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참모자반 조다당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대식세포 및 비장세포 활성 비교

        변의홍(Eui-Hong By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1

        본 연구는 참모자반 조다당 추출물(SFP) 및 에탄올 추출물(SFE)의 면역 활성에 관하여 비교하기 위하여 선천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세포인 대식세포와 후천면역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비장세포에 각각 SFP와 SFE를 처리하여 각각의 면역세포의 세포 증식률과 사이토카인 분비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측정하여 보았다. 대식세포에 SFP 및 SFE를 각각 농도별(12.5, 25, 50, 100 μg/mL)로 처리하였을 때 두 추출물 모두 대식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유발하지 않았으며, 대식세포의 활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NO, iNOS 및 cytokine의 분비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본 결과 SFP 처리구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분비능이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마우스 비장에서 유리된 비장세포에 SFP 및 SFE를 처리하였을 때 SFP의 처리구에서 비장세포의 증식능 및 면역 활성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Th1 type의 cytokine인 IL-2 및 IFN-γ의 분비능이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반면, 알레르기를 유도 하는 것으로 알려진 Th2 type의 cytokine인 IL-4의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참모자반 다당류 추출물은 선천면역계와 후천면역계를 담당하는 면역세포인 대식세포 및 비장세포의 활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immune syst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and protecting human health. In the present study, comparison of immuno-modulatory activities between polysaccharides (SFP) and ethanol (SFE) extracts separated from Sargassum fulvellum in macrophages and murine splenocytes were investigate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macrophages were estimated based on cell proliferation, nitric oxide (NO), inducible NO synthase (iNOS), and cytokine production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and lipopolysaccharide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SFP and SFE treatment did not affect cytotoxicity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and SFP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NO and cytokine production (TNF-α, IL-6, and IL-1β), whereas SFE did not contribute to the increase in NO and cytokine production. In the case of splenocytes, SFP treatment increased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also highly increased production of Th-1 type cytokines (IL-2 and IFN-γ) than those of SFE.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Sargassum fulvellum may be due to polysaccharide extracts and this can be a potential nutraceutical.

      • KCI등재

        새싹보리 잎, 뿌리 및 줄기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 비교

        변의홍(Eui-Hong Byun),김광욱(Kwangwook Kim),김이은(Yi-Eun Kim),조은지(Eun-Ji Cho),민희숙(Hee-Suk Min),이정현(Jeong-Hyeon Lee),조규성(Gyu-Seong Cho),윤우정(Woo Jung Yoon),김병천(Byung Chean Kim),안동현(Dong-Hyun Ahn),박원종(Won-Jong P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10

        새싹보리는 보리(Hordeum vulgare L.) 종자에서 발생한 싹을 키워 발아한 지 일주일 정도 된 어린 보리이며 완전히 자란 보리보다 기능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새싹보리의 부위별 생리활성 연구는 많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싹보리의 잎, 뿌리, 줄기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비교하였다. 천연물 항산화력의 지표물질인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새싹보리의 뿌리, 줄기보다 잎에서 더욱 높게 측정되었으며, 새싹보리 잎이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 평가에서도 뿌리, 줄기보다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관찰되었다. 또한, 새싹보리 잎, 뿌리 및 줄기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H₂O₂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세포 독성, SOD 활성 및 MDA level을 확인한 결과, 새싹보리 잎에서 세포 생존율 증가, SOD 활성 증가 및 MDA level감소가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이는 새싹보리의 잎이 다른 부위인 뿌리, 줄기보다 천연 항산화 소재와 신경세포 보호소재로 개발될 가능성이 월등히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It is believed that barley sprouts (Hordeum vulgare L.) have antioxidant, lipid metabolic, anti-cancer, and anti-fatty liver formation effects; however,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confirm thi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leaf, root, and stem extracts of barley sprouts in terms of their total polyphenol contents, flavonoid contents, antioxidant activities, and neuroprotective effects. To accomplish this, barley sprout leaves, roots, and stems were individually extracted using ethanol. The highest levels of total polyphenols and total flavonoids were observed in barley sprout leaf extract. Similarly, antioxidant activities resulted in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nd reduced power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tract of barley sprout leaves. In addition, barley sprout leaves, roots, and stems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in H₂O₂-treated HT22 cells. Further, barley sprout leaves increase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decreased the malonaldehyde level.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eaves of barley sprouts can be used as a new natural antioxidant source and that they have the potential to prevent and treat neuro-degenerative diseases.

      • SCOPUSKCI등재

        자소엽(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조다당류 추출물의 면역활성 효과

        변의홍(Eui-Hong Byun) 한국식품과학회 201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9 No.5

        본 연구는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PCP)의 면역활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선천면역계의 대표적인 면역세포인 수지상세포 및 후천면역계의 대표적인 면역세포인 비장세포에 PCP를 처리하여 면역세포의 면역활성능에 관하여 측정하였다. 수지상세포에 PCP를 1, 5 및 10 μg/mL의 농도를 처리한 결과, 세포생존율이 103.4±3.8, 108.8±2.1, 117.8±3.3% (n =3)로 나타나 세포독성을 유발하지 않았으며, 주요 면역활성 인자인 산화질소의 분비능을 관찰한 결과, 각각 2.7±0.2, 4.5±0.2, 7.3±0.3 μM (n =3)로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농도(1, 5 및 10 μg/mL)별 PCP 처리구에서 사이토카인의 분비능을 관찰한 결과, TNF-α (372.3±0.32, 604.8±0.54 및 954.2±1.32 pg/mL), IL-6 (508.4±0.39, 761.5±1.34 및 1038.5±1.67 pg/mL), IL-1β (314.5±1.04, 524.8±1.89 및 664.8±0.89 pg/mL), IL-12 (321.4±0.94, 832.5±0.85 및 901. ±0.94 pg/mL)가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후천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면역 T 세포가 다량으로 분포하는 비장 조직으로부터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PCP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 증식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면역활성을 유도하는 Th1 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의 함량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PCP의 처리는 선천면역뿐만 아니라 후천면역에 관여하는 다양한 면역세포의 활성화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자소엽조다당 추출물의 면역활성 유도 효과에 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향후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을 분리 및 정제과정을 통하여 구조분석 및 정제된 조다당 추출물의 정확한 면역활성과 면역활성 기전에 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PCP) in mouse bone marrow-derived dendritic cells (BMDC) and splenocytes. The immunomodulatory activity was determined by cell viability, nitric oxide (NO) production, cell surface marker expression (CD 80/86 and MHC class I/II), and cytokine production in BMDC, and cell viability, and cytokine production in splenocytes. Cell proliferation and cytokine production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terleukin (IL)-6, IL-1β, and IL- 12) tested in BMDC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PCP treatment. Additionally, the cell surface markers (CD 80/86, MHC class I/II) were highly increased by PCP treatment. For cytokine production in splenocytes, PCP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duction of Th 1 cytokines [IL-2 and interferon (IFN)-γ], but not Th 2 cytokines (IL-4). Therefore, PCP can induce immune cell activation and is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nutraceuticals to boost the immune system.

      • KCI등재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잎으로부터 분리된 다당류 추출물의 면역 활성

        변의백(Eui-Baek Byun),장범수(Beom-Su Jang),성낙윤(Nak-Yun Sung),변의홍(Eui-Hong By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8

        본 연구는 꾸지뽕 잎으로부터 추출된 다당류인 CTP의 처리가 면역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CTP는 에탄올 침전법에 의하여 추출하였고, 면역 활성능의 평가는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와 미분화 골수세포로부터 유도 분화시킨 대식세포 및 마우스 비장으로부터 유리시킨 비장세포에 CTP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관찰하였다. 선천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대식세포에 CTP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 증식률, NO 및 cytokine 분비능이 CTP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을 뿐만 아니라 비장세포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세포 증식률이 증가하고 Th 1 type의 cytokine 분비능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꾸지뽕 다당류 추출물인 CTP는 다양한 면역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하며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을 개발한다면 그 경제적 가치가 매우 클 것으로 생각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crude polysaccharide separated from Cudrania tricuspidata leaf. C. tricuspidata polysaccharide (CTP) was extracted by ethanol precipitation. Immunomodulation activity was tested in macrophage cells (RAW 264.7 and bone-marrow derived macrophage) and splenocytes. CTP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up to 250 μg/mL in both RAW 264.7 and bone-marrow derived macrophages. In this concentration range (below 250 μg/mL), nitric oxide and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interleukin (IL)-6] production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Similarly, splenocyte proliferation dosedependently increased except for the 1,000 μg/mL treated group. Regarding cytokine production activity in splenocytes, CTP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production of Th 1 type cytokines [interferon (IFN)-γ] production but not Th2 type cytokines (IL-4).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 that CTP may have a potential effect on immunomodulatory activity in various immune cells, and this is useful for development of immune enhancing adjuvant materials as a natural ingredient.

      • KCI등재

        품종별 고추(꽃고추, 홍고추 및 홍피망)의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변의백(Eui-Baek Byun),박우용(Woo-Young Park),안동현(Dong-Hyun Ahn),유영춘(Yung-Choon Yoo),박철환(Chulhwan Park),박원종(Won-Jong Park),장범수(Beom-Su Jang),변의홍(Eui-Hong Byun),성낙윤(Nak-Yun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5

        꽃고추(Capsicum annuum var. abbreviatum)는 Capsicum annuum 속의 변이종으로 열매 성숙과정에 따라 고추의 색이 초록색, 보라색, 노란색, 주황색, 빨간색 및 검은색으로 변하여 오색고추라고도 명명한다. 현재 꽃고추는 화려한 색 때문에 관상용으로 다량 재배되고 있지만, 꽃고추의 생리활성 및 생리활성 물질 분석에 관한 연구들은 전무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관상용으로만 재배되는 꽃고추의 기능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꽃고추와 국내에서 식용으로 가장 많이 유통되고 소비되는 2종(Capsicum annuum, 홍고추; Capsicum annuum var. angulosum, 홍피망)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하여 비교해 보았다. 천연물 항산화력의 지표물질인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꽃고추가 국내에서 식용으로 널리 알려진 고추 2종보다 더욱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꽃고추가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 평가에서도 다른 2종보다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이는 현재 관상용으로만 재배되는 꽃고추가 천연 항산화 소재로 개발될 가능성이 충분함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compared the extracts of three varieties of red peppers in terms of their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s well as antioxidant activities. In this study, two edible red peppers (Capsicum annuum var. angulosum and Capsicum annuum L.) and one flowering grass red pepper (Capsicum annuum var. abbreviatum), were individually extracted by using ethanol. Among three varieties of red peppers, the highest levels of total polyphenols and total flavonoids were observed in Capsicum annuum var. abbreviatum extract. Similarly, antioxidant activities resulted in α,α-diphenyl-picrylhydrazyl,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significantly increased in extract of Capsicum annuum var. abbreviatum. Therefore, our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Capsicum annuum var. abbreviatum can be used as a new natural antioxidant source.

      • KCI등재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잎에서 분리된 다당류 추출물의 큰포식세포 보호 효과

        변의백(Eui-Baek Byun),김광욱(Kwangwook Kim),김우식(Woo Sik Kim),변의홍(Eui-Hong By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2

        본 연구에서는 항암,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일으키는 그라비올라 잎으로부터 추출한 다당류(ALPS)가 선천면역 및 적응면역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큰포식세포의 보호 효과를 유도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큰포식세포에 ALPS를 처리한 후 세포독성물질(staurosporine)을 병용 처리하여 큰포식세포 보호 효과를 유도하는지 평가해보았다. 세포독성물질로 인해 일어나는 세포사멸이 ALPS에 의해 완화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세포독성물질로 인한 caspase 의존적인 세포사멸이 ALPS에 의해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ALPS는 세포독성을 일으키는 활성산소종을 완화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세포독성물질로 인해 증가한 미토콘드리아 외막 투과성이 ALPS에 의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로 인해 외부의 독성물질로 인한 큰포식세포의 세포독성에 ALPS가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다고 판단되며, 이는 ALPS가 앞으로 세포 보호 효과소재로 개발될 가능성이 월등히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macrophage protection effects of Annona muricata leaf polysaccharides (ALPS). Macrophage apoptosis was induced by a staurosporine (STS) treatment. STS induced macrophage apoptosis because of the cytotoxicity, caspase activatio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nd increase in mitochondrial outer membrane permeability (MOMP). The inhibition of macrophage apoptosis by the ALPS treatment was confirmed. The ALPS treatment reduced STS-induced cell death and Annexin V positive cell levels significantly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the ALPS treatment inhibited the activation of caspase-3, 8, 9, and PARP in macrophages. Furthermore, the ALPS treatment reduced the STS-induced ROS production and MOMP increase in macrophages. Therefore, the ALPS treatment inhibits STS-induced macrophage apoptosis through the inhibition of cytotoxicity, caspase activation, ROS production, and MOMP increase, suggesting that ALPS could be a potential candidate as an immune cell protection drug.

      • SCOPUSKCI등재

        그라비올라 잎(Annona muricata L.) 조다당 분획분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김이은(Yi-Eun Kim),변의홍(Eui-Hong Byun) 한국식품과학회 201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1 No.1

        본 연구는 그라비올라 잎 조다당 분획물(ALP)의 멜라닌 저해활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B16F10 melanoma 세포의 세포 생존율, tyrosinase 저해활성, 멜라닌 함량,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 하는 단백질(TRP-1, TRP-2, tyrosinase, MITF 및 p-CREB)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ALP의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을 측정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B16F10 세포에 ALP를 처리하여 멜라닌 활성 저해능에 관하여 알아봤을 때, tyrosinase, 멜라닌 함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LP가 미백과 관련된 TRP-1, TRP-2, tyrosinase, MITF 및 p-CREB의 단백질 발현양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ALP는 멜라닌 저해 활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보아 기능성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melanogenic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s from Annona muricata L. (ALP) in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stimulating hormone-induced mouse B16F10 melanoma cells. The inhibitory effect of ALP on tyrosinase activity was approximately 33.88±0.79% at 5 mg/mL. Additionally, the B16F10 cellular tyrosinase and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activities by ALP were 54.21±4.76 and 56.74±6.97% at 250 μg/mL, respectively. Similarly, whitening-related protein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1) and TRP-2,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were reduced by ALP treatme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LP could be used as a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 after confirming its whitening activity related to melanin conten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마우스세포를 이용한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추출물의 병용 처리에 따른 면역활성 효과

        변명우(Myung-Woo Byun),변의홍(Eui-Hong By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2

        본 연구는 홍삼추출물(홍삼단)과 생약복합추출물(헤모힘)이 주요 기능성분은 다르지만 면역활성이라는 생리활성 측면에서 동일한 효과를 인정하고 있어서 이들의 병용 처리가 면역세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면역활성능에 관한 평가를 진행하기 위하여 마우스의 골수에서 분리한 미분화 골수세포를 선천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로 분화시킨 후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추출물을 병용 처리하였을 때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의 세포 증식능 및 사이토카인의 분비능이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활성화된 탐식(면역)세포의 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는 CD80과 CD86의 발현과 탐식(면역)세포의 항원제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조직적합성 복합체(MHC class Ⅱ)의 발현이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추출물의 병용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후천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면역 T 세포가 다량으로 분포하는 비장 조직으로부터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추출물을 병용 처리하였을 때 세포 증식능 및 면역활성을 유도하는 Th1 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의 함량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홍삼추출물과 생약복합 추출물의 병용 처리는 선천면역뿐만 아니라 후천면역에 관여하는 다양한 면역세포의 활성화에 직?간접적으로 다양한 상승작용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e immunological synergistic effects of herbal preparation (HemoHIM) and red ginseng powder granule in various immune cell models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dendritic cells, and mouse splenocytes) from mice. Both herbal preparation and red ginseng extracts were treated to bone-marrow derived macrophages, dendritic cells, and mouse splenocytes, and there was no cytotoxicity at a dose below 200 μg/mL. Cell proliferation and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terleukin (IL)-6, and IL-12] production tested in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and dendritic cells significantly increased upon combined treatment. Cell surface marker (CD 80/86, MHC class Ⅰ/Ⅱ)-mediated immune cell activation was highly elevated by combined treatment. For cytokine production in splenocytes, combined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production of Th 1 type cytokines [IL-2 and interferon (IFN)-γ] but not Th 2 type cytokines (IL-4 and IL-10). Therefore, combined treatment with HemoHIM and red ginseng extracts is an effective method to establish powerful immunological synergy in immune cells.

      • SCOPUSKCI등재

        자소엽(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조다당의 멜라닌 생성 저해 및 미백효과

        조은지(Eun-Ji Cho),변의홍(Eui-Hong Byun) 한국식품과학회 201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1 No.1

        본 연구에서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tyrosinase 억제활성과 melanocyte 세포에서 멜라닌 함량 및 멜라닌 관련 단백질 발현 억제능을 수행하였다.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은 tyrosinase 억제능을 관찰한 결과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미백 효과가 melanoma 세포인 B16F10 세포 내에서도 일어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내 멜라닌 함량 및 tyrosinase 억제능을 살펴보았다.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은 B16F10 세포에 대하여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진행 하였으며, 세포내 멜라닌 함량 및 tyrosinase 활성 저해를 보여주었다. 이는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이 세포 내 MITF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서 tyrosinase, TRP-1 및 TRP-2 단백질 발현을 억제함에 따라 미백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미백 산업 분야 및 식품의 기능성 소재로 이용한다면 천연 미백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inhibitory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s separated from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PCP) on melanin synthesis and tyrosinase activity were observed. B16F10 melanoma cells were treated with 125 and 250 μg/mL of PCP for 24 hours. Using these optimal concentrations,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was measured, and PCP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melanin synthesis induced by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In addition, western blotting analysis on B16F10 melanoma cells showed that PCP inhibited tyrosinase,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pn factor, tyrosinase related protein-1, and tyrosinase related protein-2 expression.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CP may have potential inhibitory activity against melanin synthesis and may be a natural ingredient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whitening materials in cosmetics and functional fo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