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임진왜란 극복과 온양방씨의 역할에 관한 고찰

        방성석(Bang Seong Seok)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6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5

        This writing is a paper which considered the role and contribution of the figures from the Bangs of Onyang who took the lead in national salvation with their patriotism when the Joseon Dynasty was faced with the crisis of a fall due to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Nagan governor Bang, Deok-ryong, and Gungwanbujang Bang, Eung-won were the heroes of the naval forces of the Joseon Dynasty who were killed in action at the naval battle at Noryang, together with the commander of Navy Headquarters of Three Provinces, Yi, Sun-sin. Bang, jin(Yi,Sun-shin’s father-in-law)worked as Boseong governor became a hero of national salvation by leading a young man named Yi, Sun-sin to the career of a military officer and directing Yi, Sun-sin’s martial arts, so Bang, Jin was the very man of highest merit in saving the country. The intelligent wife of Yi, Sun-sin, Ma’am Bang was Jeonggyeongbuin(a title of nobility) who assisted Yi, Sun-sin with her bright wisdom and honest womanly virtues. Like this, there existed the role of many Bangs of Onyang who contributed to the defeat of Japanese invaders, and conquest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directly and indirectly. On April 13, 1592, the Japanese troops attacked the coastal water of Jeolyeong-do Island. In the year of Imjin(Dragon), the Japanese invaders started war, so it is called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Japan’s invasion of the Joseon Dynasty was derived from Toyotomi Hideyosi’s absurd ambition of using Joseon as a bridgehead in a bid to conquer the Ming Dynasty. Accordingly,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s an international war in Northeast Asia, in which Joseon, Japan and Ming engaged in warfare. However, there were only the losers with no winner in this war. If so, isn’t there truly a winner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No! There was only one person-Chungmugong Yi, Sun-sin. There existed the command ability of the controlling commander, Yi, Sun-sin of the naval forces of Joseon, who controlled the up-and-down organization of the naval forces of Joseon consistently, and the tactical ability of the controlling commander Yi, Sun-sin, which was shown to the commanders of Japan and Ming state in every naval battle. The volition for complete victory of the Japanese troops, which got successive defeats by Josen naval forces, was thoroughly collapsed; consequently, Joseon’s fate, which was hanging by a thread, was able to restore from death. No matter who may say, the only winner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s the hero of national salvation, Chungmugong Yi, Sun-sin. The fact that the history of the parties involved in the international war between Joseon, Japan and Ming state commonly records Chungmugong Yi,Sun-shin as a hero of victory is the very evidence. If so, is a hero truly self-achieved? There were the well-known assistants, and also cooperators who didn’t get the limelight. For example, there were high-ranking officials who helped and trusted Yi, Sun-sin, and subordinates who trusted and followed Yi, Sun-sin as well as the people who relied on Yi, Sun-sin. Among others, there were the relatives of Yis of Deoksu who shared blood with Yi, Sun-sin, and wife’s relatives of the Bangs of Onyang who tied blood with Yi, Sun-sin. The reason for not overlooking their sacrifices and sincere loyalty is that the sacrifice given unconditionally, and love given unsparingly can be displayed more powerfully when the givers are only the family members. That’s why the very patriotism displayed by the meritorious retainers of Yi, Sun-sin’s wife’s relatives from the Bangs of Onyong for saving the country can be said to be a vital role in, and contribution to the conquest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lso, that’s why this paper consider Nagan governor Bang, Deok-ryong, his great-grandfather Bang, Ryun, his grandfather Bang, Ho-ui, Boseong governor Bang, Jin who was Yi, Sun-sin’s father-in-law, and his only daughter and 이 글은 1592년 임진왜란으로 조선이 패망의 위기를 당했을 때 우국충정으로 구국에 앞장섰던 온양방씨 인물들의 역할과 기여를 고찰한 논문이다. 낙안군수 방덕룡과 군관부장 방응원은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과 함께 노량해전에서 전사했던 조선수군의 영웅이다. 보성군수를 지낸 장인 방진은 청년 이순신을 무인의 길로 인도하고 무예를 지도함으로써 구국의 영웅이 되었으니 곧 구국의 원훈이었다. 총명했던 아내 방씨부인은 영민한 지혜와 올곧은 부덕으로 충무공 이순신을 내조했던 정경부인이었다. 이와 같이 왜적을 물리치고 임진왜란을 극복하는데 직간접적으로 기여한 많은 온양방씨들의 역할이 있었다. 1592년 4월 13일 일본군이 부산 절영도 앞바다에 쳐들어왔다. 임진년에 왜적들이 전란을 일으켰으니 임진왜란이다. 일본의 조선 침략은 명나라를 정복하기 위해 조선을 교두보로 삼겠다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허황된 야욕에서 비롯됐다. 따라서 임진왜란은 조ㆍ일ㆍ명 3국이 함께 싸웠던 동북아시아 국제전쟁이었다. 하지만 이 전쟁은 모두가 패자일 뿐 승자는 없었다. 그렇다면 과연 임진왜란에서 승자는 없었는가, 오직 한 사람 충무공 이순신이 있었다. 조선수군의 상하조직을 일사불란하게 통솔했던 통제사 이순신의 지휘능력이 있었고, 일본과 명나라 장수들에게 해전마다 보여줬던 통제사 이순신의 전술능력이 있었다. 조선수군에게 연전연패 당했던 일본군의 전승의지는 철저히 붕괴되고 말았으니 풍전등화 같았던 조선의 운명은 기사회생할 수 있었다. 누가 뭐라 해도 임진왜란의 유일한 승자는 구국의 영웅 충무공 이순신이다. 조ㆍ일ㆍ명 국제전쟁 당사자였던 한국, 일본, 중국, 3국의 역사가 공히 충무공 이순신을 승리의 영웅으로 기록하고 있는 사실이 곧 그 증명이다. 그렇다면 과연 영웅은 혼자 이루어지는 것인가, 거기엔 잘 알려진 조력자들도 있었고 조명 받지 못한 협력자들도 있었다. 예컨대 도와주고 믿었던 대신들이 있었고 신뢰하고 따랐던 부하들이 있었고 의지하고 기댔던 백성들이 있었다. 무엇보다 피를 나눈 덕수이씨 친족들과 피를 합친 온양방씨 처족들이 있었다. 이들의 희생과 충정을 간과할 수 없는 이유는 조건 없이 주는 희생과 아낌없이 주는 사랑은 오직 가족일 때 더욱 강력하게 발휘되기 때문이다. 이순신의 처가 온양방씨 구국공신들의 우국충정이야말로 임진왜란 극복에 중요한 역할과 기여라고 할 수 있는 이유이다. 그동안 상대적으로 부각되지 않은 온양방씨 인물 중 낙안군수 방덕룡과 그의 증조부 방륜 조부 방호의, 이순신의 장인이었던 보성군수 방진과 그의 외동딸로 충무공의 아내였던 정경부인 온양방씨, 이순신의 군관부장이었던 방응원과 휘하부장이었던 목포만호 방수경, 옥포만호 방승경 등을 고찰하게 되는 이유이다.

      • CEO가 배우는 이순신의 위기경영 노하우

        방성석(Bang Seong Seok)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3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0

        경영자의 시각으로 바라본 이순신은 위대한 장군이자 성웅일 뿐 아니라 탁월한 경영자였다. 임진전쟁이라는 국가패망의 위기를 스스로의 힘으로 극복해낸 위기경영자였다. 이는 이순신이 자신의 기록으로 남겼던 난중일기를 중심으로 조선왕조실록, 이충무공전서, 징비록 등 직간접사료들을 살펴보고 분석한 필자의 소견이다. 이순신이 백전백승 싸우는 전투마다 이길 수 있었던 비결을 감히 이 시대의 경영자들과 비견하여 공통분모를 찾으려 노력했던 결과였다. 무력전쟁이든 경제전쟁이든 그 전쟁을 수행하는 최고지휘관의 전술전략 즉 최고경영자의 경영전략에 따라 승패가 가름난다. 물론 상황적, 환경적 요인에 따라 승패의 요인을 가릴 수 있겠지만 그 어떤 이유로도 전쟁에 나서서 패해서는 안 되는 일이다. 무력전쟁의 패배는 국가를 패망의 길로 몰아넣는 것이고, 경제전쟁의 패배는 국민경제를 절망의 늪으로 빠뜨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쟁이란 반드시 싸워서 이길 수 있는 위기전략이 필요하다. 즉 위기를 예측하고 대비하고 극복하는 위기경영이다. 우리는 이순신이 극복해낸 임진전쟁에서 위기경영을 배울 수 있다. 경영자의 소견으로 분석해본 8가지 위기경영의 모습이다. 1)역사의 승자는 기록을 남긴 사람이었던 기록경영 2)창조적 사고, 혁신적의지, 기술적 융합으로 살기위해 창조했던 창조경영 3)맨땅에 헤딩하기로 기대지 않고 스스로 홀로 섰던 자립경영 4)사람이 자산이니 위기일수록 사람을 믿고 자신만의 인맥지도를 그렸던 인맥경영 5)상대를 알고 나를 알고 싸우니 이겨놓고 싸웠던 정보경영 6)소통하는 장수는 승리하고 불통하는 장수는 패배하니 문턱을 낮추어 언로를 개방했던 소통경영 7)원칙을 지키는 리더라야 신뢰를 얻으니 길이 아니면 가지 않았던 원칙경영 8)오직 겸손과 사랑만이 모든 것을 정복할 수 있었던 사랑경영이다. 과연 오늘의 CEO가 배워야할 위기경영의 모습이다.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한 후에 결과를 기다리는 모습(盡人事待天命), 하면 된다는 신념으로 끊임없이 도전하는 모습(必死則生 必生則死), 할 수 있다는 긍정의 마인드로 무장된 모습(一夫當逕 足懼千夫) 등이 바로 나라가 망하는 위기를 극복해낸 위대한 CEO 이순신의 위기경영이었다. 이 시대의 CEO들이 반드시 배워야할 위기경영이다. In view of the management, Yi Sun-sin was an excellent CEO as well as a great admiral and hero. He was a CEO in crisis when he overcame for himself the fall of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Imjin war(the Japanese invasion). This is an opinion of the writer, as a result of analyzing & studying historical materials directly & indirectly such as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Yi Chungmugong Jeonseo’, ‘Jingbirok’ etc by focusing on the War Diary, ‘Nanjung Ilgi’ written by himself. It was the result of hard work to find out a common denominator comparable to CEOs in this age with the secret of Yi Sun-sin who could be unbeaten in every battle. Whether it’s a war by force or an economic war, the victory depends on tactical strategies of the supreme commander, that is,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CEO, conducting the war. Of course, even though the victory can be decided depending on situational, environmental factors, never is any war lost by any reason. Because the country is driven into its collapse if defeating in the war by force, and the national economy is sunk into an abyss of despair if defeating in the economic war. Therefore, a crisis strategy is required to win a war without fail. In other words, it’s the crisis management to predict, prepare and overcome the crisis. The crisis management can be learned in the Imjin war overcome by Yi Sun-sin. 8 features of the crisis management analyzed in the opinion of the management are as follows. 1)record management that winners were recorded in history 2)creative management created to survive with creative thought, innovative will, technical fusion 3)independent management to be self-reliance with absolutely nothing not to depend on 4)personal connections management that one’s own map of personal connections was drawn with trust in people considering people as the most important asset whenever there was a crisis 5)information management that every battle was won if one’s opponent & oneself were known 6)communication management to communicate freely without limitations as a communicating commander wins and a non-communicating one loses the war 7)principles management that only leaders who followed principles obtained trust by going their own ways not another ones 8)Love management that only humility & love could dominate all. Indeed, these are features of the crisis management today’s CEO should learn. The feature to wait a result after doing one’s best(盡人事待天命), the feature to challenge constantly with a firm conviction of being achieved if one tries(必死則生 必生則死), the feature prepared with a positive spirit that all can be done (一夫當逕 足懼千夫) were the crisis management of a great CEO, Yi Sun-sin, who overcame in crisis when the country was being fallen. It’s the crisis management that CEOs must absolutely learn in this age.

      • 이순신을 구원한 정탁의 신구차에 관한 연구

        방성석(Bang Seong Seok)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5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4

        This paper considered the true nature of CINGOOCHA(伸救箚)[My dignified king, please look over his innocence!] included in Book 12 and Supplement 4 of 『A Compendium of Admiral Yi, Sun-sin』 Due to ‘Jeongyu Re-Invasion’ in 1597, Yi, Sun-sin was driven in the crisis of death. Triggered by the alienating subterfuge of a Japanese spy named Yosira who was persuaded by Konish Yukinga, Yi, Sun-sin got dismissed from the post of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naval forces of Three Provinces, and was held in custody at Uigeumbu (the present judiciary authority); what made the matters worse, King Seonjo order Uigeumbu to kill Yi, Sun-sin. Fortunately, Yi, Sun-sin barely escaped the death penalty and came forward to fight in the war with his official post divested. It was the very Jeong Tak’s appeal to the king known as CINGOOCHA that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at this time. Accordingly, CINGOOCHA played a very decisive role in putting an end to Jeongyu Re-invasion and Imjin Battle. In short, by virtue of the mitigation of sentence that helped Yi, Sun-sin to escape a death penalty, it was possible to rebuild the completely annihilated Joseon naval forces at the Battle of Chilcheonryang, and to lead the Battle of Myeongryang into victory, which deterred the Japanese troops from moving north. After all, Japan had no choice but to retreat with the Battle of Noryang as the end. What carries such an important meaning was the very Jeong, Tak’s CINGOOCHA. This study, in an effort to inquire into what the true nature of CINGOOCHA really is, arranged 『King Seonjo Chronicles』 and 『King Seonjo Modified Chronicles』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around Jeong, Tak’s 『Yakpojip』(Collection of poetry and pros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INGOOCHA included in 『A Compendium of Admiral Yi, Sun-Sin』 was not actually an appeal to the king. In other words, CINGOOCHA recorded in 『A Compendium of Admiral Yi, Sun-sin』 was prepared by Jeong, Tak, but it was an appeal titled ‘NonguYiSunsincha(論救李舜臣箚)’ which wasn’t presented to the king; the actual appeal to the king, which saved Yi, Sun-sin’s life by clearly proving Yi, Sun-sin’s innocence was ‘Yisunsinoksaui(李舜臣獄事議).’ In addition, the public post of Jeong, Tak, who presented an appeal to the king at that time, was Haengjijungchubusa(行知中樞府事) other than Wouijeong(the present second vice prime minister)recorded in 『A Compendium of Admiral Yi, Sun-sin』 or Panjungchubusa recorded in other historical materials. What made this researcher come to have concern for this part was due to the unanswered questions I had while publishing Yi, Sun-sin’s two books all the while-one was ‘Why did he save Yi, Sun-sin’s life at the risk of his life?’, and the other was ‘How was the inner world of the figure named Jeong, Tak?’, etc. The true key to such questions was in 『Yakpojip』 and 『The Chronicles of the Joseon Dynasty』. Jeong, Tak was a humanist who put much emphasis on human worth, human life dignity, and a talented individual’s capability. Even when judging a criminal, Jeong, Tak had humanism placing human worth above others by looking into the criminal’s circumstances like ‘Isn’t this person falsely charged?’ or ‘Isn’t this person suffering disadvantages because he is an underdog?’ Jeong, Tak endeavored to save life of Kim, Deok-ryeong, and Hwang, Hyeok, let alone Yi, Sun-sin because he thought much of the dignity of human lives; furthermore, Jeong, Tak was the person who put serving leadership into practice through his life of exhaustive humility without putting himself up as a talented individual while supporting and defending competent talented individuals including Yi, Sun-sin. Indeed, by virtue of the existence of Jeong, Tak’s ‘Yisunsinoksaui(李舜臣獄事議), Yi, Sun-sin escaped from being killed; the naval forces were re-constructed, and it was possible to save a country; overall, ‘Yisunsinoksaui(李舜臣獄事議)’ was a truly country-saving appe 이 논문은 『이충무공전서』권12 부록4에 수록된 신구차(伸救箚)의 실체를 연구한 내용이다. 1597년 정유재란으로 이순신이 죽음의 위기에 몰렸다. 고니시 유키나가의 사주를 받은 일본인 첩자 요시라의 반간계로 이순신이 삼도수군통제사에서 파직되어 의금부에 구금되었고 임금은 이순신을 죽이라고 하였다. 이순신은 간신히 사형을 면하고 백의종군에 나서게 되는데 이때 결정적 역할을 한 것이 바로 신구차로 알려진 정탁의 상소문이다. 따라서 신구차는 정유재란을 끝내고 임진전쟁을 종식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 상소문이었다. 즉 이순신이 죽임을 면하는 감사(減死)가 있었기에 칠천량 해전에서 완전히 궤멸당한 조선수군을 재건할 수 있었고, 명량해전을 승리로 이끌 수 있었기에 일본군의 북상을 저지할 수 있었고, 결국 일본은 노량해전을 끝으로 물러갈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중요한 의미를 지닌 상소문이 바로 정탁의 신구차였다. 이 연구는 과연 신구차의 실체가 무엇인지, 정탁의 문집 『약포집』을 중심으로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을 연계하여 정리한 것이다. 그 결과 『이충무공전서』에 수록된 신구차는 실제로 정탁이 임금에게 올렸던 상소문이 아니었다. 즉 『이충무공전서』에 수록된 신구차(伸救箚)는 정탁이 작성은 했지만 임금에게 올리지 않은 상소문 ‘논구이순신차(論救李舜臣箚)’였고, 실제로 임금에게 올려서 감사(減死)를 받은 상소문은 ‘이순신옥사의(李舜臣獄事議)’였다. 또한 당시 상소문을 올렸던 정탁의 관직도 『이충무공전서』에 기록된 우의정이나 기타 사료에 기록된 판중추부사가 아니라 행지중추부사(行知中樞府事)였다. 연구자가 이 부분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것은 그동안 두 권의 이순신 저서를 출간하면서 가졌던 풀리지 않는 의문 때문이었다. 과연 정탁이 목숨을 걸고 이순신 구원에 나선 이유가 무엇인지, 정탁이란 인물의 사람됨은 어떠했는지 등이었다. 『약포집』과 『조선왕조실록』에 그 해답이 있었다. 정탁은 인간의 가치, 인명의 존엄, 인재의 역량을 중시했던 휴머니스트였다. 죄인을 심판할 때도 혹시 거기에 억울함은 없는지, 혹여 약자이기에 불이익을 당하지는 않는지, 그 정황을 살펴서 인간의 가치를 우선하는 휴머니즘이 있었다. 인명의 존엄을 중시하여 이순신뿐만 아니라 김덕령, 황혁 등을 구명하려 노력했고, 이순신을 비롯한 역량 있는 인재를 옹호하고 변호하며 정작 자신은 인재로 내세우지 않았던 그야말로 겸공의 삶으로 섬김의 리더십을 실천한 정탁이었다. 과연 정탁의 ‘이순신옥사의(李舜臣獄事議)’가 있었기에 이순신은 죽임을 면하고 수군을 재건하고 나라를 구해낼 수 있었으니 참으로 구국의 상소문이었다.

      • 임진전쟁 중 선조·원균·이순신의 분노(憤怒)에 관한 연구

        방성석(Bang, Seong-seok)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0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2

        The current study is on the impact of accountable leaders’ anger during the Imjin War (1592-1598) on the outcome of the war. The anger of Seonjo, the king, and Won Gyun, the commander, brought about the great defeat of the Battle of Chilcheollyang and the destruction of the Navy, which created tragedies during the war, in turn. Admiral Yi Sun-sin was the one who suffered the most from this anger. This is because of the vicious cycle of conflict, mistrust, hate, and anger generated among King Seonjo, ministers of the court, and generals. The current study classifies and investigates the internal conflicts and anger that exacerbated the turmoil of Yi Sun-sin, who was already struggling to fight the Japanese forces. First, about the anger of King Seonjo. King Seonjo ordered the death of Yi Sun-sin for: One, the crime of deceiving the court and ignoring the king; two, the crime of not chasing down the enemy and betraying the country; three, stealing the contributions of others and slandering them to display villainy. The first and third crimes, however, were not serious enough to kill a meritorious general during wartime. The king should have carefully considered the facts to make decisions. The second crime, therefore, was at the core of the three crimes. This crime, however, was also a misjudgment from anger caused by enemy plots and conflicts among political parties. It was not for Yi Sun-sin s betrayal and disloyalty to his country. Second, for Won Gyun’s anger. Won Gyun, the Commander of the Gyeongsang Right Navy, was much more senior than Yi Sun-sin. He was older, passed the civil servant examination earlier, and had a larger force. When he displayed inferior service results compared to Yi, overlooked in the promotion to the Admiral of the Three Provinces position, and pushed back to the position of Chungcheong Provincial Commander. The anger of Won Gyun exploded regardless of the time and place. It was natural that the pride of Won Gyun had been hurt. The cause of this anger, however, was the decision of the wartime ministers based on the merits, service history, and personal traits of Won Gyun. It was not intended by Yi Sun-sin, nor was he responsible for that. Won should not have hated Yi or become angry about him. Next is the anger of Yi Sun-sin. Strictly speaking, it was the controlled anger of the admiral. Yi’s anger was caused by the anger of King Seonjo and Won Gyun. Yi Sun-sin had not shown anger first. He did not display his anger. This is because he was disciplined in his anger. Rather, he practiced self-examination to reflect upon his character and self-acceptance to find answers from himself. King Seonjo, who showed immense anger according to history, was an irresponsible sovereign, and Won Gyun, who showed fierce anger, was an incompetent general who was defeated. On the other hand, Yi Sun-sin, who controlled his anger, is seen as a hero who saved his country. In the unprecedented history of war, everyone naturally has faults and contributions. Just because Seonjo is considered to have been a cowardly king, his legitimate ruling authority should not be downplayed. Just because Won Gyun is a defeated general, his valid command authority should not be disparaged. Just because Yi Sun-sin lauded as a victorious general, he should not be overrated by making him into an unfound hero. This is why we take a look at the realistic truth and circumstantial facts. Understanding how the anger of accountable leaders impact the preservation and fall of a country, as well as its future, in addition to considering how today s leaders should control and manage anger, should be derived from this history to reflect upon. 이 논문은 임진전쟁 중(1592~1598) 책임 있는 지도자들의 분노(憤怒, anger)가 전쟁 승패에 끼친 영향을 연구한 것이다. 국왕 선조의 분노와 지휘관 원균의 분노가 칠천량해전의 대패와 수군 궤멸을 불러왔고, 전쟁의 흐름을 비극적으로 바꿔놨기 때문이다. 이 와중에 가장 힘들었던 건 통제사 이순신이었다. 국왕 선조와 조정 대신 그리고 동료 장수들 간에 갈등-불신-증오-분노의 악순환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일본군과 싸우기도 힘든 이순신을 더욱 힘들게 했던 내부의 갈등과 분노를 주체별로 나누어 살펴본다. 먼저 선조의 이순신에 대한 분노이다. 선조가 이순신을 죽이라며 비망기를 내렸던 죄상은 첫째, 조정을 속인 것은 임금을 무시한 죄, 둘째, 적을 놓아주어 치지 않은 것은 나라를 저버린 죄, 셋째, 남의 공을 가로채 남을 무함하기까지 하며 방자하지 않음이 없는 것은 기탄함이 없는 죄였다. 그러나 첫째와 셋째의 죄상은 전쟁 중에 공로 많은 장수를 죽여야 할만큼의 중죄가 아니었다. 신중하게 사실을 확인해서 처리할 일이었다. 둘째의 죄상이 세 가지 죄상 중 가장 핵심이었다. 그러나 이 죄상 역시 적장의 간계와 당파 간 이견에 의한 분노의 오판이었지 이순신이 나라를 저버린 불충은 아니었다. 다음은 원균의 이순신에 대한 분노이다. 경상우수사 원균은 이순신보다 대선배였다. 나이도 많았고 급제도 빨랐고 군영도 컸었다. 그런 원균이 이순신에게 전공에서 밀리고, 삼도수군통제사 승진에서 밀리고, 충청병사로 좌천되면서 밀렸다. 원균의 분노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폭발했다. 원균의 자존감이 훼손된 건 인지상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원균 자신의 전공·고과·성향에 따른 비변사의 판단이었다. 이순신이 의도한 일도 책임질 일도 아니었다. 이순신을 증오하고 분노할 일은 더욱 아니었다. 그리고 이순신의 선조와 원균에 대한 분노이다. 엄밀히 말해서 이순신의 절제하는 분노이다. 이순신의 분노는 선조의 분노와 원균의 분노에서 비롯됐다고 볼 수 있다. 이순신이 스스로 먼저 분노한 일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순신은 분노를 드러내지 않았다. 분노를 절제했기 때문이다. 오히려 자신을 돌아보는 자기성찰(自己省察 self examination)이었고, 자신에게서 해결책을 찾는 자기수용(自己受容 self acception)이었다. 역사적으로 무섭게 성을 냈던 선조는 무책임한 국왕으로, 사납게 화를 냈던 원균은 무능한 패장으로, 분노를 절제했던 이순신은 구국의 명장으로 평가되고 있다. 미증유의 전쟁사에 누구나 공과는 있게 마련이다. 선조가 겁왕의 평가를 받는다고 해서 정당한 통수권이 폄훼되어서는 안 된다. 원균이 패장의 멍에를 썼다고 해서 타당한 지휘권이 비하되어서도 안 된다. 이순신이 승장의 평가를 받는다고 해서 부당한 영웅화로 과장되어서도 안 된다. 실체적 진실과 정황적 사실을 살펴보는 이유이다. 책임 있는 지도자의 분노가 국가의 존망과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오늘의 리더들이 어떻게 분노를 관리하고 절제해야 할지,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역사이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