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음악교사 양성 기관의 국악교육과정 변화

        변미혜(Byun, Mi-Hye) 한국국악교육학회 2014 국악교육 Vol.38 No.38

        음악교사는 일반적으로 중·고등학교 음악교사의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사범대학의 음악교육과를 통해 배출되며, 일반 음악대학에서는 교직 이수를 하거나 교육대학원을 졸업하여 교사가 되기도 한다. 즉 사범대학의 음악교육과는 음악교사 배출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학과의 주요한 역할은 중·고등학교의 음악교육의 질을 책임지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음악교사들을 배출하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음악교사에게 필요한 교육적 역량 및 자질은 국가교육과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고, 국가교육과정은 시대적·사회적 변화와 요구 등 다양한 변인에 의해 개정됨에 따라 교사 양성 기관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교사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한국교원대학교 음악교육과의 국악교육과정을 통해 교사 양성기관에 요구되는 음악교사의 자질과 역량을 살펴본 결과 한국교원대학교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은 개정된 국가교육과정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데 소극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음악교사의 자질과 요건에 대한 시대적·교육적 요구의 변화에 따라 음악교사 양성기관의 교육내용 및 교육과정도 변화될 것을 기대하였지만, 여전히 국악과 양악 과목이 불균형적으로 편성·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다수의 양악 관련 과목들이 개설된 가운데 국악 관련 과목들이 몇 개 추가된 정도에 지나지 않았으며, 현재의 음악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으로는 우리의 음악문화를 자신 있게 지도할 수 있는 자질과 역량을 지닌 음악 교사를 양성하기에는 미흡하다고 본다. 중등음악교사는 변화하는 시대적·사회적 변화에 따른 음악교사의 자격기준을 함양함으로써 학교 음악교육의 발전에 이바지 하는 역할과 의무를 다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가능케 하는 것은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에 있다. 앞으로 바람직한 음악교사 교사를 양성하기위해서는 교과교육학 및 교과내용학의 영역별 균형 있는 과목 개설이 요구된다. 또한 교과의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총 이수학점과 기본이수학점의 충분한 확보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음악교사 양성 대학의 국악 교수진의 확보가 시급하며 이를 뒷받침을 할 수 있는 교육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음악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수용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국가교육과정을 선도하고, 미래의 한국음악교육의 비전을 제시해 나갈 수 있도록 그 역할을 다 해야 할 것이다. Music teachers are usually educated in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teachers’ training college. Also, they can be trained by completing a course in teacher education of music college, or finish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us, since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teachers’ training college occupies a large part of producing music teachers, its curriculum aims to educate competent music teachers to responsibly accomplish the quality of music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s. Moreover, the educational capacity and qualification which are demanded of music teachers are related wi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revised by period?social change and requirement causes the reorganization of teachers’ training college. This study identified the capacity and qualification of music teachers educated by teachers’ training courses through examining the curriculum of the music education department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hich is charge of training teachers. From the result, this study recognized that the curriculum had been passive to absorb the Revised National Music Curriculum. Especially, although it was expected that the capacity and qualification of music teachers has been changed by the period?social change and requirement, the curriculum of the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the university was still disproportionately organized in the courses of Korean music and western music. The courses of the department were occupied with most of western music courses and just added by some of Korean music courses. Through this curriculum, it may be impossible that the music teachers which can instruct Korean music and culture can be trained. The curriculum of music teachers’ training college should contribute to educate music teachers to obtain the requirement and qualification by period?social change. For this reason, the curriculum to be well-trained music teachers should be balanced on both music courses and music education courses. Furthermore, it should be required to enough fulfill the total course credits and compulsory credits in order to be fully qualified the expertise of music subject. Lastly, readily provided this curriculum in music teachers’ training college, it will be required with the education policy to obtain enough the professors specialized in Korean music. Conclusively, music teachers’ training college should accept the change of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as well as lead the music curriculum and present the future vis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 KCI등재후보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중국 음악 고찰

        변미혜(Byun, Mi Hye) 한국국악교육학회 2011 국악교육 Vol.32 No.32

        세계 각 국의 인구이동과 문화 교류는 타 민족 간의 문화 인식의 중요성과 이를 위한 국가 정책으로 다문화 교육이라는 새로운 문화 교육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거주하는 여러 민족 중 아시아인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아시아인을 위한 문화적 관심 및 교육 정책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 이후,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아시아 지역의 음악을 7학년에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 아시아 지역의 음악 중 오랫동안 인접 국가로서 영향을 주고받았던 중국 음악은 다른 나라와는 달리 이해할 기회가 많으리라고 추측하나 실제 우리나라 음악교육에서 가르쳐 지는 내용은 미흡한 수준이다. 중국 음악을 이해한다는 것은 결국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음악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하며 아시아인들의 문화적 동질성과 유대감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 현재 중학교 1학년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중국 음악에 관련된 내용을 고찰하여 중국 음악의 이해와 지도를 위한 방향을 모색해보았다. 또한 음악 교과서에 가장 많이 소개되는 중국의 대표적 민요인 모리화 악곡과 중국의 소주, 남경, 상해를 아우르는 강소 지역에 전승된 모리화 악곡과의 비교를 통하여 음악 교과서에 제시되어야 할 바람직한 모리화 악곡에 대하여 논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민요의 특징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중국 음악 문화 및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음악 문화의 특징을 이해하는 그 토대를 마련하는데 있다. Recently, the international migration and cultural interchange caus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ethnic groups and the new paradigm of multicultural education. Since Asians occupies most of the foreigners dwelling in Korea, the interest of Asian culture rises in Korean education world. Thus, after the 7th National Music Curriculum, the Revised National Music Curriculum of 2007 presents Asian musics on the first grade in middle schools. Among those musics, although this author expected that the Chinese music can be more included because of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the contents of this music which have been taught in Korean schools were insufficient. However, through this Chinese music,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Asian musical cultures including Korean music can be easily understood and the cultural homogenetic and fellowship can be acquired. For this reason, this paper searched the approaches to teaching the Chinese music included in the music textbooks of the first grade in middle schools. In addition, since comparing Morihwa introduced in Korean music textbooks, and Morihwa transmitted at Kangso[江?] in regions of China, this paper discussed the authentic Morihwa, presented as the representative Chinese folk song in the textbooks. This paper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music as well as the Eastern Asian music through studying the Chinese music.

      • KCI등재

        문화 예술 주제 중심의 교과간 통합 지도 방안

        변미혜(Byun Mi Hye),김민수(Kim Min Soo),한윤이(Han You Nee) 국립국악원 2004 국악원논문집 Vol.16 No.-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교육의 가장 궁극적인 목적은 정체성 있는 국민을 육성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교육 내용은 바로 그 나라의 문화 예술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 사회의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 예술 교육은 문화 예술이 지니고 있는 통합적인 성격보다는 분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능 위주의 교육으로 전락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교육 현실에서는 문화 예술이 지니고 있는 본질을 이해할 수 없으므로 정체성을 지닌 국민을 육성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문화 예술 속에는 춤, 음악, 미술, 사상, 언어 등이 공존하고 있으므로 그 문화 예술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 모두를 함께 교육해야만 한다. 특히 보편교육의 기초가 되는 초등학교의 올바른 문화 예술 교육은 모든 문화 예술의 초석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에서부터 이러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현재 초등학교 여러 교과 중 특히 음악교과가 우리 문화의 본질적인 모습을 이해하기 어려우므로 국악을 중심으로 하여 교과 통합적인 지도를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먼저 문화 예술 주제 중심 통합 교육의 지도 방안을 위한 주제를 선정하였다. 주제 선정에서 는 우리 문화의 특징을 이루고 있는 요소들을 살폈으며 여기서 이끌어낸 요소를 중심으로 교과의 내용을 분석 하였다. 교과 내용의 분석에서는 초등학교 3~6학년의 교과서 및 지도서의 국악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여러 교과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소재를 찾아, 이 공통 소재를 바탕으로 가장 기본적이며 포괄적인 주제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대주제에는 생활과 음악, 세시풍속과 음악, 사상과 음악이 선정되었다. 생활과 음악은 일과 음악 및 놀이와 음악으로 다시 나누고 일과 음악에는 농요, 어요, 노동과 관련된 기타 민요를, 놀이와 음악에는 전래 동요(놀이요), 풍물놀이, 탈춤놀이, 놀이와 관련된 기타 민요 등을 소주제로 세분화 하였다. 또한 세시 풍속과 음악에서는 세시 풍속을 중심으로 설과 정월 대보름, 단오, 백중, 추석 등을, 사상과 음악에서는 굿 사상, 불교 사상, 유교 사상, 기타 사상(풍류 사상) 등을 소주제로 정하였다. 이상과 같이 교과간 통합 지도를 위한 문화 예술 주제를 선정한 후 각 주제별로 지도 방안을 구안하였다. 먼저 각 주제별 개관을 통하여 주제의 중심 요소를 제시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주제별 관련 소주제를 각 소주제에 알맞은 지도 내용을 정하여 각 주제의 일반적인 지도 단계를 제시하였다. 주제의 이러한 기본 방향 설정을 토대로 각 소주제별 교과간 연계 학습 내용, 학년별계열 학습 내용, 주제별 학습 목표, 주제별 학습 내용도 구체화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문화 예술을 통합 교육의 중심으로 삼아 가르친다면 우리 문화의 본질적인 모습을 올바르게 이해하게 하며, 특히 국악의 종합적인 특징을 부각시켜 국악 중심으로 교육을 한다면 바람직하고 정체성 있는 예술 교육이 이루어지리라 본다. The ultimate purpose of education in every country is to bring up its people who have their firm identity. To achieve this purpose, a country s culture and arts sh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contents. However, the current education of culture and arts throughout the Korean society has been offered separately in each subject, focusing on skills. With this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raise citizens with their identity because it can t lead people to understand the intrinsic natures of culture and arts. Thus, it is necessary to teach students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and arts. I suggest that this kind of education be offered from the elementary school years which serve the very foundation of universal education. To meet this suggestion, this study aimed to search for methods of integrated teaching among the course of study connected with culture and arts with a focus on Korean music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intrinsic natures of Korean culture and arts. To carry out my study, first I made a selection of subjects applicable to the integrated teaching. I examined the elements which constitut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and then analyzed the contents of textbooks on the basis of selected elements. After analyzing, I chose some common materials throughout many subjects among the contents of textbooks and teacher s manuals for elementary schooler 3 to 6. Again, on the basis of common materials, the most basic and comprehensive subjects were drawn. As a result, I selected three main subjects as follows; Life and Music , Seasonal Customs and Music Ideas and Music . Life and Music was again divided into Work and Music and Play and Music . The former involves sub-subjects such as farmer s songs , fisherman s songs and other folk songs related to labor, while the latter does traditional children s songs (songs for play), Pungmul-nori , masque dances and other folk songs related to play. In addition, Seasonal Customs and Music involves New Year and Daeborm , Dano , Baekjung , and Chusuk as sub-subjects associated with annual or seasonal customs of Korea. In Ideas and Music Shamanism , Buddhism , Confucianism and other Ideas like Pungryu were chosen as its sub-subjects. After selecting these subjects I searched teaching methods for each subject. First, I presented the main point of the subjects in the overview of each subject. Secondly, I also presented teaching contents, teaching goals and teaching stages for each subject. On the basis of this presentation thirdly, I searched subjects-integrated learning contents, sequential learning contents for each grade, teaching goals and learning contents for each sub-subject in detail. Lastly, I developed and presented a practical lesson plan with a material chosen from each sub-subjec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that the integrated education of culture and arts which contains the overall aspects can play a short cut to realize the true nature of culture and arts. Especially, the integrated teaching with a focus on Korean music which bring its whole characteristics into can lead to culture and art education with established identity.

      • KCI등재후보

        중등 음악 임용고사 제도의 실태 및 개선 방향

        변미혜(Byun, Mi Hye) 한국국악교육학회 2013 국악교육 Vol.36 No.36

        중등 임용고사 선발 제도의 변화는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함이며, 교과에 대한 전문적이고도 수준 있는 교사 선발은 국가의 미래와도 연결된다. 또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잘 수행할 수 있는 교사 선발은 음악 교육의 미래와도 직결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수한 음악교사 선발을 통해 음악교육의 질적 제고를 꾀할 수 있도록 중등 음악 임용고사 제도의 실태를 살펴보고, 새롭게 도입될 2014학년도 임용고사 제도의 개선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2009년도 이후 올해까지 적용된 임용고사 음악교과의 평가는 주로 기본 이수 과목 및 분야를 중심으로 범위가 제한되었으며, 평가 영역의 내용 및 요소에 따라 출제되어 왔다.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는 크게 교과 교육학과 교과 내용학의 두 가지로 구분되어 있는데, 현재 국.사립 사범대 음악교육과에서 교과 교육학의 과목은 국가에서 고시된 과목과 그 수에 있어 상당히 다양하고 많으나 주로 양악 분야의 내용을 교수.학습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자국의 음악을 자신 있게, 제대로 가르칠 수 있는 교사를 양성하고 선발하기 위해서는 사대 음악교육과의 국악 분야에 관련된 교과 내용과 교과 교육 내용의 내실 있는 변화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실기 평가의 경우 각 시ㆍ도교육청의 평가 내용에 차이가 있어,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국악교육 지도 능력을 갖춘 음악교사는 각 시.도교육청의 실기평가로는 선발하기 힘들며, 더 나아가 학교교육을 통해 민요 하나 부를 수 없는 한국인을 육성하는 결과를 계속 초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014학년도 중등 임용고사는 전년도의 3단계 전형에서 2단계 전형으로 축소되어 이루어질 예정이다. 1차 시험에서는 필기시험의 전공 문항 및 시험 시간이 기존의 문항수와 시간에 비해 대폭 축소되어 전공 교과에 대한 이해도 및 종합적 사고 능력을 제대로 평가하기에 무리가 있다고 판단되므로, 음악교사의 종합적인 자격기준을 갖춘 교사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전공 교과의 필기시험 문항 및 시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문항 출제 기준의 명료성, 타당성 등이 고려되어야 하며, 채점의 공정성과 객관성, 신뢰성 및 전문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여건도 조성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2차 시험에 해당하는 수업실연 및 실기 능력 평가의 경우 음악과 교육과정, 기본 이수 과목 및 분야를 고려하여 마련된 실기 능력 평가 방안을 모든 시ㆍ도교육청에서 시행하여 각 지역별로 선발된 음악교사의 실기 능력이 지역적 편차가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2014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평가제도 개선이 우수한 음악교사를 선발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라며, 국가시험의 공정성, 타당성, 신뢰성을 확보하여 중등 음악교사 임용시험 정책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Since the selection of school teachers with special and intelligent knowledge of each subject can be related with Korean future, the qualifying tests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need to change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Korean education. Also, the selection of music teachers understanding and fulfilling the Korean Musical Curriculum can be effective to the future of Korean music education. Thus, since the selection of excellent music teachers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atus of the current qualifying test for secondary music teachers and explore the improvement and direction for the new qualifying test of 2014. The current qualifying test for secondary music teachers since 2009 usually have been focused on the basic completed courses and fields of music, and based on the contents and elements of evaluation territory. The territory and content of evaluation are divided by the educational study and the content education of subject. Then, although the music education departments of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ies secure various the educational studies of music notifi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courses have been mainly focused on the contents of Western music. Thus, since the music teachers instructing Korean music cultivate and select, the curricula of music education departments need to be changed to more add the educational study and the content education of Korean music.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practical skill evaluation in Cities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the contents of tests were different by region and far from selecting secondary music teachers qualified to instruct Korean music presented by Korean National Music Curriculum. Moreover, these practical tests could demonstrate to result in cultivating Koreans singing no Korean folk songs. The qualifying test for secondary music teachers of 2014 will be reduced from three-step procedures to two-step procedures. Since the numbers and test time of the test questions in the first-step of this new test of 2014 will be more reduced than those of the existing test, it can be difficult to evaluate the ranges and comprehensive thinking abilities of major subjects. Therefore, for the selection of music teachers with comprehensive qualification standards, the efficient numbers and test time of major subjects need to be secured. Additionally, the clarify and validity of the test, and the justice, objectivity, reliability, and speciality of grading should be guaranteed. The second step of the new test of 2014 is the actual performance of teaching and practical evaluation. Through applying the existing evaluation considered Korean National Music Curriculum, basically completed courses and fields to all Cities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the evaluation of this step should be performed without regional differences. Consequently, this author expects this paper to contribute to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2014 qualifying test for secondary music teachers, and elevate the reputation of this test through more securing cla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