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임화(林和)의 조선영화론 -영화사의 좌표와 "예술성과 기업성"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백문임 ( Moon Im Bae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大東文化硏究 Vol.75 No.-

        본 논문은 임화의 「조선영화발달소사」와 조선영화론 (1942)을 중심으로 40년대 초 영화사가 놓인 좌표 및 ``예술성과 기업성``의 명제가 갖는 의미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영화발달소사」는 1940년 무기명으로 발표되었던 「조선영화발달사」를 초안으로 하였고, 1941년 동경에서 간행된 이치카와 사이(市川彩)의 『アジア映畵の創造及建設』에 재수록 된다. 이 영화사는 넓게는 대동아공영권에서 ``아시아 영화``를 기획한다는 제국의 프로젝트 하에 식민지 영화 사업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와 정리가 벌어지던 상황 속에서 ``조선영화``의 위상을 마련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좁게는 ``최초의 문화입법``인 조선영화령 실시를 계기로 조선에서 영화의 ``재출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과정 속에서 생산된 것이면서, 동시에 조선에서 그 문화적 위상이 급격하게 변화되고 있는 영화에 대한 평론가 임화의 담론적 개입이다. 본 논문은 임화의 영화론을 관통하는 문제의식으로서 ``예술성과 기업성``이라는 명제가 변증법적 대립물로 상정되어 있으며, 임화는 그것을 ``국민영화와 조선영화``의 변증법과 중첩시킴으로써 "조선영화의 예술적 성격"이라는 범주를 도출했음을 규명했다. ``예술성과 기업성``이란 30년대 후반 이후 조선 영화담론의 핵심을 포착한 것으로, 기업화가 확립되어야 예술이 가능하다는 주장을 돌파하는 논리로서 마련되었다. 즉 기업성이라는 것이 당시 조선 영화계가 해결해야 할 근본적인 모순처럼 현상하고 있으나 그것은 예술성의 문제를 변증법적 대립물로 하는 통일적 관계 속에 있는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나아가 이 과제란 국민영화라는 일반적 방향 속에서 조선영화의 위치를 지정하는 문제와 필연적으로 얽혀 있음을 주장하는 논리이다. 이러한 논리는 영화에 있어서 물질적 기반의 문제를 본질적인 것으로 상정하고 그리하여 필연적으로 조선영화를 제국의 기획 속으로 해소시키게 되는 논리에 대해서도 비판적일 뿐더러, 영화를 산업이나 국가권력의 문제와 동떨어진 예술로 파악하는 추상적이고 낭만적인 관념과도 거리가 먼 것이다. 본 논문은 임화가 이 논리를 바탕으로 영화사 서술에 있어서 "조선영화의 예술적 성격"을 규명한 양상, 이 영화사가 ``아시아 영화``라는 정치적, 문화적 지평 속에서 조선영화를 설명하는 것으로 좌표가 옮겨지면서 일어나는 변화, 그리고 그에 대한 임화의 대응 논리를 살펴보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cinematic discourse of Im Hwa in the early 1940s, focusing on the dialectic concept of "artistic value of Chosun cinema." I argue that Im Hwa`s "A Short History of Chosun Cinema [Choseon Yonghwa Baldal Sosa, 1941]" is a revision of an anonymous paper titled "The History of Chosun Cinema[Choseon Yonghwa Baldalsa]" published in 1940, and is included in the monograph Creation and Construction of Asian Cinema(『アジア映畵の創造及建設』,1941) edited by Ichikawa Sai(市川彩).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Im Hwa`s "A Short History of Chosun Cinema" comes out as a colonial government`s project for researching and controlling its colonial film industry, and for positioning Chosun cinema within ``Asian Cinema`` by Japanese Empire at the same time. Im Hwa`s cinematic discourse is a way of intervention with this turmultous situation of reorganizing Chosun film industry by the dialectic concept of "artistic value of Chosun cinema." This concept addresses to the dominant cinematic discourse since late 1930s that considers the industrialization as the better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Chosun cinema with the support of colonial government. By examining the industrialization as connected with the formation of Films for the Nation[Kukmin Yonghwa] that forces propagandization of Chosun cinema, Im Hwa tries to suggest the concept of "artistic value of Chosun cinema" that can preserve the specificity of Chosun cinema, and to respond to the nationalization in the late colonial period.

      • KCI등재

        버튼 홈즈(E. Burton Holmes)의 서울 여행기와 영화

        백문임 ( Baek Moon 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7

        본 논문에서는 버튼 홈즈의 여행기 「서울: 한국의 수도(Seoul: the Capital of Korea, 1901)」와 2004년 한국 영상자료원에 기증된 영화 <한국(Korea): Elias Burton Holmes의 기행기록영화>를 중심으로 하여, 미국의 여행 강 연자 버튼 홈즈가 한국을 방문한 시기가 1901년이었음을 규명하고 또 영 화를 촬영 및 상영한 맥락을 복원하며, 그의 여행기가 갖는 특징을 분석하 였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 버튼 홈즈는 한국에서 최초로 영화를 상영한 사람 이고, 최초로 영화를 촬영한 사람이다. 그의 서울 여행기는 1901년에 10 권짜리 『버튼 홈즈 강연(Burton Holmes Lectures)』 전집의 마지막 권에 수록 되어 있고, 여행 강연(travel lecture) 형식을 통해서도 세차례(1901년, 1913~ 1914년, 1922~1923년) 소개된다. 버튼 홈즈는 19세기에 한국을 방문했 던 여타 서구인들(종교인, 정치가, 사업가 등)과 달리 순수 민간인이었다 는 점에서 차별화될 뿐만 아니라, 불과 6년 전에 발명된 ``영화``라는 장치를 이용하여 서울을 촬영했다는 점에서, 그리고 갓 개통된 경인선과 전차를 체험하며 한국을 관찰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더욱이 그는 미국에 서 최초로 자신이 여행 중 촬영한 영화를 활용하여 여행 강연을 한 사람으로서, 관객으로 하여금 여행자-강연자인 자신과 동일시하며 낯선 장 소로의 여행 체험을 하도록 만드는 독특한 강연 스타일로 초기 영화사에 서 큰 비중을 차지한 인물이다. 그는 전세계를 여행하며 19세기말~20세 기초 중요한 장면들을 포착한 여행가인 동시에, 특히 급변하는 아시아 정 세에 개입하던 미국에 있어서 시각매체를 통해 미국형 오리엔탈리즘(U.S. Orientalism)을 예증한 사람이라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버튼 홈즈가 서울을 방문한 것은 하와이 병합, 스페인-미국 전쟁으로 인한 필리핀의 식민지화를 관찰한 것에 이어 1900년 개통된 시베리아 횡 단 열차를 통해 모스크바에서부터 ``극동(Far East)``으로 여행하고자 했던 그 의 아시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 시기 한국은 청일전 쟁 후 러시아와 일본의 각축장이 되어 있었고 한편으로는 미국인 콜브란 과 보스트윅에 의해 경인선과 전차, 전기가 부설되면서 근대적 시공간의 재편을 경험하고 있었다. 1901년, 사진기와 60미리 영화 카메라를 들고 서울을 방문했던 버튼 홈즈의 여행기는 미국 내에서 급증하던 아시아에 대한 관심과 영화, 그리고 근대화라는 벡터들 속에서 한국이 어떤 좌표를 차지하고 있었는가를 말해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xt of Burton Holmes`s visit to Seoul, his film production and screening in Seoul, as well as his 1901 travelogue. Burton Holmes is widely known as the first foreigner in Korea who photographed and screened a moving picture, and his film print of Seoul was donated to Korean Film Archive by William Cartwright and Genoa Cardwell in 2004. However, there has been an assumption that Holmes`s trip to Seoul was in 1899 and his filmmaking and screening occurred in the same year. This paper first clarifies that he visited Seoul in 1901, after his trip to Russia and Peking through Trans-Siberian railway to observe the Russia`s eastward influence, and that he showed the Korean royal families a portable Mutoscope or Kinora that he brought with him to Seoul. Burton Holmes`s travelogue on Seoul illustrates the following: first, the author`s desire of vivid report-Koreans` daily lives-, similar to visual newspaper that was prevalent during and after the American-Spanish War. Second, Holmes adopts a political point of view to observe the close competition between Russia and Japan for supremacy in Korea, which is partly influenced by his trip through Trans-Siberian railway. It reflects Holmes` experience of the emerging power of Russia that substituted Chinese dominance in the Far East. Third, Holmes describes the state of Seoul as in transition of Americanization while exemplifying trespass by trolley of the traditional places such as major Gates. He expresses the feeling of mourning towards the vanishing tradition as well as the hatred towards the ugliness of the cityscape inscribed by the violent construction of Western infrastructure. In sum, Holmes` travelogue shows the contradictory visions that illustrate the passivity and savageness of Korean government and culture, and the activity and violence of Western and Japanese civilization as a regretful but inevitable process. But unlike other travelogues written by westerners who visited Korea at the same period, Holmes` portrays the incoherence between literary document and visual newspaper that resonates influences of the new apparatus of moving picture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영화의 ‘풍경의 발견’: 연쇄극과 공간의 전유

        백문임 ( Moon Im Baek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동방학지 Vol.158 No.-

        본 논문에서는 초기 조선영화인 연쇄극에서 공간을 생산, 점유, 지배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사전에 촬영한 영화 장면을 연극 공연 도중에 상영하는 방식의 연쇄극은 실사(實寫)와 더불어 시작된 조선 최초의 영화들로, 그 구체적인 촬영 장소 및 조선인 배우의 출연을 주요한 ``어트랙션``의 계기로 내세웠다. 이때 촬영 장소는 식민주의적, 근대적 공간 재편 과정에서 가시화된 관광명소들로서, 연쇄극은 이 장소들을 조선인 배우의 신체로 점유하고, "서양식" 액션 스펙터클의 무대로 재구성하며, 대중적 내러티브의 배경으로서 재의미화했다. 이로 인해 그간 서구 및 일본인들의 "이동하는 ``사실적`` 응시"의 수단이었던 영화는 조선의 공간을 재탐색하는 테크놀로지로 전유된다. 연극의 극적 암시력을 저해하는 불필요한 잉여로서 비난받거나 순수한 극영화로 가는 과도기의 ``변태``적 과정으로 치부되었던 연쇄극은 날로 점증하는 영화의 대중성을 증거하는 것이었고, 조선에서 처음 영화가 제작될 때 ``공간`` 감각이 가장 ``해결``을 요하는 문제였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제국주의적 근대화 과정에서 재편되던 공간의 문제가 ``조선`` 영화의 초기 단계에서 가장 먼저 주목의 초점이 되었다는 점, 그리고 이 공간을 어떻게 전유하는가 하는 점이 곧 민족-국가적 정체성을 영화적 차원에서 제고하는 데 선결조건이 되었다는 점을 규명했다. 연쇄극에서 공간을 전유하는 방식은 과거 전통적인 장소귀속적(place-bound) 정체성으로 회귀하는 것이 아니라 근대성을 종족적 정체성 모색의 계기로 삼는 것이었다. 도로와 철도, 그리고 그것을 따라 ``이동하는`` 영화 테크놀로지의 시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관광명소를 동시대 내러티브와 스펙터클이 전개되는 공간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조선 영화는 의미화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헤게모니 투쟁에 가담하기 시작한다. This paper seeks to demonstrate the creation, occupation, and domination of space in early Korean cinema, especially in Yeonsoekuk (連鎖劇), which highlighted its location in the specific places of colonial Korea. By inserting shots photographed in the theatrical performance, Yoensoekuk set the appreciation of colonial space with its Korean actors and narratives; it occupied the landscapes that were transformed into tourist spots, reconstructed its space into an amusement park with westernized action spectacles, and resignified the place by displacing the colonial connotation with vernacularized stories. This appreciation originated from the modification of modern and imaginative geographies enacted by the “mobilized ``virtual`` gaze” of foreign travelers, as well as by a new technology of cinema. Responding to these colonial reorganizations of Korean landscapes - represented by the implements of railroads and freeways that erased traditional undertones - Korean cinema first tried to adapt the space by casting native bodies into modern landscapes and then to compete with the signification system that portrayed the legitimacy of Imperial formulation. As the first Korean cinematic experiment in 1919, four years prior the production of Korean feature films, Yeonsoekuk challenged the alienated space/place and provided the illusionary, ethnic, and filmic space for Korean spectators.

      • KCI등재
      • KCI등재

        고전의 재발굴 : 조선영화라는 (불)안정한 위치: 『조선영화발달소사(1941)』의 생산

        백문임 ( Moon Im Baek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동방학지 Vol.168 No.-

        이 글에서는 최초의 ‘공식적인’ 조선영화사로서 임화(林和)의 「조선영화발달소사(1941)」를 지목하고, 이 영화사의 생산 과정에 개재되었던 벡터들로서 일본의 전시(戰時)광역권론, 조선총독부의 조선 특수사정론, 조선영화인들의 조선영화 특수성론, 그리고 임화의 예술성론과 고전론을 제시하였다. 이 벡터들은 1931년 만주사변 이후의 공간적 전환, 즉 ‘아시아’라는 지역과 그 속에서 제국-식민지의 공간적 좌표를 마련해 낸 리저널리즘(Regionalism)의 대두와, 그것이 추동한 시간축으로서의 식민지 역사서술이라는 그물망 속에서 작동했다. 담론으로서 ‘조선영화’는 1934년, “외국영화”와 “국산영화”를 구별하면서 조선에서 외국영화의 점유율을 통제하기 시작한 활동사진영화취체규칙을 통해 “국산영화”의 하위범주로서 탄생했다. 외국/국산 사이의 경계설정은 ‘국가’를 단위로 하여 외부와 내부를 구획하는 공간적 관념을 도입하도록 만들었고, 조선을 일본이라는 국가와 동일시하도록 만드는 동시에 일본의 식민지로서 그 종족적(ethnic) 차이를 확인하도록 강제했다. 1938년 최초이자 최후의 민간행사였던 ‘조선일보사 영화제’에서 시작된 조선영화사 생산 작업은 1940년 ‘조선영화령’ 국면의 아카이빙 작업을 거쳐 1941년 공식적인 영화사를 낳기에 이르고, 이 영화사는 이치카와 사이(市川彩)의 『아시아 영화의 창조와 건설(アジア映畵の創造及建設, 1941)』에 수록됨으로써 일본 제국의 전시광역권론 속에서 좌표를 마련하게 된다. 이렇게 ‘조선영화’의 좌표는 조선일보사라는 민간언론, 조선의 관객들과 영화인들, ‘조선영화인협회’와 ‘조선영화문화연구소’의 사료작업, 대표저자로서의 임화, 그리고 영화사 생산 작업의 최종적인 저자로 등재된 조선총독부라는 다양한 주체들의 길항 속에서 생산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llaboration with regard to the production of film historiography in the late colonial period in terms of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native Chosun spectators and film producers, the film critic Im Hwa, and the Japanese journalist Ichikawa Sai, whose monograph entitled ‘The Creation and Construction of Asia Cinema’ (1941) (re)positioned the colonial historiography within Asian Cinema. I consider the key concept that made this collaboration (im)possible is “the specificity of Chosun cinema,” which was invented and which functioned as an area of both struggle for hegemony and compromise for the creation of an ethnic identity during the colonial Chosun period. Here, I use the term “collaboration” in a broader sense as compared to the limited connotation of ‘pro-Japanese’, which reduces the dynamism of competition, compromise, and even antagonism to static binarity, to signify the works of Chosun filmmakers and critics with regard to their participation in the creation of an ‘official’, extensive historiography of Chosun cinema during the transitional era of war mobilization. Rather than adhering to the widely accepted idea that Chosun filmmakers and critics willingly cooperated with the national policy of film regulation, especially during the wartime period, I suggest a means by which the colonial cultural productions and discourse attempted to establish a raison d``etre for Chosun cinema through the appreci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colonizer’s regulations. Also suggested are the possibilities and impossibilities of such collaboration, specifically in the area of film historiograph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