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ordinate Attention 기법을 결합한 개선된 CMT 알고리즘의 설계 및 구현

        방지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ViT(Vision Transformer)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주로 사용하던 컴퓨터 비전 분야에 새로운 이미지 인식 방법을 제안했다. ViT는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분야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는 Transformer 구조를 적용하여 이미지를 인식한다. ViT는 기존의 CNN 모델과 달리 Inductive Biases를 모델에 입력하지 않고도 이미지 인식 작업에서 SOTA(State-Of-The-Art)를 달성하여 Transformer가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도 유용한 구조임을 보여주었다. ViT는 학습에 ImageNet-21K, JFT(Joint Foto Tree)와 같은 대용량의 데이터 세트가 필요하며 학습 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이미지를 패치 단위로 입력하여 위치정보가 소실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모델들이 발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Vision Transformer 계열 모델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CNN 모델인 Coordinate Attention Block을 CMT(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meet vision transformers) 모델에 적용하여 재구조화한 모델을 제안한다. Long Range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 Transformer와 Local Feature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는 CNN을 결합하여 기존의 성능보다 더 높은 성능의 모델을 제안한다. 아울러 제안하는 모델의 성능평가를 위해 연구자들의 접근이 용이한 IFAR(Caradian Institute For Advanced Research)-10, STL(Self-Taught Learning)-10, Tiny-ImageNet 데이터 세트를 활용하여 비교적 소규모 데이터 세트에서 기존의 모델들과 성능을 비교 평가한다. Vision Transformer (ViT) proposed a new image recognition method of the field of computer vision, which u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 ViT recognizes images by applying Transformer structures that show excellent performance in the field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nlike conventional CNN models, ViT achieves state-of-the-art (SOTA) in image recognition tasks without inputting Inductive Bias into the model, showing that Transformer is also a useful structure in the field of computer vision. ViT requires large data sets such as ImageNet-21K and JFT (Joint Foto Tree) for learning and takes a lot of time to learn.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location information is lost by inputting an image of a patch unit. Many models have been announced to improve such problems. In this paper, to improve the problem of Vision Transformer family models, we propose a reconstructed model by applying the CNN model Coordinate Attachment Block to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met vision transformers (CMT) models. We propose a model with higher performance than the traditional performance by combining Transformer, which showed superior performance in Long Range, and CNN, which shows superior performance in Local Feature. In addition,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we compare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with existing models on relatively small datasets using the easily accessible CIFAR (Caradian Institute for Advanced Research)-10, Self-Taught Learning (STL)-10, and Tiny-ImageNet datasets.

      • Hotel lobby의 화훼디자인 유형 및 소재 연구 : 서울시 내 특 1급 호텔을 중심으로

        방지현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Owing to the economic growth,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the increase of income, the conventional concept of the hotel is changing. Hotel today is extending its functions from as an accommodation toward as a multi-faceted cultural place where more and more people are availing of its subsidiary facilities. Making the first impression on the hotel, the lobby, in particular, takes a pivot role in providing services. The lobby could be decorated with floral performance which gives variety to the space with a little amount of money, making an aesthetic space where cultural services are provided. The effect of decorating the lobby space with plants is far more economic than that with other works of art including the pieces of sculpture and the paintings. In addition, the natural objects used create the amenity in the interior space. Flora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he hotel visitors will make the optimum atmosphere adopting various materials and design patterns. This survey went through from October 1st. 2008 to September 30th. 2009 covering 20 five-star hotels in Seoul. The types of floral decoration in the hotel lobbies are 51.0% of Flower Arrangement, 32.0% of Potted Flowers and 17.2% of Indoor Garden. For the necessity of the indoor garden with floral plants in the hotel lobbies, 66.6% of respondents showed strong approval, 25.7% approval, 6.5% neutral, and 1.3% no idea. The favorite objects are listed as various flowers 53.6%, foliage plants 16.1%, artificial plants 17.0%, trees 8.5% and others 5.0%. As to the matter of formative elements used for the performance, the survey shows a great preference of the environment friendly flower plants with 53.3% followed by various formative elements with 31.9%, no idea 10.6% and others 4.3% in order. On the type of the flower bed in the hotel lobbies, three groups classified are ordinary flower bed 83.3%, raised bed 6.5% and container bed 10.2%. The materials used for the flower vessels are ceramic ware 43.5%, steel 16.3%, glass 13.9%, wood 10.2%, vinyl 10.1% and others 6.3%.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performance at hotel lobbies using flower plants, 39.3% of respondents said excellent, 23.1% good, 23.2% average and 14,5% no good, which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performance level was fairly high. 47.45% of the hotel visitors thought the floral adornment affected the atmosphere greatly, while 47.7% in average and 11.9% insufficient.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floral performance with environment friendly flower plants has a great effect on the atmosphere of the hotel lobbi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floral design suitable for the various interior space of the hotel lobbies is in need. Consequently, conserving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space, hotel lobbies should be decorated with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s according to the taste and preference of the hotel visitors. 경제 수준의 향상과 교통수단의 발달, 국민 소득 증대 등으로 인해 과거 숙박만의 호텔 기능이 부대시설 이용객이 늘어나면서 변화해 가고 있다. 그 중에 호텔 로비는 이용객의 첫 인상을 좌우하며 서비스 부분 중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서비스 제공 중에서도 로비 공간의 화훼 장식은 저렴한 비용으로 수시로 변화를 줄 수 있고, 다양한 장르의 소재로 종합된 미적인 대중화를 끌어 낼 수 있는 문화적 서비스를 행할 수 있는 공간이다. 식물로 로비 공간을 장식하는 효과는 조각이나 그림 등의 예술품보다 훨씬 경제적이며, 자연요소를 접함으로서 실내공간을 쾌적한(Amenity)환경으로 조성 하게 된다. 호텔 로비 공간에서 다양한 화훼 디자인의 유형과 소재의 이용으로 호텔 이용객 선호에 따른 화훼 장식으로 최적의 분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8년 10월 1일부터 2009년 9월 30일까지 서울시 내 특 1 급 호텔 20곳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호텔 로비의 화훼 장식의 유형은 절화 장식 51.0%, 분화 장식 32.0%, 실내 정원 17.2%로 조사되었다. 호텔 로비 내에 화훼 식물을 이용한 실내 정원의 필요도 조사에서는 매우 필요하다. 66.6%, 필요하다. 25.7%, 보통이다. 6.5%, 모르겠다. 1.30%의 순으로 나타났다. 식물 소재에 대한 선호도는 화훼 식물 53.6%, 분화 식물 16.1%, 인조 식물 17.0%, 나무 8.5%, 기타 5.0%를 보여주었다. 연출을 위해 사용된 조형요소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친환경적인 화훼 식물을 이용한 분위기 연출이 53.3%, 다양한 조형요소를 이용한 분위기 연출이 31.9%, 모르겠다. 와 기타가 각각 10.6%, 4.3%를 나타내었다. 호텔 로비 공간 내에 화단의 유형으로 일반 정원형 화단 83.3%, 높임 화단 6.5%, 다음 용기 화단 10.2%의 순으로 나타났다. 식물이 식재된 화기의 소재별로는 도자기 43.5%, 철재 16.3%, 유리 13.9%, 나무 10.2%, 플라스틱 10.1%, 기타 6.3%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호텔 로비에 화훼 식물을 이용한 연출 수준에 대해서는 매우 잘 되었다. 39.3%, 보통 잘 되었다. 23.1%, 보통이다. 23.2%, 그렇지 않다. 14.5%의 반응을 나타내어 그래도 호텔 내 화훼 디자인을 이용한 연출은 상당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호텔 이용객의 47.5%는 화훼 장식이 호텔 로비 분위기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했고, 47.7%는 보통이다. 11.9%는 다소 미흡하다는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호텔 로비 내 친환경적인 화훼 식물을 이용한 연출은 호텔 로비 내 분위기를 상승시키는데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공간에 어울리는 다양한 형태의 화훼 디자인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호텔 로비의 실내 내부 공간의 건축적인 특성과 이용객의 기호나 선호도를 고려한 친환경적인 소재를 이용한 아름다운 공간 연출이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시민정보화교육의 운영형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행정기관에서 운영하는 청주시 소재의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房志炫 西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컴퓨터와 인터넷으로 대두되는 21세기는 정보화 사회이다. 정보화 사회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활용이 매우 중요한 수단이며 정보의 활용은 경제, 사회, 문화생활의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정보를 제대로 이용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 간의 정보격차는 점차 확대될 것이며 정보화 사회에서 컴퓨터에 대한 인식은 사회전반에 걸쳐 확대되고 있으며 우리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컴퓨터에 의존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인 변화 속에서 정보화 소외계층들도 정보화 사회의 흐름에 맞추어 필요한지식과 기술을 갖도록 정보화교육을 습득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사회현상에 따라서 정보화에 대한 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실정으로, 정보화교육이나 활용부분에 있어 정보소외계층의 정보화교육을 통해서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필요한 각종 정보를 획득하고 공유함으로써 자신들에게 맞는 새로운 삶을 개척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청주소재의 행정기관에서 운영하는 정보화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정보화교육을 수강하는 수강생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교육이수 과정에 따른 활용 가능한 항목 분석과 수강생들이 생각하는 정보화교육의 만족도 및 개선점을 분석하기 위해 SPSS WIN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은 남성이 35% 여성이 65%이며 연령별로는 41세 ~ 50세가 37%, 51세 ~ 60세가 27%로 많았으며 , 학력별로는 고등학교 졸업이 45%로 가장 많았다. 직업분야는 가정주부가 37%, 자영업, 서비스업, 농업, 임업, 축산업이 각 17%로 나타났고 경제적 측면에서의 월 수입(용돈)은 30만원 이하가 50%, 31만원~40만원이 21%, 거주지역은 도시지역이 75%로 나타났다. 현재 정보화 교육을 받고 있는 시민들은 상대적으로 여성이 많고 교육수준은 높은 편이며 가정주부와 자영업, 서비스업에 종사자가 많은 편이며 경제적으로도 안정되고 도시지역 거주자가 많은 편으로 향후 정보화 교육은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이 가장 많은 수강을 한 교육과정은 인터넷 기초과정으로 전체의 36.5%, 컴퓨터 기초과정이 29.9%로 기초교육과정 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주로 이용하고 있는 항목이 신문이나 뉴스보기의 나타나고 있어 이는 행정기관의 교육과정 운영상에서 인터넷과 컴퓨터의 기본적인 교육에만 집중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실생활에 필요한 전자 금융업무, 온라인 주식거래, 인터넷 쇼핑과 같은 온라인 거래를 한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5.6%에 불과해 실용적인 분야에 대한 활용이 미흡하였고 실제 생활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인터넷 정보 활용에 대한 교육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정보화 교육의 참여경로를 살펴보면 가족이나 주변사람을 통해서라는 응답이 전체의59%, 행정기관의 홍보문이나 안내문을 통해서가 41%로 나타나 정보화교육에 대한 행정기관의 홍보활동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보화 교육에 대한 만족도로는 교육시설 및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100%, 담당교사의 교육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77%, 교육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80%, 일상생활의 도움여부는 93%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교육기간에 대한 만족도는 55%로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이는 정보화 교육의 개선을 위해 필요한 것에 대한 질문에 전체응답자의 14%가 응답한 교육기간의 연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정보화교육 수료 후 재교육에 대한 인식으로 전체 응답자의 60%가 두 번이상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교육시 참여 하겠다고 답한 응답자가 전체의 88%로 정보화 교육에 대한 열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재교육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는 교육과정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는데 이는 교육 참여자들의 관심분야가 반영된 교육내용 편성과 교육과정의 개설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섯째 정보화 교육의 개선을 위해 필요한 것에 대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25.5%가 반편성의 세분화를 희망하였는데 이는 행정기관별 교육인원 선발시 반편성을 세분화 할 수 있는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는 학습증대를 위한 콘텐츠 개발 및 평생교육의 확대(25%), 민간기업과 협력한 정보화교육의 확대(24%), 다양한 교육과정 및 교재의 개발(23%)등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보화 교육의 기회부족과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개발, 교육 참여자들을 위한 맞춤형 교재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21^(st) century, rising with PC and Internet, is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n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PC and information literacy is very important tool and information literacy is a necessity to economic, are using information effectively and those who are not is going to be widening. There has bee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 computerin the world at large and all the part of the society rely on the computers.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people, who are marginalized from informationalization, need to have education for informationalization to gain the skills and knowledges with the current of times and with this social phenomenon and the need of IT training (informational education) is socially emphasized. With the IT trainingfor marginalized people, it will be importantthat we can solve the social problems and support people to gain and share the necessary information so that they would be able to have new life of their own. Data for this study has been obtained from the students at IT training institutions managed by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located in city of Cheong-ju and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with SPSS WIN 12.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items which are able to be used in each IT training curriculum and th satisfaction and needed improvement of IT trainings of which students suggest. Results of the study are stated below: First demographic characteristic shows that there were 35 percent of male and 65 percent of female. Majority of people were in there age of 41 to 50 (37%) and 51 to 60 (27%) and 45% of people were high school graduated. By their job, housewife was 37 percent and self-employed, services, agriculture, forestry, and stock raising were 17 percent. And by their economic aspect, 50 percent of people made money (or pocket money) below 300,000 won and 21 percent of people were between 310,000 and 400,000 won. And and 21 percent of people were between 310,000 and 400,000 won. And 75 percent of people have their place of residence in urban area. Currently, there are more females than malesamong people who get IT training, and they have high educational standards. In addition, majority of them are housewife, people who are self-employed or work for service industry and economically stable and live in urban area. Therefore IT trainings are needed to have differential approaches by demographic characteritics. Second, the courses taken by the subject people of investigation the most was Internet basics (36.5%) and computer basics (29.9%), and that shows that people make basic education course the prime object. And the result can be analyzed that IT trainings are focused on basic education for Internet and computer on managing the IT training curriculum by administrative organization because the item people use the most is searching newspaper and watching news - the response of using Internet and computer for online transactions such as PC banking, online stock transactions, or Internet shopping were no more than 5.6 percent. That shows the use of Internet and computer for practical use is low and there are absolute lacks of trainings for the use of Internet informations which are able to give helps directly to real life of people. Third, for the participation channel for the IT trainings, 59 percent of people used their surroundings and 41% of people used brochures or publicity bookletsand that means publicity activities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were in short supply. Fourth, for the satisfaction measurement for IT trainings, people were highly satisfied for training facilities or environment 100 percent, for th way of teaching of instructor 77 percent, for the contents of trainings 80 percent and for the whether the trainings were helpful 93 percent, however the satisfaction for the period of training was relatively low (55 percent). This shows that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question of what was needed for the improvement of IT training and the response of extension of period of trainings (14%) in the result of investigation. Fifth, it tells that the object people of investigation were highly zealous about IT trainings as 60 percent of people have participated in IT trainings two times or more and 88 percent of people said that they would participate in retraining. People chose the curriculum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retraining and it shows that training contents and curriculums are needed to be arranged and established which reflect the interests of the training participants. Sixth, to improve IT traning quality, 25.5 percent of people wanted segmented class placement when each administrative organization select training participants. Finally, as the plan for narrowing digital divide, 25 percent of people thought the development of training contents and extension of lifelong education, 24 percent of people thought extension of IT training cooperated with private enterprise, 23 percent of people thought various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teaching aids. This means that the chance is lacking in getting IT trainings, and curriculum which can be applied in real life and customized teaching aids for training participants has not been developed yet.

      • 오브제 활용 유형에 따른 초현실주의 패션디자인 분석

        방지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Suzi Gablik이 제시한 오브제 활용 유형에 따라 2000년 이후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초현실주의 패션을 의상과 액세서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Gablik이 제시한 초현실주의 오브제 활용 유형에 대해 살펴본다. 둘째, Gablik이 제시한 오브제 활용 유형을 적용하여 2000년 F/W 에서 2011년 F/W 사이에 발표된 파리(Paris)와 밀라노(Milano) 컬렉션의 초현실주의 의상과 액세서리를 분석하여 창의적 디자인 사례를 체계적으로 제시한다. 연구 방법은 2000년 F/W 에서 2011년 F/W 기간 사이에 발표된 파리와 밀라노의 컬렉션을 조사하였으며, 패션 인터넷 사이트(www.style.com, www.samsungdesign.net)의 주제어 검색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Gablik이 제시한 오브제의 유형에 따라 고립, 변형, 합성, 규모•위치•본질의 변화, 우연한 만남, 이중 이미지, 역설, 개념의 양극화로 분류하였다. 오브제 활용 유형별 초현실주의 패션의 구체적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고립은 오브제를 고유의 영역 밖으로 옮겨 기대되는 역할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어떤 사물을 원래 있던 환경에서 떼어내 엉뚱한 곳에 갖다 놓은 것인데, 패션에서는 다른 장소, 배경에 있어야 할 것을 떼어내어 엉뚱한 곳에 위치시킴으로 인해 고정관념으로부터의 일탈을 시도하였다. 오브제는 새, 바이올린, 타이어휠, 스탠드, 우산, 불가사리, 립스틱 등을 의상이나 액세서리에 부착하여 데페이즈망 기법과 트롱쁘뢰이유 기법을 활용하여 작품에 표현하였다. 변형은 오브제의 일부 양상이 변형되거나 제거되는 것으로, 신체의 일부분이나 손의 형태를 만들어 실제 옷을 잡고 있는 듯한 착시 효과를 일으키거나 모자와 머플러를 니트를 이용해 타이어의 형태로 변형하여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일종의 트롱쁘뢰이유 기법을 활용한 작품 등을 볼 수 있었다. 합성은 서로 연관성이 있는 오브제의 결합으로 보는 이에게 눈속임을 일으키거나 심리적인 충격을 일으키는 것인데, 패션에서는 침대 위에 있어야 할 이불과 베개가 옷과 결합하여 모델이 침대에 누워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예를 볼 수 있었다. 다른 작품으로는 바다에 있어야 할 조개를 구두에 위치시키는 데페이즈망 기법을 활용하였고, 또 모델이 모자를 착용한 것인지 마스크를 착용한 것인지 보는 이에게 혼동을 주는 트롱쁘뢰이유 기법을 활용한 예도 볼 수 있었다. 규모•위치•본질의 변화는 의복을 위치전환 시키거나 의복 표면에 모양과 디테일을 그려 넣어 의복 본질을 변화시킴으로 인해 부조화를 창출한다. 패션에서는 재킷이나 드레스의 앞, 뒤, 상, 하의 위치를 바꾸는 데페이즈망 기법을 보여주었으며, 의복의 입체적 디테일을 평면적으로 그려 넣는 트롱쁘뢰이유를 통해 본질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우연한 만남은 서로 연관성이 없는 두 오브제의 만남으로 인한 착시 현상을 보여 주었다. 예를 들어 가방 또는 신발과 악보 또는 악기 프린트의 만남을 통해 패션 소품에서 음악이 흘러나오는 듯한 느낌을 주었다. 이중 이미지는 한 이미지가 서로 다른 두 오브제의 형태로 보여지는 것으로 주로 트롱쁘뢰이유 기법을 활용하였다. 예를 들어 인조모피를 이용해 의복의 상의를 표현하는 동시에 의복에 그려진 얼굴의 머리를 묘사하거나, 가방 윗부분에 구멍을 뚫어 모델의 눈을 가져다 대었을 때 손잡이인 동시에 고글과 같은 모습을 연출하였다. 역설은 서로 상반되는 성질의 오브제의 병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패션에서는 몸을 가려주어야 하는 의복이 착용자가 입었을 때 벗은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키는 트롱쁘뢰이유의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개념의 양극화는 두 개의 장면이나 상황이 하나의 시점에서 관찰되어 보여지는 것으로 패션에서는 안과 밖의 모습의 병치가 여기에 해당된다. 작품의 예로 제시한 디자인들은 트롱쁘뢰이유 기법을 활용하였는데, 찢어져 없어진 듯한 셔츠의 일부분과 찢어져 있지 않은 부분이 하나인 것처럼 보여지고 있었으며, 의복 가운데 가슴 이미지의 프린트를 부착하여 안과 밖의 모습이 병치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처럼 Gablik(2000)이 제시한 오브제의 활용 유형은 초현실주의 패션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창의적인 디자인 발상 과정에 유용한 사례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오브제 활용 유형 별 초현실주의 패션 사례들은 기존의 디자인 발상 방법과도 연관성을 지닌다. 디자인 발상 방법으로는 체크리스트법, 형태 분석법, 브레인 스토밍법, KJ법, 특성 열거법 등이 자주 사용된다. 이 중 체크리스트법은 모든 기법 중에서도 가장 간단하고 널리 사용되는 기법으로, 이 기법은 어떠한 문제에도 적용하여 다양한 아이디어를 개발할 수 있으며 다른 기법과의 결합으로 이중의 효과를 낼 수 있으므로 활용가치가 크다. 체크리스트법의 종류는 극한법, 반대법, 전환법, 결합법, 제거법, 변경법, 부가법, 연상법의 항목으로 분류된다. 이것은 Gablik이 제시한 오브제 활용 유형과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체크리스트법의 항목 중 극한법과 부가법은 규모•위치•본질의 변화, 반대법은 역설, 전환법은 고립, 결합법은 합성, 우연한 만남, 개념의 양극화, 제거법과 변경법은 변형, 연상법은 이중 이미지와 유사성이 있었다. 체크리스트법과 유사한 스캠퍼(SCAMPER) 기법은 대체, 결합, 응용, 수정, 확대, 축소, 다른 용도로 사용, 제거, 재배열, 반대로 하기 등으로 정리되는데, 이 기법의 각 항목 역시 오브제 활용 유형과 연관성이 있었다. 이 외에도 형태 분석법, 브레인 스토밍법, KJ법, 특성 열거법 또한 다양한 창의적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오브제 활용 유형과 유사성을 지닌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다양한 오브제 활용 유형 별 사례는 창의적 디자인 기획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 분석의 틀로 사용한 오브제 활용 유형은 디자인 발상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 이용될 수 있다 사료된다.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of objet use suggested by Suzi Gablik, this study analyzed clothes and accessories of surrealism fashion that has been shown in fashion collections since 2000. The detailed study objectives are like below. First, we examine the types of surrealism objet use suggested by Gablik. By applying the types of objet use suggested by Gablik, second, we analyze the surrealism clothes and accessories of Paris and Milano collections that were announced between F/W of 2000 and F/W of 2011 and suggest the creative design cases systematically. As a study method, we researched Paris, Milano collections that were announced between F/W of 2000 and F/W of 2011 as also collecting data through searching subject words in a fashion internet site(www.style.com, www.samsungdesign.net).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of objet suggested by Gablik, the collected data was classified into isolation, transformation, composition, changes of scale•location•essence, accidental meeting, dual images, paradox and polarization of concept. The detailed analysis results of surrealism fashion in accordance with objet use are like below. Getting out of the expected roles by moving the objet out of the original territory, the isolation is to move something from the original environment to irrelevant place. In fashion, it attempted a departure from stereotypes by placing something that should be in another location and background into an unexpected place. By adhering a bird, violin, tire wheel, stand, umbrella, star fish and lipstick to clothes or accessories, the work was expressed based on Depaysement and Trompe-l’oeil techniques. As transformation or removal of some parts of objet, the transformation was shown in the work that applied a kind of Trompe-l’oeil technique that brings illusion effect of holding the actual clothes by making the shape of a hand or a part of body, or creates a illusion by transforming a hat, muffler and knitwear into a form of a tire As a combination of objet that has correlations each other, the composition gives viewers the trick of the eyes or psychological shock. An example of this in fashion was to arouse an illusion like that a model was lying down on a bed when a blanket and a pillow which are supposed to be on the bed were combined. In other work, Depaysement technique which placed a clam that is supposed to be on the beach in a shoe was used. Also there was an example that applied Trompe-l’oeil that confuses viewers if the model is wearing a hat or a mask. For the changes of scale•location•essence, a mismatch is created by changing the essence of clothes through changing the place of clothes or drawing some shapes and details on the surface of clothes. In fashion, Depaysement technique which changes the top, bottom, front and back of a jacket or a dress is shown as also showing the changes of essence through Trompe-l’oeil that is about drawing solid details flatly on clothes. The accidental meeting showed an illusion caused by the meeting of two objet which have no correlations each other. For example, it feels like music comes out from the fashion props through the meetings between a bag or shoes and score or instrumental prints. The dual images are something in which an image is shown in the form of two other objet, which are mostly based on Trompe-l’oeil technique. For example, a faux fur expressed not only the jacket of the clothes, but also the head of a face painted on the clothes, or a hole on the top part of a bag is directed as goggle-like shape and also a handle when putting the eyes of the model closely. As meaning the juxtaposition of objet that have opposite characteristics to each other, in fashion, the paradox was expressed in the form of Trompe-l’oeil that arouses an illusion in which the person in the clothes looks like being naked. The polarization of concept is that two scenes or conditions are shown in a point of view. In fashion, the juxtaposition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is applied to this. The designs suggested as examples of work applied Trompe-l’oeil technique through which the part of a shirt that seems to be ripped and another untorn part looked like one while the look of the inside and outside was juxtaposed by adhering the print of a chest image in the center of the clothes. Such types of objet use suggested by Gablik(2000) are variously used for surrealism fashion and also provides useful cases for creative design idea generation process. The surrealism fashion cases of each type of objet use in this study have also correlations with the existing design idea generation methods. As design idea generation methods, the checklist method, morphological analysis, brain-storming, KJ method and attribute listing are often used. As the most simple and most widely used one, the checklist method could be applied to any questions to develop various ideas and also brings dual effects through combination with other methods so that it means it is useful. The types of checklist method could be classified into methods of limit, opposition, switch, combination, change, elimination, addition, associations. This means that it has correlation with the types of objet use suggested by Gablik. Among the items of checklist method,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methods of limit/addition and the changes of scale•location•essence, method of opposition and the paradox, method of switch and the isolation, method of combination and the composition/accidental meeting/polarization of concept, methods of elimination/change and the transformation and the method of association and the dual images. The SCAMPER technique which is similar to checklist method can be summarized as substitution, combination, application, modification, expansion, reduction, use for other uses, elimination, rearrangement and doing the opposite which have correlations with the types of objet use. Besides these, the morphological analysis, brain-storming, KJ method and attribute listing are also similar to the types of objet use in the aspect of tools that can produce various creative ideas. The cases of various objet use analyzed in this study will be a useful data for planning creative designs. It is also considered that the types of objet use that have been used for the analysis framework can be used as a useful tool for generating design ideas.

      • 1910년대 동양척식주식회사법 개정안 변천 과정과 그 의미

        방지현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1910년대 동척의 국책이 가지는 실상이 무엇이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동척법 개정안의 변천 과정을 분석한다. 특히 논의 주체를 기업이 아닌 식민권력으로 설정하고 동척의 방향성과 관련한 조선총독부와 일본정부의 내부 논의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일제가 대내외적 조건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필요에 따라 식민지 조선에서의 이윤을 활용하고 있었음을 밝혔다. 19세기 말 열강에게 대한제국의 지배권을 승인받았던 일본은 1908년 3월 한일양국의 법률로 동척을 설립했다. 당초 동척은 농업개발기관으로 규정되었으나, ‘병합’을 기정사실화하게 되자 이민기관의 성격이 강조되었다. 설립 후 사업이 지연되자 일본인의 안정적인 정착을 돕기 위해 1910년 3월 자금공급 강화를 내용으로 하는 개정이 실시되었다. 1910년 8월 ‘병합조약’ 체결 이후 조선총독부는 동화정책과 농업생산력 발달을 기준으로 사업을 재설정하여 식민통치의 안정 및 이윤 추구를 도모했다. 이민은 모범농민의 이식 및 조선인의 동화라는 측면에서 핵심 사업으로 설정되었다. 토지경영은 농업개량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자금공급은 식민지에서의 장기자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특히 자금공급은 그 방법이 법안에 규정되었기 때문에 개정이 필요했다. 조선총독부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개정안을 의회에 제출하려고 했으나 일본 내에서 발생한 다이쇼정변으로 인해 유보되었다. 1913년 일본에서는 정당세력이 기반이 된 야마모토 내각이 성립하여 일본육군이 중심인 조선총독부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정책을 추진했다. 조선총독부는 정치적 입지의 약화에도 불구하고 조선 내 금융문제 해결을 위해 개정안과 자금조달안을 의회에 제출하려고 했다. 법안 제출 시점에 임원 문제가 발생하자 일본정부에서 조선총독의 감독권에 제재를 가하여 위기에 봉착했다. 이것은 시멘스사건으로 인해 야마모토 수상이 퇴진하면서 해소되었다. 당시 의회는 폐회를 앞두고 있었으므로 조선총독부는 개정안은 유보하고 원리금 보증안을 제출하여 가결시켰다. 그러나 1914년 7월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여 외자유입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일본은 제1차 세계대전 참전 이후 중국과 「남만주 및 동부 내몽고에 관한 조약」을 체결하여 경제적 이권을 확장했다. 1916년 2월 조선총독부는 유보된 개정안에 ‘滿蒙’이라는 새로운 변수를 반영하여 내무성을 통해 제국의회에 제출했다. 이때의 법안은 조선을 중심지역으로 두고 만주로의 확장을 통해 ‘鮮滿一體化’를 달성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조선총독의 영업 감독을 강화하고 조선인의 만주 이민과 조선의 자금공급을 중심사업으로 설정했다. 당시 정당세력은 조선총독부가 만주로 진출하는 것을 강하게 경계했다. 이를 인지하고 있었던 조선총독부는 법안 통과를 위해 사업의 최우선 순위를 이민에서 자금 공급으로 변경하고, 감독권도 영업 사항을 제외하고 일본 정부로 귀속시켰다. 동지회를 중심으로 하는 정당세력은 계속된 협상 끝에 영업지역의 간도 한정 등을 최종적인 요구조건으로 제시했고, 결국 조선총독부에서 이를 거절하여 개정이 무산되었다. 1916년 10월 데라우치 내각이 성립하자 법안은 일본본국 내에서 세 차례의 논의를 거친 뒤 의회에 제출되었다. 「1차안」은 1916년안을 원안으로 하면서도 식민통치의 원활한 수행과 제국의 팽창이라는 측면을 고려하여 만주와 남미이민회사의 자금공급 업무를 추가했다. 감독권은 중앙정부로 이관하지만, 조선의 감독은 총독이 행할 수 있도록 했다. 「2차안」에서는 만주의 비중이 높아지고, 남양군도에 대한 위임통치가 전망되자 토지의 매수・관리와 위탁 토지경영(만주) 및 기타 척식을 위한 사업(남양)을 추가로 허용하였다. 본점과 감독권도 도쿄와 일본 정부로 이전하였다. 조선총독부의 의견을 거쳐 완성된 「3차안」에서 쟁점이 된 것은 조선의 자금공급이었다. 일본정부에서는 통치권이 미치지 않는 만주에서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경제적 관계에서 조선과 만주를 통일시킬 필요가 있다고 보고, 그 매개기관으로 동척을 설정했다. 결과적으로 동척은 개정을 통해 “대륙경영”으로 목표를 변경했으나, 식민지에서의 이윤은 여전히 공급받을 수 있도록 조정되었다.

      • 안전한 공공가로를 위한 범죄예방디자인(CPTED)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방지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안전한 공공가로를 위한 범죄예방디자인(CPTED)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것으로, 우리의 삶과 밀접한 공공장소인 가로환경을 안전하게 조성하는 예술 활동을 함으로써 사회적 참여를 증진하고 지역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고등학교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삶의 개선과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예술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통한 사회참여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현대 사회의 문제점 중 하나인 도시의 공공가로에서 발생하는 안전 문제들을 이해하고, 예술을 통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본 프로그램의 내용과 부합한다. 또한, 범죄예방디자인(CPTED)에서 강조하는 이용자 중심의 맥락적인 접근과 지역사회 이해를 통한 통합적 디자인은 안전과 관련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예술적 방안으로써 사회와 자신을 연결하고 공공의 안전을 위한 사회참여까지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체험영역과 표현영역을 연계하여 우리 주변 환경의 사회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는 미술방안을 탐구하고 실천함으로써 사회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제2장에서는 범죄예방디자인(CPTED)의 이해와 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통한 안전한 공공가로 조성의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또한, 현재 고등학교 미술교육에서 안전한 공공가로 교육 현황을 알아보고자 고등학교 미술 관련 교과서 분석과 설문을 하였다. 안전한 공공가로를 위한 범죄예방디자인(CPTED)이 필요한 이유는 안전한 공공가로 조성을 통해 범죄와 범죄두려움 예방할 수 있으며, 미술을 통한 사회참여 방안을 모색 및 실천할 수 있는 경험과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다양한 분야가 접목된 범죄예방디자인(CPTED) 제작을 통해 창의・융합 능력을 함양할 수 있게 된다. 학교 현장 분석 결과, 안전한 공공가로와 지역 연계 체험 수업들의 필요성을 느끼지만, 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활용한 경험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의 체험, 표현 내용에서도 ‘안전한 공공가로’와 관련된 내용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3장에서는 2장을 바탕으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의해 세 가지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자신의 주변 지역사회 환경에서 안전하지 않다고 느끼며 범죄 발생률과 범죄두려움이 높은 공공가로를 선택하였다. 대상지의 문제를 분석하고,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계획 및 제작, 설치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내용의 프로그램으로 ‘가로의 안전을 위한 비상벨 안내판 디자인 프로그램’, ‘가로의 안전을 위한 가로등 디자인 프로그램’, ‘범죄두려움 감소를 위한 로고 라이트 디자인 프로그램’의 세 가지가 있다. 수업 모형은 각 프로그램에 적절한 모형을 선정하였으며, 첫 번째 프로그램엔 ‘디자인 프로세스법’, 두 번째 ‘프로젝트 학습법’, 세 번째 프로그램에서는 ‘반응 중심 학습법’, ‘창의적 문제 해결법’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분석 결과 실제 학습자들이 직접 자신의 주변 문제 환경을 탐색하여 대상지로 선정하고 분석하는 것을 통해 주변 공간의 문제를 파악하며 경각심을 느낄 수 있었다. 4장에서는 안전한 공공가로를 위한 범죄예방디자인(CPTED) 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적용한 후 교육적 효과를 도출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적 효과는 첫째, 지역 환경 개선 활동을 통한 청소년기 안전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둘째, 예술을 활용한 긍정적 범죄예방을 통해 사회적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었다. 셋째, 예술과 타 분야와의 창의・융합 사고력을 증진할 수 있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더욱 교육적으로 유의미하게 활성화하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타 교과와의 융합 수업을 개발하는 것이다. 둘째, 다양한 학습주제와 범죄예방디자인(CPTED) 방안 활용하는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의 협력을 통한 실제 디자인 결과물을 적용하는 것이다. 안전한 공공가로를 위한 범죄예방디자인(CPTED) 프로그램은 공공의 이익을 위한 디자인 교육으로서, 개별화된 현대 사회의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며 만연해 있는 개인주의적인 가치관이 아닌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교육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삶에 적용 가능한 미술교육으로서, 실용적인 디자인을 통해 직접적으로 환경과 사회, 인간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디자인의 결과물을 제시하는 미술수업이 가능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안전한 공공가로를 위한 범죄예방다자인(CPTED)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현대 사회의 물리적⋅정신적 병리 현상을 줄이고 현대의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예술적 방안 연구의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Program for Safe Public Street" as part of art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which is to help students to promote social participation and foster a sense of community by doing art activities that safely create street, a public place close to our lives. The Revised Art Curriculum in 2015 is looking for ways of ar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solve social problems, and emphasizing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them. This with the content of this program, which corresponds understands safety issues on the public street of the city, one of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and seeks solutions through art. In addition, user-centered contextual approaches and integrated designs through community understanding, which are emphasized by Crime Prevention Design (CPTED), can connect themselves with society as an artistic way of solving safety-related social problems and even lead to social participation for public safety. Therefore, we will be able to actively participate in social issues by exploring and practicing an artistic way to identify and solve social problems in our surroundings through the way of linking experience area with expression area. To do this, Chapter 2 described the need to understand Crime Prevention Design (CPTED) and create a safe public street through Crime Prevention Design (CPTED). Also, I analyzed and surveyed textbooks related to art education in high school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on safe public streets in the art curriculum of high school. The reason why Crime Prevention Design (CPTED) is needed for safe public streets is because crime and fear of crime can be prevented by creating a safe public street, and the experience and ability to seek and practice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art is improved. In addition, students will be able to foster creative and convergence skills through Crime Prevention Design (CPTED) classe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school status, they feel the need for safe public streets and classes linked to our surrounding areas, but have less experience in using Crime Prevention Design (CPTED) in their classes.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the textbook lacked contents related to safe public streets. Based on Chapter 2, in Chapter 3, three programs were develop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Revised Art Curriculum in 2015. The program developed chose public streets, which learners felt unsafe, with high crime rates and a high fear of crime in their own local community environment as a process of planning, producing and in stalling a Crime Prevention Design (CPTED) to analyze the problem of the target sites and solve the safety problem. As part of these programs, there are three things: ‘Emergency Bell Notice Board Design Program for the Safety of Streets’, ‘Streetlight Design Program for the Safety of Streets’, ‘Logo Light Design Program for Reducing The Fear Of Crime’. The class model was selected by the appropriate model for each program. The first program was applied with the 'design process method', and the second program was applied with the 'project learning method', and the third one was applied with 'response-based learning method' & 'creative problem solution method'. The results of analysis on program application has shown that real learners were able to identify and be alert to the problems of the surrounding space by exploring the environment of their own surrounding issues, selecting as a target site and analyzing it. In Chapter 4 It was able to draw educational effect and suggest activation measure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Crime Prevention Design (CPTED) program for safe public streets to students. The educational effects: First, it was able to recognize the need for safety in adolescence through activities to improve the local environment. Second, through the positive crime prevention using art, social participation could be promoted. Third, it was able to promote the ability to think about creativity and convergence between art and other fields. Measures to activate these programs more educationally and meaningfully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it is to develop convergent classes with other subjects. Second, it is to utilize CPTED (Crime Prevention Design) methods for various learning topics. Third, it is to apply actual design outcomes through community cooperation. The Crime Prevention Design (CPTED) Program for Safe Public Street is a design education for the public interest that can identify problems in individualized modern societies, propose solutions, and educat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living together, not pervasive individualistic value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art education applicable to real life can provide art classes that directly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social and human characteristics and present the results of design accordingly through practical design.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is CPTED program for safe public streets, we hope that it will help reduce the physical and mental pathological phenomena of modern society and help the development of the study of artistic ways to solve modern diverse social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