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압축 영상의 블록화 제거를 위한 적응적 고속 영상 복원 필터

        백종호,이형호,백준기,원치선 한국방송공학회 1996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대회 Vol.1 No.1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daptive fast image restoration filter, which is suitable for reducing the blocking artifacts in the compressed image in real-time. The proposed restoration filter is based on the observation that quatization operation in a series of coding process is a nonlinear and many-to-one mapping operator. And then we propose an apporximated version of constrianed optimazation technique as a restoration process for removing the nonlinear and space varying degradation operator. We also propose a novel block classification method for adaptively choosing the direction of a highpass filter, which serves as a constraint in the optimizaton process. The proposed classification method adopts the bias-corrected maximized likelihood, which is us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regions in the image for the unsupervised segmentation. The proposed restoration filter can be realized either in the discrete Fourier transform domain or in the spatial domain in the form of a truncated finite impulse response (FIR) filter structure for real-time processing. In order to demonstrat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restoration filter experimental results will be shown.

      • KCI등재

        과학탐구와 디자인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부력의 원리와수영복 만들기

        백종호,정대홍,조영환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6 현장과학교육 Vol.10 No.2

        This study proposes the ‘Argumentation-based Convergence Thinking: ACT’ model, which is designed as a convergence program between design activity and scientific inqui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an alternative that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about STEAM education. Based on conceptual framework of ACT model, this study developed a program in which argumentation is used to support the integration of the scientific inquiry about buoyance and the design task of developing a swimsuit prototype for paraplegic patients. Through the analysis of learners’activities, this study found that the convergence program was helpful in constructing and evaluating arguments as well as negotiating meanings from science and design perspectives. The program was also effective in learning and using scientific concepts, which include buoyancy, in authentic contexts. 본 연구는 디자인 활동과 과학탐구를 융합한‘논변 기반의 융합적 사고 모형(Argumentation-based Convergence Thinking: ACT)’을 활용하여 과학탐구및 수영복 설계 활동을 제안하였다. ACT 모형은 기존의 융합교육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 과학 학습으로의 연계를 가능하게 하는 대안으로 개발되었다. ACT 모형의 구성원리들을 기반으로 하여, 논변활동을 중심으로 융합 활동인 ‘과학탐구와 하반신 장애인 보조 수영복 설계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학생들의 활동을 분석한 결과, ACT 모형의 적용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주장을 구성하고, 평가하며, 합의에 이르는 과정을과학과 디자인의 관점에서 스스로 융합하여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부력에 대한 개념을 학습하고 다른 과학 개념들을 활용하는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탐구실험’ 평가 도구 및 평가 현황 탐색

        백종호,변태진,이동원,심현표 한국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0 No.5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 which was newly created subject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expected in the aspect of learning science and developing core competences through science practices. Based on changed view of evaluation, assessments of a practice-centered subject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 should be try to conducted in various ways, but many challenges were reported. In this study, through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assessment of the subject, we intended to find the way of conducting and supporting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 We collected assessment materials and explanatory description about them from 25 teachers who taught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 in 2018 and 2019. And we analyzed the cases with framework which were consisted with three main categories: elements, standards, methods of assessments. Also, we investigated how the results of assessment were utilized. For the validity, we requested verification of the results of our data analysis to experts of science education and science teachers. From them, we also collected their opinions about ou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eachers assessed some elements of inquiry skills such as ‘analysis and interpreting the data’, ‘conducting inquiry’ more than others which were closely related to what subject-matter the teachers used to organized inquiry program with. In the aspect of domain of assessments, though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as well as skills were evaluated, we also found that the assessment of those domains had some limitation. In terms of standard of assessment, the goals of assessment were presented in most cases, but there were relatively few cases which had the specific criteria and the stepwise statements of expected performance of students. The time and subject of the assessment were mainly post-class and teachers, and others such as in-class assessments, peer-assessments were used only in specific contexts. In all cases, the results of assessments used for calculating students’ grade, but in some cases, we could observe that the results used for improving teaching and feedback for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how to support the assessments of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도입됨에 따라 신설된 과학탐구실험은 과학적 실천을 통한 과학의 학습과 핵심역량의 함양 등의 측면에서 기대를 받고 있는 과목이다. 특히, 변화하는 평가의 맥락에 기초하여 실천 중심의 교과목인 과학탐구실험에서의 다각화된 평가가 운영될 필요가 있으나, 이에 대한 다양한 어려움과 한계가 보고되고 있다. 이에본 연구는 과학탐구실험의 평가 현황을 살피고, 이로부터 평가의 운영과 지원 방안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5명의 현직 과학 교사로부터 과학탐구실험 수업에서 사용되었던 평가 도구와 이에 대한 설명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평가 도구의 분석은 평가 요소, 평가 기준, 평가 방법의 측면에서 이루어졌고, 평가 결과가 어떻게 활용되는지도 살펴보았다. 결과에 대한 타당성 확보를 위해 과학교육 전문가와 교사들로부터 점검을 받았고, 추가적으로 분석 결과에 대한 의견도 청취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탐구 기능 요소 중 특정 요소만을 중점적으로 평가하고 있었고, 일부 기능 요소는 특정한 주제 및 맥락과 연계하여 평가되었으나 활용 빈도는 낮았 다. 또한,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평가도 이루어지기는 했으나, 각 영역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한계점도 관찰할 수 있었다. 평가 기준의 측면에서 평가 목표는 대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으나, 평가 목표에 대한 세부 평가 요소의 구분 및 각 요소별 행동 특성을 단계적으로 진술하는 등의 구체적 기준 수립이 이루어진 사례는 상대 적으로 적었다. 평가 방법에서 평가의 시점과 주체는 각각 ‘수업 후평가’와 ‘교사 평가’가 주로 사용되었고, 다른 방법은 특정 내용, 특정 상황으로 한정되어 활용되었다. 평가 결과는 모든 사례에서 성적 산출을 위해서 활용되었고, 일부만이 수업 개선과 학생 피드백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탐구실험에 서의 학생 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문제 해결 중심 탐구실험에서 예비 화학교사들이 경험한 어려움에 대한 연구

        백종호,최취임,정대홍,Baek, Jongho,Choi, Chui Im,Jeong, Dae Hong 대한화학회 2015 대한화학회지 Vol.59 No.5

        탐구 중심 실험은 과학 지식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기회와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교사들이 탐구 중심 실험 수업에서 경험했던 어려움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22명의 예비교사가 낮은 수준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 해결 기반 탐구로 계획된 강의에 13주 동안 참여하여 탐구를 진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에 대해 설문과 심층 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주로 실험 설계 과정과 자료해석 과정에서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 목표에 대한 이해, 선지식이 부족하다는 인식, 탐구에 대한 자신감, 실험 도구 및 장비에 대한 이해 부족 등에서도 어려움이 나타났다. 연구 결과, 탐구에 대한 적절한 지도를 위하여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에서는 충분한 탐구를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Inquiry-based experiments provide opportunities to understand scientific knowledge and acquire nature of science. In this study, the difficulties which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in inquiry-based experiment clas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wenty-two pre-service teachers attended course designed as ‘ill-structured inquiry’ for 13 weeks, and researchers investigated their difficulties by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They showed difficulties mostly in designing experiment and interpretation and also in understanding inquiry purpose, lack of prior knowledge, confidence in inquiry performance, and understanding of experimental instruments and facilities.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to engage in inquiries and environments to properly instruct pre-service teachers the inquiry ability in college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