일된 문화를 지향하고 보편화하고 있다. 이 과정의 문화를 '세계문화'(Global Culture)라고 하는데, 이는 크게 두 가지의 상반된 양상으로 나타난다. 그 하나는 초강국 문화의 전 지구적 확산이며, 다른 하나는 민족과 국가 단위를 초월하는 제 3의 초국적 문화의 대두이다. 전자는 문화의 동질화와 획일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후자는 이에 대항하여 지역 문화정체성에 대한 강화를 유발시키면서 새로운 혼성적 정체성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세계화가 진행될수록 지역문화, 특히 지역 문화정체성의 문제가 더욱 중요하게 대두된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세계 각국은 자국의 문화가 세계문화로서의 보편성 획득을 통해 지속적으로 유지 발전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정책 목표를 집중하고 있다. 즉, 세계화시대 문화정책의 기본방향은 보편성과 함께 지역 문화정체성의 확립이며, 이러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실천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다. 그 중 국가 문화이미지 제고는 자국문화의 효율적인 세계 확산, 즉 자국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부문별 정책 시행을 통해 구체화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개별 정책사업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선결요건으로서 가장 중요시 되고 있다. 본 논문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세계화의 개념과 '문화의 세계화' 과정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대두되고 있는 문화정체성의 의미와 정체성 제고를 위한 실천 방안을 정책 측면에서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세계화를 서구 자본주의 세계경제의 항상적(恒常的) 과정으로 파악하고, 1990년대 이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시대적 현상과 지난 50여 년간 한국 문화정책의 변화과정을 검토하면서 다음과 같은 연구 절차를 따른다. 먼저 세계화시대 문화정체성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하여 세계화의 개념과 역사, 세계화에 대한 학자들의 다양한 관점을 예비적으로 고찰한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 세계화시대 문화정책의 범위와 역할, 정책 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문화정체성의 변화 양상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해방 이후 한국 문화정책의 목표와 특성을 시대별로 개괄하고, 이와 더불어 문화정책의 커다란 방향을 두 가지로 설명하면서 문화정체성 제고를 위한 각국의 정책을 살펴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세계화시대 문화정책의 기본 방향이 자국의 문화 정체성 제고로 집중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이를 위한 다양한 실천 방안 중 국가 문화이미지 관리 정책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중심으로 하는 구체적인 실천방안의 제시를 통해 우리 문화의 세계문화화를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Globalization has enhanced the mutual interchange among countries in all aspects, so the interdependence between different countries has been enlarged. It was started from the phases of economy and politics, but it has diffused into culture. In the cultural aspect, it has been promoted and accelerated by the change of the society to knowledge information and enhancement of communication from advanced technologies. In addition, the range of culture has been expended and reconfigured, as popular culture, media culture, cultural industry, and tour industry are placed under the category of culture. At this point, the culture would become the spearhead to lead the globalization in the future by the reason that the culture guides comprehensively the change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Although the globalization in culture would contain the antithesis concepts such as global/local, universality/(standardization)/specialty, and penetrate/fusion in dialectic, the globalization intends a culture to be unified and generalized. This is called as 'global culture'. The 'global culture' appears contrary aspects; the one is spread of cultural imperialism by a powerful-nation state to the globe while the other is the appearance of the third culture over races or nations. The former brings about the homogeneity or uniformity(standardization) of the culture, the latter induces the intensification of cultural identity and expresses new mixture identity. Thus globalization is processed more, the local culture and its identity become more important. Upon a phase of globalization, when each country establishes the cultural politics, most countries concentrate to make the way that their own culture could be developed continuously as a global culture with acquisition of universality. In globalization, each country's proper direction to establish the cultural policy harmonizes the universality as a global culture with identity for the local culture. And most various policies have been groped to realize that. Especially, the enhancement of cultural image for each country would have been materialized through carrying out a section policy for efficient diffusion of their own culture into the world. At the same time, the enhancement of a nation's cultural image has been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previous requisites to maximize the effect of an individual practice of a cultural policy. This study tries to look into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in culture. Also it has a purpose to consider the meaning of the cultural identity and the practical method for its enhancement in the phase of the policy. With those purposes, this study explains that globalization is the constant process of world economy in capitalism and considers the phenomenon which stretches at a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since 1990s. Also it researches on the procedure for the changes of Korean cultural policy for the last 50 years. To explain the meaning of the cultural identity in globalization, the preliminary study is about concepts, histories, and various notions of scholars of globaliz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and ranges of cultural policies in globalization, the change of political environment, and the aspect of cultural identity. Also it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goal of Korean cultural policies after the liberation by the period. This study explains the two kinds of directions for the cultural policies and it also looks through cultural politics in several countries. By this procedure, this study shows the basic purposes of cultural policies in globalization, which has been concentrated on the enhancement of cultural identities and emphasizes the fact that the policy administrations for nations' cultural images are important. Also it is appeared the way that Korean culture is recognized as a significant culture in global through suggestions of practical and strategic policies.

      • 문화분석 방법론으로서의 부르디외 문화사회학 연구 : 문화장의 변동과 '문화기획'을 중심으로

        변청자 弘益大學校 2008 국내박사

        RANK : 248639

        Cultural analysi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at is, a theoretical and a practical one: a fundamental methodology dealing with what cultural analysis is and a practical problem understanding culture as an object of analysis in a concrete term. However, this dichotomous approach was put to question by the French sociologist Pierre Bourdieu. As he did in his Meditations pascaliennes, Bourdieu deviates from both ‘sociologizing philosophy’ and ‘philosophizing sociology’ and thereby, reducing culture to mere material stiffened by numerical value. This attitude is in line with the intention of this study which regards culture not as a linguistically fixed concept but as an aspect of apparent social reality and accordingly, an object of observation and interpretation Bourdieu’s attempt to capture one concept within the homogeneous linguistic net leads him to consider culture within the social field, displacing it with the ‘reproductive relation’ in which both culture and each behavior of individual agents are generated mutually. Here, the ‘reproductive’ structure is analyzed within the power relations by him, which enables him to overcome the generally accepted charismatic ideology of culture and admit the various modes and values produced according to the class hierarchy. This process i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cultural change, which defines Bourdieu’s cultural sociology as a methodology of cultural analysis. For him, cultural change is not the replacement of opus opertum but the alteration of modus operandi. Furthermore, he explains that the latter is not confined to the level of discourse, or, an epistemological change, but that its very motive is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stratum, or the class position of individuals. Thus, cultural change becomes the logic of ‘competition’(or a ‘game’ as is called by him). So, what is the culture of the present time like? Though the changeability of culture has become a matter of general agreement, Bourdieu argues that the mechanism of the change is entailed not by the transitions of vague social conditions but by the logic of capital. The argument seems all the more pertinent when considered in the light of the contemporary society under the capitalist order, in particular, during the recent globalization era. What have been the most important notions in Bourdieu’s sociology are ‘habitus’, ‘practice’, ‘capital’ and ‘field’, and his discussion of the cultural field could be called a field theory. Noting that the relation between capital and culture is ‘concealed’, he examines the mechanism of cultural change from the perspective not of visible phenomena or structures but of structuration. According to him, the process where hidden capital is reduced to profit or interest is intervened by ‘illusio’ and ‘collusio’ which should be apprehended in the light of network. Consequently, those two notions are the problem of relation that functions continuously, closely associated with the mechanism of the change of cultural field. Among many of his approaches to culture,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nge of field, in particular, the cultural field. It is because in modern society, new cultural fields are constantly emerging with the mutations of existing individual and independent subfields, which can be understood only within the change of the whole social field. If the formation of a new field originated historically and is structuralized socially as was asserted by Bourdieu, the principle of this structuralization is collusio. In his writings like The Rules of Art, Distinction and especially, Intellectual Field and Creative Project(1966), he discussed meditation and project as the practical part of collusio. But he uses the term ‘project’ together with ‘enterprise’ without making any clear distinctio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project’ mentioned by Bourdieu as well as the change of cultural field, and ultimately, intends to show the practical dimension of cultural analysis is a cultural project. And the further discussion will emphasize that the cultural project is not only a work to actively disclose the social hierarchial principle and interests through various cultural communicative actions, but also the ‘meta-cultural activity’ to make clear the relation among art, agents, and society, to mediate between individual fields and subfields, to link among varied individual fields, and finally, to enlarge and reproduce the cultural realm in modern society. ‘문화’의 개념이 다의적으로 정의되면서 사회생활의 상징-표현(symbolic- expressive) 차원으로서의 문화에 대한 연구는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증대하고 있다. 이에 대한 연구 양상은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문화연구(Cultural studies)’와 독일을 중심으로 유럽에서 전개되고 있는 ‘문화학(Kulturwissenschaft)’의 논의가 대표적이다. 그 중 ‘문화연구’는 1980년대 이후 예술, 대중매체, 대중문화, 종교, 과학, 법, 언어, 인지, 지식 등의 광범위한 주제를 포괄하는 사회학적 연구를 통해 ‘문화사회학’으로 정립되면서 문화를 분석 대상으로 하는 문화분석(cultural analysis)의 새로운 이론적 틀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사회적 삶의 상징-표현 차원에 대한 연구로서의 문화분석은 ‘문화분석이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방법론의 문제와 함께 실제적으로 문화를 하나의 분석대상으로 파악하는 실천적인 문제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것은 다시 이론과 실천의 문제로 축약할 수 있다. 그런데 문화에 대한 논의에서 이러한 이분법적 구분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이 둘, 즉 이론과 실천이 구분될 수 없음을 아니 구분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피력한 것이 바로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이다. 일반적으로 그는 사회학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는 ‘철학을 사회학화하기’ 내지는 ‘사회학을 철학화하기’와 같은 시도로 구체적인 문화에 접근하면서도 그러한 문화들을 수치로 경직된 물질로 환원시키지 않는다. 그의 이러한 태도는 ‘문화’를 언어적으로 고정된 개념이 아닌 뚜렷한 사회실재의 한 측면으로써 관찰과 해석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유형으로 보고자 하는 본 연구와 그 맥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부르디외의 문화사회학(Sociology of Culture)과 장 이론(Field theory)을 비판적으로 되짚어 보면서, 이것이 문화분석의 유용한 분석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밝히고, 이를 통해 문화장 안에서의 ‘문화기획(cultural project)’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획(project)’을 하나의 장이 독립된 개별 장으로 위치지어지기 위한 역사적이고 구조적인 속성으로 제시한다. 이 속성은 바로 지적 장(intellectual field)으로서의 위치(position)이며, 지적 장은 궁극적으로 전체 사회공간 안에서 권력장(field of power)에 위치함으로써 지배계급의 피지배분파로서의 아비투스를 지니게 되고, 이러한 아비투스가 지속적으로 장의 역동성을 담보한다는 논리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이를 위해 부르디외 문화사회학의 핵심 개념과 논점들을 정리하고, 부르디외의 장 이론의 형성, 문화장(cultural field)의 위치와 구조와 변동에 관해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또한 문화장의 변동에서 문화매개로서의 ‘문화기획’이 개별 장들의 사회적 위계 원칙과 이해관계를 어떻게 드러내는지를 구조적인 메커니즘의 측면과 구체적 사례 연구를 통해 밝힌다. 그럼으로써 부르디외의 문화사회학을 바탕으로 지적 장의 창조적 기획(creative project of the intellectual field)과 문화생산장에서의 기획,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공모 개념을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문화기획’이 최근 문화예술계의 변화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가에 대한 물음의 해답을 찾는다. 이러한 과정은 동시대의 다양한 문화 현상과 행위를 담아내고 있는 ‘문화기획’을 분석하여 문화와 사회 구조와의 관계를 밝힘으로서 문화기획을 보다 메타문화적 관점에 정초시키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화기획’을 문화분석의 실천적 차원으로 이해하면서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문화적 기획들(cultural plannings), 즉 전시 · 컨벤션 · 이벤트와 같은 개별적인 기획행위들에 대한 메타적인 것으로 한정한다. 또한 주관성과 객관적인 사회 문화 실재 사이의 지속적인 변증법을 개인의 아비투스(habitus)가 사회적 관행(practice)을 산출시키며, 이것이 다시 개인의 아비투스로 지속적으로 체현됨(durable embodied)으로써 하나의 문화장을 형성시킨다는 부르디외의 실천 논리(logic of practice)를 통해 설명하여 각각의 기획 행위들이 단순한 경영관리적 접근(administrational approach)에 머무르고 있는 한계를 넘어 ‘문화기획’이란 문화 영역을 확대 재생산하는 적극적인 메타문화행위(meta-cultural practice)가 되어야 함을 밝힌다. 이러한 연구는 문화장 내에서의 예술의 역할과 예술장 자체의 구조, 예술의 생산적 가치 재고를 위한 문화기획의 실천의 메커니즘에 대한 문제제기를 통해 예술장 안에서의 제한생산과 대량생산의 하위장들의 관계와 특수성, 여타 문화장의 제한생산장으로서의 기능과 가능성, ‘문화기획’의 문화매개자로서의 위상을 밝힌다. 그럼으로써 ‘문화기획’이란 다양한 문화적 소통 행위를 통해 개별 장의 사회적 위계 원칙과 이해관계를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행위로, 현상적으로는 예술과 개인과 사회와의 관계를 밝히고, 개별 장의 하위장들의 관계를 매개하며, 다양한 개별 장들을 연계시켜 현대사회의 문화영역을 확대 재생산하는 ‘메타문화행위’라는 점을 강조한다. 또한 ‘문화기획’이 기존의 방법론적이고 경영관리적인 차원을 넘어서는 문화분석의 차원에서 다루어짐으로써 개별적인 문화적 행위로 실체화되는 것을 넘어 세계화시대의 문화논리와 각국의 문화정책 전반을 아우르는 차원으로 확대되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