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로부터의 창조와 성경: 성서적 창조 신학을 위한 성찰

        백운철(Baik, Woon Chul)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神學展望 Vol.- No.211

        무로부터의 창조는 창조론의 핵심 교의다. 문제는 무로부터의 창조 개념이 성경에 근거하느냐이다. 하느님이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다는 것은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을 창조하셨다는 것을 의미하기에, 여기에 이미 무로부터의 창조 개념이 함축적으로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지혜 문학(시편 90,2 참조)은 하느님과 피조물의 관계를 ‘낳다’ 동사를 사용하여 하느님과의 관계를 친밀하게 묘사한다. 2마카 7,28은 육신의 부활의 근거(2마카 14,46 참조)로 하느님이 이 세상을 존재하는 것으로부터 창조하지 않았다(ouvk evx o;ntwn)고 말한다. 2세기 영지주의자들과의 논쟁에서 호교론자들은 2마카 7,28에서 무로부터의 창조 정식을 이끌어 낸 것이다. ouvk evx o;ntwn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부터는 아무 것도 나오지 않는다는 그리스 철학의 명제를 정면으로 뒤집는 것이다. 2마카 7,28의 의미가 예수의 부활과 관련되어 로마 4,17에 등장하고, 창조는 부활로 완성되는 신학으로 전개되었다. 중요한 것은 무로부터의 창조가 그리스 존재론에 배치되듯이, 육신의 부활도 그리스적 영혼 불멸의 개념과 상치된다는 점이다. 아레오파고스의 바오로 설교(사도 17,22-31 참조)는 스토아적 개념을 원용하여 하느님의 창조를 설명하되, 육신의 부활로 그리스 사상의 한계를 넘어선다. 이처럼 성경은 무로부터의 창조와 육신의 부활 고백을 통해 하느님의 절대적 주권을 드러내면서도 하느님의 자녀 개념을 우리 모두가 하느님에게서 출산했다는 유비 개념을 통하여 하느님과의 연대성을 표현한다. 만물이 그분에게서 나와 그분을 통하여 그분을 향하여 나아간다(로마 11,36 참조)는 바오로의 선언은 스토아 철학의 틀 안에서 창조와 구원을 포괄하는 신학적 토착화의 한 표현이라고 하겠다. 성경의 저자들은 무로부터의 창조와 육신의 부활에 대한 매우 성서적인 믿음을 당대의 종교와 철학의 틀을 활용하면서도 성서적 메시지의 고유성을 표현할 줄 알았다. 과학이 주도하는 현대 세계에서 교회는 무로부터의 창조를 어떻게 이 시대의 언어로 선포할 수 있을까? Creatio ex nihilo is the core tenet of the dogma on creation. The question is whether the concept of creation from nothing is based on the Bible. Since God’s creation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means that he created everything in them, it can be seen that the concept of creation from nothing is already implicitly contained therein. And the literature of wisdom(cf. Ps 90:2) intimately describes the relationship with God using the verb to give birth to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creation. 2 Macca 7:28 says that God did not create this world from what exists(oukv evx o;ntwn) as the basis for the resurrection of the body(cf. 2 Macca 14:46). In the debate with the Gnostics in the 2nd century, the apostolicists drew a formula for creation from nothing at 2 Macca 7,28. ouvk evx o;ntwn is a head-on reversal of the Greek philosophy that nothing comes out of what does not exist. The meaning of 2 Macca 7,28 is retained and relates to the resurrection of Jesus and appeares in Romans 4,17, and creation unfolded as a theology brought to completion by the resurrection. What is important is that just as creation from nothing is contrary to Greek ontology, so does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contradict the Greek concept of immortality of the soul. Paul’ Areopagus speech(cf. Acts 17:22-31) uses Stoic concepts to explain God’s creation, but with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it goes beyond the limits of Greek thought. In this way, the Bible expresses God’s absolute sovereignty through the confession of creation from nothing and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but through the analogy of God’s children expresses solidarity with God. Paul’s declaration that all things come from Him and go toward Him through Him (cf. Rom 11:36) is an expression of theological inculturation encompassing creation and salv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Stoic philosophy. The authors of the Bible knew how to express the uniqueness of the biblical the very biblical belief in creation from nothing and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while using the framework of contemporary religion and philosophy. In the modern world led by science, how can the church proclaim creation from nothing in the language of this er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예수 연구의 해석학적 고찰 - 개신교 학계와 가톨릭 학계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

        백운철(Baik, Woon Chul)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21 인간연구 Vol.- No.45

        역사적 예수 연구는 교의나 전통적인 믿음에서 벗어나 순전히 역사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예수를 찾으려는 의도로 18세기에 개신교 학계에서 시작하였다. 70년대 이후 가톨릭 학자들도 이 연구에 뛰어들었는데, 그것은 역사적 예수 연구가 지니는 긍정적인 측면 때문이다. 역사적 예수 연구는 예수를 역사적으로 이해하고 인간학적으로 그 인격의 의미를 파악하려는 시대정신의 요청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초대 그리스도인들이 부활 신앙의 관점에서 예수를 기억하고 해석한 것이 복음서인데, 과연 복음서에서 신앙 이전의 순수한 역사를 분리해서 소위 역사적 예수를 복원하는 것이 가능한가? 모든 역사가 해석된 역사라면 일찍이 슈바이쳐가 지적하였듯이 이렇게 재구성된 역사적 예수 역시 자신이 원하는 예수상을 투영한 것에 지나지 않을까? 본 논문은 역사적 예수는 학문적인 방법으로 재구성된 예수이지만, 실제 예수는 역사적 예수를 포함하여 부활의 신앙 안에서 해석된 신앙의 그리스도를 포괄하는 개념임을 밝히고자 한다. 예수는 ‘너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라는 질문을 던지고 사람들의 답변을 통해 자신의 신원을 점진적으로 드러낸다. 예수는 제자들에게 사명을 위임하고 그들의 사명 수행을 통해 자신의 과제를 역사적으로 실현한다. 이처럼 예수의 신원과 인격의 신비가 그를 추종하는 사람들을 통하여 드러나는 해석의 과정에 있다는 점에서 실제 예수는 ‘타인과 같은 자기’의 모습을 지닌다고 하겠다. The study of the historical Jesus began in Protestant academia in the 18th century with the intention of moving away from dogma or traditional beliefs and looking for a purely historically identifiable Jesus. Catholic scholars also delved into this study after the 1970s because of the positive aspects of the study of the historical Jesus. The study of the historical Jesus can be seen as a request of the spirit of the times to understand Jesus historically and to grasp the meaning of His personality anthropologically. However, since the Gospels are what the early Christians remembered and interpreted Jesu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resurrection faith, is it possible to separate the pure history before faith from the Gospels and restore the so-called historical Jesus? If all history is an interpreted history, would not the historical Jesus, reconstructed in this way, as Schweitzer pointed out earlier, merely reflect the image of Jesus he wanted?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at the historical Jesus is a Jesus reconstructed in an academic way, but the real Jesus is a concept that encompasses the Christ of faith interpreted within the faith of resurrection, including the historical Jesus. Jesus asks the question, “Who do you say I am?” and he gradually reveals his identity through people’s answers. Jesus entrusts his disciples with a mission and historically realizes his task through the fulfillment of their mission. In this way, it can be said that the Real Jesus contains an image of oneself as another, since the mystery of Jesus"’ identity and personality is in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that is revealed through the people who follow him.

      • KCI등재

        마르코 복음서의 서문과 연속적인 독서

        백운철(Woon-Chul Baik)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6 가톨릭신학 Vol.8 No.-

        The Prologue of the Gospel of Mark seems to have a hermeneutic key to understanding the whole rest part of the Gospel. We have delimited the Prologue into 1,1-13, by considering 1,14 as the boundary between the time of John and that of Jesus, because the desert of Jordan was the place of revelation of the Son of God and Galilee was that of his activity. The Prologue presents Jesus as the fulfillment of the Scripture in the evangelic perspective of the Deutero-Isaiah and in the eschatological interpretation of Ps 2. In his baptism, Jesus was proclaimed the Son of God who has received the mission to accomplish the way prepared by John the Baptist for the apocalyptic necessity(δϵῐ). In our judgement that the Prologue has a hermeneutic key to understanding the rest part of the Gospel, we have made the successive reading of the entire Gospel of Mark in order to show how the various themes - such as the way of the Lord, the wilderness motif, the progressive revelation of the Son of God, the eschatological holy War against Satan, the Second New Adam and the Son of the Man and the universal mission for to all the nations - have developed from the desert of Jordan to the tomb of Jerusalem through Galilee. 마르코 복음의 서문은 복음서의 나머지 부분을 이해하는데 해석학적인 열쇠를 지니는 것으로 보인다. 요르단의 광야가 하느님 아들의 계시 장소이고 갈릴래아는 하느님 아들의 본격적인 활동장소라는 이유에서 우리는 요한의 시기와 예수의 시기를 장소적으로 구분 지어주는 1,14를 경계 삼아 서문의 범위를 1,1-13로 제한하였다. 서문은 제 2아시야의 복음적 전망과 시편2장의 종말론적 해석 안에서 예수를 성서 말씀의 실현으로 소개한다. 세례 때 하느님의 아들로 선언된 예수에게 요한이 준비한 주님의 길을 가야하는 사명이 묵시주의적인 필연(δϵῐ)으로 부여된다. 서문의 내용이 복음서의 나머지 부분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는 판단에 따라 우리는 연속적인 독서를 통하여 서문에 나타나는 주님의 길, 광야 모티브, 하느님 아들의 점진적인 계시, 사탄과의 종말론적인 성전(聖戰), 새 아담과 인자, 모든 민족을 포함하는 보편적인 선교 등의 다양한 주제가 요르단의 광야에서 출발하여 갈릴레아를 거쳐 예루살렘의 무덤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예수 기적의 역사성과 기적의 해석학적 고찰

        백운철(Woon Chul Baik) 신학과사상학회 2022 가톨릭 신학과 사상 Vol.- No.86

        One of the most remarkable things about Jesus' actions is miracles. The four Gospels report healing, exorcism, raising the dead and performing many natural miracles. Are these miracle stories historically true? In modern times, commentators, such as Bultmann, who have been influenced by a mechanistic world-view, regard the miracle of Jesus as a myth or a product of imagination, created from apologetic motiv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xts by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avoiding ideological prejudices, this paper reaches the conclusion that Jesus clearly performed the miracle of healing, exorcism, and raising the dead. Jesus declared that the kingdom of God has come upon you if I cast out demons by the finger of God. Likewise, through miracles, Jesus made the apocalyptic expectation of future salvation present. A miracle is already a new heaven and a new earth on a small scale. With power they had received from Jesus, the disciples of the early church performed miracles that Jesus performed and they proclaimed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However, the miracle of Jesus' healing was reinterpreted by christological perspectives in the theology of the cross and resurrection, and the power of exorcism began to be replaced by baptism in the Holy Spirit. At thre same, this wonderful charismatic power gradually disappeared in the church, How should Jesus' miracles be understood today? What are the challenges of today's scientific worldview to the miracles, and miracle faith? This paper presents a preliminary reflection on these topics as a conclusion.

      • KCI등재후보

        몸의 성서신학적 이해

        백운철(Baik Woon Chul)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6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6 No.1

        인간의 몸을 순전히 생물학적이고 기능적으로 환원시켜 이해하는 오늘의 경향과 달리 성경은 하느님과 자연이 함께 만나는 자리로 몸을 이해한다. 몸은 흙에서 와서 흙으로 돌아가는 원소적 구성을 바탕으로 하느님의 루아흐가 작용하는 세상적이고도 초월적인 실재이다. 나아가 몸은 개체를 중심으로 먼저 부부관계를 통해 타자를 만나고 타자와 더불어 공동체를 구성하는 사회성을 지닌다. 죄란 자기 자신뿐 아니라 타인과의 올바른 인격적 상호관계를 맺지 못하는 불완전함의 다른 표현이다. 율법은 하느님과 동료인간 그리고 자연과의 유기적이고 전일적인 관계를 몸의 길로 제시하시는 바, 허용과 금령의 경계를 지켜내지 못한 몸의 한계가 죄의 본질이다. 필자는 루아흐와 말씀에 근거한 몸의 초월성과 육체의 내재성의 갈등으로 몸과 마음의 분열되는 몸의 현상학이 어떻게 갈등과 분열을 극복하고 영안에서 살아가는 속량된 몸이 되는지 창세기와 사도 바오로의 서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인간의 속량된 몸뿐 아니리 인간을 통해 모든 피조물이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몸 안에 통합되는 우주적 속량을 몸의 최종적 목표요 구원의 미래로 제시하는 바오로 사도의 위대한 몸의 신학을 소묘한 것이다. According to the biblical perspective, the Human body is the place to encounter with God and Nature. Whereas there are contemporary tendencies to understand the human body by reduce it to pure biological and functional dimensions. The human body is an earthly as well as transcendental reality where the Ruah of God acts upon it, and based on elemental composition that comes from dust and to dust all return. Furthermore, the Human body has a social dimension that constitutes a community with the others, primarily through the conjugal relationship. Sin is an expression for the imperfectness of human being, which causes incapability to have a proper relationship not only with own self but also with the others, including God. The nature of such sin is the limitation of Human body that could not preserve prescription and proscription of the Torah, which presents an organic and whole relationship among God and his creatures as the proper path for Human body. In this article, the phenomenological representation of Human body, which caused by the division of body and mind due to the conflict between the physical dimension of flesh and the transcendence of Human body according to the Ruah and Logos, was examined centrally based on the Genesis and the letters of Saint Paul. Thus, this article sketched out the great theology of Body, which has given by Saint Paul, which suggests that the cosmic redemption is not only about the redeemed human body, but also the integration of all the creatures within the resurrected Body of Christ through human being, as the ultimate goal and the future of sal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