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초기 시조담론 연구― 최남선과 최영년을 중심으로

        배은희(Bae, Eun-hee) 한국시조학회 2022 시조학논총 Vol.56 No.-

        본 논문은 근대초기 시조담론을 대상으로 하여 시조의 변이양상과 시조에 대한 인식 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최남선은 노래로서 시조를 창작하기 위해서는 ‘성률’에 능통해야 함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자신의 작품에서는 ‘성률’을 배제하여 노래가 아닌 ‘시’로서 읽을 것을 제안했다. 최남선 작품 중 『소년』지에서 실린 시조는 종구가 생략된 시조창에 형식적 기반을 두고 창작하였다. 그러나 『청춘』지에서는 가곡창 중 ‘평조’를 형식적 기반으로 하여 창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라졌던 시조의 종장의 종구가 되살아나게 되었고, 평시조와 연시조의 형식으로 창작되어 정형시로서 시조를 창작하려는 인식을 드러내었다. 반면 최영년은 가곡창 중 평조, 남창시조 등 다양한 곡조를 기반으로 시조를 창작함으로써 시조를 노래로서 인식하였고, 평시조·사설시조의 형식으로 작품을 창작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때 지향했던 유교적 덕목을 주제의식을 표현하였고 한시·고사 등을 차용하여 표현함으로써 고시조의 품격을 계승하려고자 하였다. 1900년대 대중화되고 통속적으로 향유되었던 시조를 한시와 같은 품격으로 격상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내재되어 있었던 것이다. 시조부흥운동이 일어나기 전인 1910년대 시조는 창작 주체의 변화와 주제의식의 변화, 표현 기법의 변화를 겪으면서 시대적 변화의 양상에 대응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고시조와 한시 등 다양한 장르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변화되고 있었던 것이다. 즉 본격적인 근대문학으로 창작되기 이전 1910년대 시조는 고시조가 지닌 시대의 변화를 담지할 수 있는형식적 유연성을 간직하고 있었고, 당대인들이 추구하는 최고의 가치를 표현해 내는 문화적 양식으로서 기능을 하고 있었던 것이었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discourse of the “founder” in the 1910s, and examines the variations and the changes in perception of the founder. Choi Nam-sun, a modern intellectual, recognized that he should be good at “the law of nature," and suggested that his works be read as poems rather than songs. He excluded “Shoritsu” which was a characteristic of poetry from the creation of poetic style. The last chapter of the founder, which had disappeared in the process, was reviv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nder"s songs, such as musicality and improvisation, gradually disappeared, and the idea of creating poems as literature began to emerge. In addition, Choi Young-nyeon in order to follow the aesthetic sense of the Joseon Dynasty, he borrowed Goshijo and tried to inherit its dignity by borrowing famous Chinese poems. There was an inherent intention to upgrade the status of the founder, which was popularized and enjoyed in the 1900s. Prior to the start of the Revival Movement, the founder of the 1910s prepared to adapt to the changes of the times through changes in creativity, theme consciousness, and expression techniques. In this process, it changed while interacting with various genres, such as ancient trial and Chinese poetry. In other words, the founder of the 1910s, before it was created as a full-fledged modern literature, retained flexibility to reflect the changing times of the ancient ancestors and functioned as a cultural style to express the highest value that people of today pursued.

      • KCI등재

        자산 안확의 시조론 연구

        배은희(Bae Eun-hee)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0 No.-

        자산 안확은 시조가 문학으로서의 자질을 갖고 있음을 밝히기 위해 시조의 본질을 탐구하였다. 필지는 자산의 시조론을 통해 1930년대 시조로 형성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그 예비단계로 본고에서는 1930년대 초반에 발표된 자산의 시조론을 개괄하고 그 특정적 면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자산은 우리 민족의 정신 발달시를 드러내는 하나의 지표로서 문학을 인식한다. 그는 문학을 새로운 시대에 부흥하기 위한 토대로 여기고 있었다. 이울러 그는 문학의 본질을 미적 감정의 표현으로 인식하였다. 그가 강조한 조선의 새로운 문학은 근대문학의 보편성과 조선 문학의 특수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것이어야 했다. 자산은 시조의 문체를 연구한다. 근대화가 이루어지는 경계선에서 있었던 자산은 근대 이전에 사용하던 ‘풍격’이라는 용어를 ‘물체’라는 용어로 현대적으로 변용하여 사용한다. 자산이 시조의 문체를 연구하는 일련의 작업들은 시조의 언어 예술성을 밝히려는 노력이었다. 자산은 字數律보다는 口拍子에서 시조의 형식미를 찾고자 했다. 그리고 시조의 선율에 어울리기 위해서는 시어를 연장할 수도 있고 축약할 수도 있다고 주장 한다. 즉 시조의 곡조와 조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가사의 변개마저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자산은 시조의 가사는 내용전달이라는 의미론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음악적 기능도 한다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Jasan An Whak did research on the essence of Sijo to show that Sijo has some features as a literature. I tried to show the formation process of Sijo theory in 1930s through Jasan's Sijo theory. As a preparatory step for it. I introduced Jasan's Sijo theory released in early 1930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it. Jasan recognized a literature as a directing post that reveals the history of our national spirit. He thought a literature as a foundation for satisfying new age. Also. he recognized the essence of a literature as a emotional expression. He emphasized that a new literature in Joseon age should have not only particularity of Joseon literature but also universality of modern literature. Jasan studied style of Sijo. Because he was at the time of modernization. he used the term. 'style'. instead of 'poongkyeok', which had used before modern time. He tried to show linguistic artistry of Sijo through the series of his works about the style of Sijo. Jasan tried to find formal beauty of Sijo in the aspect of rhythm instead of rhyme. And he claimed that poetic words can be lengthened or shortened to be harmonious with the melody of Siio.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words of Sijo for harmonizing with a tune. Jasan recognized that the words of Sijo have a musical function as well as a semantic function.

      • KCI등재

        1930년대 시조담론 연구

        배은희(Bae, Eun-Hee) 한국시조학회 2018 시조학논총 Vol.49 No.-

        본 논문은 안확, 이병기, 조윤제를 중심으로 이들이 논한 시조 기원설과 시조 분류법에 관한 논의가 형성되어 가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양건식이 최초로 시조의 기원이 향가임을 주장하였고, 이를 수용한 이원규에 의해 학문적인 연구로 시도되었다. 이병기와 조윤제는 시조 형식의 기원을 찾기 위해서 ‘章’과 ‘句’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章과 句의 도입으로 향가와 시조는 동일한 선상에 논의가 가능하게 되었다. 여기에 조윤제의 시가발달설이 첨가되면서 향가는 시조 형식의 기원이 되었다. 1930년대에 접어들면서 시조는 곡조와 결별을 하고 작품의 길이, 즉 구의 길이가 기준으로 새롭게 등장한다. 안확은 노래와 가사를 분리하지 않은 가집의 전통을 계승하여 곡조 중심으로 시조의 종류를 분류하여 시조가 문학화되기 이전의 시각을 간직하고 있었다. 이병기는 시조의 章을 구분할 때는 곡조를 기반으로 하였지만, 시조의 종류를 구분할 때는 句의 길이에 따라 평시조 · 엇시조 · 사설시조로 구분하여 음악과 문학의 혼재된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조윤제는 歌集에 기록된 분류체계는 음악적 관점이 반영된 것으로 학문적 연구의 대상으로서는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을 내리고 句의 길이를 기준으로 한 이병기의 견해를 수용하여 시조의 종류를 평시조는 ‘時調’로 명명하고 장형시조는 ‘詞說時調’로 제시하였다. 시조의 종류를 논함에 평시조가 중심에 놓인 것은 조선의 유일한 정형시를 정립하게 위한 시선이 작동하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논의를 통해 시조가 歌에서 詩로 인식되는 과정을 면밀히 살필 수가 있었다. 향가 기원설이 형성되는 과정을 통해 章과 句의 개념이 형성되었고, 〈정읍사〉처럼 조흥구나 여음구가 있는 작품들의 형식을 논함에 있어 조흥구나 여음구를 제외하고 실제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가사만을 선택하는 연구태도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시조 분류법이 형성되는 과정을 통해 가곡창이 아닌 시조창의 형식이 선택되어 시조 작품을 초장, 중장, 종장으로 분석하였고, 평시조가 중심이 놓이게 되어 평시조에서 사설시조로 발달하였다는 가설이 수립되었고 ‘時調= 단형시조’라는 논리가 형성되었다. In this study, they discussed the process of forming a discussion about the origin theory and the method of classification of Sijo. Yang Gun-sik first claimed that the origin of his Sijo was a hyangelist, and was tried as an academic study by Lee Won-gyu, who accepted it. Lee Byung-ki and Jo Yoon-je introduced the concepts of `chapter` and `句` to find the origins of the sijo styl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chapters and procedures, Hyangga and Shinjo became available to discuss on the same line. In addition, the rumor that Jo Yoon-je`s poem was published was added to it, and the Hyangga became the origin of the shogunate style. Entering the 1930s, Sijo broke away from the tune and the length of the piece, the length of the sphere, appeared as the standard. Anio inherited the tradition of family house that did not separate the songs from the lyrics and classified the types of Sijo based on the tune and kept the view before he was written. Lee Byung-ki is based on a tune to separate the branches of a Sijo. However, when separating the types of Sijo, the music and the literature are divided into ordinary sisis, 句sia, and private verse. Jo Yoon-je stated that the classification system recorded on the sijo reflects a musical viewpoint and that it is not appropriate for academic research. The fact that the lay Sijo was at the center of discussing the type of Sijo was enough to guess that the view was working to establish the Joseon`s only true style. Through these discussions, he was able to closely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his Sijo was perceived as a poetry. The chapter and part have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producing a phrase of origin, and can only describe the type of work in which there is an actual phrase or phrase, such as `Jeongheungsa`, has been selected. And through the process of sijo classification, the type of shinoid was chosen, rather than a scribble window, to analyze the Sijo work into an opening, second, and last, the lay Sijo was established.

      • KCI등재

        1930년대 시조담론 고찰

        배은희(Bae, Eun-Hee) 한국시조학회 2013 시조학논총 Vol.38 No.-

        본고는 1930년대 논의되었던 자산의 ‘가시(歌詩)’와 도남의 ‘시가(詩歌)’가 가지는 의미를 추론하고 이들의 인식이 시조연구 방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가를 고찰하였다. 국문 운문 작품을 지칭할 때 자산은 ‘가시(歌詩)’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도남은 ‘시가(詩歌)’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오늘날의 관점으로 보았을 때 ‘가시(歌詩)’와 ‘시가(詩歌)’라는 말은 단어의 순서만 바뀐 것으로,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자산이 ‘가시(歌詩)’라는 말을 사용한 것은 ‘노래’인 ‘시’를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시조를 비롯한 고전 운문 작품들이 원래 ‘가(歌)’인 존재임을 나타낸 것이었다. 당대에는 비록 시로 인식되고 있지만 과거에는 가(歌)로 향유되었다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사용한 것이다. 반면에 도남은 ‘시가(詩歌)’라는 말을 사용함으로써 ‘시’인 ‘노래’를 나타내고 있다. 그는 시조를 비롯한 고전운문 작품들이 원래 ‘시(詩)’인 존재라고 인식한 것이다. ‘노래’인 ‘시’, ‘시’인 ‘노래’로 각각 다르게 인식한 것은 시조 연구 대상을 선정하는 면에 있어서나 연구방법에 있어 서로 다른 결과를 갖게 하였다. 자산이 가집(歌集)의 존재양상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 것에 반해 도남은 가집(歌集)은 문학적 텍스트로 적절하지 않다고 여긴다. 자산은 가집에 실려 있는 작품들을 모두 연구의 텍스트가 된다고 생각하였고 곡조명에 따라 시조를 창작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도남은 가집마다 다르게 기록된 작품은 문학적 텍스트가 될 수 없다고 여겼고 ‘원작(原作)’이라는 존재를 상정하게 된다. 그리고 자산은 현대적 안목으로 과거의 작품을 분석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을 내려 문학적 방법으로만 분석하려는 태도를 경계하고 음악적 방면과 관련된 연구 방법도 적극 수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가진다. 그러나 도남은 음악과 관련된 연구 방법을 통해서는 시가를 분석할 수 없다고 여기고 문학적 연구 방법을 세우기 위해 노력한다. 도남의 연구방법은 자산의 연구방법보다 후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가집(歌集)과 곡조(曲調)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약 50여년이 지난 뒤에야 이루어지게 된다. In this study, I inferred the meaning of Jasan"s Ga-si(Song and Poem) and Donam"s Si-ga(Poem and Song) which was discussed in 1930s and studied how its perception affected the way of Sijo study. To refer Korean verse, Jasan used the term Ga-si and Donam used the term Si-ga. In terms of today"s viewpoint, the two terms "Ga-si and Si-ga" look like have same meaning with changed word order. However, "Ga-si" Jasan used was the term to place emphasis upon the "Song" rather than "Poem", which means that Korean verses including Sijo were originally "Song". Even though Korean verses were recognized as poems in those days, he used the term "Ga-si" on purpose to stress that Korean verses had been enjoyed as songs. On the other hand, Donam placed emphasis upon the "Poem" rather than "Song" by using the term "Si-ga", which means that Korean verses including Sijo were originally "Poem". These different perception made different results in selecting study objects and methods. Jasan took a collection of the poems very seriously, while Donam considered that it was not proper as a literary text. Jasan thought that all works in the collection can be texts for study and he also created Sijo according to a melody or a tune. However, Donam thought that the works which were differently recorded in each collection cannot be a text, and then he supposed a concept about "an original work". And Jasan judged that it is not proper to analyze past works with a modern perspective and insisted that we should actively accept a study method related to the musical aspects, warning the attitude which analyzes works with only literary methods. However, Donam thought that Si-ga cannot be analyzed through a study method related to the music and he tried to establish a literary study method. The study method of Donam was much more influential to the next generation than Jasan"s one. And then it took 50 years for researchers to have interest in a collection of poems and melody.

      • KCI등재

        근대시조의 표현양태 변모과정 연구 -구술성과 문자성을 중심으로-

        배은희 ( Eun Hee Bae ) 한국시가학회 2014 韓國 詩歌硏究 Vol.36 No.-

        본고는 1900년대 후반부터 1920년대까지의 시조작품과 시조에 관한 논의를 대상으로 하여 시조 존재양태 변모과정을 연구하였다. 1900년대 후반부터 1910년대까지 대중매체에 실린 시조는 비록 신문과 잡지에 게재되었더라도 완전히 ``읽기``로 변화된 것이 아니라 ``부르기``와 ``읽기``가 혼재된 양상을 띠고 있었다. 이는 기존 곡조를 창작기반으로 한 구곡신조(舊曲新調) 현상과 부르기 쉬운 정형구(formulas) 사용을 통해 구체적으로 고찰할 수 있었다. 구곡신조 현상은 평시조뿐만 아니라 사설시조도 창작 가능케 하였고, 정형구 사용은 비록 새로운 창작 작품이라도 고시조와 유사한 어구의 존재로 쉽게 기억할 수 있는 용이함이 있었다. 이러한 혼재된 양상은 1920년대 중반 이후 시조부흥운동이 일어나면서 문학으로 혹은 시로서 시조담론이 형성되면서 변화되기 시작했다. 1920년대 중반 이후 시조담론은 국민문학으로서 시조의 성립을 위해 곡조를 제거하고 ``읽기``만을 위한 논의로 전환된다. ``읽기`` 위한 시조를 창작하기 위해서는 곡조는 제거되어야만 했고, 곡조 대신 문학적 형식 기반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정형구를 사용한 시조는 진부한 표현으로 평가되고 참신한 표현이 자리 잡게 되었다. 여기에 조선의 정형시 수립이라는 목적이 첨가되면서 근대 시조론자들은 고시조에서 형식을 추출하여 평시조 형식을 완성하였고, 이 논의는 <독자문단>, <현상문예> 등과 같은 제도를 통해 공식화하였다. 이를 통해 시조는 근대적 문학으로서 혹은 시로서 창작 가능한 토대가 만들어진 것이다. 이 과정에서 비교적 형식이 자유로운 엇시조와 사설시조는 배제되었고 고시조, 한시의 정형구를 사용한 작품들은 진부한 표현방식으로 평가된다. 그 결과 1920년대 중반 이후 시조는 평시조 중심으로 평이한 시어로 이루어진 감각적인 시조작품이 창작되기 시작했다. 즉 시조의 구술성은 완전히 제거되고 문자성만 남게 된 것이다. The present thesis addressed Sijo works written from the late 1900s to the 1920s and dealt with changes of a Sijo form focused on the arguments about a Sijo. The Sijos found in mass-media from the late 1900s to the 1910s were new ones based on the old melodies and were formulas which are easy to sing along. The new Sijos based on the old melodies allowed people to create a Pyungsijo and a Saseolsijo. Even though it was new works, it was easy to remember phrases owing to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new and old ones. Although a Sijo appear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it was not a complete ``reading`` material` but a mixed material of ``reading`` and ``singing``. This mixed aspects began to be changed, forming Sijo discourse as a literature or a poetry during Sijo Renaissance after the middle of 1920s. The Sijo discourse changed to a discussion for only ``reading``, removing the melodies in order to establish a Sijo as a nation`s literature. The melodies had to be removed to create a Sijo for ``reading`` materials and people needed to make a literary form instead of the melodies. Also, a Sijo using formulas was considered as a banal one and fresh expressions settled down. Adding a purpose of establishing a formal poetry of Choseon, modern Sijo scholars had completed a Pyungsijo form by extracting the forms from an old Sijo. And they confirmed this discussion through the systems such as <Own Literary Circle> and <Literary Contest>.In this process, Eotsijo and Saseolsijo which had relatively free form were excluded and the works which used formulas of Old Sijo or Chinese poetries were considered as a banal expression way. As a result, people began to create sensible Sijos that consist of easy poetic words after the middle of 1920s, focusing on a Pyungsijo. In other words, orality of a Sijo was completely removed and only its literacy remained.

      • 국내외 NFC 기술동향 및 미래전망

        배은희 ( Eun-hee Bae ),박석천 ( Seok-cheon Park ),박준식 ( Jun-sik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1

        스마트 폰이 나날이 발전함에 따라 우리 삶은 스마트 폰으로 무엇이든 가능하게 되었다. 다른 디지털기기의 기능을 흡수한 것은 물론이고 이제는 우리 생활의 여러 부분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하고 있는데 특히 최근에 NFC를 탑재한 스마트 폰이 보급되면서 NFC를 활용한 서비스가 주목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RFID의 한 방식인 NFC 기술에 대해 알아보고 NFC 기반 서비스의 국내외 사례들과 향후전망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1920년대 시조론 형성과정 고찰

        배은희(Bae Eun-Hee) 한국시조학회 2010 시조학논총 Vol.32 No.-

        본고는 1920년대 나타난 다양한 시조론을 대상으로 하여 근대문학 전개과정 속에서 시조가 민족문학으로 형성되는 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조선적인 문학’으로 만들기 위해 1920년대 시조론이 선택한 ‘기원, 내용, 형식’등을 고찰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최영년은 시조의 선율이 중국 고대시가에서 유래되었다는 기원론을 펼쳤다. 그러나 민족문학으로서 시조의 기원은 중국이 아닌 조선에서 찾아야 했다. 양건식은 시조 내용의 기원을 ‘향가’로 상정한다. 이로써 시조는 외래 기원이 아닌 조선 고유의 기원을 가지게 되었다. 손진태는 시조의 발달사에 관심을 가지고 장형시조에서 단형시조로 발달했다는 주장을 한다. 이로써 시조는 민족문학으로서의 보편성을 가지게 되었다. 시조부흥운동이 일어나기 전까지 시조의 형식보다 내용이 관심영역이었다. 그러나 시조부흥운동 이후 내용보다 형식에 관심이 집중된다. 민족문학으로서 시조는 내용보다 형식을 강조하게 된다. 왜냐하면 세계문학이라는 보편성 속에서 시조의 형식만이 조선민족의 특수한 문학임을 나타내는 표상이 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시조의 기원과 발달사는 민족문학이라는 장 안에서 발생하였고 논의가 이루어졌다. 민족문학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시조론은 외래 기원설보다는 재래 기원설을 선택하게 되었고 시조의 내용보다는 형식에 주안점을 두어 형성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base of the various Sijo theory produced in 1920s to find that how Sijo has become one of the national literatures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origin, contents, and formality' of the 1920s Sijo theory, which they are factors to show the 'characters of Joseon literature'. Choi, Youngneon argued that the rhythm of Sijo derived from China ancient poetry. However, the origin of Sijo as a national literature should derive not from China but from Joseon. Yang, Geonsik introduced that the origin of Sijo is 'Hyangga', old Korean folk songs. With this, Sijo got the own origin from native country Joseon, not from any foreign countries. Son, Jintae interested in the history of Sijo development argued that Sijo was developed from plural stanzas Sijo to singular stanza Sijo. Therefore, Sijo has got universality as one of the national literatures. Before Sijo revival movement, people had more interested in the contents of Sijo than the formality of it. But they have focused their concern on the formality of Sijo after Sijo revival movement. Sijo as one of the national literature was stressed in the aspect of its formality rather than its contents. Because the formality of Sijo could be the symbol that shows the unique Joseon literature. The origin and history of Sijo was generated and discussed in the field of the national literature. Sijo theory chose conventional origin instead of foreign origin, and it was formed by focusing on the formality instead of the contents.

      • KCI등재
      • IP 컨택센터 개인정보보호 시스템 적용 방안

        배은희 ( Eun-hee Bae ),박석천 ( Seok-cheon Park ),박준식 ( Jun-sik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개인정보 유출 등의 사례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됨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컨택센터의 경우는 고객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인가자의 수가 다른 기업들에 비해 월등히 많기 때문에 컨택센터의 특성을 고려한 개인정보 보호기술이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IP Contact Center의 특징과 개인정보 보호방안의 취약점에 대해 알아보고 기존의 시스템 내 개인정보보호기술 적용방안을 제안한다.

      • KCI등재

        오공(蜈蚣) 약침액(藥鍼液)이 LPS로 처리된 RAW 세포주(細胞柱)의 유전자(遺傳子) 발현(發顯)에 미치는 영향(影響)

        배은희 ( Eun Hee Bae ),이경민 ( Kyung Min Lee ),이봉효 ( Bong Hyo Lee ),임성철 ( Seong Chul Lim ),정태영 ( Tae Young Jung ),서정철 ( Jung Chul Seo ) 대한경락경혈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23 No.3

        Objectives: Scolopendrae Corpus has a broad array of clinical applications in Korean medicine, including treatment of inflammatory conditions such as arthritis. To explore the global gene expression profiles in human Raw cell Lines treated with Scolopendrae Corpus herbal-acupuncture solution (SCHAS), cDNA microarray analysis was performed. Methods: The Raw 264.7 cells were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SCHAS, or both. The primary data was normalized by the total spots of intensity between two groups, and then normalized by the intensity ratio of reference genes such as housekeeping genes in both groups. The expression ratio was converted to Log2 ratio. Normalized spot intensities were calculated into gene expression ratios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Greater than 2 fold changes between two groups were considered to be of significance. Results: Of the 8 K genes profiled in this study, with a cut-off Level of two-fold change in the expression, 20 genes (BCL2-related protein A1, MARCKS-like 1, etc.) were upregulated and 5 genes (activated RNA polymerase II transcription cofactor 4, calcium binding atopy-related autoantigen 1, etc.) downregulated following LPS treatment. 139 genes (kell blood group precursor (McLeod phenotype), ribosomal protein S7, etc.) were upregulated and 42 genes (anterior gradient 2 homolog (xenopus Laevis), phosphodiesterase 8B, etc.) were downregulated following SCHAS treatment. And 10 genes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intergeneic sequence 4-1,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1, etc.) were upregulated and 8 genes (spermatid perinuclear RNA binding protein, nuclear receptor binding protein 2, etc.) were downregulated following co-stimulation of SCHAS and LPS. Discussions: It is thought that microarrays will play an ever-growing role in the advance of our understanding of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SCHAS in the treatment of arthritis. But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concretely prove the effectiveness of SCH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