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병학지남』 이판본의 연대 고증과 계통 연구

        백두현 국어사학회 2015 국어사연구 Vol.0 No.20

        이 논문의 목적은 『병학지남』의 이판본들의 연대를 고증하여 이 문헌의 계통을 세우는 것이다. 훈국 구본 계열로 가장 오래된 것은 강희묵서본이며, 이것은 1704년 이전에 간행되었다. 훈련도감 장서인이 찍힌 훈련도 감 묵서본은 앞표지에 ‘甲寅五月日’이라 씌어 있고, 이 책 표지 배접지에 남구만의 문집 『약천집』(藥泉集) 낙장이 사용되어 있다. 『약천집』은 운각(芸閣) 인서체(印書體) 활자로 찍은 책이므로 묵서의 ‘甲寅’년은 1734년이 된다. 종래 1649년에 간행했다고 알려진 일사문고 소장 기축 무고본은 훈련도감 묵서본과 완전히 동 일한 판본이다. 따라서 기축 무고본의 쇄출 연대는 1649년이 아니라 1769년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이어서 최숙이 권2를 추가로 언해하여 간행한 공홍병영판을 새로 소개하고, 『승정원일기 에 기술된 최숙 관련 기사를 이용하여 이 책의 간행 연대가 1684년임을 밝혔다. 공홍병영판은 최숙 개수본 계열의 초간본으로 남원영판(1688년), 운봉영판(1711년) 등의 비조(鼻祖)가 되는 판본이다. 주요 판본에 대한 연대 고증 및 언해 문의 양상을 근거로 하여 『병학지남』 이판본들의 부류를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첫째, 권1만 언해된 무고본 계열이다. 여기에 속하는 것으로 가장 오래된 이판본은 본고에서 연대를 밝힌 것은 ①강희묵서본이다. 이 판본은 이른바 훈국 구본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무고본 계열은 훈련도감 장 서인 및 훈련도감과 어영청에 관련된 묵서가 있는 것으로 보아 서울의 군사 기관을 중심으로 활용되었음이 확 실하다. 둘째, 권2를 추가로 언해한 최숙 개수본 계열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최숙이 권2를 추가로 언해하여 간행한 최초 판본을 확인하여 학계에 소개하고, 이 판본을 공홍병영판 『병학지남』이라 명명했다. 이 판본을 저본으 로 삼아 다른 지방의 여러 진영(남원영, 운봉영 등)에서 다시 간행했다. 이들을 모두 묶어서 최숙 개수본 계열 이라 부른다. 셋째, 정조의 어명으로 기존 이판본의 본문과 언해문을 전면적으로 개수한 정조 개수본 계열이다. 서울의 훈 련도감과 각 지방의 영진에서 각각 달리 사용되던 『병학지남』의 이본들을 통일하기 위해 정조 어제 개수본 이 간행된 것이다. 판식과 언해문 등에서 다양한 차이를 보이던 여러 이판본들은 정조의 어제 개수본이 나옴 으로써 정본이 확정되었다. 넷째, 한 번도 언해되지 않았던 『병학지남』의 권5를 언해한 『병학지남육조언해』이다. 이 책의 권말 간기 에는 을미년에 대구진에서 간행한 것이라 기록되어 있다. 백두현(2012)은 이 책의 판식, 표기와 음운변화, 대 구의 지명 표기 등을 근거로 하여 간기년 을미(乙未)를 1715년으로 추정했다. I have ascertained a lineage of several different version of Byeonghak jinam(兵學指南) in this paper. I estimated that Ganghui mukseobon(康熙 墨書本) the oldest edition of a series of Hungukgubon(訓局舊本) was published about 1704 before. Hullyeondogam mukseobon(訓練都監 墨書本) is imprinted with the ownership stamp of Hullyeondogam which says ‘gabin owol il’(gabin year, May, day:甲寅五月日) on the front cover. This ‘gabin’(甲寅) year was estimated 1734, because the backing paper of this book is Yakcheonjip(藥泉集) that is a collection of Namguman(南九萬)’s works have been published 1723. Gichukmugobon(己丑武庫本) possessed in Ilsa(一簑) library known as published 1649 and Hullyeondogam mukseobon is completely same edition. So, the publication year of Gichukmugobon is not 1649 but 1769. Subsequently, I introduced ‘Gonghongbyeongyeong-edition’(公洪兵營版) published by Choi suk(崔橚) supplementally translated vol.2 into Korean, and I traced publication year of this book to 1684 by searching the article about Choi suk in the Seungjeongwon diary(承政院日記). Gonghongbyeongyeong edition the first published book revised version by Choisuk has become the founder of Namwonnyeong(南原營) edition(1688), Unbongyeong(雲峰營) edition(1711) and so on. Based on this dating research and Korean translation conditions analysis, I sorted out different editions of Byeonghak jinam as follows. First is a lineage of Mugobon(武庫本) the only translated to Korean vol.1. The oldest version belonged to this lineage is Ganghui mukseo-bon that the publication year has been confirmed in this paper. This book holds high possibility to be related with Hungukgu-bon. As using ownership stamp of Hullyeondogam and noting black and white about Hullyeondogam and Eoyeongcheong(御營廳), it is certain that the lineage of mugo-bon has mainly used in military camp of Seoul. Second is a lineage of revised version by Choi suk adding translate vol.2 into Korean. Through this paper, I introduced the first edition of this book to the world of academia for the first time. I named this book Byeonghak jinam of Gonghongbyeongyeong-edition(公洪兵營版). This book has been the original script and republished in other military camp of local area, Namwonnyeong and Unbongyeong and so on. Third is a lineage revised by King Jeongjo(正祖) that was completely revised the text of body and Korean translation of existing different version by King Jeongjo’s order. This work was carried out for standardizing the different editions used differently in Hunryeondogam in Seoul and military camp in each district. As this book was published, the cannonical form of this different editions have been shown various difference in printing and Korean translation was confirmed. Fourthly, It is Byeonghak jinam yukjoeonhae(兵學指南陸操諺解) being translated Byeonghak jinam vol.5 into Korean which has never been translated to Korean. In colophon of a end of this book, there is a publication record as ‘eulmi’(乙未) year and ‘Daegu jin’(大邱鎭). In the Paek(2012), I estimated the ‘eulmi’ publishing year of this book to 1715 based on form of printing, orthography and phonological phenomena and place name Daegu(大邱), and so on.

      • KCI등재

        한글을 중심으로 본 조선시대 사람들의 문자생활

        백두현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서강인문논총 Vol.22 No.-

        문자는 인간이 만들어 낸 가장 유용하고 탁월한 도구이다. 문자는 인간의 언행, 지식, 역사를 기록함으로써 인류 문명의 진보를 가능케 했다. 특히, 한글은 한민족이 영위한 문자생활의 수단 중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이 논문은 한글을 중심으로 우리 민족의 문자생활사를 고찰하였다. 필자는 이 글에서 육하원칙에 의거하여 문자생활사 자료의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우리 민족이 사용한 문자를 기준으로 문자생활의 종류를 다섯 가지로 나누고 각각에 대해 논하였다. 한자(漢字)에 의한 문자생활, 차자표기에 의한 문자생활, 한글에 의한 문자생활, 한문과 한글을 병용한 이중 문자생활, 일본문자 강요 시기의 문자생활이 그 다섯 가지이다. 그리고 사용 문자의 추이에 의거하여 한국 문자생활사의 시대 구분을 여섯 단계로 설정하였다. 본고에서 제안한 문자생활사의 단계를 간단히 보이면 다음과 같다. ① 한문 시대 : 기원전 4-3세기경 한자 도입 후 갑오개혁(1894년)까지 공용 문자로 사용 ② 차자법 시대 : 고대의 한자 도입 이후. 이두, 향찰, 구결의 사용 ③ 훈민정음 및 언문 시대 : 1443년부터 19세기말까지 ④ 국문 시대 : 갑오개혁이후 1894년부터 1910년까지 ⑤ 조선문 시대 : 일제강점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조선문 및 일문(日文)의 공존기 ⑥ 한글 시대 : 1945년 이후 현재까지 그리고 사용 목적을 기준으로 본 문자생활의 유형을 실용적 문자생활, 교육적 문자생활, 문학적 문자생활, 학술적 문자생활. 종교적 문자생활로 나누고 각각의 내용과 관련 문헌에 대해 자세히 서술하였다. 끝으로 문자 사용자의 역할을 기준으로 하여 독서자로서의 문자생활과 서사자로서의 문자생활에 대해 논하였다. The faculty of speaking is specific to mankind. In addition, the invention of letters was a great advancement for mankind. Letters are the most useful instruments that man created in the history of human beings. Letters have enabled human society to make remarkable progress by allowing them to record human words, knowledge and history. Hangeul plays an important role particularly in the writing life of Korean peopl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history of Koreans' writing and reading lives(literacy life) focusing on Hangeul. A number of analysis methods are proposed on the literacy life materials of Koreans based on 5W1H (when, where, who, what, why, how). As well, five types of Korean literacy life are established by what kind of characters they used. These five types are ; literacy life by Chinese characters, literacy life by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literacy life by Hangeul, literacy life by both Hangeul and Chinese characters, literacy life by Japan’s characters that had been forced to Korean. The development of a Korean’s literacy life is also divided into six periods. These six periods are as follows: ① the period of a Chinese character : Chinese characters have been used during B.C 3 or 4C~A.D. 1894 as national public letters. ② the period of borrowed letters from Chinese characters : After borrowing Chinese characters, Koreans transcribed their language by the sound and mean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So Idu(吏讀), Hyangchal(鄕札), Kugyeol(口訣) were invented by Koreans. ③ the period of Hunminjeongeum(훈민정음) and Eonmun(언문) : from A.D. 1443 ~ to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④ the period of the Kukmun(國文) : A.D. 1894~A.D. 1910. Eonmun(언문) was renamed using the name of Kukmun which means national letter. ⑤ the period of Choseonmun(朝鮮文) : A.D. 1910~A.D. 1945. Korea was occupied by Japan’s invasion, and then the name of ‘Kukmun’ changed to Choseonmun. So Choseonmun and Japanese letters (KANA) are used in common in Korea. ⑥ the period of Hangeul : A.D. 1945~present time. Next, a Korean’s literacy life is divided into fie types based on purposes of use : practical literacy life, educational literacy life, literature literacy life, scholarly literacy life, and religious literacy life. Then, a detailed account is given about the contents of these types and related Hangeul documents. Finally, literacy life i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a reader and a write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