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懸吐를 활용한 『孟子』 해석 논의 고찰 –星湖 李瀷의 『孟子疾書』와 順庵 安鼎福의 「經書疑義」를 중심으로–

        변은미 민족어문학회 2022 어문논집 Vol.- No.95

        Hyunto glosses(懸吐) is a unique way of Korea designed to accurately read Classic Chinese, marking the punctuation of the sentence with symbols. After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Hyunto glosses expanded in the way of Eonhae(諺解), and they played a central role in learning and translating the Confucian classics during the Chosŏn period. This article examines the case of discuss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Mencius using Hyunto glosses in the Chosŏn period. Lee Ik(李瀷)’s Maengjajilseo(孟子疾書) and his disciple An Jeong-Bok(安鼎福)’s Gyungseoyiyi(經書疑義) is a major material that can examine one side of the discussion on interpretation of The Mencius using Hyunto glosses among scholars in the late Chosŏn period. Most of the criteria for marking Hyunto glosses in Maengjajilseo are structural elements inside sentences, especially the grammar of the Chinese character, sentence structure, and the correspondence of the context. Hyunto glosses played an effective role in analyzing the internal elements of the sentence, as it marked the grammatical elements of Korean that were difficult to express in Chinese. Therefore, discussions on interpretation of Confucian classics using Hyunto glosses also minimize the intervention of external factors such as philosophical and historical aspects and tend to use elements inside the sentence as the standard. 懸吐는 한문의 句讀를 기호로 표시하는 방식으로, 한문 해독을 위해 한문에 한국어의 문법적 요소를 추가하는 것이다. 한국어의 한자표기 발달 역사에서 보자면 한자로 표현되지 않는 한국어의 특징적인 요소를 기록하는 방식 가운데 하나이고, 한문해석법의 발달 역사에서 보자면 한문을 정확하게 독해하기 위해 고안된 우리나라의 독특한 표기 방식 가운데 하나이다. 현토는 훈민정음 창제 이후 諺解의 방식으로 확대되었으며, 현토와 언해는 조선 시대에 경서를 학습하고 번역하는 데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본고는 懸吐를 경서 해석의 하나의 수단으로 조명하여 조선후기 현토를 활용한 경문 해석 논의 사례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현토의 해석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星湖 李瀷의 『孟子疾書』와 그의 제자 順庵 安鼎福의 「經書疑義」는 조선 후기 학자들 간의 현토를 활용한 경문 해석 논의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는 주요한 자료이다. 성호 이익은 孟子疾書 에서 해석 논란이 있는 경문에 현토를 표기하여 자신의 견해를 밝혔으며, 이는 이후에 안정복의 「經書疑義」에서 논의되었다. 사례들을 검토한 결과 현토 표기의 기준이 대부분 문장 내부의 구조적 요소이며, 특히 자법, 문장의 구조, 상하 문맥의 조응 등이 자주 언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현토는 한문을 해독하는 과정에서 한문으로는 표현하기 힘든 한국어의 문법적 요소를 표기한 것이므로, 문장의 내부적 요소인 文法, 文勢를 분석하는 데 효과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러므로 현토를 활용한 경문 해석 논의 역시 철학적, 역사적 측면 등 외부 요소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문장 내부의 요소를 그 기준으로 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 KCI등재

        箕田 논의에 대한 고찰

        변은미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3 고전과 해석 Vol.41 No.-

        평양에는 箕子墓, 崇仁殿, 箕子井, 그리고 箕田 등 箕子와 관련한 유적이 많이 있다. 각각의 장소는 저마다 가진 장소로서의 특성 외에도 새로운 장소성을 부여받기도 하였다. 대표적으로 기자묘와 숭인전은 세종 때 倪謙 등의 명나라 사신이 참배하고 詩賦를 짓는 곳으로 사용한 이후로 조선과 명나라 간의 책봉 관계를 드러내 보이는 장소로서 기능하였다. 箕田이 장소성을 부여받는 과정은 하나의 장소를 새롭게 인식하는 것이 그 시대의 중심 화두와 어떻게 밀접한 관련을 맺을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구암 한백겸이 기전이라는 장소에 처음으로 특정한 장소성을 부여한 이후로 기전 논의가 여러 학자에 의해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기전의 구획 주체를 기자로 인식하는지에 대한 문제부터 기전이 『맹자』의 井田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기전의 구획 형태가 현실의 井田制에 적용될 수 있는지의 문제까지 광범위한 담론이 생성되었다. 본고에서는 하나의 장소가 특정한 상징성을 지닌 장소로 인식되고 부각되는 과정, 그리고 그 장소성에 대한 여러 異論의 대립, 그 異論의 전개 과정에서 보이는 각 학자의 논지 전개 방식에 주목하여 箕田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In Pyongyang, there are many places related to Kija, such as Tomb of Kija, Temple of Kija, Well of Kija, and Well Fields of Kija. Each of these places not only served the function assigned as a location but also acquired its own placeness. For example, Tomb of Kija and Temple of Kija, notably used by Ming envoys during the Sejong period for worship and writing poem and rhapsody, functioned as places revealing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osŏn and Ming dynasty. The process by which Well Fields of Kija gained its own placeness clearly illustrates how recognizing a location anew can be closely related to the central issues of that era. Since Han Baek-kyum(韓百謙) first attributed specific placeness to Well Fields of Kija, discussions about Well Fields of Kija have evolved diversely among various scholars. These discussions range from issues like whether the designer of Well Fields of Kija is Kija or not to how Well Fields of Kija is connected to the Well Fields in the Mencius (孟子), and even to the broader discourse on whether the form of Well Fields of Kija could be extended to the well-field system in real life.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a location is recognized and highlighted as having specific symbolism, the various opinions regarding that symbolism, and the argumentative approaches of scholars in the development of those opinions.

      • KCI등재후보

        판타지 그림책을 활용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가상놀이수준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금주,변은미 한국보육학회 2011 한국보육학회지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판타지 그림책을 활용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가상놀이(탈맥락화, 자기-타인관계)수준과 언어능력(언어이해력, 언어표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의 판타지 그림책에 대한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원주시내에 소재한 두 유치원의 만 4, 5세 유아 총 40명을 임의표집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분류하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판타지 요소가 포함된 언어활동을 일주일에 2회씩 총 8회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판타지 그림책을 읽고 판타지 요소를 확인하여 언어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판타지 그림책을 읽고 단순히 줄거리 회상하기만을 한 비교집단에 비해 가상놀이 수준과 언어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판타지 그림책을 활용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가상놀이 상황과 언어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유아의 흥미와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질높은 판타지 그림책의 가치를 고려하여, 보다 효과적인 언어활동으로 확장시켜 나갈 수 있는 다양한 접근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language activities using fantasy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pretend play(decontextualization, self–other relations) level and linguistic competence(comprehension and expressiveness) and, by doing so, to develop an efficient approach to activities utilizing fantasy picture books. For this purpose, we sampled at random a total of 40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from two kindergartens in Wonju-City Gangwon-do, divided them into an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applied language activities including fantasy elements to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a week total 8 time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experiment group who had read fantasy picture books and performed fantasy elements confirming and language activities improved both their pretend play level and language competence than the control group who had read fantasy picture books and recollected stories. This result shows that language activities using fantasy books have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linguistic competence as well as young children’s pretend play. Accordingly, various approaches expanding effective language activities should be sought, considering the value of qualified fantasy picture books stimulating young children’s interests and imagination.

      • KCI등재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가정환경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권재성,육진숙,변은미 대한작업치료학회 200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1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인지재활의 가정환경 프로그램 모델을 소개하고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2005년 6월부터 12월까지 발병 후 6개월 이상 된 뇌졸중 환자로 재활치료 기관에서 정기적인 인지재활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정환경 인지재활 프로그램은 전반적인 행동지침, 체계적 인지훈련 지침서, 고안된 인지활동, 독립적 일상생활활동 참여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가정환경 프로그램은 가정에서 선별된 가족 구성원과 협력하여 전문치료사 2명이 체계적인 모니터와 면담을 통해 중재하고 통제하였으며 총 12주간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적용 전후 인지기능 수준과 기본적, 수단적 일상생활동작 수행 수준을 평가하고 비교하기 위해 LOTCA와 MBI, S-IADL을 시행하였다.결과 : 비모수 검증인 윌콕슨 부호순위검증을 통해 프로그램 중재 전후 인지기능 수준과 일상생활 수행력 수준을 비교한 결과 인지기능 수준을 반영하는 LOTCA 점수에서 적용 전 보다 적용 후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p<.05),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력을 반영하는 S-IADL에서 의미 있는 점수의 차이를 보였다(p<.05). 그러나 기본적 일상생활 수행력을 반영하는 MBI 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결론 :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지재활의 가정환경 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에게 있어서 전반적인 인지기능의 향상과 가정환경 및 지역사회로의 적응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a home-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model and report on its clinical effectiveness.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6 stoke patients who did not receive regular cognitive re-habilitation intervention for more than 6 months, after suffer a brain injury between June and December, 2005. The home-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model consists of 4 areas: a general guideline, sys-tematic cognitive workbook, cognitive exercise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wo specialized occupational therapists intervened on behalf of the 6 patients, along with selected family members, through regular coun-selling and systematic monitoring for 12 weeks. Cognitive function, ADL, and IADL were rated using LOTCA, MBI, and S-IADL, respectively.Results : Using a Wilcoxon signed rank test as non-parametric statistics, LOTCA and S-IADL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p<.05) after application of the home-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However, the increase in MBI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 home-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model helps stoke patients in terms of cognitive function and IADL improvement.

      • 학령전기 아동을 위한 표준화된 인지 평가 도구의 문헌 고찰

        육진숙 ( Jin Sook Yuk ),변은미 ( Eun Mi Byun ),유승복 ( Seung Bok You ),김흥수 ( Heung Su Kim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2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1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 아동에게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인지 평가 도구를 확인하고, 각 평가 도구의 일반적인 특징 및 임상적 유용성, 심리측정학적 특성, 한국 표준화 현황을 확인함으로써 학령전기 아동의 인지 평가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PubMed에서 ``advanced search`` 검색 방법과 ``filter`` 기능을 사용하여 최근 10년 동안 학회지에 개제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학령전기 아동을 위한 인지 평가 도구를 사용한 논문을 검색하기 위해 평가와 관련된 검색 용어로 “assessment, evaluation, scale, test, inventory, battery, measurement”를 사용하고, 인지 기능과 관련된 검색 용어로 “attention, memory, visual perception, executive functions, cognition, intelligence, mental development”를 사용하였다. 검색된 논문에서 학령전기 아동에게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인지 평가 도구를 확인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총 23개의 평가 도구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학령전기 아동에게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인지 평가 도구는 23개였다. 전반적인 인지 평가 도구는 11개였으며, 특정 인지 영역에 대한 평가 도구는 12개로 확인 되었다(주의집중 1개, 기억 4개, 시지각 4개, 실행기능 2개, 기타 1개). 대부분의 평가 도구는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었으며, 아동이 직접 평가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평가하였고, 신뢰도 및 타당도가 높았다. 한국에서 표준화된 평가 도구는 DSS-ROCF와 CAS였다. 결론: 전반적인 인지 평가 도구는 주로 2-3세부터 사용할 수 있으나, 특정 인지 영역에 대한 평가 도구의 경우 인지 영역별로 사용할 수 있는 연령이 다르므로 아동의 연령이나 인지 기능의 특징에 따라 적절한 평가 도구를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standardized cognitive assessments for preschool children and review general descriptions, clinical usefulness, psychometric properties, and standardizations in Korea. We expect that it`s easy to assess cognitive function for preschool children through the review. Methods: Papers using cognitive assessments for preschool children and published in journals for the last ten years were identified in PubMED. For the key words related to assessment, “assessment, evaluation, scale, test, inventory, battery, and measurement” were used. “Attention, memory, visual perception, executive functions, cognition, intelligence, and mental development” for the key words related to cognitive function were used. Standardized cognitive assessments for preschool children identified in papers were reviewed. Results: The number of standardized cognitive assessments for preschool children identified in papers was 23. The number of comprehensive cognitive assessments and assessments measuring specific cognitive area(attention, memory, visual perception, executive functions) was 11 and 12 respectively(attention 1, memory 4, visual perception 4, executive functions 2, and others 1). Most of them can be used by directly purchasing them, assess children`s performance directly, and have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Standardized cognitive assessments for preschool children which were standardized in Korea were DSS-ROCF and CAS. Conclusion: Because comprehensive cognitive assessments and assessments measuring specific cognitive area can be used to preschool children in different age groups, it is important to choose proper assessments according to age and cognitive function.

      • KCI등재

        음식물의 부피, 질감, 맛에 따른 혀의 압력 비교

        Young-Jin Song,변은미,Eun-Mi Byun,Ji-Woong Lee,우희순 대한연하장애학회 2019 대한연하장애학회지 Vol.9 No.2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how changes in the volume, texture, and taste of food affect the variation oftongue pressure during the swallowing of food in healthy adults. Methods: Fifty-four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ongue pressure was measured using an IowaOral. Performance Instrument (IOPI) during swallowing of food in 54 healthy adults. The food bolus with modifiedvolumes (3, 5, 10, and 15 ml), textures (water, puree, and cracker), and tastes (pure water, sour taste, sweet taste,and salty taste) were provided and the variation of the tongue pressure was traced during the swallowing of food. Results: The tongue pressure changed significantly when the volume of food chunks increased. When the texture offood was modified, the tongue pressu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swallowing a cracker than when swallowingwater and puree. In addition, the tongue pressure was increased more by a sour taste liquid than pure water or sweettaste liquid. Conclusion: When swallowing food, the tongue pressure at the appropriate level is essential for safe swallowing. Because modification of the volume, texture, and taste of food can induce the variation of tongue pressure, it can berecommended as an effective therapeutic method that can move food in the mouth.

      • KCI등재
      • 1세 이상 6세 미만 뇌성마비 아동의 MACS 평가자간 신뢰도 연구

        김흥수 ( Heung Su Kim ),유승복 ( Seung Bok You ),육진숙 ( Jin Sook Yuk ),변은미 ( Eun Mi Byun ),유지은 ( Ji Eun Yu ),최인애 ( In Ae Choi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3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2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만 1세∼6세 미만의 뇌성마비 아동에게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MACS)를 평가했을 때 평가자간 신뢰도를 확인하는 것이며, 아동의 연령별로 평가자간 신뢰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만 1세∼6세 미만의 뇌성마비 아동 31명을 대상으로 5명의 작업치료사가 MACS를 평가하였다. 연령에 적절한 과제를 제시하여 평가하기 위해서 연령에 적절한 소동작 및 신변처리 과제 참조표를 작성하고, MACS 평가 시 참조표를 참고하여 아동에게 과제를 제시하였다. 평가자간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weighted Cohen`s kapp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연령에서 평가자간 신뢰도는 κ=0.78 이었으며, 각 연령 그룹에서 평가자간 신뢰도는 1세∼2세 미만 아동이 κ=0.82, 2세∼4세 미만 아동이 κ=0.75, 4세∼6세 미만 아동이 κ=0.78 이었다. 결론: 만 1세∼6세 미만의 뇌성마비 아동에게 MACS를 평가했을 때 전반적으로 평가자간 신뢰도가 good 이상으로 높았으며, 특히 1세∼2세 미만 아동을 대상으로 한 평가자간 신뢰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본 연구는 연령에 적절한 소동작 및 신변처리를 과제를 선택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참조표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연령에 적절한 소동작 및 신변처리 과제 참조표의 타당도 연구와 연령이 어린 아동에게 MACS를 평가할 때 참조표의 활용 여부에 따른 평가자간의 신뢰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MAC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etween 1 and 6 years of age and to compare inter-rater reliability according to age groups. Methods: 5 occupational therapists assessed 31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etween 1 and 6 years of age using MACS. The guideline including fine motor and self-care activities appropriate to age was established and referred to during assessment. Inter-rater reliability was analysed using weighted Cohen`s kappa. Results: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ACS was κ=0.78 for children aged 1∼6 years, κ=0.82 for children aged 1∼2 years, κ=0.75 for children aged 2∼4 years, and κ=0.78 for children aged 4∼6 years. Conclusion: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AC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etween 1 and 6 years of age was beyond good. Especially,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ACS for children aged 1∼2 years was the highest. It is meaningful to suggest a guideline including fine motor and self-care activities appropriate to age.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MACS for young childre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inter-rater reliability according to whether a guideline including fine motor and self-care activities appropriate to age is used or not. Also, it is necessary to identify validity of a guideline including fine motor and self-care activities appropriate to a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