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역사물과 공포영화 : 신상옥의 경우 about Shin Sang-Ok`s Films

        백문임 민족문학사학회 2002 민족문학사연구 Vol.20 No.-

        이 논문은 1960년대부터 생산된 한국 공포영화 중 역사상의 시공간과 인물들을 다룬<여고괴담>과 사극영화<연산군> 연작 및 그 원작인 박종화의 역사소설「금삼의 피」(1936)에서 역사를 재현하고 인격화하는 특정한 방식을 살펴본다. 이 작품들은 모두 ‘연산군’시기의 궁중에서 벌어졌던 일들에 주로 시야를 한정하고 있으며, 거기에 초현실적인 질서를 부여함으로써 역사라는 추상적인 거대 서사를 인격화하는 상상력을 보여준다. 이는 현재의 대중 서사들에서도 지속적으로 재생산되는 상상력으로서, 역사소설과 사극영화와 공포영화를 관통하면서 대중적인 합의를 얻는 데 성공한 형상과 이미지가 무엇인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This study focuses on a specific way of representation and personalization of history in a series of historical narratives and horror film. Shin Sang-Ok’s historical drama and horror film, especially dealing with the story about King Yonsan(Yonsankun, Pokkunyonsan(Yonsan the terrible), and Ichokoedam(Ghost story in Chosun Dynasty)), are based upon Kumsamouipi(Blood on Silk) which is the historical novel of Park Jong-hwa. These historical novels and dramas characterize the fractional strifes in relation to the conspiracy interior of imperial palace. This conspiracy is made by women in palace(princess, concubines of King, and palace maids). In addition, Park Jong-hwa’s novel give this narrative the supernatural character called Karma. This kind of imagination on history is very prevailing in Korean pupular narratives. Shin sang-ok, who made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dramas(after the his of Songchunhyang(The Story of Chungyang)), transforms Park Jong-hwa’s novel into familiar melodrama and characterize a certain woman(Chang Nok-su) as an absolutely evil thing. In advance, he represents her as a possessed by ‘malice spirit’ in Ichokoedam which is a horror film dealing with the Palace of King Yonsan. This imagination(projection onto a certain woman) is inspired by the precedent historical narratives. But the metaphor of monster in horror film reveals the political unconscious of people. Chang Nok-su is horrible not because she caused the disaster but because she represents the sexuality of modern women. Thus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past is the anxiety about the present. The anxiety about the sexuality of modern women.

      • KCI등재

        감상(鑑賞)의 시대, 조선의 미국 연속영화

        백문임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3 사이 Vol.14 No.-

        This study aims to catalogue the American serial films that were exhibited at theaters in Chosun during the period of 1916 to 1925, when these films occupied the status of ‘feature’ programs.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spectatorship of these American films and their influence on the emergence of filmic production in Chosun starting in 1919, this study seeks to revise the existing historiography of Chosun cinema which focuses exclusively on filmic texts produced by Chosun filmmakers. American films became the majority of works screened at Chosun theaters from 1916, especially with the release of the serial film Broken Coin (1915), and retained their ‘feature’ status until 1925. For those first ten years, over 78% of serial films produced in the U.S. were shown in Chosun, which was 2.6 to 5 times the number shown in major European countries. The popularity of American serial films in Chosun was a result of specific localization practices designed to adapt them to Chosun tastes, such as transforming their length and rhythm in accordance with contemporary (mainly European) feature films, and thus utilizing the transformative quality of the serial film itself. Also, a preference for male action stars like Eddie Polo to serial queens like Pearl White and Ruth Roland, who dominated the early stage of American cinema, characterized Chosun spectatorship, which took the American body as a projection of the desire of the colonized for “movement” (hwaldong). As the first filmic production in Chosun, Yeonsoeguk (連鎖劇) illustrates how the appeal of American serial films, as expressed in formal characteristics such as exterior appearance, action scenes, and the star system, were recognized and appreciated as ways of capturing the contemporaneity of ethnic places and actors experiencing a rapid process of colonialization and modernization. Spectatorship of American serial films began to wane as the taste for ‘quality film’ emerged in the mid-1920s and the film industry reorganized itself in response to this change, but the earlier taste for popular genres initiated by the serial films continued to participate in the formation of Americanism and functioned as a mode of reflexive modernism in colonized Chosun. 본 논문에서는 1916~1925년 사이 조선에서 상영되었던 미국 연속영화(serial film)의 목록을 정리하고 그 상영방식을 분석함으로써 조선의 영화 관람성(spectatorship)이 형성되는 초기 단계의 특성을 규명하고, 나아가 그것이 조선에서 최초로 제작된 영화로서 연쇄극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그간 조선에서 만들어진 영화들을 중심으로 하여 구성되었던 영화사의 한계를 보완할 뿐만 아니라 영화담론이 등장하기 이전 시기에 외국 영화가 지녔던 문화적 위상을 재고하고자 하였다1916년부터 조선의 상영 프로그램에서 절대 다수를 차지했던 것은 미국 영화로, 그중에서도 미국에서 1910년대 초중반 인기를 끌었던 연속영화는 <명금(The Broken Coin)>을 시작으로 10년간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그 면모를 복원해 보았을 때, 양적으로는 같은 시기 미국에서 생산된 연속영화의 78% 정도인 총 155편 정도가 상영되었고 이는 유럽 주요 국가와 비교했을 때 2.6~5배에 해당하는 규모였으며 일본에서 상영된 것과 비슷한 분량이었다. 또한 당시 단편 위주였던 미국 영화산업의 시스템 내에서 통용되던 관행, 즉 매주 1편(2권)씩 상영되었던 관행과 달리, 조선에서는 각 시기 중심 프로그램의 주종을 이루는 장편 극영화의 형식에 맞게 그 길이와 리듬이 변형되며 정착됨으로써, 연속영화 특유의 변형가능성(transformativity)이 조선의 맥락에서 로컬화되었음을 보여준다. 한편, 조선에서는 ‘시리얼 퀸(serial queen)’이 불러일으킨 반향보다는 에디 포로로 대표되는 강인한 남성 스타를 중심으로 하여 ‘아메리칸 바디’가 인지되면서 “활동”하는 ‘활동사진’의 의미가 구성되었다. 조선에서 1919년 처음 시도된 영화 제작 형식으로서 연쇄극은 촬영과 편집에 있어서 초보적인 면모를 지녔으나, 연속영화가 제공했던 야외 로케이션, 액션, 스타시스템을 조선의 구체적인 장소들에서 조선인 배우를 통해 실험함으로써, 조선에서 영화라고 하는 것이 어떻게 인식되었는가를 보여주었다. 장편 극영화와 ‘고급영화’에 대한 지식인의 관심이 담론화되기 시작하고 영화산업 역시 그것을 중심으로 재편되는 1920년대 중반 이후 연속영화는 주변화되지만, 대중적 장르에 대한 취향은 고급 예술에 대한 취향과 더불어 또 다른 ‘아메리카니즘’을 형성하고 또 그것을 통해 조선의 근대성을 성찰하는 기능을 하며 그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 KCI등재

        The Beautiful, the Lame, and the Weird: Three Types of Colonial Heroes in Contemporary Korean Films

        백문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15 No.2

        Since the beginning of the twenty-first century, films based on the colonial period have consistently been produced due to two forces genera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90s. One is the flow within the humanities to reconstitute the colonial period with a perspective of cultural modernization spreading out to mass culture, and the other comes from the tendency to creatively narrate the national trauma that was evoked by the IMF crisis in Hollywood-style big-budget action blockbuster films. This paper considers the male hero of a colonized Korea in three different ways: as the de-ideologized hero who shares victimhood with the male hero of the Japanese empire in a buddy-double relationship, as an independence activist caricatured anachronistically for rigidly adhering to ideology, and as a superhero who becomes the imaginative winner through the grammar of genre films. In post-authoritarian Korea, where de-ideologization and survivalism is prevalent while the incomplete task of decolonization is still at hand, these characters are meaningful as still-advancing figures in a state of potentiality, which reflect the public sentiment that recalls the colonial period with an ambivalence that includes both visual pleasure and historical indebtednes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