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채의 단백질함량과 아미노산조성의 품종간 차이

        방진기,이정일,정동희,김기준,Bang, Jin-Ki,Lee, Jung-Il,Chung, Dong-Hee,Kim, Ki-Joon 한국작물학회 1990 한국작물학회지 Vol.35 No.5

        유채, 계자 등 Brassica속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조사하여 유채 양질 다수성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수행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Brassica속 유전자원의 단백질 함량은 15.3%에서 36.2%까지의 넓은 변이폭을 보였으며, 평균 단백질 함량은 23.2%로 나타났다.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캐나다 유래의 B.hirta인 Ochre였으며 가장 낮은 품종은 B. napus인 Mirado였다. 2. 종실이 소립으로 가벼울수록 단백질 함량은 높은 경향이었다. 3. Brassica속 작물의 단백질 함량 변이는 B.napus에서 15.3-30.2%의 범위를 보여 주었으며, B.juncea, B.carinata, B.hirta, B.nigra등은 31%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4. 단백질 함량과 유박내 유해성분함량간에는 뚜렷한 경향은 없었으나 단백질과 기름 및 1,000립중간에는 고도의 부의 상관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바이오에너지 원료작물 생산 및 연구동향

        방진기,김광수,김용범,장영석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7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Vol.34 No.2

        The increasing industrialization of the world has led to precipitous rise for the demand of petroleum- based fuels. The world is presently confronted with the twin crises of fossil fuel deple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e search for alternative fuels, which promise a harmonious correlation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energy conservation, efficiency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has become highly pronounced in the present. Bioenergy is play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as an alternative and renewable source of energy. Use of Bioenergy has several potential environmental advantages. The most important perhaps is reduction in life cycle greenhouse gases emissions relatives petroleum fuels, since bioenergy is derived from plants which convert carbon dioxide (CO2) into carbohydrates in their growth. Bioenergy includes solid biomass, biogas and liquid bio-fuels which are fuels derived from crop plants, and include biomass that's directly burned. The two most important bio liquid fuels today are bioethanol from fermenting grain, grass, straw or wood, and biodiesel from plant seed oil.

      • KCI등재

        캄보디아의 카사바 생산 및 전망

        방진기,김민재,이윤호,이석기,배영석,김현순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 2013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5 No.4

        캄보디아의 카사바는 최근 벼 다음으로 매우 중요한 작물로 부상하고 있다. 국내 소비와 수출이 증대됨에 따라 지난 10년 동안 급성장을 하고 있다. 최근의 재배면적 변화를 보면 2000 년 16,279 ha에서 2012년 361,854 ha로 급격하게 증가되었다. 생산량도 2000년 147,763톤에서 2012년 7,613,698톤으로 약 52배 늘었다. 단위면적당 수확량을 보면 ha당 2000년 10톤 내 외에서 최근 우기재배의 경우 21톤, 건기의 경우 약 29톤에 이르고 있다. Battambang, Kampong Cham 및 Banteay Mean Chey 등이 주산지이며, 이들 지역의 생산량은 전체의 48%를 차지하고 있다. 수량 감소 주요인은 토양 양분결핍, 재배기간의 단축, 잡초 피해 등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생산성이 저조한 지역에서도 수량 감소 요인을 개선하게 되면 금후 수량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계 시장에서 캄보디아의 카사바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는 수량성 증대와 생산비 절감이 절실하다. 영양적 측면에서 전분함량 증대, 전분의 기능성 확대, 영양가치의 향상 등도 요 구된다. 가공면에서는 가공공장의 확대, 가공효율 개선, 새로 운 가공기술과 상품 개발 등도 개선되어야 한다. 특히 새로운 시장 개척과 생산, 가공 및 유통 등의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 이 필요하다 하겠다. 이 밖에도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인건 비, 농산물 및 서비스가격의 상승 등도 해결되어야 한다. 또한 다수확 품종의 지속적인 공급과 농가의 기술 평준화가 선행되 어야 한다. 지역 및 국제시장에서의 카사바 가격에 대한 정보 도 충분하지 않다. 그리고 농가의 관개시설 미비에 따른 천연 강수량 의존성과 설비 보완업체 부족 등도 문제다. 이러한 점 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카사바에 대한 명확한 정책 및 관련기 관의 설립 기반이 마련되어야 하고 기관과 재정의 강화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마케팅 체계를 다양화하고 카사바 부가가치 의 향상이 필요하다고 본다. In Cambodia, cassava is currently the second most important crop after rice. Production of the crop has greatly increased during the past 10 years due to a combination of increased demand for both domestic consumption and for export, and associated high pric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status of cassava production and prospect in Cambodia. The area planted to cassava has expanded dramatically from 16,279ha in 2000 to 361,854ha in 2012, while annual production has increased from 147,763 ton in 2000 to 7.6 million ton in 2012. Average cassava crop yield h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about 10 t/ha in 2000 to 21~29 t/ ha in 2012. Much of this improvement reflects the expansion into new production areas where soils are relatively fertile, combined with the adoption of new higher yielding varieties. Cassava has now become an important cash crop as resource for poor farmers in Cambodia. The three main provinces that occupy the 48% of the total production in Cambodia are Battambang, Kampong Cham, and Banteay Mean Chey. The main yield constraints identified were soil nutrient deficits, short crop duration and weed competition. In the fields with lower yields should be increase with improvement of the main yield constraints. To maintain cassava’s competitiveness in world market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increase yields, reduce production costs, broaden the range of starch functional properties and increase the starch content or nutritional value of roots. In addition, processing efficiency needs to be improved, new processes and products developed, and new markets for cassava-based products identified. This can only be achieved by the integration of production, processing and marketing, by the active collaboration of the various institutions involved, and through an effective partnership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 KCI등재

        유채 품종의 기름함량과 지방산 조성

        방진기,이정일,김기준,박래경 한국작물학회 1991 한국작물학회지 Vol.36 No.S

        유채 국내육성품종, 재래종, 도입품종등을 공시하여 기름함량과 지방산조성 및 glyceride 유질특성을 조사하여 유채 고품질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험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채, 개자 공시품종의 기름함량은 최저 21.8%에서 최고 47.4%까지 25.6%의 변이폭을 보였으며, 대부분 35-45% 범위에 분포되었고, 45% 이하 고함유 품종은 목포 71호 목포 90호, 단교 12호등 6품종이 선발되었다. 2. 기름함량은 원산지별로 국내육성 1대잡종 품종이 가장 높았고, 캐나다 품종이 가장 낮았으며, 숙기에 따라서는 만생종일수록 그 함량이 높았고, 1,000입중으로는 극대입종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3. Brassicathr 작물중의 기름함량은 B. napus가 가장 높고 B. hirta등 개자에서 21.8~28.9% 범위로 낮은 수준이었다. 4. 원산지별 지방산조성에서 palmitic, stearic 및 linolenic acid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oleic, linoleic, eicosenoic 및 erucic acid함량은 큰 차이를 보여 주었다. 5. 성분개량된 품종은 미개량 품종에 비하여 양질인 oleic acid 43.3% linoleic acid 7%가 각각 증가되었다 6. 기름함량과 palmitic, stearic, oleic acid와는 높은 정상관을, 기름함량과 eicosenoic, erucic acid와는 부의 상관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7. Oleic acid는 linoleic과 정상관, erucic과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linoleic acid는 lino-lenic과 상관성을 erucic과는 부 상관을 보였고, eicosenoic acid는 erucic과 정의 상관을 보여 주었다. 8. 공시된 3품종의 triglyceride구성비율은 내한유채가 86.7%로 가장 높았으며, 기타(mono, d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 는 13.3~17.4%로 나타났다.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oil quality improvement, seed oil, fatty acid composition and glyceride content were analyzed in 146 Brassica varieties. Seed oil content of the tested varieties were ranged from 25.6 to 47.4% with 40.1% of varietal mean. From the experiment, Mokpo 71, Mokpo 90 and Dankyo 12 were selected as high oil strains of which content was as high as 45%. Oil contents showed highest in Korean hybrid by origin and late varieties by maturity and large seed varieties by 1,000 seed weight. Palmitic, stearic and linolenic acid cont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ut oleic, linoleic, eicosenoic and erucic acid contents appeared differences by varietal orgin. Oleic and linoleic acid content of improved varieties increased 43.3%, 7% higher than that of unimproved varieties, respectively. Improved varieties have not contained erucic acid. Oil content showed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palmitic, stearic and oleic acid, while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eicosenoic and erucic aci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oleic and linoleic acid. On the other h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ere showed between erucic acid and oleic, linoleic acid. Erucic acid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eicosenoic acid. Triglyceride content of three rapeseed varieties were ranged from 82.6% to 84.9% and showed differences among the varieties.

      • KCI등재

        들깨의 채엽회수와 시기가 생육특성 및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

        方鎭淇,李正日,韓義東 한국작물학회 1990 한국작물학회지 Vol.35 No.6

        들깨의 종실·엽 겸용 신품종인 '엽실들깨'를 공시하여 정식기별로 채엽회수와 채엽시기를 달리할 경우 생육특성, sink 관련형질 및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시험을 실시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품가치가 있다고 보여지는 충분히 전개된 잎을 대상으로 채엽한 결과 경장은 무채엽구에 비하여 작아지는 경향이었다. 2. 채엽이 경태, 절수, 분지수 등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 3. 채엽에 의해 sink 관련형질인 화방수, 천립중을 감소시켜 종실수량이 낮아졌으며, 채엽회수가 많을수록 채엽시기가 늦을수록 영향이 큰 경향이었다. 4. 종실·엽 겸용 들깨재배시에는 종실수량 감소가 크지 않고 채엽에 의한 소득이 증대될 수 있는 조기채엽이나 1-2회 채엽이 바람직하였다. 5. 재배목적이 종실과 엽을 동시에 생산하고자 할 경우에는 5월 10일 파종 6월 20일 정식이 가장 적기이며, 6월 10일 파종 7월 20일 정식까지는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obtain some informations on the effects of number of leaf harvest and time to agronomic characters and grain yield in perilla. For the experiments perilla seedlings of 40days old were transplanted on June 20, July 20 and August 20 in 1988, and leaf harvested at 30. 40. 50 and 60 days after transplanting, respective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experiments. In the case of the fully developed leaves were harvested, culm length were decreased by more harvests and by the later harvests. However culm diameter, number of nodes and branches were little influenced by the leaf harvests. Number of clusters, weight of 1,000 grain and grain yield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number of leaf harvest and time. As the above results, considering the grain yield, leaf harvest would be available in the case of once or twice at the early growing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