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1976년, 최인훈의 연극에 대한 화두 :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개작 과정과 최인훈의 미발간 원고 「초연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를 보고」 분석을 중심으로

        백두산(Baek, Doo-san) 국어국문학회 2024 국어국문학 Vol.0 No.206

        1976년 최인훈의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는 『화두』로 인해 도미 시절의 사유가 집약된 작품으로 해석되었으나, 귀국 이후에도 작품의 수정은 지속되었다. 또한 전작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의 극작술의 한계를 논한 평단의 논의와 1970년대 한국연극계의 전통의 현대화 담론은 최인훈 희곡의 개작과 공연 과정을 둘러싼 중요한 배경이며, 직접적으로는 극단 산하의 차범석과 표재순의 제안에 따른 작품의 수정이 일어났다. 본고에서는 『세계의 문학』 창간호(1976.9)에 실린 최인훈의 희곡과 공연용 심의대본(1976.10)의 분석을 중심으로 1976년의 개작 과정을 분석하며 ‘제3의 인물’로 노파의 극서사가 삽입되는 양상과 의미를 다루었고, 극단 산하의 초연 활동과 최인훈의 초연 비망이 담긴 미발표 원고 「초연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를 보고」를 분석하여 1976년 연극에 대한 작가의 구체적 인식을 탐색하였다. 1976년 귀국 이후의 집필 작업에서 극언어 다듬기는 서사의 변개보다도 우선되는 것이었다. 본고에서는 잡지본과 공연본에 포함되어 있는 자장가의 실험적 언어구성과 공연본으로의 개작 과정에서 추가된 언어유희의 요소를 중심으로 이를 살펴보았다. 공연본에 새로 삽입된 노파의 서사는 극단에서 먼저 제안되어, 최인훈이 독자적으로 활용하였다. 특히 공연본에서는 노파의 서사와 결합하여 ‘지금-여기’ 일어나는 마을의 현실 질서로서 자장가의 의미가 강화되며 아내의 불안이나 자살의 동기를 표현한다. 개작 과정에서 드러나는 것은 그의 언어에 대한 기획과 “전설의 상징구조”, 두 원칙의 철저함이다. 초연비망에서는 양식화에 대한 관점과 작품에 대한 작가의 해석, 개똥어멈 구상의 최초 기획, 셋째 마당의 연출에 대한 관심과 전집본의 개작맥락, 결말부에 민중에 대한 수탈과 저항을 묘사하는 짧은 장면을 양식의 도움을 얻어 공연화하고자 했던 생각이 엿보인다. 1976년의 최인훈은 여전히 연극과 동행하였으나, 그 동행은 연출 영역과의 긴장, 양식화에 대한 관심, 공연의 성과에 대한 관찰을 토대로 한 극작가의 글쓰기를 모색하는 과정이었고, 현대 극작가의 글쓰기로 나아가는 길이었다. While Choi In-hoon’s 1976 work Once Upon a Time, Huai Huai was understood as a culmination of his thoughts during his sojourn in the United States that was also reflected in Hwadoo, Choi continued to revise this work after returning to Korea. Moreover, the critical debate on the limitations of Choi In-hoon’s dramaturgy in Where, in What Form, Shall We Meet and the discourse on modernizing traditions in Korean theater circles in the 1970s served as important backdrops to the rewriting process and performances of Choi In-hoon’s play. A proposal by Cha Bum-seok and Pyo Jae-soon, members of the theater company Sanha, prompted the rewriting process. This study examined the revision that took place in 1976 by analyzing Choi In-hoon’s play and the final script submitted for censorship, both of which were published in the first issue of World Literature (published in September 1976) and explored the patterns and significance of adding the narrative of the old woman as a third character. This study further analyzed the unpublished manuscript “On Watching the Premiere of Once Upon a Time, Huai Huai,” which encompasses Choi In-hoon’s accounts of the premiere performed by the theater company Sanha and his aspirations for the premiere, to explore the author’s detailed perceptions of plays in 1976. The question of language took precedence over changes in the narrative as Choi In-hoon revised the work in 1976. This paper focused on the experimental linguistic composition of the lullaby included in the magazine and performance editions of the script, as well as the puns added as Choi rewrote the performance script. The narrative of the old woman, which was newly added to the performance script, was initially suggested by the theater company and was adopted by Choi In-hoon. In the performance edition, the meaning of the lullaby is reinforced in combination with the narrative of the old woman and expressed as a motive for the wife’s anxiety and suicide. The rewriting process reveals how thoroughly Choi In-hoon adhered to two principles: his plans concerning the language and the “symbolic structure of the legend.” Choi In-hoon’s accounts of the premiere illustrate his opinions on stylization and interpretations of his work, initial plans for the character Gaettongeomeom, his interest in the direction of the third act, the context of rewriting the anthology edition, and his intention to add a short scene depicting the exploitation of the people and the people’s revolt at the end of the play by making use of the format of plays. While Choi In-hoon was engaged in writing plays in 1976, this engagement was a playwright’s search for writing borne out of tensions with the directorial sphere, an interest in stylization, and observations of the play’s accomplishments, which led to a path to writing as a contemporary playwright.

      • D2D 기반 콘텐츠 전송을 위한 스마트 에이전트에 관한 연구

        백두산 ( Dusan Baek ),김경아 ( Kyung-ah Kim ),이정원 ( Jung-wo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각종 스마트 모바일 기기들의 보급이 활성화되면서 사용자들이 전송하는 정보들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정보들 가운데 가장 큰 트래픽을 차지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전송은 이동통신망의 병목현상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꼽힌다. 이동 통신망 기반의 콘텐츠 전송의 근본적인 문제들과 더불어 병목현상으로 인한 과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D2D 기반의 콘텐츠 전송을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은 동일망을 전제로 하거나 이동, 배터리 문제등과 같은 모바일 환경에서 일어나는 상황에 대응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D2D 기반 스마트 에이전트의 콘텐츠 전송기법을 적용하여 이종망을 지원하게 하였다. 또한 콘텐츠를 전송하는 기기이외에 이들을 관리하는 에이전트를 따로 두어 모바일 환경에 대응하도록 하였다. 스마트 에이전트는 크게 콘텐츠를 요청하는 요청 에이전트와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공 에이전트, 마지막으로 이들은 중개하는 중개 에이전트로 나누어진다. 각각의 에이전트는 사용자의 기기에 독립적으로 탑재되어 콘텐츠를 요청, 전송, 관리하며 지능레벨에 따른 서비스의 범위를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끝으로 스마트 에이전트의 역할이 효과적으로 나타날 다양한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식민지 초기 서울의 흥행시장과 연예계의 형성

        백두산 ( Baek Doosan ) 한국연극학회 2021 한국연극학 Vol.1 No.77

        본고는 1905-1917년 서울지역 극장자본의 형성, 극장 흥행산업의 규모, 연예집단의 운영, 흥행세 관련 자료를 대상으로, 극장업을 중심으로 식민지 초기 흥행시장의 형성과 연예계의 역사적 구성과정을 살피는 연구이다. 대한제국 후기 경제상황의 분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한미전기 회사의 극장관련 회계자료를 분석하며 초창기 극장업의 채산성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대한제국 후기부터 1910년대 초기 조선인 대중극장에 관여하였던 흥행자본가들의 인적사항과 극장업 진출 상황을 분석하여 초기 흥행자본의 규모와 극장별 특수성을 논의하였다. 극장흥행업이 안정화되기 시작한 것은 신구파 전문극단의 출현을 배경으로 대관 중심으로 극장영업이 재편되어 상업자본가들이 극장업에 투신하였던 1913년 경부터였다. 특히 신구파 직업극단을 주관하였던 총무들은 전문흥행사의 역할을 맡았다. 본고에서는 1912-1914년 박승필의 광무대 활동 중 대중매체의 활용 전략중심으로 초창기 연예계의 형성 징후를 살펴보았다. 1910년 이후 일본인 극장자본의 극장업 진출은 식민지적 극장자본 중심의 재편을 가속화했는데, 1914년 경성부 특별세로 마련된 흥행세제는 대극장에는 유리하였고 대관단체에게는 상대적으로 불리한 조세였다. 일본계자본 중심의 활동사진 사업과 대극장 규모 사업으로 편성되는 과정에서 영세자본 상태에 있었던 조선인 대중극장들은 영업중지 처분 이후 극장업에 투자하지 못하였고, 대전경기 호황으로 인한 한성 대중극장의 특수는 일본계 극장을 중심으로 한 일부 극장만이 누릴 수 있었다. 1910년대 중반 이후 신구파 단체의 해산과 조선인 극장업의 침체는 근본적으로 흥행자본의 식민지적 재편이 큰 이유로 제기된다. This paper studied the formation of Hŭng-hang (entertainment business), with a focus on the theater industry, and the historical composition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by examining relevant data on the formation of the theater capital in the Seoul area from 1905 to 1917, the scale of the Hŭng-hang industry in theaters, the management of entertainment groups, and the entertainment tax. Based on an analysis of the economic situation during the late Korean Empire, this paper conducted a profitability analysis on the early theater industry by analyzing accounting documents of theaters from the Korean-American Electric Company. Next, this study examined the Hŭng-hang capitalists involved with the Korean popular theaters and their progress from the late Korean Empire to the early 1910s, to discuss the early scale of the Hŭng-hang capital and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each theater. It was around 1913 when the theater entertainment business was stabilized and the commercial capitalists began to devote themselves to the theater industry. It was after theatre companies specializing in old and new productions were created in 1912 and the theater business changed by focusing on space rental. The managers who had been in charge of the professional theater companies specializing in old and new productions became to play the role of professional show proprietors. This paper focused on the life of Park Seungpil, who was active in Kwangmudae from 1912 to 1914, and his strategies of using mass media to examine how the early entertainment industry was formed. After 1910, the Japanese theater capital advanced to the theater industry, thereby restructuring the industry to be dominated by colonial capital. The entertainment tax imposed as a part of a special tax on Gyeongseong-bu in 1914 was advantageous for large theaters and relatively disadvantageous for rental organizations. As the motion picture industry, which was dominated by Japanese capital, and the large theater business gained momentum, the Korean public theaters, with their little capital, were unable to invest in the theater industry after their business was suspended. Instead, the increased demand for popular theaters in Seoul induced by the economic boom around the First World War and the opening of the Joseon Competitive Exhibition was only reserved to a select few theaters, most of which were Japanese theaters. The colonial reorganization of the Hŭng-hang capital was often identified as the primary reason behind the dissolution of the new and old groups and the stagnation of the Korean theater industry after the mid-1910s.

      • KCI등재

        민주화 이행기 텔레비전 드라마의 분단 재현 방식

        백두산(Baek, Doo-san)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8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5 No.-

        본고는 텔레비전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1991-1992)의 극서사 구성과 은유구조를 분석하여 1987년 이후 민주화 이행기의 텔레비전 역사드라마에서 냉전과 분단의 구도가 해체/재현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1988년 이후 MBC의 ‘방송민주화’의 흐름과 정치적 민주화 과정에서 생산된 〈5공특위 청문회〉, 〈유전무죄 무전유죄〉, 〈어머니의 노래〉 등은 80년대까지의 전체주의적 편성에서 벗어나 시민사회의 동향에 민감한 다원주의적 기획의 소산이었고, 〈제2공화국〉, 3·1/6·25/8·15 특집극 등 역사드라마에서도 냉전 이데올로기의 성격이 약화된 형태의 드라마가 제작되며 80년대와 결절되는 특유한 ‘텔레비전의 흐름(flow)’을 이루고 있었다. MBC 창사 30주년 기념작 <여명의 눈동자>는 ‘가족-국가’ 은유를 중심으로, 최대치와 장하림으로 표출되는 ‘아버지’ 선택하기, 통일 민족국가를 상징하는 대운의 비극적 서사에 나타나는 ‘자녀’의 은유, 여성 수난의 서사와 남성 중심적 역사를 근현대 민족사의 질곡으로 표현하는 은유 구조를 지녔다. 동시에 〈여명의 눈동자〉는 플래시백을 선형적 배열이 아닌, 인물의 심리상태를 표현하기 위한 비선형적 배치를 보여주며, 이 안에 가족 서사의 구도에 필요한 상징적인 장면들을 배치하였다. 특히 최대치의 플래시백은 그의 이데올로기 선택에 심리적 개연성을 부여하고, 윤여옥의 플래시백과 주제음악은 가족의 수난과 민족의 비극이라는 사건을 환기하는 방식으로 조직되었다. 또한 다큐멘터리 영상과 해설을 삽입하고, 흑백영상 교차편집을 통해 극사건에 역사성을 부여하는 기법을 사용하였다. 특히 사이판 함락 장면은 다큐멘터리 영상(미군폭격)을 교차하며 장하림이 미군의 사이판 함락에 일조하였다는 허구의 서사에 역사적 색채를 덧입힌다.〈여명의 눈동자〉는 가족 은유의 틀 안에서 좌우갈등을 중립적 입장으로 그려내는 지점에서 그쳤으나, 4·3항쟁이나 친일파 청산 실패 등 남한 근현대의 비판적 해석과 반공주의의 약화를 드러내며 민주화 이행기 냉전을 다룬 텔레비전 역사드라마의 서막을 열었다. This paper analyzed the dramatic narrative and metaphoric structure found in the TV drama Eyes of Dawn (1991-1992) and examined how the structure of the Cold War and division is dismantled and represented in historical TV dramas during the democratic transition period after 1987. TV shows such as such as The Hearing on the Fifth Republic of Korea, One Law for the Rich, and Another for the Poor, and A Mother’s Song, were the fruits of the pluralistic productions which broke away from the totalitarian broadcasting of the 1980s and were quick to respond to the trends of the civil society. The Cold War ideology in historical dramas such as The Second Republic as well as special features on the March 1 movement, the Korean War and the National Liberation Day were also weakened, all of which formed a “flow” in television quite anomalous to the 1980s in Korea. Eyes of Dawn, which commemorated the 30th anniversary of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MBC), embodies the metaphor of making “Nation-as-Family” and choosing one’s “father” through the characters of Choi Dae-chi and Jang Ha-rim, the metaphor of “children” in the tragic narrative of Dae-woon who represents the unified national-state, and the metaphoric structure of portraying the suffering of women and the male-centric history through the ordeals in the national history in modern times. At the same time, flashbacks in Eyes of Dawn are not linear but are non-linear, to better express the characters’ state of mind. Symbolic scenes necessary for the family narrative were also placed as flashbacks. Choi Dae-chi’s flashbacks, in particular, were sequenced to makes his ideological choices more believable and Yoon Yeo-ok’s flashbacks and theme song to evoke family ordeals and the national tragedy. Moreover, documentary clips and commentaries were inserted and black-and-white images and cross editing used for the historicity of the dramatic events. The scenes portraying the fall of Saipan, in particular, were interspersed with clips from documentaries (the bombing of the US troops), thereby adding historicity to the fictional narrative of Jang Ha-rim contributing to the fall of Saipan led by the US Army. While Eyes of Dawn settled at taking a neutral position in portraying the conflict between the right and left within the family metaphor, it provided a critical interpretation of incidents in the modern history of South Korea, such as the Jeju uprising and the failure to prosecute the pro-Japanese collaborators. Eyes of Dawn reflected the thaw in the anti-communist ideology, thereby setting the motion for future historical TV dramas on the Cold War which were produced during the democratic transition period.

      • KCI등재

        강용환의 창극 활동 연구

        백두산(Baek, Doosan) 한국현대문학회 201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2

        이 글은 강용환의 가계자료 및 _창극사연구_에 나타난 그의 창극관련 기록의 교차검증을 중심으로 강용환의 창극 활동을 재구하는 논문이다. 1865년 전남 무안 출생의 강용환은 ‘탄원서’를 바탕으로 1902년 사망설이 논의되고 있으나, 이를 확증할 수 있는 중요 유품이나 시신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용환의 가매장지를 공역지 근처라 지시하고 있어 진위 여부가 의심스럽다. _창극사연구_에서는 ‘광무대협률사(1900 이전)-원각사(1902)-동대문 광무대(1907)’의 흐름으로 1900년대 극장사를 정리하고, 이에 맞추어 구술회고를 편집, 정리한 흔적이 엿보인다. 본고에서는 이를 검토하며 강용환 생애 재구를 위한 자료의 교차검증을 수행하였다. 강용환은 1903-1907년 경 서울의 창극활동에 가담, 1908년 원각사의 〈춘향전〉, 〈은세계〉, 〈심청전〉 공연에서 ‘창극화’의 경험을 축적하였다. 그는 동·서편제를 아우른 소리꾼으로, 〈어사와 초동〉 등 실전된 고제판소리의 해학적 대목을 삽입하여 창극화하는 구성작가의 역할을 맡았으며, 재담과 잡가 등을 두루 짜 넣은 해학적이고 대중적인 창극을 구성하는 데에 능하였다. 또한 중국 전통음악극에 대한 관심, 광주협률사의 기록에서는 무대연출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강용환의 행적은 전통연희자 집단에서 창극의 구성작가, 무대연출가가 등장하였던 기록으로서 중요성을 지닌다. This paper reconstructed Kang Yong-hwan’s changgeuk activities by cross-checking Kang Yong-hwan’s family records and records found in The History of Changgeuk. Born in Muan, Jeollanam-do, in 1865, Kang Yong-hwan supposedly died in 1902, according to the “petition” document. However, no important possessions or his body have been found. Moreover, Kang’s temporary grave, was said to be near the Punggyeonggung Palace in Pyongyang, which was under construction then and makes the year of death as 1902 the more questionable. Park Hwang compiled the history of theaters in the 1900s starting from “Gwangmudae Hyeopyulsa” (before 1990), “Wongaksa” (1902) and the “Dongdaemun Gwangmudae” (1907) and edited the oral statements given 30 years before in his The History of Changgeuk. Taking this record into account, this paper conducted a cross checking in order to reconstruct the records of Kang Yong-hwan’s life. Kang Yong-hwan took part in performances in Seoul in sometime between 1903 and 1907 and gained experience of turning performances into “changgeuk” by participating in performances of Chunhyangjeon, Eunsegye and Shimcheongjeon at Wongaksa in 1908. A singer of Dongpyeonje and Seopyeonje, Kang played the role as a scriptwriter who added humorous passages in the classical pansori songs and transformed the pansori into a changgeuk. He was talented in creating humorous and popular changgeuks by adding various jokes and popular songs into the mix. Kang was also interested in traditional Chinese musical performances and records from the “Kim Chang-hwan Hyeopyulsa” also shows his role as a stage director. Kang Yong-hwan’s life is significant in that he was a script writer and a stage director from the traditional performer group.

      • KCI등재

        고속 전동기용 무급유 포일 저널 베어링 구조체의 하중지지 및 진동 특성 규명

        백두산(Doo San Baek),황성호(Sung Ho Hwang),김태호(Tae Ho Kim)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2021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지 (Tribol. Lubr.) Vol.37 No.6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oil-free, gas beam foil journal bearings (GBFJBs) for use in high speed motors. Mathematical modeling was carried out, and reaction force modeling for static load was performed to predic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GBFJB. Mathematical modeling and reaction force modeling for static load are performed to predic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GBFJBs. The reaction force of the test bearing against static loads was measured during experiments and compared with the predicted results. The measured experimental data reveal the nonlinear stiffness characteristics of the GBFJB against varying displacement and agree well with the predictions. Dynamic load tests using an exciter allow to identify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GBFJB. Test results show that the vibration displacement, dynamic force, and acceleration measured on the test bearing are most dominant at the applied dynamic load (synchronization) frequency. Futhermore,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hysteresis area recorded during the dynamic tests increases with the excitation amplitude and frequency, and that the beam stick phenomena occurr at high excitation frequencies. The single degree of freedom (DOF) vibration model aids to identify the stiffness and damping coefficient of the GBFJB, which decrease as the excitation frequency increases.

      • 돌풍이 도로터널 제연설비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백두산(Doo San Baek),이승철(Seung Chul Lee),김효규(Hyo Gyu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국토의 70%가 산악지형으로 이루어진 국내의 지형적 특성으로 통행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터널은 매년 건설되고 있으며, 터널의 굴착과 시공방법의 발전으로 도로터널은 대단면 장대화 되고 있다. 국내 도로터널 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터널 내 화재발생 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도로터널설계 편람 제6편 터널”과 “도로터널 방재⋅환기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에서는 터널의 연장에 따른 제연설비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제연설비 설계 인자에는 외부자연풍의 풍속을 최소 2.5 m/s로 고려하도록 하고 있으며, 터널의 특성에 따라 상향하여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터널 설계 시 외부자연풍의 풍속을 2.5 m/s로 일률적인 적용을 하고 있다. 최근 6년간 대관령 지역의 5분 평균풍속 자료를 분석한 결과 바람이 분 일 수 중 15.8%가 10 m/s 이상의 바람이 분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최대 20 m/s 까지 분 것으로 분석됐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터널 내 화재가 발생했을 때 터널로 유입되는 자연풍의 패턴과 최대풍속에 따른 터널 화재연기의 역류거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근 6년간 대관령 지역의 5분 평균풍속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5분 평균풍속이 10 m/s 이상 발생한 일 수는 15.8%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했으며, 15 m/s 이상의 풍속이 발생한 일수는 1%로 분석했다. 최대 풍속은 20 m/s 까지 측정되었으며, 풍속 10 m/s 이상 바람의 풍향은 84%가 서풍으로 분석됐다. 터널에 작용하는 돌풍의 크기가 15 m/s 이상인 경우 제트팬의 승압력보다 돌풍의 저항이 더 크게 작용하여 터널 내 풍속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터널에 작용하는 돌풍의 평균풍속이 같더라도, 제트팬 승압력이 안정화되기 이전의 돌풍 풍속에 따라 화재연기의 역류거리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Bora 돌풍 패턴으로 돌풍의 풍속이 10 m/s 이하인 경우 화재연기의 역류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20 m/s 이상인 경우 화재연기가 최대 490 m 역류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관령 지역은 국내 도로터널 설계에서 적용하는 2.5 m/s의 자연풍보다 큰 최대 20 m/s의 돌풍이 측정되고, 있으므로 터널 이용객의 안전을 위해 실질적인 자연풍 적용이 필요하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