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자동차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배영주,Bae, Young-Ju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21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Vol.23 No.2

        This paper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of factors affect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automobiles from the customer's point of view. This study sets the 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variable and constructs a causal model with brand image, product attributes (exdogenous variable), and customer value (endogenous variable) as a cause that affects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ymbolic image of the brand was found to have a very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value (p=0.01), and the external attribute of the product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value (p=0.1). Second, customer value was found to have a very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p=0.01), and the functional image of the brand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p=0.1). Third, there is a strong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the functional image of the brand and the symbolic image of the brand, the intrinsic attribute of the product, and the external attribute of the product, and also between the symbolic image of the brand and the intrinsic attribute of the product and There was also a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extrinsic attribute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customer value, automobile manufacturing companies have a functional value of products from a customer-oriented perspective. It is judged that every effort should be made to maintain a lasting relationship by grasping the values of customers, which are social values, emotional values, situational values, and cognitive values.

      • KCI등재
      • KCI등재

        비통념적인 교육적 관계의 특징에 관한 사례 연구

        배영주(Bae Young-Joo) 한국열린교육학회 2005 열린교육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다소 이례적인 교육적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시도이다. 흔히 교육적 관계라 하면 쉽게 학교에서 볼 수 있는 교사-학생의 관계를 떠올려, 그것을 전형적인 교육적 관계라 여겨왔지만, 그것은 나름의 제한점을 갖는 한 가지 관계적 양상에 불과하다. 본고에서는 학교에서의 교사-학생 관계라는 통념적인 교육적 관계에서 벗어난 비통념적인 교육적 관계, 즉 연령 높은 사람이 그보다 어린 사람에게서 배우며 사회적 위치가 높은 사람이 아랫사람에게서 배우는 교육적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고 운영되며, 어떠한 특징을 갖는지를 구명함으로써 그동안 학교교육의 영항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교육적 관계의 중요성과 그 가치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가르치는 사람과 배우는 사람의 역전된 연령적 서열과 사회적 위치가 교육적 상호작용 전반에 강하게 영항을 미쳐 교육적으로 적지 않은 혼란과 문제를 초래하기도 하지만, 그것을 적절히 조절하는 데 성공할 수만 있다면 역동적인 관계 형성은 물론이고 자기 주도학습과 교류교육, 그리고 메타 교육적 측면에서 상당한 강점을 지닐 수 있는 관계로 발전할 여지를 지니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about a research conduct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non-conventional educational relationship. For long, the meaning of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has often been reduced to and conventionalized as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a school system. In school,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has been assumed that a senior or professor should teach a junior or student, conversely, a junior or student study under a senior or teacher. But the non-conventional educational relationship is meant the reverse one of teacher and student in which a senior, service superior, or professor is taught by a junior, subordinate, younger brother, or student. Six adults who have some experience of revers relationship are chosen as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and interview is adopted as a research metho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reverse relationship of teacher and student, senior and junior tends to exerts an influence on educational interaction, consequently, gives rise to confusion and problems. But rather, it will be insisted that the reverse relationships of teacher and student have an great potential to ideal one. So, the task of facilitation of this sorts of relationship is come to the surface in adult learning and lifelong education.

      • KCI등재

        학교에서의 자기주도학습 구현을 위한 실천적 모형 개발 연구

        배영주 ( Young Ju Ba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8 교육과정연구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현실적인 필요성은 증가하고 있으나 여러 가지 이론적, 실천적 어려움으로 인해 아동의 학교 학습사태에는 쉽게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자기주도학습을 구체화하여, 실제 학교 학습사태에 적용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연구자는 성인의 학습 사태를 전제로 구안된 여러 자기주도학습 모형들을 분석하여 자기주도학습 활동의 기본 요소 및 절차들을 추출하였으며, 이들 각각의 활동들이 실제 아동의 학교 학습사태에서는 어떠한 양태로 구체화될 수 있는가를 형성 연구법을 통하여 점검, 추출하는 방식으로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추상적인 능력이나 특성의 차원이 아니라, 학습주도를 위하여 학습자가 실제로 수행하여야 할 행위를 중심으로 구안되었다는 점과 교실 학습사태의 특별한 상황들을 고려하는 가운데 구안되었다는 점에서 실천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3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모형의 타당화를 시도하였으며, 추후 연구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Self-directed learning has been recognized as an new potentiality to let the people adapt themselves to the rapid changeable world successfully because self-directed learning means the learner`s control for their whole learning process. In this point, it is natural that not a few scholars should make their efforts to extend self-directed learning`s domains over school learning of children. However it has rarely been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s for various reasons and it is still obscure for it to have applicability in children`s school learning situation. There are two reasons in here. First, self-directed learning was originally intended for adult learning which performed voluntarily outside of school. So in order to be realized in school situation, it needs to be adjusted for children and school learning situation. But it is hard to find any related trial or serious research of it. Second, which is more radical reason, there are lots of misunderstanding about self-directed learning, and that is giving rise to serious confusion in the models of self-directed learning. It is surely need to inquire and make clear the meaning of self-directed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meaning and processes of self-directed learning clear, and develop a model for self-directed learning for elementary school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existing self-directed learning models for outside of school were analys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ing were examined. After that, many various self-directed learning activities were founded and evaluated. As a result, a practical self-directed school model was produced and the adequacy and reliability of this model were tested through 3 experts` review meeting.

      • KCI등재

        대학생들의 삶 속에서 드러나는 학습주도의 양상 탐색

        배영주(Bae, Youngju)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4

        지식기반사회, 평생학습사회의 도래로 자기주도학습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는 7인의 대학생의 삶 속에서 드러나는 학습주도 과정을 추적하여 그 구체적 양태와 특징, 그리고 관련요소 등을 구명함으로써 학습주도 촉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교육에 대한 막연한 기대와 취업 달성이라는 두 가지 배경적 요소가 동기로 작용하는 가운데 연구 참여자들은 자유로운 탐구와 협력을 지향하는‘개방적 주도’와 효율성과 경쟁을 중시하는‘적응적 주도’, 그리고 의미맥락에 주목하는‘비판적 점검’을 나름대로 조절하며 학습을 주도하고 있었으며, 학년 상승과 함께‘개방적 주도’나‘비판적 점검’대신 오로지‘적응적 주도’로의 선택적 집중을 택하는 경향을 보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대학생의 학습주도 양태에 학습자 개인적 요인보다는 대학과 취업난이라는 상황적 요인의 영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점에서 학습을 중심에 두는 대학의 혁신적인 변화가 시급함을 지적하였다. In a lifelong learning society and a knowledge-based society, it stands to reason that self-directed learning should be emphasized as one of the new alternative learning methods and educational principles. Since self-directed learning gives power to control learning to learners instead of teachers, it also could b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rategies aimed at gaining superiority whilst in a competition of knowledge. Based on this point, self-directed learning is also important to university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university students direct and manage their learning and to propose how to activate or facilitate their self-directed learning or self-directedness. This study employed a general qualitative design incorporating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s for data collection. A sample of seven purposefully selected university students reflected diversity in grade, academic speciality, gender, and learning experiences. Data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The university students were practicing their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forms of ‘liberal directedness’, ‘adaptive directedness’, and ‘critical monitoring’. In relation to this, they choose one or two forms of their personal judgement for self-directed learning. Low grade students exhibited the tendency to prefer the ‘liberal directedness’ compared to other systems, but upper grade students practiced only ‘adaptive directedness’. An atmosphere of freedom, educational customs in the university and the acute difficulty of getting a job have considerable influence upon the self-directed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The innovative change of university educational customs was suggested as a plan for facilit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for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민주시민의 ‘혐오 다루기’와 교육의 과제 : M. Nussbaum과 H. Arendt를 중심으로

        배영주(Young-Ju, Bae)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1

        In recent years, as hate speech has soared on the Internet, social interest in the regulation of hate expression is increasing. However, hate speech regulation is nothing more than an ex post and prohibitive measures of the various harms that hate causes. The researcher considered that some prior and formative measures were urgently needed, and noted education as a possibility. What educational measures are needed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of disgust? To fin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first, the researcher analyzed what disgust was, its origin and properties, its social utilization and influence and secondly, by analyzing the discussions of the two prominent social philosophers, M. Nussbaum and H. Arendt, the researcher extracted the desirable methods of ‘handling disgust’and the necessary capabilities for it. Through this series of work, the researcher was able to ascertain that disgust, as a natural human self-protection emotion, is never be eliminated or overcome, but only must be well ‘handled’ by every single citizens, and to confirm the need for enhancement of humanities and arts education aimed at overcoming disgust. 이 연구는 최근 급증한 우리 사회 혐오표현이 초래하는 사회적 해악 해소에 교육이 한 가지 중요한 예방적, 형성적 처방이 될 수 있다고 보고, 그 구체적 방향을 구명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누구보다 체계적이며 열정적으로 혐오 연구를 수행한 두 명의 저명한 사회철학자, M. Nussbaum과 H. Arendt의 논의를 중심으로 민주시민의 바람직한 혐오 처리 방법을 구명하고 그것을 가능케 할 능력을 추출함으로써, 혐오 다루기를 지원할 수 있는 교육의 윤곽을 그리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인간의 불확실한 상상에서 기인하는 부정적 감정인 혐오는 ‘연민’이라는 합리적 감정으로 대체되거나 ‘이해’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서사적 상상력’과 ‘분별력’, ‘협력적 관계형성’배양을 중핵으로 하는 인문예술교육이 필요함을 드러낼 수 있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시민의 혐오 다루기를 지원하는 교육이‘평생교육적’관점에서 기획, 운영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고,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노력과 함께, 작금의 교육 관행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반성도 동반될 수 있어야 함도 지적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깊은 학습’(Learning-in-Depth) 실행 사례 분석:

        배영주(Bae Young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이 연구는 우리의 학교교육이 학생들의 학습주도력 향상에 좀 더 적극적이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캐나다 교육학자 K. Egan이 제안한 ‘깊은 학습’(LiD)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효과적인 촉진 전략을 마련하려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총 8명 의 초등학교 6학년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17년 5월에서 7월, 실제 ‘깊은 학습’을 수행토록 하고 그 과정을 관찰하여 분석한 결과, 비록 10주라는 제한된 기간내에 진행된 깊은 학습이었지만, 단 1명의 연구 참여자를 제외한 7명의 학생들이 활 동을 끝까지 수행하였고 그 과정에서 학습 주제에 대한 관심 증대와 학습 내용의 점진적 심화, 그리고 학습주도에 대한 자신감 형성 등을 보임으로써 성공 수행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깊은 학습 수행 과정에서 노정된 어려움과 한계점을 확인함으로써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향에서의 몇 가지 촉진 방안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하여 깊은 학습이 우리 학교교육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녔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본격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후속 연구로 이어져 학교교육 혁신에 작은 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s on new concept, Learning-in-Depth (LiD) which proposed by Canadian professor Kieren Egan and explores the feasibility of the concept to Korean students and schools. Egan insists that if you provide students with long-term self-directed learning opportunities(LiD), they will surely earn their deep knowledge and gain academic leadership or self-directed learning capacity. But Egan does not produce empirical evidence on such claims. Will our teenagers be able to properly do learning-in-depth? What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do they have when they perform learning-in-depth? The researcher thought it could be possible to apply for LiD to our school, only if we found the answer the questions.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made an analysis of the LiD performance cases of eight 6th-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s that the following points have been discovered: First, the students showed sufficient success for LiD, although it was very short period of time. As time passed, they showed making deepen their learning performances. Second, without any teaching or assignments, the students had difficulties for their self-directed learning, but they also showed gradual improvements in the solution such as using mind-map style , pretending to know each other . These findings enabled the researcher to verify that if the opportunities for LiD were offered to our teenagers, they would be able to successfully push ahead with that.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의 실천공동체(CoP)적 운영 방안 탐색

        배영주 ( Bae Youngj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이 연구는 최근 등장한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의 성공적 추진에 기여하려는 목적에서 추진되었다. 연구자는 이 사업이 ‘마을교육’을 통해 공교육을 쇄신하고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마을공동체’를 강화한다는 두 가지 의도에서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의 협력 구조로 추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업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마을교육’ 수행에 치우쳐 ‘마을공동체’ 차원에서는 이렇다 할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음에 주목한다. 연구자는 이러한 한계점이 아직 명확하게 정립되지 못한 ‘마을공동체’ 개념과 구체적 청사진 부재에서 기인한다고 보고, 마을교육공동체의 가능한 한 가지 모델로서 ‘실천공동체’(CoP)가 여러 가지 유용성을 가질 수 있음을 논증한다. 실천공동체로서 마을교육공동체의 구축 및 운영 방안을 구체화하여 제시하였으며,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개선 방향도 제시하였다. 비록 이 연구가 이론적 차원에서 수행되어 마을의 여러 특수한 상황들을 반영한 구체적 전략 제시에는 이르지 못하였지만, 마을공동체 강화라는 현대사회 난제 해소를 위한 본격적 시도로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고 보고,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더욱 진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contributing to the successful promotion of the local government’s recent project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y proposing a useful concept model for the establishment of a 'village community', noting that the project has not shown any notable achievements in the formation or creation of a village community. To this end, the researcher first analyzed the communal situation of modern urbanized villages and reflecting the results, argued that the 'community of practice' could have many uses as a model for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as a practice community, the procedure and methods of creating and operating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could be articulated and support measures from local governments presented. Although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a theoretical level and could not reflect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the site in detail, it is meaningful in helping to confirm the importance and significance of the project, which has not yet to be properly oriented, and to lead to a new direction of supplementation. The researcher hopes this study will lead to a number of field studies, which will complement the methods and strategies of village community building and operating.

      • KCI등재

        학습자 자기평가 활동에 관한 사례연구 : 내러티브 글쓰기(narrative writing)를 중심으로

        배영주(Youngju Bae)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1

        최근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학습자 자기평가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아쉬운 것은, 그와 관련된 연구와 실천의 대부분이 대학에서, 그것도 교수자의 철저한 지도와 관리 하에 시도되고 있는 것들이어서, 중등학교 수준의 교육 장면에서 교수자의 개입 없이도 수행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단서를 찾기 어렵다. 연구자는 학습자 자기평가가 대학 뿐 아니라 중등수준의 교육에서도 구현될 필요가 있다는 판단 하에, 그 가능성과 특징을 추출하는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평생교육적 관점에 터하여 4명의 기술계 고등학교 학생들과 초․중졸의 학력을 가진 30-40대 성인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글쓰기를 통한 자기평가를 수행토록 함으로써, 내러티브 글쓰기를 통한 학습자 자기평가의 수행토록 함으로써, 내러티브 글쓰기를 통한 학습자 자기 평가의 수행양태를 확인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구명함으로써 촉진방안을 마련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일부 학습자들이 상당한 수준의 자기평가를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기평가의 수행 양태와 국면, 그리고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추출할 수 있었다.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활등을 관리해야 하는 ‘평생학습 시대’에 어떻게 자기평가를 촉진할 수 있는가 하는 방안들도 지적하였다. Recently, several countries have paid their attention to learner/student self-evaluation. The learner self-evaluation became the one of the new alternative evaluation methods which asked the learners to do the evaluation for their own learning activities.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apply this new evaluation method to the college students and they could have reported the successful results of learner self-evaluation. Learner self-evaluation makes the learners act as persons holding a responsible position in their learning activities. In this point, learner self-evaluation is not only a kind of new evaluation metho, but also a sort of the new learning strategies, especially for making learners be a active learners or self-directed learners. for this reason, I placed my expectation for making leaners be more active on their learning. But actually I couldn't be make sure that whether the learners especially on the secondary education could do the self-evaluation to a successful issue. I though doing the self-evaluation could give some good effects for their learning to all the people, so I believed every learner had to be able to do the self-evaluation. To ascertain its possibility and characteristics, ten learners who are on the secondary education, 4 high school students and 6 adult learners were chosen as the subjects of the investigation, and they were asked to do the self-evaluation through the narrative writings. Consequently, I could find that the learners on secondary education were able to do their self-evaluation successfully, although every learner could not. I could als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ir self-evaluation and extract some suggestions for it.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learner self-evaluation could get to br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lifelong education would have to deliberate on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