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학습참여 진단을 위한 미국 NSSE 모델 도입 및 타당화

        배상훈(裵尙勳),강민수(姜旼秀),홍지인(洪芝仁)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아시아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대학에서 학습경험의 질과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널리 활용되는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NSSE) 도구를 수정 및 보완하여, 한국 대학생의 학습참여 실태를 진단하는 도구를 제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미국 NSSE 진단도구(2013년 개정판)는 학업 도전(고차원 학습, 반성적·통합적 학습, 학습 전략, 양적 추론), 교우와 학습(협력적 학습, 다양한 사람과 토의), 교수와의 경험(교수-학생 상호작용, 효과적 교수활동), 대학 환경(구성원과 상호 작용의 질, 지원적 대학 환경) 등 4개 영역 10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NSSE 진단도구가 한국 대학의 맥락에서 어떠한 요인 구조로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차원 학습, 반성적·통합적 학습, 학습 전략, 능동적·협동적 학습, 다양한 집단과 토론, 교수-학생 상호작용, 효과적인 교수활동, 교우와의 관계, 교직원과의 관계, 지원적 대학 환경 등 총 10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각 요인은 모두 .780~.902에 이르는 높은 신뢰도를 보여 요인들의 내적 합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0개 요인으로 구성된 한국형 대학생 학습참여 진단도구가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적합하게 설명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모델의 적합도 지수가 기준치를 넘어 본 연구가 제시한 진단도구는 한국 대학생의 학습참여의 질과 성과를 측정하는데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한 진단도구의 활용 방안 및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nd validate the student engagement measurement model on the basis of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NSSE) that has been widely employed in US universiti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discover the underlying structure of the NSSE model in the Korea"s university contex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then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K-NSSE measurement model. As results, ten factors to explain student engagement were identified, including Higher-Order Learning(ACH), Reflective & Integrative Learning(ACR), Learning Strategies(ACL),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LPC), Discussions with Diverse Others(LPD), Student-Faculty Interaction(SFI), Effective Teaching Practices(EFE), Quality of Interactions with peers(CEQ1), Quality of Interactions with the faculty and the university staff(CEQ2), Supportive Environment(CES). The goodness of fit indices produc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ggested the fit of the model to the collected data. In conclusion, the ten-factor K-NSSE model is identified and the study provides the evidence for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model to measure student engagement in the context of Korean universities.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투자시간 및 교수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배상훈(裵尙勳),장환영(張桓榮)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아시아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습투자시간 및 교수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변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개인 변인으로는 성별, 학년, 소득수준, 고교내신, 출신고교 유형, 대학에 대한 소속감 수준을 적용하였고, 대학 변인은 학생당 교육비, 교수당 논문수, 소재지, 대학 평균 소속감 수준을 활용하였다. 전국 32개 대학에 재학 중인 7,18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다층모형 분석이 적용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1학년보다 4학년이, 가정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고교 내신등급이 높을수록, 대학에 대한 소속감이 클수록, 그리고 교수관계가 양호할수록 학습투자시간이 늘어났다. 특성화고 출신의 학습시간이 상대적으로 적었고, 특목고 출신 여부는 대학생의 학습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학생당 교육비와 대학의 평균적인 소속감 수준이 대학생의 학습투자시간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지만, 교수당 논문수와 대학 소재지는 대학생의 학습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교수와의 관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4학년이 1학년보다, 소득수준과 고교내신이 높을수록, 학교에 대한 소속감이 클수록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목고 출신 학생이 다른 유형의 고교를 졸업한 집단보다 교수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학생당 교육비는 교수와의 관계에 비록 제한적이지만 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교수당 논문수가 많을수록 학생이 인식하는 교수와의 관계는 부정적이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tudent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 features on time spent preparing for class and student-faculty inter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gender, grade, family income level, high school GPA, type of high school, and the sense of belonging to university at the student level and spending per student, the number of research paper per faculty, university location, and the average sense of belonging to university among students at the institution level. Samples include 7,182 students from 32 universities. Multilevel modeling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at each level. At the student level, all independent variables except for type of high school were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ime spent preparing for class. At the institution level, spending per student and the average sense of belonging to university among student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ime spent preparing for class. Regarding student-faculty interaction, all predictors except for whether to graduate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student-faculty inter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number of research paper per faculty and the average sense of belonging to university among student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student-faculty inter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한국대학에서 대학기관연구(Institutional Research) 도입 관련 쟁점과 시사점

        배상훈(裵尙勳),윤수경(尹秀璟)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대학을 중심으로 발전해 온 대학기관연구를 국내 대학들이 도입하는 과정에서 예상되는 쟁점을 탐색하고, 이와 관련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문헌, 이론 및 선행연구를 분석하였고, 국내 대학에서 대학기관연구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및 전문가 회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기관연구 도입과 관련한 쟁점으로 1)대학 실무자와 관련 전문가 간의 대학기관연구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괴리, 2)한국 대학의 권위적 문화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시스템 간의 충돌 가능성, 3)대학기관연구의 수행 주체와 담당 부서, 4)대학 차원의 통합 자료관리 체제 구축과 부서간 자료 공유 문제, 5)대학기관연구 담당 조직의 역할과 고객의 범위가 쟁점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쟁점별로 향후 대학기관연구를 도입하려는 대학의 경영진이나 전문가들이 고려하여야 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issues may be raised when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newly employ institutional research(IR) that has been developed by the US institutions. The study also aim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o those who want to introduce IR systems to their institutions. An extensive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in addition to the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issues in relation to the application of IR to Korean universities include 1) disagreement of understanding on the goals and scopes of IR between IR professionals and practitioners in the institution, 2) conflicts between data-driven decision making systems of IR and authoritative decision-making culture of Korean universities, 3) organizational configuration to implement IR in the institution, 4) difficulties in building the university-wide data governance system and promoting data communication among units and staffs, and finally 5) the roles and customers of IR that Korean higher education practitioners consider.

      •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성취의 디지털 인증과 활용

        박진희(Jinhee Park),배상훈(Sanghoon Bae)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2 비교과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S대학의 디지털 배지 개발 사례를 통해 디지털 배지 활용과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 및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성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분석과 실행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헌분석 결과 디지털 배지는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율 향상과 질 관리 및 효과적인 인증 도구로 제시할 수 있다. 둘째, 디지털 배지 적용 정책은 대학에서 비교과 프로그램의 인증도구로 디지털 배지를 적용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이다. 셋째, 디지털 배지 활용에 대한 내부 부서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운영자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넷째, 대학 내에서 비교과 프로그램 이수자를 대상으로 디지털 배지를 수여할 때 디지털 배지 간 차등을 두어 수여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e-포트폴리오는 디지털 배지와 함께 비교과 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대학 경험에 대한 성취 인증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대학에서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을 위해 디지털 배지는 강력한 인증 도구로써 활용할 수 있는 가치가 있으며, 실제 적용 사례에서 보이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성찰을 통해 대학에서 적용되고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use of digital badges, certifica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reflection of various stakeholders using the case of digital badges development at S University. Literature review and action research methods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e following. First, the literature review affirmed that digital badges could be used as alternatives to improved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programs, quality management, and more effective accreditation tools. Second, the digital badge application policy must be primarily considered when applying digital badges as a means of accreditation to extra-curricular programs at universities. Third, the person in charge of digital badges in the university should consider various functions to accommodate various demands of internal departments. Fourth, digital badges must be issued with a price difference when issuing digital badges to students who completed extra-curricular programs. Fifth, the e-portfolios can be used to recognize the achievement of various university experiences, including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digital badges. Moreover, the results corroborated that digital badges can be employed as powerful accreditation tools to certify extra-curricular programs in universities and can be applied and utilized in universities by reflecting various stakeholders in practical application c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