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치가 세종의 한 면모

        배병삼(Bae Byungsam) 한국정치사상학회 2005 정치사상연구 Vol.11 No.2

        여태 우리에게 조선 초기 군주, 세종(世宗)의 정치적 역랑은 문회(한글창제)와 과학(농업 및 측량기구)의 측면에서 강조되었지만, 현실정치가로서의 면모는 경시되었다. 이에 본고는 세종의 정치가적 면모를 지방수령의 ‘6년 임기제’, 즉 수령육기제(守令六期制)의 도입과 그 제도화과정을 통해 살펴본다. 수령 육기제도의 도입은 세종의 독단적인 결정에 의해 추진되었다 신하들, 특히 지방수령들의 강력하고 집요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세종은 경사(經史)를 통해 확인된 정책일 경우, 공론을 거스르면서도 끝까지 추진하여 제도화시키는 집중력을 보여주고 있다. ‘본론’에서는 그 정착과정을 크게 3단계로 나눠 살펴본다. (1) 초창기(세종7년~8년) : 세종 7년 2월, 임금이 육기제의 정착을 선언하는 가운데 그 보완책을 신료들에게 요구하면서 시작된 논쟁의 특정은 신하들이 원론적 수준에서 비판하고 군주 역시 교과서적 차원에서 반응하는, 이른바 논전의 서론에 해당한다는 점이다. 신하들의 수령육기제 비판은, 첫째 역사적 근거(經學/史學)가 없고, 둘째 중국의 사례(元六典)와 선왕의 사례(태조ㆍ태종)에도 걸맞지 않으며, 셋째 관료들의 입장에서 문제점이 있고(내직과 외직의 승진기회의 차등), 넷째 관리대상인 지방민의 입장에도 문제가 있다(6년은 긴 기간이어서, 또 현재 수령의 자질상 도리어 악정이 유발)는 것이다. 이에 대해 세종은 첫째, 육기제가 수령의 빈번한 교체로 인한 업무연속성의 문제와 또 백성들에게 폐를 끼지는 영송(迎送)의 폐단을 개선하기 위한 개혁 정책임을 환기시키고, 둘째 이념적 차원에서 육기제의 폐해에 대한 경학적 근거를 대보라고 신료들에게 거꾸로 힐문한다. (2) 중반기(세종9년~13년) : 세종13년, 봄ㆍ가을에 걸쳐 육기제에 관한 중요한 비판이 제기된다. 유생, 오흠로의 상소문과 사간원에서 제출된 소장이다. 오흠로의 상소문은 관료들(또는 관료예비군)의 입장을 망라한 가장 치밀한 육기제 비판이다. 한편 사간원 소장은 그간 불만으로 잠복해있던 육기제 문제가 정치적 차원으로 확산하는 계기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 비판을 계기로 의정부 대신들 사이에 파쟁이 발생하고, 6년제 추진파인 허조ㆍ황희를 중심으로 한 ‘친정책파’와 맹사성을 필두로 한 ‘반정책파’로 나뉜다. 세종이 그 시행 상 개선책을 받아들이고 있음이 눈에 띈다. 즉 세종13년 그는 집현전에 명령하여 고전연구(文獻通考/通典)를 통한 육기제 개선책을 지시한다. 그 결과 “내-외관 순환근무제”라는 개선책을 통해 지방직과 경관직을 승진 상 동등하게 대우함으로써 불만을 해소시키는 계기를 만든다. 특별히 개선책의 근거를 고전연구를 통해 마련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3) 후반기 (세종 14년~말년) : 이 시기 가장 중요한 사건은 호조참판, 고약해와 세종간의 쟁론이다. 이 쟁론을 통해 세종은 관료들이 사익 때문에 국가정책의 공공성을 도외시하고 있음을 비판한다. ‘공익 대 사익’의 대결구도는 맹자로부터 연면한 경학적 테마다. 이 이원적 구도를 형성함으로써 이후 육기제 비판은 곧 사익을 추구하는 모리배로 몰리게 된다. 고약해 사건 이후 강력한 육기제 비판이 사라진 것도 이 구도를 세종이 정치적으로 장악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사건을 계기로 육기제는 완전히 제도화되고, 그 후 조선후기까지 변함없이 유지된다. (4) 정치가 세종의 리더십의 특정 : 육기제 도입과 제도화과정에서 나타난 정치가 세종의 리더십 근원은 ‘텍스트에 대한 이해’와 ‘정치적 해석능력’이다. 첫째, 세종은 육기제를 경사(經史) 연구를 통해 다양한 사례를 확인하였다. 즉 유교경전과 역사서에 대한 깊은 독서(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당시 조선의 정황에 걸맞게 정치적으로 해석해냄으로써 구체적 전략으로 형성하는데 성공하였다. 세종의 독단, 또는 정책시행을 위한 설득의 힘은 ‘학문연구’에서 나왔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그러나 세종의 학문인식은 텍스트(經史)에 매몰되는 것이 아니라, 당대 현실정치를 중심에 놓고 문제해결 방편을 찾는, 실용적 차원에서 접근한 점도 주목해야 한다. 그는 경전과 역사서를 그 자체 진리의 현현으로 절대화하지 않았고, 정치적 필요성에 따라 상대적 도구적으로 사용할 줄 알았다. 이점은 곧 그가 디디고 서 있는 현실세계를 중심에 놓고, 또 과거에 매몰되지 않으면서 미래를 과제로 삼는 주체적이고 능동적 자세를 갖고 있었다는 뜻이다. 이것이 그의 정치가로서의 시공간 감각이라고 판단된다. 요컨대 그는 ‘정치기(君主)’란 역사연구라는 나침반에 의지하여 국가를 끌어가는 ‘선장’과 같은 존재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The specifics of Sejong's thoughts are evidenced in a number of literary records and books. This article will therefore focus on the process of how he enforced and institutionalized suryung yukgije(守令六期制), the six-year term scheme, which was suggested as part of the policy regarding the long-term duty of chief magistrates. The resistance of anti-yukgije group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period of opposition. In the early stage, they criticized the scheme based on the justification of tradition and custom called seonwangjije(先王之制), the institutions of the late king. They argued that one, the new policy was against the public opinion of the time, and two, that there was no similar example shown in the study of the Classics. In the middle and final period, most criticisms were based on empirical examples, as they claimed that yukgije was not a timely institution. These opinions on empirical examples and untimeliness of the scheme were the views of bureaucrats, especially the local ones. Sejong first of all argued against the idea that there was a right time for traditions to be reformed. He then tried to persuade the bureaucrats by emphasizing that the scheme was to solve the practical issues of three- year-term and the complexities of reception and farewell of local officials. Thirdly, he deconstructed the meaning of tradition based on his extensive knowledge on the history of the Classics. Fourthly, he exposed the desire that was hidden behind what was called a public opinion and showed that it was merely an assemblage of self-interest, thus deconstructing the meaning of public opinion. All these aspects were apparent in Ko Yak-hae s incident. Sejong's arbitrary decision, or the power to persuade in order to enforce a policy seems to have come from his academic research. In other words, his leadership was based on the study of Confucian texts. Confucian texts were like identity certificate that ensures political justification a Confucian nation tries to establish. In this aspect, Mote's suggestion that "what God's prophesy did in the West, history did in the East" helps highlight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Sejong's academic research. Political justification of a Confucian country ultimately boils down to a logical struggle on the Classics and historical examples, and Sejong's research and understanding of the text and its analysis were political actions in themselves. Therefore, his academic research shows that he was being faithful to the role of a monarch who had the responsibility to preserve the identity of a Confucian nation built on the foundation of the Classics. As plainly shown in the case of suryeong yukgije, by providing historical origin and examples of it, he was able to isolate the opposition, and by thrusting the criterion of "public vs. individual interest" in the Classics, he was able to expand the range of his political action. At the same time, we must not neglect the fact that rather than being buried within the text itself, Sejoog s academic awareness placed political reality of the time at the center, and approached it at a practical level as a means to solve problems. He did not absolutize the Classics and historical books as the actualization of truth, but instead knew how to use them relatively according to political needs. This also means that he had an independent and active stance that stood on reality without being buried in the past or taking future as a task. This was, I believe, his spatial and temporal perception as a statesman.

      • KCI등재후보

        논문 : 대학발전기금의 운영상 및 법적 문제점

        배병일 ( Byung Il Bae ) 대한교육법학회 2006 敎育 法學 硏究 Vol.18 No.1

        최근 저출산으로 인한 대학입학정원의 감소는 전적으로 대학의 재원을 학생등록금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 대학으로서는 감내하기 힘든 지경이다. 대학의 재정적 위기를 타개하기 위하여 각 대학마다 모금하고 있는 발전기금은 그 법적 근거도 없고, 세제상의 지원도 미미한 실정이다. 고등교육법에 대학발전기금에 대한 근거를 명시하여야 하고, 기부금품의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과 법인세법, 소득세법 등 관련세법을 개정하여 대학발전기금의 모금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 정부는 자신이 부담하여야 할 국민에 대한 교육의무를 분담하고 있는 사립대학에 대하여 직접적인 재정지원 뿐 아니라 간접적인 형태로 재정지원을 해주는 노력을 보여야 한다. Nowadays Korean universities are distressed by the structural reform in the rapid social change. Specially private universities have many difficulties, that is decrease of students, increase of personnel expenses, increase of maintenance cost etc. One of the countermeasures to cope with financial crisis of the universities is fundraising. But there are no ground prescriptions of the university fundraising. And there are a few stipulations of the tax law to support fundraising. I think that it needs to amend the provisions of the tax law to revitalize fundraising. Futhermore to legislate the basis regulations of the university fundraising.

      • KCI등재후보

        생체부분간이식 중 문맥압과 문맥혈류의 경시적 모니터링의 의의

        배병구(Byong-Ku Bae),김봉완(Bong-Wan Kim),허위광(Weiguang Xu),왕희정(Hee-Jung Wang),김명욱(Myung-Wook Kim) 한국간담췌외과학회 2010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Vol.14 No.1

        Purpose: Although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s (LDLTs) are widely performed, a shortage of living donors exists continuously, which makes it difficult to find the optimal graft. A high portal venous pressure (PVP) is mainly related to small for size syndrome (SFSS), and low portal venous flow (PVF), to ischemic liver damage, leading to potential liver failure after surgery. We reviewed the literature in search of optimal PVP and PVF values during LDLTs, and tried to determine the clinical meaning of measurements of PVP and PVF for liver transplantation. Methods: Between June, 2008 and June, 2009, we did 38 LDLTs. PVP and PVF were measured in 13 patients after laparotomy, after implantation of graft and after splenectomy. In addition, compliance (PVF/PVP) and compliance (mL/min/mmHg/g) per unit graft weight were calculated. Splenectomy was done when continuously maintained portal hypertension (>20 mmHg) occurred even after implantation. Splenectomy was also done for patients who presented preoperatively with splenomegaly and pancytopenia. Results: After graft implantation, portal venous pressure decreased (16.8±4.1 mmHg vs. 14.7±3.1 mmHg)(p=.003), whereas portal venous flow increased (1236.4±725.3 mL/min vs. 1916.9±603 mL/min)(p=.019). Also, after splenectomy, portal venous pressure/flow decreased (16.4±3.7 mmHg vs. 13.8±3.3 mmHg)(p=.009)/(2136.4 mL/min vs. 1619.1±336.3 mL/min) (p=.001). Finally, after implantation, compliance increased (60±40 mL/min/mmHg vs. 126±18 mL/min/mmHg)(p=.007). Conclusion: After splenectomy, compliance remained constant (126±18 mL/min/mmHg vs. 122±34 mL/min/mmHg)(p=.364). After implantation of the graft, portal pressure decreased and portal venous flow increased. The compliance of the graft was not influenced by splenectomy. This shows that splenectomy is a good method to control high portal pressure without influencing the compliance of the graft.

      • KCI등재

        관습법상 법정지상권과 가압류

        배병일(Bae Byung-il) 한국법학원 2012 저스티스 Vol.- No.129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은 동일한 소유자에게 속한 토지와 건물이 매매, 경락 기타의 적법한 원인행위로 인하여 토지 또는 건물의 소유자가 다르게 될 때에, 건물소유자가 토지소유자에 대하여 그 건물을 위하여 인정되는 것으로, 대법원 판례에 의하여 인정된 제도이다. 그런데 경락 이전에 가압류되어 있는 경우에 토지와 건물의 소유자의 동일성 여부를 어느 시점을 기준으로 하느냐와 관련해서 서로 상반된 견해를 가진 대법원 판결이 있다. 하나는 경락당시를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경락당시에 토지와 그 지상건물이 소유자를 같이하고 있으면 족하고 강제경매를 위한 압류가 있은 때로부터 경락에 이르는 기간 중 계속하여 그 소유자를 같이하고 있음을 요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대법원 1970. 9. 29. 선고 70다1454 판결). 다른 하나는 가압류 당시를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이미 경락 전에 제3자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가 되어 있었다 하더라도 경락이 가압류에 의한 경매에 의해 이루어졌고 제3자명의의 등기가 가압류 후에 이루어진 경우, 말소될 운명에 있는 제3자 명의의 등기를 들어 압류채무자의 소유권을 부정할 수 없다고 한다(대법원 1990. 6. 26. 선고 89다카24094 판결). 경락이전에 가압류되어 있는 경우, 가압류 이후에 채무자로부터 이전등기를 받은 자는 가압류집행으로 인한 처분금지의 효력에 의하여 그 이 전등기는 채권자에 대하여 무효이고, 가압류에 의한 경락시 그 이전등기는 말소된다. 그래서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은 일반적으로 경락당시에 토지와 건물의 소유자가 동일한 경우에 인정된다. 그러나 가압류가 있는 경우에는 가압류 이후의 이전등기는 말소될 운명에 있는 등기이므로, 가압류된 부동산에서의 가압류 당시의 소유자와 가압류되지 아니한 부동산의 경락 당시의 소유자가 동일한 경우에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대법원 1970. 9. 29. 선고 70다1454 판결은 폐기되어야 한다. Korean Civil Law prescribes two kinds of statutory superficies. Korean Civil Law Article 305 stipulates that in a case where land with a building thereon belongs to one and the same person, and chonsegwon is created on the building, the limited successor in title of the land ownership, is deemed to have created legal superficies for the settlor of chonsegwon. Korean Civil Law Article 366 stipulates that, where the land and the building on it belong to different persons by reason of the auction sale of the mortgaged property, the owner of the land is deemed to have created a superficies for the owner of the building. In addition to these two kinds, the Korean Supreme Court recognizes another type of statutory superficies under the name of the statutory superficies of customary law. An owner of a building acquires such statutory superficies of customary law where a land and a building which used to be owned by the same person belong to different persons due to sale, auction, or other legal causes, of either land or building. There are two Supreme Court cases, each based on contrasting perspectives on the issue of whe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land and a building is owned by the same person. According to one perspective reflected in the Korean Supreme Court Case 70Da1454 is that the condition of “a land and a building which used to be owned by the same person” for the statutory superficies of customary law is satisfied if the owners of the land and the building is identical at the time of successful bid, and that the land and the building need not be owned by the same person throughout the process from provisional attachment for the auction until the successful bid. Another perspective reflected in the Korean Supreme Court Case 89Daka4094 requires that the condition of “a land and a building which used to be owned by the same person” is satisfied if the land and the building is owned by the same person at the time of provisional attachment. The main idea of the paper is that the perspective in the Korean Supreme Court Case 70Da1454 no longer persuasive. If a land or a building is with a provisional attachment, transfer registration of the ownership of the land or the building is void in relation to the creditor of the provisional attachment, and is canceled when there is a successful bid in the auction initiated by the provisional attachment. Therefore, the Court should recognize the statutory superficies of customary law for a land or a building with provisional attachments when owner of the property under a provisional attachment is the same with the owner of the other property which is not under the provisional attachment.

      • KCI우수등재

        조선시대 정치적 리더십론: 수기치인과 무위이치론을 중심으로

        배병삼(Bae Byung-Sam) 한국정치학회 1997 한국정치학회보 Vol.31 No.4

        본고는 정치적 리더십에 대한 기대가 고양되는 현재적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조선조의 정치적 리더십론을 고찰한 글이다. 이를 위해 성리학의 리더십론이 가진 현대 리더십론 속의 위상을 살펴보고 그것의 내용을 구성하는 수기치인론(修己治人論)과 무위이치론(無爲而治論)을 개관한다. 수기치인은 성리학적 리더십론의 구조(構造)이며 무위이치는 이 구조를 정당화하는 경학(經學)적 근거였다. 여기서 성리학적 정치사상의 이상주의적이고 동기주의적인 면모가 제시된다. 그러나 이 원론적 리더십론은 조선의 현실과 괴리되는 점이 많았다. 이러한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고민한 대표적 사상가가 율곡 이이와 다산 정약용이었다. 율곡의 리더십론은 이상과 현실이 착종된 것으로서 현실을 껴안고 이상을 지향하려는 구도를 가진 것이었지만 결국 현실적으로는 이상과 현실, 그 어디에도 안착하지 못한 회색노선으로 끝나고 말았다. 그것은 주희의 ‘동기주의 대 공리주의’라는 엄격한 이분법을 넘어서지 못한 때문이다. 다산의 리더십론은 수기와 치인을 구분하고 그 독립성을 ‘상대적’으로 강조한다. 이로써 치인이라는 실천적 행위는 적어도 범주적으로는 자율적 영역이 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수기치인론의 경학적 근거였던 무위이치론의 토대를 해체한다. 즉 오도(誤導)된 무위이치론은 한당(漢唐)대의 노장사상에 오염된 것이며, 원시유교적 ‘무위이치’란 정치적 실천[有爲]을 통해 이룬 성공을 찬탄하는 레토릭에 불과하였다는 것이다. 그는 이로써 군주의 독재권을 확보하고, 적극적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경학적, 실천적 근거를 확보한 것이었다.

      • 무마커 추적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이상점 제거

        배병조 ( Byeong-jo Bae ),전영준 ( Young-jun Jeon ),박종승 ( Jong-seung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6 No.2

        무마커 기반 증강현실 응용에서 빠르고 정확한 무마커 추적이 수행되어야 한다. 무마커 추적은 등록된 패턴의 특징점들과 입력 영상에서의 특징점들의 매칭을 통하여 수행된다. 매칭에서 이상점은 시차를 크게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정확도 향상을 위해서는 이상점을 제거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무마커 추적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이상점 제거 방식을 제안한다. 무마커 추적에서 사용되는 SURF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실영상을 캡처하여 실험하였고 정확도 및 실행시간을 비교하였다.

      • KCI등재

        죽도문제연구회와 일본 독도정책의 현황

        배병일(Byungil Bae)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3 독도연구 Vol.- No.15

        최근 일본은 아베정권이 들어선 이후 우경화로 치달리고 있고, 반면에 우리 박근혜정부는 신뢰를 바탕을 한 외교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일본은 타케시마는 일본 영토라는 주장을 계속하고 있다. 일본은 평화적인 수단을 이용해서 현안을 해결하려고 하는 근본적인 정책기조를 가지고 있다고 하면서, 모든 기회를 이용해서 협상을 계속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은 정직하지 못한 것이다. 일본은 외교에서도 속내와 겉마음이 다른 것이 기본적인 태도이다. 죽도연구회는 시마네현이 만든 유사 관변단체이다. 죽도에 관한 연구는 일본 정책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우리는 죽도연구회를 심각하게 조사하고 연구해야 한다. 사견으로는 독도는 한국 영토이고, 영토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독도는 일본이 러시아에 대하여 주장하고 있는 북방영토문제와는 다른 것이다. Recently Japanese turn to the conservative swing since the new Abe regime, on the other hands we Korea adhere closely to the confidence policy. Japanese claims that Takeshima is Japanese territory repeatedly. Even Japan has a fundamental policy to resolve the issue through peaceful means, and tries to continue negotiations, taking every opportunity. But it is untruth. Japanese is different intention from face in the diplomacy. The study group of the issue of Takeshima is a quasi official organ made by Shimane Prefecture. A study on the issue of Takeshima would be the biggest influence to Japanese policy. We all inspect and research to the study group of the issue of Takeshima seriously. In my thought, Dokdo is Korean territory, and then it is not a territorial problem. Dokto is different from that northern territorial issue which Japanese hold very strongly to Russia.

      • KCI우수등재

        丁茶山의 ‘政治’에 관한 인식

        배병삼(Bae Byeung-sam) 한국정치학회 1993 한국정치학회보 Vol.27 No.1

        다산 정약용은 조선 말기 미만한 국가 사회적 위기의 기본 원인을 ‘정치의 위기’에서 찾고 있다. 이 논문은 다산이 느꼈던 현실 위기의식에 기초하여 그가 그리고자 했던 정치의 모습을 조감하려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첫째, 그가 관념하고 있는 정치의 像이 어떤 것인가를 살펴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둘째, 그가 상정한 정치는 현실적으로 어떤 실천의 꼴(態)로 나타나는지를 점검해 보았다. 다산은 “정치란 올바름이다”(政者正也)라는 전통 유교의 정치에 대한 규정을 계승하는 일방 “자신을 바로잡음으로써 대상을 올바르게 만든다”(正已以正物)라고 재규정하여, 보다 실천적 맥락으로 발전시킨다. 그 올바름(正)은 ‘정성을 다하는 실천행위’(誠)로 개념화되는데 그것의 구체적인 실천을 愼獨으로 보았다. 그런데 그 愼獨이 올바로 행사되기 위해서는 보다 보편적이고, 초월적인 존재가 요구된다. 그것이 다산에게 上帝라는 개념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성리학에서처럼 無作爲의 하늘(天)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인간계와 자연계를 주재하는 존재로 해석된다. 그럼으로써 정치의 옳고 그름(正不正)의 기준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정치가 올바른 실천이 되기 위해서는 첫째, 군주의 적극적인 통치행위(有爲之治)가 요구된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노장계열의 無爲說에 침윤된 정치의 ‘有爲性’을 회복함으로써 가능하다고 본다. 둘째, 이것의 실천개념으로서 균(均)을 들고 그것의 정책지침으로 用人策과 理財策을 제시한다. 그리고 그 제도적 방안을 薦擧制와 考績制 그리고 井田制로 구체화한다. 이러한 방안을 통해 사람들로 하여금 愼獨을 행함으로써 사회생활에서 필연적으로 빚어지는 갈등을 자체적으로 해소시키는 기제를 제공하는 것이 다산에게 있어 정치의 역할이다.

      • 광류 추적 기법을 사용한 모바일 기기에서의 자연 특징 추적

        배병조 ( Byeong-jo Bae ),박종승 ( Jong-seung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7 No.1

        시각기반 증강현실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서는 입력되는 카메라영상의 프레임을 매번 특징점을 추출하고 패턴 매칭 과정을 반복하는 것은 저 사양의 모바일 기기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하고자 카메라영상에서 패턴이 한번 인식되게 되면 그 이후의 영상에 대해서는 패턴 인식과정을 생략하고 이전 영상에서 매칭된 특징점을 광류 기반 추적기법을 사용하여 추적하도록 한다. 또한 패턴 추적 절차의 수행 중 추적이 실패하여 생기는 특징점 소실 문제는 정확한 호모그래피 행렬과 카메라 자세 추정을 어렵게 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패턴 추적의 성공 또는 실패는 판단하는 기준을 세워 모바일 기기에서 빠르게 동작하도록 하는 광류 추적 기법을 사용한 자연 특징 추적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