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송만갑과 근대 판소리

        배연형 ( Yeon Hyung Bae ) 판소리학회 2012 판소리연구 Vol.34 No.-

        본고는 송만갑의 판소리 유성기음반을 재구성하여 송만갑 제 춘향가의 내용과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송만갑은 동편제 판소리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는 명창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판소리는 유성기음반에 도막소리만 남아있어 전체적인 면모를 알기 어려웠다. 본고 에서는 송만갑과 그의 아들 송기덕의 유성기음반을 통해 송만갑 제 춘향가의 면모를 파악하고, 현행 동편제 판소리와의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송만갑의 판소리는 중머리 장단 중심의 판소리이다. 1913년에 녹음된 송만갑의 판소리 음반의 진양 장단 역시 모두 중머리 속도로 부르는 빠른 진양 장단으로 짜여있다. 이는 판소리가 타령(자진머리) 장단에서 중머리 장단 중심으로 변화하는 동편제 판소리의 옛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송만 갑의 소리는 고제/중고제→동편제→서편제(현대 판소리)로의 이행 과정에서 판소리의 양식이 완성되는 동편제 판소리, 즉 중머리 중심의 소리의 모습을 가장 잘 보여준다. 또한 송만갑의 소리 중 ‘사랑가’, ‘이별가’, ‘옥중가’등을 통해 지금은 전승이 끊어지거나 변화되기 이전의 고제 판소리의 면모를 살펴볼 수 있다. 송만갑의 춘향가는 현행 박봉술의 소리와 사설이나 음악적 구성에서 많은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나, 창법이나 장단 운용을 보면 직접적인 전승으로 보기는 어렵다. This paper examines Song Man-gap`s varieties of Chunhyang song based on his phonograph records of Pansori. Song Man-gap is a famous singer known to have best performed Dongpyeonje narrative song. Nonetheless, his narrative songs remained only a form of Domaksori song in phonograph records, making it difficult to identify the whole of them. This study identifies Song Man-gap`s varieties of Chunhyang Song based on his and his son`s phonograph records and examines their relevancy to modern Dongpyeonje narrative songs. Song Man-gap`s narrative songs focus on Jungmeori beats. Song Man-gap`s narrative records produced in 1913 also consist of fast Jinyang beats with fast Jungmeori speed. This suggests that narrative songs were changing from the Taryeong (Jajinmeori) beat to the Jungmeori beat, which change shows the old style of Dongpyeonje narrative song. Song Man-gap`s tunes undergo the process of Goje/Junggoje→Dongpyeonje→Seopyeonje (modern narrative song), best showing the performance of Dongpyeonje narrative song (where the narrative song style was perfected), namely, Jungmeori tune. Also, of Song Man-gap`s tunes, Sarangga (love song), Ibyeolga (parting song) and Okjungga (in-prision song) give a look at old narrative songs which have now discontinued their transfer. Song Man-gap`s Chunhyang Song are very similar to Bak Bong-sul`s tunes, Saseol and musical composition, but a direct transfer of such skills does not appear to have been conducted, given the vocalization method and operation of bea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판소리 노정기(路程記)와 연행사(燕行使) 연행일기(燕行日記) -19세기 판소리 공연시장(公演市場)의 일면(一面)-

        배연형 ( Yeon Hyung Bae ) 판소리학회 2009 판소리연구 Vol.28 No.-

        This study presents a recomposition of the 19th century pansori (traditional Korean genre of vocal and percussion music)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Joseon diplomats` Beijing travelogue, painting of Pyeongyang Mayor`s Inauguration Ceremony, and pansori Heungbo-ga song`s travelogue on swallows flying to Joseon from China. There are scanty data on the 19th century pansori. Most of pansori data were built after the 20th century, and that through oral transfer, making them less evidence-based. Joseon diplomats` travelogues on Beijing describes then actual pansori performances, making it very evidence-based, and even offer new, fresh information on pansori. Through the travelogue, it is learned that the size of the 19th pansori market in the Pyeongan-do and Hwanghae-do provinces was very large. Large cities like Pyeongyang and the said provinces where Joseon diplomats stayed provided an important performance site for pansori singers. According to various Beijing travelogues, various feasts for Joseon diplomats became important performing stages for pansori singers. Such Joseon diplomats` experience in performances well permeated in the pansori Heungbo song`s travelogue on swallows flying to Joseon from China. Folding screens featuring genre paintings, such as Pyeongyang Mayor`s Inauguration Ceremony, well depict the pansori performance. The fact that such many folding screens were produced in the said provinces suggests that the performance markets were well established there. The major pansori audience of Joseon was high-ranking military personnel, and pansori performers continued to visit them to perform as they traveled.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soldiers and high-ranking military personnel lived, constituted a major pansori market. After the late 20th century, as pansori performers began to perform in their respective regions, this created unique regional pansori characteristics, triggering the creation of the present-day Jeolla-do style music.

      • KCI등재

        흥보가(興甫歌)(성악회(聲樂會) 본(本)) 소리책 연구 -고창판소리박물관 소장본을 중심으로-

        배연형 ( Yeon Hyung Bae ) 판소리학회 2010 판소리연구 Vol.30 No.-

        본고는 고창판소리박물관 소장 『興甫歌』(聲樂會 본)는 여러 정황으로 볼 때 조선성악연구회에서 필사되었다. 이 책의 필사기(筆寫記)가 그 근거이다. 이 소리책에 실린 흥보가의 바디는 박봉술의 흥보가와 거의 동일하다. 현행 동편제 흥보가는 송만갑-김정문-박녹주·강도근으로 전승되는 소리가 널리 불리고 있다. 이 박봉술의 흥보가가 송만갑……박만조-박봉술로 전승된 것이 맞다면, 이 소리책은 조선성악연구회에서 송만갑 계열의 흥보가를 배운 소리꾼이 학습용으로 필사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이 소리책은 1940년대에 불리던 동편제 흥보가의 모습을 보여주는 문헌으로 가치가 높다. 이 책을 통해서 광복 이전에 불리던 흥보가의 전체적인 바디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판소리가 특정 시점에서부터 어떤 방향으로 변화해 왔다는 것을 살필 수 있는 매우 유력한 근거가 된다. 물론 유성기음반을 통해서도 변화의 실상을 추적할 수는 있지만, 한 바디의 전체적인 모습, 총체적인 변화를 실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보완자료가 된다. 이 소리책과 현재 전승된 판소리를 비교해 보면, 박봉술은 고제 흥보가의 모습을 많이 지니고 있는 반면, 박녹주는 흥보가를 자신의 예술관대로 극도로 정교하게 가다듬은 것이 확인된다. 이 소리책은 장차 현대 판소리가 어떻게 보존되고, 어떤 방향으로 전승, 변화되어 왔는가를 밝히는 하나의 지표가 될 것이다. 이 희귀자료는 근대 판소리가 변화해 온 모습을 비교해 볼 수 있기 때문에 판소리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eungbo-ga (the version of Seongakhoe, Society for the Study of Vocal Music), possessed by Gochang Pansori Museum. This Heungbo-ga, given various situations, is deemed to have been copied from Joseon Seongak Yeonguhoe (Society for the Study of Joseon Vocal Music). The ground for such copying is the record on copying of this book. The body of Heungbo-ga depicted in this Sori-chaek (lyric book) is nearly the same as that of Bak Bong-sul (a Pansori singer)`s Heungbo-ga. The current popular Dongpyeonje Heungbo-ga version has been handed down from Song Man-gap, Kim Jeong-mun, Bak Nok-ju (a Pansori singer), and Gang Do-geun. If this Heungbo-ga of Bak Bong-sul is the version handed down to Bank Bong-sul from Song Mang-gap, and Bak Man-jo,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this Sori-chaek was copied for use in learning by a singer who at Joseon Seongakhoe learned the Song Man-gap`s version of Heungbo-ga. This Sori-chaek, which shows how the Heungbo-ga version of Dongpyeonje sung in the 1940s was, is highly valuable. This book allows us to specifically examine how the whole body of Heungbo-ga sung before Korea`s liberation was. This fact serves as a very important ground to look at how Pansori (narrative song) developed and changed from a particular time. Of course, phonographic records enable the tracking of trends of changes, but the book is very important in empirically examining the whole body of the song and total changes. When this Sori-chaek is compared with the currently handed-down Pansori, Bak Bong-sul`s version carries much of the ancient Heungbo-ga, while Bak Nok-ju`s Heungbo-ga was much refined according to his view of arts. This Sori-chaek will serve as a guideline to reveal how Pansori was handed down, changed and preserved. It enables the comparison of how various modern Pansori versions were changed, making it a very important data in studying the history of Pansori.

      • KCI등재

        판소리 새타령의 근대적 변모 -유성기음반을 중심으로-

        배연형 ( Yeon Hyung Bae ) 판소리학회 2011 판소리연구 Vol.31 No.-

        이 논문은 판소리 새타령에 속하는 더늠의 문학적인 내용과 음악적인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새타령은 매우 역사가 깊은 노래로 잡가에서부터 판소리로 차용되어 들어오면서 음악적인 변화의 과정을 거쳤다. 잡가 새타령은 새의 특징이나 소리를 묘사하는 음악이었는데, 판소리 적벽가에 차용되면서 적벽화전에 죽은 군사들이 영혼을 새소리로 비유하여 묘사하는 노래로 바뀌었다. 잡가 새타령은 원래 타령(자진몰이) 장단으로 짜여 있으며, 이것은 나중에 중중머리로 바뀌었다. 판소리에서는 새타령을 세마치나 중머리로 짜서 불렀는데, 현재는 중머리 새타령만 전승된다. 판소리에서 자진몰이 대목은 보통 중중머리로 바뀐다. 그러나 적벽가 새타령이 중머리로 바뀐 것은 노래의 성격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잡가 새타령은 노랫말과 장단의 맺음이 일치하지만, 판소리 새타령은 문장의 종결과 음악적 맺음이 어긋나게 작곡되어 있다. 잡가는 새소리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므로 문장과 장단이 일치하여 경쾌하고 편안한 느낌을 주지만, 적벽가 새타령은 전투에서 죽은 영혼들을 원한을 그로테스크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문장과 장단을 일치하지 않게 짰기 때문에 오히려 낯설음과 불편함을 주는 것이다. 한국음악은 고정된 틀, 매너리즘 문체를 가진 노래였는데, 광대들은 새타령처럼 상황(이면)에 맞는 개성있는 표현을 통해 재창조함으로써 판소리를 발전시켜왔다. This paper sought to examine the Pansori epic chant, Saetaryeong (Bird Song), to define its Pansori Aria`s literary contents and musical structure. The Bird Song has a long history, and underwent musical changes as it was borrowed into Pansori epic chant from a lyric song. The lyric song Bird Song was a music piece depi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sounds of birds, but as it was borrowed into Jeokbyeokga the Pansori Red Cliff Story, it changed into a song which compared the deceased souls in the Jeokbyeok battle to sounds of birds. The lyric song Bird Song was originally comprised of Taryeong (Jajinmori) ``O-O/O-O/O-O/O--//`` (triple meter) rhythm, and was later changed into the Jungjungmeori rhythm. In Pansori, the Bird Song was called Semaci 6 time or Jungmeori 12 time ``OOO/O--//OOO/O--//``(6+6=dodecameter), but only Jungmeori Bird Song has remained until present day. In Pansori, the Jajinmori part normally changes into Jungjungmeori. However, the Jeokbyeokga Bird Song changed into Jungmeori, because the song changed its characteristics. The lyric song Bird Song has words of song and rhythm closing being consistent. However, the Pansori chant Bird Song has the closing of sentence and musical closing being inconsistent. The lyric song sings the beauty of sounds of birds allowing the sentence and rhythm to be consistent, and giving it a light and comfortable feeling. However, the Jeokbyeongga Bird Song was made to have the text and rhythm being inconsistent to grotesquely express the sorrow of deceased souls in war, giving the audience the feeling of being strange and uncomfortable. This is the aesthetics of Bird Song. Korean music before the 19 century consisted of songs with fixed frames and mannerism, and Gwangdae (feat singers) recreated such Korean music with individualistic expression according to situations (imyeon) like with Bird Song. Thus, Gwangdae endeavored to transform Pansori into individualistic, realistic, modern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