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민 직선 1 · 2기 서울시 교육감 선거 결과 분석

        백평구(Baek Pyoung Gu),이희수(Lee Hee Su)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1 韓國敎育論壇 Vol.10 No.1

        이 연구는 두 차례의 주민 직선 서울시 교육감 선거 결과를 지역 교육정책에서의 집단의사결정 맥락에 입각하여 분석할 필요성에서 비롯되었다. 교육 양극화 개념에 의한 서울시 교육감 선거 결과 분석을 위해 집단 수준의 동질성-이질성 접근(Esteban & Ray, 1994)을 적용하였다. 투표 지지율 격차 및 카이 통계량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강남 대 비강남의 대립적 구도를 포함해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용산구 대 관악구, 노원구, 마포구, 동작구 등의 대립적 지지성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서울시 교육에 관한 지역적 분리를 나타내며 자치구들이 지니는 특성을 의사결정 맥락을 고려해 선택과 참여로 범주화하여 논의하였다. 참여에서는 교육감 선거 투표율, 선택에서는 소득계층분포, 주거환경 대 교육환경 만족도, 서울시 인문계고등학교 지원경쟁률,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액 등을 통해 교육 양극화 개념 적용에 있어 지역적 분리와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began from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group decision making perspective in local education policy on elections for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n Seoul 2008/2010. Group-level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approach(Esteban & Ray, 1994) of polarization conceptualization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on the results of both elections. Oppositive support orientation was revealed between two ward groups: Seocho-gu, Gangnam-gu, Songpa-gu, Yongsan-gu versus Gwanak-gu, Nowon-gu, Mapo-gu, Dongjak-gu by percentage of the votes for the top two candidates and chai statics. This difference implies the local educational segregation in Seoul, accordingly, we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ard which revealed the considerable voters' supports in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decision making. Criteria were categorized into choice and participation. Voters' turnout in participation, income level, satisfaction level of educational environment, competition rates for academic high schools, monthly average expenditure on private education in choice were considered. Finally this indicates that local segregation is relevant to understand educational polar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여자전문대 재학생 고용가능성의 주관성 요인과 관련 변인 분석

        백평구(Pyoung-Gu Baek),박성민(Sung-Min Park)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7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5 No.1

        이 연구는 고용가능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을 Q방법론에 따른 Q도구로 구성하고 여자전문대 재학생 고용가능성의 주관성 요인과 관련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여자전문대 재학생의 고용가능성 인식에 대한 주관성 연구를 토대로 Q도구를 구성하였고 서울 소재 A여자전문대학교 재학생 448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여자전문대 재학생 고용가능성의 주관성 요인별 분포를 확인하고, 이후에 학년별, 학점수준별, 입학유형별, 가정배경별로 고용가능성의 주관성 분포를 확인했다. 다음으로 고용가능성의 주관성 요인별 구직준비도의 수준, 고용가능성의 주관성 요인 관련 변인별 구직준비도의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여자전문대 재학생 고용가능성의 주관성 요인 분포에서는 ‘긍정적 자아와 부정적 외부환경의 갈등’의 Q요인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둘째, 고용가능성의 주관성 요인 분포는 학년, 입학유형, 그리고 가정배경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고용가능성의 주관성 요인에 따라 구직준비도 점수(구직목표 설정, 구직정보 탐색, 구직기술 습득, 구직경력 준비, 구직준비도 전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고용가능성의 주관성 요인 관련 변인 가운데 학년, 학점수준, 그리고 가정배경에 따라 구직준비도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Q도구 구성을 통해 여자전문대 재학생의 고용가능성에 대한 주관성 연구와 조사 연구와의 연계를 시도한 것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진로 관련 정책과 프로그램에 대한 제안사항과 연구의 제한점을 토대로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related variables on subjective factors of women’s college students’ employability (e.g. optimistic self-confidence and proactive actions, negative perception and pursuit of high specifications, and conflict of optimistic self and pessimistic external environment), which have been derived from a prior Q methodological study. A Q-tool and a survey were conducted with 448 students of one women’s college in Seoul, Korea, from 31st October to 7th November, 2016. The most dominant distribution of subjective factors of women’s college students’ employability was conflict of optimistic self and pessimistic external environment. Depending on the academic year, types of college entrance, and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of par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tribution among subjective factors of women’s college students’ employ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 of employment readiness and its four sub-domains according to subjective factors of women’s college students’ employability. According to academic year, GPA (Grade Point Average), and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of parents as related variables of employability,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 of employment readiness and its four sub-domains. Combining the Q methodological study with a survey using Q-tool, this study proposed a few considerations in practicing appropriate interventions for women’s college student’s employability and career development. Ideas for further research were also proposed from the identified research limitation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내부 마케팅 실행요인 및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윤리적 조직문화 특성의 매개 효과

        백평구(Pyoung-Gu Baek),이세우(Se-Woo Lee)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3 역량개발학습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nd mediating effect of ethical business cultures on internal marketing factor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ata obtained from 153 employees working in ‘A’ public corporation were analyzed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firstly, employee construct of CSR has a positive impact on all constructs of internal marketing factors. Secondly, all constructs of CSR have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individual(OCBI). Thirdly, mission and value driven, long-term perspective, and process integrity among five characteristics of ethical business cultures act as a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constructs of CSR and internal marketing factors, and OCBI respectively. Fourthly, stakeholder balance as one of characteristics of ethical business cultures act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aforementioned relationships except society and environment construct of CSR. Fifthly, leadership effectiveness as one of characteristics of ethical business cultures act as a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constructs of CSR and internal marketing factors, while it acts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except employee construct and OCBI. These results imply that HRD professionals in organizations can specify effective interventions of ethical business cultures as to linking HRD wit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 임직원을 대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내부 마케팅 실행요인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윤리적 조직문화 특성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A공단 임직원 153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구성 요인 가운데 직원은 내부 마케팅 실행요인 하위 요인 전체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임직원의 인식은 개인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윤리적 조직문화 특성으로써 미션-가치 주도, 장기적 관점, 프로세스 윤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내부 마케팅 실행요인 및 개인지향 조직시민행동의 구성 요인 모두에 대해 매개효과를 발휘하였다. 넷째, 윤리적 조직문화 특성으로써 이해관계자 균형의 경우, 기업의 사회적 책임 가운데 사회와 환경을 제외하고 각각 내부 마케팅 실행 요인 및 개인 지향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윤리적 조직문화 특성으로 리더십 효과성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내부 마케팅 실행요인에 미치는 세 가지 형태의 영향 관계 모두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며, 개인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직원을 제외한 사회와 환경, 그리고 정부와 고객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인적자원개발의 관계 설정에 있어 조직 내 인적자원개발 기능이 윤리적 조직문화 특성을 통해 적절한 인적자원개발 개입 방안을 구체화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사회책임경영에 따른 인적자원개발 실천의 의미

        백평구(Pyoung-Gu Baek)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2 역량개발학습연구 Vol.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지수에 편입된 국내 16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성 경영의 실천 사례들을 분석하여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사회책임경영의 맥락 속에서 인적자원개발 정책과 실천의 모습을 탐색하여 사회책임경영에 따른 인적자원개발 개입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6개 기업의 사회책임경영 보고서를 대상으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로 설정한 사회책임경영의 맥락에서 인적자원개발 실천의 공간 확대, 인적자원의 의미 변화, 권한 위임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인적자원개발 실천 공간의 확대는 조직 내부와 외부의 다양한 이해관계자 관점의 인적자원개발 수용과 관련된다. 둘째, 인적자원의 의미 변화는 조직 맥락에 한정된 종전의 인적자원의 의미를 넘어섬으로써 인적자원개발과 평생교육의 새로운 결합이 예상된다. 셋째, 일터에서의 권한 위임의 실천을 통해 개인의 정체성과 일의 의미 발견이라는 인적자원개발 고유의 가치가 더욱 정교화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nd Corporate Sustainability(CS) management practices of 16 Korean corporations in DJSI(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World(2011/12)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is study focused on exploring HRD policies and programs in the context of Socially Responsible Management and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HRD interventions. In the present study, socially responsible management annual reports of 16 corporations were analyzed through content analysis. In terms of the research questions such as spatial enlargement, changing meaning of human resources, and empowerment, HRD practices in the context of socially responsible management were analyzed and reached th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spatial enlargement of HRD practices rendered the acceptance of consider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stakeholder approach in HRD. Second, the changing meaning of human resources got over the organization bound HRD practices and anticipated the nexus in HRD and lifelong education. Third, empowerment practices in the workplace refined the value priorities of HRD which covered employee self-identity and meaning of work.

      • KCI등재
      • KCI등재

        분사(分社)형 인적자원개발 아웃소싱에 대한 비판적 분석

        백평구 ( Pyoung Gu Baek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5 HRD연구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모기업에서 분사된 인적자원개발 아웃소싱을 비판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인적자원개발 실천에서의 비판적 성찰과 해방적 입장을 증진하는 데에 있으며 연구문제는 첫째, 인적자원개발 아웃소싱 기업의 담당자는 인적자원개발 아웃소싱에서의 권력관계를 어떻게 인식하는가?, 둘째, 인적자원개발 아웃소싱 기업의 담당자는 고객사 인적자원개발 기능의 전략적 파트너로서의 위상 변화를 어떻게 인식하는가?, 셋째, 인적자원개발 아웃소싱 기업의 담당자는 자신의 전문성을 어떻게 인식하는가?와 같이 설정하였다. Alvesson과 Deetz(2000)의 비판적 연구 방법론을 토대로 금융업에 속한 A기업에서 분사되어 A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아웃소싱을 실행하는 B기업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인적자원개발 아웃소싱은 전략적 파트너로서 조직 내 인적자원개발 기능의 새로운 역할,슬림하고 저비용 고효율의 경영관리 실천 등의 배경에서 출발했음을 확인했다. 그러나 기획과 운영의 엄격한 구별이 인적자원개발 전담 조직의 축소 등과 함께 운영비용의 감소는 가능하게 했지만, 조직의 전략적 파트너로서의 인적자원개발의 위상 확립과 고객사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전문성 심화와는 동떨어져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아웃소싱은 비용절감 차원의 성과는 지속적으로 기대할 수 있겠으나, 내부 인적자원개발 기능의 와해와 담당자의 전문성 저하를 겪을 가능성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rge company-affiliated HRD (Human Resource Development) outsourcing in critical perspective, which aims to enhance critical reflection and emancipatory stance in HRD practice. For the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HRD practitioner in HRD outsourcing firm perceive the power relations within HRD outsourcing?, Second, how does HRD practitioner in HRD outsourcing firm perceive the transformation of HRD function of host organization as strategic partner?, Third, how does HRD practitioner in HRD outsourcing firm perceive his/her own professional identity?. According to critical management research methodology suggested by Alvesson & Deetz(2000), the author conducted the interview with the HRD practitioner in a large financial company-affiliated outsourcing firm. A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t showed HRD outsourcing began with the new role for HRD function as strategic partners, slim and low cost-high efficiency management. The strict separation applied to the planning and operation phase in HRD outsourcing ignited the absence of HRD control tower in host organization, consequently have contributed to the reduction of the management operations cost. However, it revealed the dissonance with positioning HRD function as strategic partner and deepening the HRD profession in host organization. It is expected that host organization could realize cost reduction from maintaining HRD outsourcing, while HRD outsourcing might bring about the downfall of internal HRD function and weaken the internal professional identity of HRD practitioners.

      • KCI등재

        Q모집단으로부터 Q표본 구성 과정에 대한 분석: 학술지 주관성 연구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1996∼2014)

        백평구 ( Pyoung Gu Baek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5 주관성연구 Vol.- No.30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화 가능성, 신뢰도와 타당도 문제에 대한 Q연구자의 대응 유형과 의미를 구체화하는 데에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연구 문제와 관련된 이론의 개입 정도, 그리고 연구 수행과정에서 연구자 주도의 수준을 기준으로 다섯 개의 유형을 설정하고, 한국주관성연구학회의 학술지 주관성 연구의 1996년 창간호부터 가장 최근인 2014년 12월 발간 29호까지 총 221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비구조화 Q표본이 구조화 Q표본에 비해 더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이는 Q표본 도출 과정에서 이론의 개입 정도 보다는 타인의 관점 반영이 주관성 연구를 통해 논문을 게재한 Q연구자의 주요 관심사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Q방법론은 범주화의 시점, 인터뷰의 유형과 적용 등에 있어서 질적 연구의 전통과는 다른 고유한 연구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Q방법론의 이론과의 차이로는 이론적으로 강조된 것에 비해 신뢰도 확보 절차에 대한 노력이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타인의 관점으로는 전문가 집단에 의한 동료 검토가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Q표본 도출 방법 중 주체별 체계적 표집과 단순 무작위 표집의 활용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Q방법론 연구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활용, 그리고 Q모집단에서 Q표본을 도출하는 과정에 한정해 타당도라는 표현의 대안 모색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y how Q researchers handle the issue of generalizability,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eir own Q research and its meaning. For the purpose, the author considered the five types based on the degree of theoretical dependency and researcher autonomy. Total of 221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from 1996 to 2014 were analyzed in the current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at first, unstructured Q sampling was used more than structured one. This implies the Q researchers` main interests were researcher autonomy (i.e. considering other person`s opinion) rather than theoretical dependency on the transition from Q population to Q sample. Next, Q methodology adopts the authentic research procedures in that it differs from the traditions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concerning the starting point of developing categories, the types of interview and its applications. The gap between theoretical guidelines of Q methodology and Q methodological research papers lie in performing actions for acquiring the reliability doing Q methodology. The way considering the other person`s opinion was mainly with peer review. Systematic sampling and simple random sampling were relatively less used in constructing final Q sample. Based upon findings, the author suggests the application of Q methodological research guidelines ensuring effective doing Q research and the adoption of alternative term as to validity on the transition from Q population to Q sample.

      • KCI등재

        대학생 고용가능성과 개인 변인의 관계 분석

        백평구(Pyoung-Gu Baek)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고용가능성 진단 도구(김성남, 2009)를 활용해 충북 소재 A대학교 재학생의 고용가능성 수준을 진단하고 개인 변인(학년별-계열별-성별-학점 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A대학교 재학생 총 17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나아가 고용가능성 수준 진단 영역에 따른 군집 분석을 실시하여 A대학교에 적합한 취업지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A대학교의 경우 전국 대학생과 비교해 구직준비도의 네 개 하위 영역 모두에서 상대적으로 대학생 고용가능성 진단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 및 계열별 규준 점수와 A대학교 재학생의 수준을 비교한 결과 1학년을 제외한 나머지 학년에서 A대학교 재학생들이 비교 집단 대비 낮은 수준의 구직준비도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계열별로는 비교 집단보다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인 가운데, 비교 집단과 유사하게 인문사회계열 전공 학생들이 자연공학계열 전공 학생들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셋째, 개인 변인인 학년에 따라 구직준비도 가운데 구직정보 탐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 분석 결과 1학년 집단보다 3학년 이상 집단의 구직정보 탐색 수준이 높았다. 넷째, 계열별로는 구직정보 탐색에서 인문사회계열에 속한 학생들이 자연공학계열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다섯째, 성별로는 구직목표 설정, 구직기술 습득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여섯째, 학점이 높은(4.5만점에 4.0 이상) 학생들의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일곱째,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네 개의 유형으로 구성된 A대학교 재학생 고용가능성 프로파일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A대학교 재학생의 취업 및 경력개발 지원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agnose undergraduates’ employability of ‘A’ university in Chungbuk province and to analyze its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variant factors such as academic year, major, sex, and GPA. For this purpose, 178 undergraduate students from ‘A’ university participated. The study tried to suggest appropriate career management policy of ‘A’ university with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employability measurement.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university students earned the lower score of employment readiness and its four sub-domains than that of nation-wide undergraduates. Second, ‘A’ university students showed a lower employability level overall compared to the norm by academic year except freshmen. It also showed lower level overall compared to the norm by major fields, and humanities-social sciences students earned higher scores than natural sciences-engineering students. Third, information exploration among four employment readiness sub-domains of juniors and seni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reshmen. Fourth, humanities-social sciences students earned higher scores than natural sciences-engineering students as to information exploration. Fifth, male students earned a higher level than female student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goal establishment and skills acquirement. Sixth, the higher GPA group (over 4.0/4.5) earned higher scores than the lower one, but it was not significant. Seventh,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revealed four different types and they represented ‘A’ university students’ employability profil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practical implications on ‘A’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and career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