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딕토글로스(Dictogloss)를 활용한 기능 통합 수업 방안 연구

        방동수 택민국학연구원 2016 국학연구론총 Vol.0 No.17

        An integrated skills teaching is magnified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focuses more on communications. This shows that developing language skills involve many functions interact together not only one piece in one particular area. Therefore, the integrated skills teaching becomes one of essential functions that develop these interactions. This is not an exception for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this paper, combined and necessary language interaction skills were looked and suggested by using Dictogloss. The projected method for applying Dictogloss in teaching areas is followed. Listening and Writing are taught by using Dictogloss. Reading becomes the next step after using the previous Listing part. Then, the Reading leads to Speaking. The above projected method can be done because as one of functions in Dictogloss, it works well with different learning steps, methods and can be modified accordingly. More effective teaching plan can be applied if there are enough interests and participations from language learners. This methods have not been used directly on language learners which limits this paper as one of teaching methods projects. This projected plan can be applied to Korean language learners. More research can be done on how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have improved in understanding the Korean language, and how this projected teaching method effects the ability on learning.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의사소통중심 교육이 확산, 발전되면서 기능 통합 수업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는 인간의 언어 기능은 한 가지 기능만으로 발전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기능들이 유기적으로 얽히면서 발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외국어 교육에서 각 기능의 발전을 위한 통합 수업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딕토글로스를 활용하여 각 영역을 통합하는 수업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수업 방안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딕토글로스를 활용하여 듣기와 쓰기 영역에 대한 지도를 한다. 그 다음, ‘들은 후 과정’을 바탕으로 ‘읽기 활동’을 실시 한다. 그런 다음, 이 ‘읽은 후 활동’을 다시 ‘말하기 활동’으로 연계하여 수업 과정을 구성한다. 딕토글로스의 특성상 각 영역과의 연계가 자유롭고 여러 활동에 다양하게 쓰일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수업 구성은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또한 각 단계에 맞게 활동을 구성하고 학습자들의 스키마를 활성화 시켜 참여도와 흥미를 높인다면 보다 더 효과적인 수업 설계도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고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직접 수업을 진행하지는 못했고, 그 수업 방안만을 제시한 한계점을 가진다. 앞으로 위에서 제시한 수업 방안을 실제 수업에서 활용해 보고, 이 활동 후 학습자들의 한국어에 대한 이해력과 한국어 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그것이 향상 되었는지에 대해 보다 심도 깊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金申夫婦傳>과 <東廂記>의 형성과정과 특징 비교

        방동수 택민국학연구원 2013 국학연구론총 Vol.0 No.12

        Both <KimSin Bubu Jeon(金申夫婦傳)> and <DongSang Gi (東廂記)> were written based on a true story under King Jeong-Jo era in Chosun Dynas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wo works were written with different features and styles, and what significances these differences mean to each work. These two works share in common that they were written base on the same true story which is to praise the King Jeong-Jo for his new marriage policy for people of Chosun who were having hard time to get married due to poverty. However, these two works are different in their genre and express with different composed format. One of distinguished features is that one is written as a biography and the other is written as a play. <KimSin Bubu Jeon(金申夫婦傳)> used plain language that people used at that time, where <DongSang Gi(東廂記)> used unusual styles which was not commonly found at that time. In addition, each work’s descriptions on geographical locations, charters’ social position, and the problem with breaking off marriages are different. All of these distinguished differences can be explained by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of these two pieces of work were created. In this paper, <KimSin Bubu Jeon(金申夫婦傳)> and <DongSang Gi(東廂記)> were looked thoroughly and analyzed by their significant differences even though these two pieces of work are based on the same true story. 본 연구는 정조 때 실제로 있었던 동일한 사건을 기반으로 창작된 <金申夫婦傳>과 <東廂記>의 형성과정과 그 특징들을 살펴보고, 그것이 갖는 작품 안팎의 의미들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두 작품은 같은 사건을 소재로 형성되었고, 가난 때문에 늦도록 혼인하지 못한 백성들을 위해 베풀어진 조정의 助婚政策과 은혜를 베푼 임금의 자애로운 聖德을 찬양하는 것에서 그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이 두 작품은 서로 다른 장르와 구성을 통해 표현되었고 이는 당시의 사회․정치적 상황과 더불어 몇 가지의 두드러진 차이점을 나타내었다. 먼저 두 작품은 일차적으로 傳과 戱曲이라는 갈래에 따른 차이점을 지닌다. 그리고 서술 문체에 있어서도 <金申夫婦傳>이 고문에 반하지 않는 평이한 문체인 것에 비해 <東廂記>는 한문이 사용되었으나 전통 문체로만은 보기가 어려운 다양한 방법들이 구사되어 있다. 또한 작품 세부적인 내용과 구조에 있어서도 지명, 등장 인물의 신분과 그 역할, 파혼 문제 등의 여러 가지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이 글은 두 작품 간의 차이점을 다각도로 살펴보고 그에 따른 작품의 의미를 밝혀보고자 했다.

      • KCI등재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전망 - 노스 캐롤라이나 대학을 중심으로 -

        방동수 택민국학연구원 2019 국학연구론총 Vol.0 No.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issues, situations and problems based on the experience of teaching Korean language at the university level in the United States. This analysis will help search for some improvements in Korean Language Programs. There are a few factors indicating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US has become a necessity. These include the surge of the Korean population in the Unites States, the rapid increase of Korean national power,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Korean language programs, culture, globalization policy, and the strategic importance of Korea militarily. Starting about a decade ago,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education has been rising rapidly in the US. The way Korean language courses are being taught in the US can be divided into four main categories: weekend Korean language schools for Korean children, bilingual education in public school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olleg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vocational language training. Among thes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ollege is the only one which is comparatively systematic. However, the integration of heritage and non-heritage students, textbooks being focused on language learning only, the lack of standardized Korean teachers education, an imbalance in teaching methods related to grammar education, and the lack of diversity in the field are just a few of the major obstacles. With these factors in mind, the overall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was examined, and then studied in more detail using the Korean Language program at a university in the Unites States. In addition, Korean language educators in the United States, the Korean government, Korean studies educators and scholars in Korea should be actively involved to solve problems. In this way, a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at meets global standards can be developed and settled. 본고에서는 미국 대학에서 한국어를 강의한 경험을 토대로 한국어 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본 후, 그것을 분석하고 개선책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전반적인 상황에 대하여 살펴본 후 미국 대학에서의 한국어 교육, 그 중에서도 노스 캐롤라이나 대학 채플힐 본교(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이하 UNC라 칭하기로 한다. 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과정은 크게 교포 어린이들을 위한 주말 한글학교 과정, 공립학교 내에서의 이중 언어 교육, 대학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직업적 언어 훈련으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대학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비교적 체계가 잡혀있는 편에 속하지만 여러 가지 당면 과제들을 안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국제 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한국학과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또한 고조되고 있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의 성패는 다른 외국어 교육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더 많은 학생들이 더 큰 의욕과 동기를 가지고 한국어 교육을 받게 하는 데 달려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앞에서 다루었던 문제점들을 적극적으로 개선하고, 보다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 과정을 개발하여 한국어 교육이 해외에서도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쓰기에 나타나는 한자어 오류 분석

        방동수 택민국학연구원 2014 국학연구론총 Vol.0 No.14

        It is obvious that many Korean words are originated from Sino-Korean words or rooted from them. Many non-heritage Korean language learners feel that it is hard for them to learn Sino-Korean words. This is not exception for advanced Chinese inherited Korean language learners. Chinese inherited learners definitely have some advantages over other non-Chinese heritage learners learning Korean language, especially at advanced level, because of similarity in the shape of characters and pronunciations between some Sino-Korean letters and Chinese characters. However, it is very common to see that even those Chinese learners get confused with Sino-Korean letters because Korean words are not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here are more Sino-Korean words to learn as their Korean language level advance. Thus, it is necessary for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to have proper writing skills by using the right Sino-Korean vocabularies to further their Korean skills. In this research, common Sino-Korean mistakes and errors found in Chinese inherited learners were analyzed. Also, teaching methods for those learners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earch. Hopefully this paper can direct or give some ideas to many Korean language educators how they should guide their advanced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한국어 어휘 중 상당량의 어휘는 한자어임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따라서 많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자어 학습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는 한자를 사용하는 중국인 학습자들에게도 예외일 수 없다. 물론 중국인 학습자의 경우 다른 외국인 학습자들보다 한자어 학습에 있어서 유리한 측면이 많다. 이는 자형과 발음의 유사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모국어의 간섭과 같은 부정적인 전이로 인해 중국인 학습자의 경우도 한자어 사용에 있어서 빈번한 오류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한국어를 학습할 때 고급 단계로 갈수록 한자어의 출현 빈도나 사용빈도가 높아진다. 그렇기 때문에 고급 단계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바로 ‘올바른 어휘 사용을 통한 쓰기 능력의 배양’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고급 학습자들의 쓰기에 나타나는 한자어 오류를 분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여 고급 학습자들의 한자어 교육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설정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김지원과 송상옥 소설에 나타난 ‘공간’과 그 의미

        방동수 ( Hill Dongsoo Bang ) 택민국학연구원 2018 국학연구론총 Vol.0 No.21

        미주 지역의 한국 문학 작품 활동은 크게 그 사용 언어에 따라 한글 창작을 중심으로 한 문인 단체의 활동과 영어 창작을 중심으로 한 문인들의 활동,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영어로 된 미주 지역 한인 소설의 경우, 미국 문단에서도 소수 문학 작품으로 인정을 받으며 그 입지를 확장해 나갔다. 또한 국내의 영문학자들은 이들을 ‘한국계 미국 작가 (Korean-American Writer)’로 분류하고 그들 작품에 대한 연구도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하였다. 이에 반해 한국어로 된 작품의 경우, 미국 현지 한국 신문사 지사 주관의 신춘문예나 자체 등단 절차를 거쳐 등단한 ‘재미 작가(Korean Writer in America)’들이 중심이 되어 문단을 이루고 작품 활동을 전개했으나 한국 문학의 변방에만 위치하고 있었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한인문인협회 등이 결성되고 문예지가 창간되면서 한국어로 된 한인 소설도 번영기를 이루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1980년대 미주 지역 한인 소설 중 김지원의 <사랑의 예감(1997)>과 송상옥의 <광화문과 햄버거와 파피꽃(1996)>을 중심으로 이 작품들 속에 나타난 공간과 그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두 작품의 공통된 배경이 된 미국과 한국이라는 두 개의 공간과, 이 안에서 서로 다른 언어와 문화의 충돌과 갈등이 전개되는 양상을 살펴봄과 동시에 이민자로서의 정체성과 그 변화 양상, 그리고 작품 속에 나타난 공간적 혼종성도 함께 연구하였다. 그리하여 이를 통해 미주 지역 한인 소설이 갖는 한국 문학으로서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함께 논하였다. It has been more than a hundred years since Korean immigrants came to the United States. With this long history of Korean immigration, Korean writers have been very active within “USA”. Many of these novels which were written by Korean-American writers have been recognized as the literature of minority in the US. These novels were also, recognized in Korea, as a part of English literature, and many researches were done. However, Many Korean-American novels those were written in Korean were not been recognized as true literature work. There have not been many researches done on these works either. In this paper, JiWon Kim’s <사랑의 예감(1997)> and SangOk Song’s <광화문과 햄버거와 파피꽃(1996)> were selected. Both of these novels were written in Korean and they were published similar in time. Both novels give us clear concept of ‘place’. In addition, cultural borderline between Korean culture and American culture were looked at as well as cultural conflict and complication aspect through different places. First, in JiWon Kim’s novel, it was a New York’s apartment that was presented as the ‘space’. This location was where two main characters met. Each of them represented background of American and Korean culture. These two main characters had conflicts over each other but they got along together due to the reality of divided Korea and other incidents which are related with. Also, this novel shows how difficult life is as an immigrant, home sick and longing for main character’s homeland, Korea. This was very well described through the main character in America and people around her. The division of Korea into the North and the South worked as a tool to help to show a theme of the novel. Next, the main character in SangOk Song’s novel shows a self-fulfillment through immigration to the States and emigration back to Korea. Also the ‘space’ comes as a tool to satisfy the main character’s desire for the self-fulfillment. But places in the past which the main character remember and seek for were all gone and they became unreachable places. This makes the main character feel absolute loneliness but at the same time this gives the main character an opportunity to make a completion of introspection. After study of these two novels, there was a reflection of writers’ multi-cultural identity through main characters being in a specific area. This is common in Korean-American novels. Therefore, the meaning of ‘place’, and changes of identity as an immigrant were studied as well as the ‘cultural hybrid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