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John Dewey의 교육적 경험으로 바라본 학교 교육

        변남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듀이가 말하는 경험의 의미를 통해 현 학교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에 있다. 먼저 교사와 지도서에서 바라보는 경험의 개념을 통해 현 학교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경험 활동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러한 경험 활동을 통해 생길 수 있는 학교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현 학교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경험과 대조되는 듀이가 말하는 교육적 경험을 부각시켜 보았다. 듀이가 말하는 경험이 왜 교육적일 수밖에 없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듀이의 교육적 경험이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한 방법적 측면, 이루어졌을 때 거둘 수 있는 효과적 측면을 모색해 보았다. 현재 초등학교 교사의 대부분이 구체적이고 감각적 조작활동이 경험 교육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학생들의 직접적 흥미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교사용 지도서의 교수․학습 모형에서는 나이가 어린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지식 전달 위주의 교과 수업을 제외한 활동에서 경험 교육이 이루어진다고 생각한다. 이에 반해 듀이의 경험은 한 측면의 교육 활동이 아니라, 교육의 출발점이자 도착점이라고 보았다. 듀이가 말하는 교육의 본질과 교육 사상을 다 포함하고 대표하는 용어인 경험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듀이가 말하는 교육적 경험은 학생 중심이고, 사고 중심이고, 성장 중심일 수밖에 없다. 이는 듀이가 말하는 경험“의”, 경험“에 의한”, 경험“을 위한” 활동이라는 말에 잘 나타나 있다. 이 말은 듀이가 말하는 교육적 경험이 가지는 연속성과 상호작용의 원리를 포함하는 개념이라 볼 수 있다. 듀이의 경험을 학교 교육에 접목시킨다면 학교는 교과교육면에서 학생 위주의 진정한 교육활동이 이루어질 것이고, 생활지도면에서 학생들이 서로 협동하여 학교에서 필요한 진정한 질서를 찾아갈 것이다. 또, 교육행정면에서 실적과 결과 위주에서 벗어나 교육의 주체를 위해 정말 필요한 교육 현장을 만들어가게 될 것이다.

      • 韓國 姿器의 發生과 그 系統에 관한 연구

        변남주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그 간의 국내외의 가마터와 유적지 등 현지조사와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韓國 자기발생과 관련문제를 살펴 계통을 밝히고 남부권을 대표하는 해남신덕리요의 성격을 밝히고자 한다. 위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한국자기발생과 관련된 문제를 검토하고, 韓國 ‘발생기 자기’ 요지를 크게 南部圈과 中部圈으로 나누어 살핀 후 분명한 차이점을 도출하여 中國의 越州窯를 중심으로 한 제자기술과 비교하였다. 한국 窯址는 일명 내저곡면의 해무리굽 곧 중국식 찻잔이 출토되는 곳 즉 ‘발생기 자기’ 가마터로 추정되는 곳으로 하였으며, 중국 월주요는 현재 한국 자기 발생기로 추정되는 9~10세기 즉 당·오대~북속 무렵까지로 한정하였다. 한국 남부권은 해남 신덕리를 중심으로 강진 용운리, 고흥 운대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중부권은 시흥 방산동을 중심으로 용인 서리, 배천군 원산리, 여주 중암리를 대상으로 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양권역은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으나 양 지역 모두 중국의 越州窯의 영향일 것이라는 것은 무비판적 일반적 견해로 제시되어 있으나 그에 관한 연구는 인색하였다. 앞의 절차를 거쳐 살펴본 결과 한국 ‘발생기 자기’요지의 南部圈과 中部圈은 그 계통이 다를 가능성이 높다. 품종에 있어서 남부권은 청자·흑자와 도기가 동일요에서 생산된 반면, 중부권은 청자·백자가 도기에 이어서 생산되었다. 기종을 살펴보면 남부권에서는 소형음식기와 저장용기로는 편병·편호·주판알형 釉瓶 등이 생산되었는데 병은 모두 盤口입술로 생산되었다. 반면 중부권에서는 소형음식기와 장고·주전자 작은병 등이 생산되었는데 작은병은 나팔입술로 생산되었다. 남부권은 소형음식기는 중국 제자기술이며 저장용기는 전통도기의 그것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중부권은 소형음식기와 저장용기 모두 중국적 기종만 생산되었다. 속성을 보면 남부권은 무문이며 중부권은 소량의 철화나 상감이 출현하고 있으며 남부권은 해무리굽과 다듬지않은 거친 큰 굽인 반면에 중부권은 다듬어 정선된 낮은 굽이 많다. 소성 제자기술에서는 축요법, 갑발, 갑발덮개, 경사도침과 받침, 내화토 사용, 굽는법 등은 더욱 분명하게 다르게 나타났다. 계통을 정리하여 보면 월요뿐만아니라 여러 제자기술의 영향이 나타났다. 남부권은 전통도기 제작기술과 월주요의 제자기술의 선택적 유입하여 운영되었으며, 중부권은 소성법에서는 남방 월요계의 영향으로 보이나 품종과 기종은 북방계의 영향으로 나타났다. 다음 해남 신덕리요의 성격을 중부권과 비교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자기(청자·흑자)와 도기를 생산한 가마터가 모두 60여 곳으로 ‘발생기자기’ 도요지로서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대규모 집단으로 가마터가 형성되어 있다. 품종을 보면 남부권 해남 신덕리는 도기와 자기가 동일가마에서 생산된 반면 중부권은 도기에 이어서 자기를 생산한 점은 다르다. 기종을 보면 해무리굽완의 폭이나 크기에 있어서 中國 先시기의 해무리굽(玉壁底)에 가깝게 굽폭이 넓고 굽경이 큰 것도 있다. 장고는 중부권 용인 시흥 여주에서 생산되었다. 해남은 신덕리요의 뒤를 이은 진산리요 시기에 철화장고가 생산되었다. 시흥에서는 장고가 초기단계에서부터 제작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문양을 보면 남부권 해남에서는 모두 무문이다. 반면에 중부권에서는 後시기의 杖鼓에서(철화,상감)기법이 소량 등장하였다. 무형의 소성법에서는 더욱 분명하여 진다. 中部圈의 경우 匣鉢은 覆鉢形과 鉢形의 동시 출토로 보아 晩唐 이후 임을 알려주고 있으며, 이는 만당 이후의 갑발덮개의 사용과 일맥상통한다. 중번시 사용된 갑발의 출토량도 대량으로 갑발사용의 일반화 단계임을 알 수 있다. 보다 더 명확한 것은 오대후기의 월요 번조 기구인 고리형 받침인데 이는 시종일관 사용되었으며, 맨아래 하층퇴적의 양질 청자가 모두 고리형 받침을 사용하고 있어 중부권 자기발생시점은 오대 후기를 크게 벗어나지 안ㄴㅎ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南部圈은 당 중기 元和朝의 초창기 통기공 覆鉢形 匣鉢만 소량 출토된다는 사실, 또 中唐 元和朝(806~820년) 이전의 포개구이로 찻잔 외에는 越窯와 같이 10개 정도씩 소성되며, 또 갑발 출토량도 초창기와 같이 소량이라는 점, 당후기(晩唐) 이후의 갑발덮개와 ㅠ자형 받침이 보이지 않는 점, 내화토 받침이 越窯의 荷花惢窯와 같이 부드러운 백색 내화토만을 사용했는데 초기갑발시기의 콩모양 형태이며 그 수도 유사하게 4~6개의 흔적을 남기고 있다는 점, 고리형 받침이 南部圈에서는 出土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또 南部圈은 통일 신라말 전통기형(반구편병, 편호)과 동시 생산은 국내 어느지역보다 이른시기의 가마터일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해무리굽 중국식 찻잔을 한 개씩 구운 시기는 선종불교와 차문화가 어느 정도 일반화되었을 무렵이었을 것이다. 더욱이 신덕리요는 선종불교 차문화 활발히 진행된 서남지역의 관문인 영산강의 포구에 있어 지리적으로도 주목된다. 배경까지 고려하면 남부권의 해남신덕리 집단가마터는 시점이 850년 전후로 한국자기발생의 발원지일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고에서 나타난 中國越窯의 상황을 韓國瓷器 發生에 그대로 적용시키는 것이 타당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깊은 검토가 필요하다. 현재까지의 양국의 한정된 자료를 가지고 南部圈이나 中部圈 모두 중국 월요의 제자기술과 비교해 보았을 때 아직 만족할만한 결과는 아니라고 여겨지며, 한국 자기발생은 월요제자기술의 선택적 수용과 중국 북방요의 제자기술의 유입가능성 있다고 본다. 앞으로 구체적 발원시기와 지역은 위의 내용에 대한 엄밀한 검증이 필요하고 더 많은 자료가 확보되는 시기를 기다려 결론 내렸으면 한다.

      • 前近代 榮山江 流域 浦口의 歷史地理的 考察

        변남주 목포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This research is a study of the ancient waterways and sea travel routes of the Yeongsan River and the ports that were built along this river. It is also an investigation into the changes in designation of these ports according to region or over time. This work will first shed light on the ports that were constructed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areas of the Yeongsan River, and using this information, will assess the domestic and foreign activities that centered around these ports to invariably affect maritime history and culture. In chapter 2, I discuss what and how, according to regional perceptions of the river, variations occurred regarding the name of the ancient waterways of the Yeongsan River. In chapter 3, lower Yongyeon River was looked at. A total of 33 ports appearing at the lower-river region were found. Because of its geographic location, the influence of the coastline and the southern sea route, which linked the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river, on an "internationalization" of the area was significant. In fact, it can be argued that the main characters in the ancient ceramic coffin age were not nomads on horseback but rather sea farers. To support this, the influence of tides and currents vis--vis coastline navigation was studied. The sea route going to Japan from the Southwestern Sea was easier than the reverse trip; as a result, ancient peoples and culture are thought to have thrived in Japan. Also in the Southwestern region, from the time of Unified Silla to the beginning of Koryo, frequent exchanges took place with southern China, as Chang Bogo's adventures and sheer quantity of ceramics and kilns attest to. In Chapter 4, mid-Yongyeon River area (environs of Naju) ports were examined. A total of 23 ports appearing at the mid-river region were found. Against the backdrop of metropolitan Naju during the Koryo period, Naju's once external port Mokpo's location village. In Chapter 5, in the waterways of upper Yongyeon River area (environs of Kwangju) which is free from tides geographically and historically was inhospitable to ships, Naru port was examined. A total of 6 Naru ports appearing at the upper-river region were found. In short this study into the coastal ports of waterways of Yongyeon River revealed that from the ceramic coffin period to the early Koryo period, port cities that were linked to the southern routes were advanced, varied and unique, as revealed by archaeological evidence. The mid-Yongyeon River region's Gangsang port in the Unified Silla period was centered on Hoejin in the Koryo and Choson periods it was centered on Naju Nam port, and activities were centralized with Naju. This system invariably led to competition with Kwangju and further led to progress in the region. On the hand, in the upper region of the Yongyeon River, because of the lack of ships into the region, the region became rather underdeveloped as shown by the relative lack of ancient cultural artifacts found at site. Still, once land transportation became more widespread and better developed after the modernization period, the areas near Yongyeon River made significant progress. <국문초록> 본 연구는 영산강 하․중․상류권에 형성된 포구의 시대별 변화상을 살펴 권역별 영산강 역사문화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영산강의 물길과 뱃길을 배경으로 형성된 포구를 찾아 역사와 성격을 시대별로 고찰하였다. 먼저 포구 형성의 배경이 되는 물길과 뱃길을 지리․역사적으로 살폈다. 그리고 영산강 하․중․상류에 분포한 전근대시기의 포구의 바른 위치를 찾아내어 공간, 운영 시기, 성격, 쟁점 등을 개략 정리한 후 성격이나 특징을 역사적으로 고찰하였다. 이어서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특성을 살펴보았다. 제2장 물길편에서는 옛 사람들이 영산강 물길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그 특징을 살폈다. 지금과는 다르게 발원지에서 하구까지 전체를 의미하는 통칭이 아니라 지역마다(郡․縣) 다른 부분칭을 갖고 있었다. 나주 지역 중심부 물길의 부분칭은 錦江, 錦川, 錦水, 南浦, 木浦, 羅州 榮山江 등이 있는데, 시대마다 대표 물길명은 있었으나 병칭되었다. 17세기 중반 무렵에 후기 영산창 복설되자 금강진의 이칭으로 ‘나주 영산강’이 등장하였는데, 영산창 인근을 일컫는 짧은 구간이다. 통칭 영산강은 구한 말에 일제에 의하여 등장되었다. 뱃길편에서는 영산강 뱃길의 조건을 살폈다. 뱃길의 환경 조건을 검토하여, 전근대시기 海船 뱃길의 한계를 설정하였다. 전근대시기 작은 海船의 상한선은 만조위 시에 한하여 나주치소의 東門인근 동문나루까지 가능하였으나 역사적으로는 영산창(택촌마을)일대가 큰 海船의 종점으로 확인 되었다. 중간 기착지로 활용되었던 공간은 대굴포(사포) 인근, 주룡진 인근, 그리고 당포 인근이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상류 지역의 뱃길은 환경과 조운, 전세 등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영산강 상류 지역에는 海船과 관련된 浦는 존재하지 않고, 나룻배(江船)와 관련하여 모두 津이 분포하는 지역으로 판단하였다. 이를 감안하여 하․중류 지역은 포구권으로, 상류는 나루권으로 구분하였다. 포구편, 3장에서는 영산강 하류 지역(목포권)의 해상포구를 네 개의 작은 바다로 구분하여 33개 해상포구의 위치와 성격을 고찰하였다. ‘삼포만’은 포구의 특징은 옹관고분 밀집지역으로 고대 문화와 관계되는 포구가 발달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영암만’ 포구들의 특징은 영암만 주요 포구인 상대포는 흑산도 해로와 연결되는 통일신라 국제항이었으며, 화원반도와도 밀접한 관련으로 파악하였다. ‘무안 연안’ 포구의 특징은 조선시대에 들어와 다양한 관방 포구들이 현재의 목포시 인근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영암호․금호만 유역’ 에는 상대포에 이어 도자기 생산지 관련 포구가 발달하였다. 국제항 상대포와 해로로 연결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어서 중국 절강성과 통하는 흑산도 해로와도 밀접한 관련으로 보았다. 4장에서는 영산강 중류 지역(나주권) 23개 강상포구의 위치와 성격을 고찰하였다. 중류의 특징은 조수구간인 다시면을 한계로 고대문화가 발달하였으며, 통일신라시대 회진의 전통을 이어받아 여말선초에는 목포가 국제 교류항이 되었다. 나주와 제주간 官海路는 1430년 무렵에 영암 이진으로 변경되었으며, 영산강 뱃길에서 중간기착지 포구는 대굴포․주룡진․등산진 인근으로 파악하였다. 5장에서는 영산강 상류 지역(광주권) 6개 나루의 위치와 성격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광주 지역의 뱃길은 역사적으로 海船이 입․출항하지 못하는 나루지역이었다. 조선 초기의 渡 즉 선암도, 거진도, 벽진도는 역원제와 관련하여 津關제도하에서 운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영산강 하․중․상류의 유역에 형성된 포구와 뱃길을 통하여 본 권역별 영산강 역사문화의 특성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영산강 하류는 해상포구 지역으로 나루보다는 포구가 발달하였다. 삼국시대에서 고려 초까지 고대 연안항로에 이어서 흑산도 해로와 관련하여 포구들이 나타난다. 옹관고분, 초기청자 등과 같은 독특한 문화는 주체적이고 국제적인 해양활동의 결과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고려 말부터는 무안연안에 중앙 종속적인 관방포구가 주로 형성되었다. 영산강 중류의 경우에는 감조하천 구간으로 강상포구 지역이다. 大船 뱃길이 열린 다시면 지역을 한계로 고대 문화가 발달하였으며, 그 전통은 통일신라에 회진과 여말선초 나주 목포로 연결되었다. 고려․조선시기에는 나주 목포를 중심으로 중앙 종속적인 해상활동 즉 관방․조운제도․행정통제 등을 위한 포구가 주로 형성되었다. 서남해 해상활동의 거점으로 성장한 나주는 영산강 유역에서 중심 도시로 성장하였다. 반면 영산강 상류의 광주 지역 경우에는 海船이 입․출항하지 못한 관계로 해양시대의 고대문화가 상대적으로 빈약하였다. 다만 뱃길 관련해서는 나루 지역으로, 고려시기에 들어와 물길에 의하여 단절된 역로를 연결하는 渡로부터 출발하였다. 그러나 근대이후 海路보다는 陸路교통이 발달하면서 영산강 유역의 중심 도시로 성장하게 되었다.

      • Optimal evaluation of real-time structural responses using multi measurement data

        변남주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1 국내박사

        RANK : 247615

        As structures are aging around the world, maintenance costs are increasing. For efficient maintenance, developed countries have established and operated a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system that can manage structures using various response sensors. However, due to the low level of utilization technology for measurement data, the current SHM system only focuses on data acquisition and outlier detect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stimate displacement and deformed shape using other response data as one of the utilization technologies for measurement data. Displacement and deformed shape are considered as responses that can indirectly evaluate the integrity of the structure. Although many studies have reasonably estimated the displacement or deformed shape using various response data, the utilization of measurement data is not high due to using only one response data. Therefore,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measurement data, a global response estimation technique using multi-response measurement data is required. In this study, an algorithm that can estimate the deformed shape and internal force of a structure by using the measurement data of displacement, slope, and strain is developed. The algorithm was verified through 2D and 3D FEM models. During the verification process, three issues that may affect the estimation results were analyzed: first, the shape function type; second, the sensor placement method; third, the effectiveness of using multi-response data. Finally, the deformed shape and internal force were estim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three issues, and the developed algorithm results in improvement of the utilization for measurement data. It is expected that an accurate and cost-effective SHM can be constructed through the developed response estimation algorith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