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한 표지염색체의 분자세포유전학적 특성

        배미현(Mi Hyun Bae),유한욱(Han-Wook Yoo),이진옥(Jin-Ok Lee),홍마리아(Maria Hong),서을주(Eul-Ju Seo) 대한의학유전학회 2011 대한의학유전학회지 Vol.8 No.2

        목적: 표지염색체(supernumerary marker chromosome, SMC)는 유래한 염색체에 따라서 임상 증상이 다양하다.본 연구는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하여 SMC의 기원을 밝히고 각 증례마다 분자세포유전학적 특성과 임상 표현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염색체 검사에서 SMC가 검출된 환자들 중에서 15번 염색체 유래를 제외한 4명의 환자에서 CGH기법의 올리고 뉴클레오티드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를 시행하였다. 결과: 3명의 환자에서 유래된 염색체 부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증례1은 1q21.1-q23.3에서 16.1 Mb의 SMC를 가졌고, 증례2는 19p13.11-q13.12에서 21 Mb, 증례3은 22q11.1-q11.21과 22q11.22-q11.23의 두 구간에서 각각 2.5 Mb와 2.0 Mb로 재배열된 4.5 Mb의 SMC를 나타내었다. 결론: 증례1은 1q21.1 중복증후군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임상표현형을 나타내었다. 증례2는 아스퍼거 증후군과 유사한 정신행동 이상 소견은 19p12-q13.11, 청력장애와 사시는 19p13.11, 그 외 증상은 19q13.12의 유전자와 연관 가능성이 높다.증례3은 묘안증후군 type I 및 22q11.2 미세중복증후군과 비교했을 때 항문폐쇄는 22q11.1-q11.21, 그 외 증상들은 22q11.22-q11.23과 연관성을 시사하였다. 고해상도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은 SMC 의 유래를 확인할 수 있고 유전형-표현형 상관성을 이해함으로써 유전상담에 도움이 된다. Purpose: Supernumerary marker chromosome (SMC) could be associated with various phenotypic abnormalities based on the chromosomal origin of SMCs.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genomic contents of SMCs using chromosomal microarray and to analyze molecular cytogenetic characterizations and clinical phenotypes in patients with SMCs. Materials and Methods: Among patients with SMCs detected in routine chromosomal analysis, SMCs originating from chromosome 15 were excluded from the present study. CGH-based oligonucleotide chromosomal microarray was performed in 4 patients. Results: The chromosomal origins of SMCs were identified in 3 patients. Case 1 had a SMC of 16.1 Mb in 1q21.1-q23.3. Case 2 showed 21 Mb gain in 19p13.11-q13.12. Case 3 had a 4.5 Mb-sized SMC rearranged from 2 regions of 2.5 Mb in 22q11.1-q11.21 and 2.0 Mb in 22q11.22-q11.23. Conclusion: Case 1 presented a wide range of phenotypic abnormalities including the phenotype of 1q21.1 duplication syndrome. In case 2, Asperger-like symptoms are apparently related to 19p12-q13.11, hearing problems and strabismus to 19p13.11 and other features to 19q13.12. Compared with cat-eye syndrome type I and 22q11.2 microduplication syndrome, anal atresia in case 3 is likely related to 22q11.1-q11.21 while other features are related to 22q11.22-q11.23. Analyzing SMCs using high-resolution chromosomal microarray can help identify specific gene contents and to offer proper genetic counseling by determining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 KCI등재

        PB제품의 브랜드네임, 지각된 품질 및 가격이 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만족을 매개로

        김완민(Kim Wan-Min),배미현(Bae Mi-Hyu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1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brand name, perceived price, and perceived quality have an effect on intention of loyalty (switching intentions and WOM-intentions) to PB (private brand) via satisfaction with PB. The data for analysis was obtained from 319 customers who have experience to use PB in large discount stores.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brand nam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overall satisfaction with PB. Second, perceived pri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verall satisfaction with PB. Third, perceived qua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overall satisfaction with PB. Finally, satisfaction with PB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loyalty (switching intentions and WOM-inten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large discount stores have to focus on PB.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ole of PB as a customer's store loyalty-related item. Managerial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본사의 신뢰 및 대리점의 공정성이 대리점의 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배상욱(Sang Wook Bae),김완민(Wan Min Kim),배미현(Mi Hyun Bae) 한국유통학회 2007 流通硏究 Vol.12 No.2

        본 연구는 고객의 대리점에 대한 신뢰와 대리점 만족을 통한 대리점의 공정성(분배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절차공정성)과 본사의 신뢰가 대리점의 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도시 지역에서 대리점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266부를 이용해 최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리점의 공정성(분배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절차공정성)은 대리점의 신뢰, 대리점의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사의 신뢰는 대리점의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리점의 만족은 대리점의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리점의 신뢰와 대리점의 만족은 모두 대리점의 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고객의 대리점에 대한 충성을 제고하기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effects both customer trust in the headquarters and perceived customer justice(interactional, procedural and distributive) in agencies have on customer loyalty to the agency via customer trust and satisfaction with the agency. The data for analysis are obtained from 266 customers who are experienced in dealing with agencies. The results show the following : first, customer perceived justice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trust and satisfaction with the agencies. Second, customer trust in the headquarter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trust with the agencies. Third,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e agencies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trust in the particular agency. Fourth, both customer trust in and satisfaction with the agencies a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customer loyalty to the agencies. Finally, we presented suggestions for enhancing customer loyalty to the agencies.

      • KCI등재

        음악이 정서에 미치는 조절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신경화학적 측면을 중심으로

        고범석(Ko, Bum Suk),배미현(Bae, Mi Hyun) 한국음악치료학회 201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0 No.1

        이 연구는 음악이 정서에 미치는 조절 효과에 대한 신경화학적 측면의 문헌들을 체계적 문헌고 찰을 통해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확인된 총 355편 중에서 논문 선정 및 배제 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20편을 선정하였다. 신경화학적 변인과 음악 변인을 중심으로 자료를 추출하였으며 QATQS를 사용하여 선정된 연구의 질 평가를 수행하였다. 정성적 합성 수행을 통한 자료 분석에 있어서는 사용된 음악의 특성 및 대상자의 특성에 대해 종합적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신경화학적 변인에 있어 도파민 4편, 엔도르핀 4편, 옥시토신-바소 프레신 6편, 노르아드레날린(노르에피네프린) 11편, 세로토닌 1편으로 노르아드레날린 관련 연 구가 가장 많았으며 콜린 관련 연구는 없었다. 신경화학적 변인과 관련하여 언급된 정서적 주제 에 있어서는 모든 변인에서 스트레스가 언급되었는데 이를 통해 스트레스가 정서와 밀접하게 관련된 주요 관심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음악적용의 형태에 있어서는 음악 감상의 적용이 대 부분을 차지하였는데, 음악중재에 있어 긍정적 정서를 유발하는 음악의 조절 효과에 주로 초점 이 맞추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질 평가에 있어서는 선택 비뚤림과 눈가림에 대한 고려 가 더욱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음악이 정서에 미치는 조절 효과에 영향을 주는 것 으로 고려되는 변인들로 음악 특성과 대상자 특성에 대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는 정서가와 각성에 따른 반응 차이가 신경화학적 측면에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근거 중심의 음악치료 중재를 위한 이론적 토대로서 기초연구의 가치를 실제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 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음악이 정서에 미치는 조절 효과에 대한 신경화학적 측면의 객관 적 근거를 확인하고 임상적 함의에 대해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literature on the neurochemical aspects of the modulating effects of music on emotion. Of a total 355 identified through a database search, 20 studies that m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finally selected. Data were extracted with a focus on neurochemical and musical variables, and the quality assessment for the selected studies was conducted using QATQ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used and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As for the results of the study regarding neurochemical variables, there were 4 dopamine studies, 4 endorphin studies, 6 oxytocinvasopressin studies, 11 noradrenalin studies, and 1 serotonin study. The noradrenalin studies were the largest in number and there were no choline studies. In all the selected studies, stress as a key emotion-related subject was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examined neurochemical variables. Regarding music application, music listening was made in most studies, and the music interventions were mainly used to trigger positive emotions in participants with the intent to examine the modulating effect of music.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used and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response based on emotional valence and arousal.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m a theoretical basis for the evidence-based music therapy practice particularly related to emotional modulation. The quality assessment of the selected studies suggests the considerations necessary to deal with selection bias and blinding in future research. The significance of the current study is that it collected the objective evidence of the modulating effects of music on emotion and discussed its clinical implication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 KCI등재

        음악이 유도하는 정서의 신경 영상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연구

        권수영(Kwon, Soo Young),배미현(Bae, Mi Hyun) 한국음악치료학회 2020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2 No.1

        신경 영상 기법인 fMRI와 PET는 살아있는 인간 두뇌가 음악에 반응하는 역동적 과정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를 제시하고 음악과 정서에 관한 신경 생리학적 원리를 밝히는데 기여한다. 본 체계적 문헌 연구는 음악에 의해 유도된 정서 경험에 관한 신경 영상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사용된 측정 도구와 음악 자극, 유도된 정서 경험의 유형을 요약하고 음악적 정서 경험 시 활성화되는 뇌 구조물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고 합성한다. 학술 정보 검색엔진을 사용하여 연구의 선정 및 제외 기준에 부합하는 실험 연구들을 추출한 후 비뚤림 평가를 통해 최종적으로 32편을 선정하였다. 영상 기법 중 fMRI 를 사용한 연구는 27편이고 PET 연구는 3편이었으며 둘 다 사용한 경우는 2편이었다. 최신 음악, 클래식 음악, 영화 음악, 피험자가 선택한 음악, 협화음과 불협화음, 원곡과 원곡을 조작한 음악, 장ㆍ단조 등이 음악 자극으로 사용되었고 유도된 정서 유형은 익숙함과 선호, 공포와 즐거움, 슬픔과 행복, 전율과 보상, 가치 평가와 각성 등이었다. 다양한 뇌 영역의 활성화와 신경 전달 물질의 방출이 보고 되었는데 변연계와 변연계 주변의 뇌 구조물들, 대뇌 피질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활성화가 나타났으며 선조체에서의 도파민 방출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체계적인 문헌 분석 방법을 통해 음악에 의해 유도된 정서 경험에 관한 신경 영상 연구 결과들을 요약ㆍ발표함으로써 음악치료 안팎의 임상가 및 연구자들에게 음악의 임상적 사용 원리에 관한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의의를 갖는다. Neuroimaging techniques such fMRI and PET provide in-vivo evidence of the human brain and contribute to advancing neurophysiological knowledge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usic and emotion. This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examines the existing neuroimaging studies related to emotions induced by music, summarizing the measurement tools used, features of the music stimuli, and the types of induced emotions in the studies. Through a thorough literature search across research databases and then conducting a quality assessment of selected studies, a total of 32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current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27 fMRI studies, 3 PET studies, and 2 studies using both methods. Music stimuli used in those studies were the latest pop music, classical music, film music, participant-selected music, consonance/dissonance, original/manipulated music, major/minor tone and so on. Induced emotions were familiarity/preference, fear/pleasure, sadness/happiness, chills/reward, and valence/arousal. It was reported a wide range of brain regions is activated in response to music: the limbic system, structures around the limbic system, and wide regions of the cerebral cortex. Regarding neurotransmitter, dopamine was released in striatum. This study contributes to forming a higher-level, cross-disciplinary view of how music works for human emotion by building practical knowledge inside and outside of music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