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의 식이 섭취 양상

        박혜순,신은수,김숙영 한국지질학회 1993 韓國脂質學會誌 Vol.3 No.2

        Hypercholesterolemia is recognized as a major risk factor of atherosclerosis and coronary heart disease. Recently, as dietary pattern in Korea is changed to Westernized dietary pattern, so the concentration of serum cholesterol is being observed higher than the pa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dietary pattern between hypercholesterolemia and control group in Korea. We gathered case group among persons who had been verified hypercholesterolemia and control group among persons who had taken medical examination in Asan Medical Cent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hypercholesterolemia group and control group consist of 78 and 140 cases, respectively. 2) The differences of smoking and alcohol histories between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 The number of cases of participating regular exercise in male hypercholesterolemia group i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control group, but not in female case. 3) The body weight, relative body weight, and body mass index in male hypercholesterolemia group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control group, but not in female case. 4) The total cholesterol, LDL-C and TC/HDL-C in hypercholesterolemia group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of HDL-C between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The triglyceride in male hypercholesterolemia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control group, but not in female case. 5) The cholesterol intake in male and premenopausal female hypercholesterolemia group was greater than that in control group, but not in postmenopausal female case. The differences of intake in total energy, carbohydrate, fat, protein, fiber, animal fat, vegetable fat, animal protein and soy protein between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雲水誌>의 악녀 형상 연구

        박혜순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6 고전과 해석 Vol.21 No.-

        본고에서는 <운수지>에서 악녀로 형상화되고 있는 ‘운화와 월화’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녀들은 원래 악비를 죽음에 이르게 한 진회의 부인 녹주와 만사설의 부인인 명주로, 원나라의 공주인 운화와 월화로 환생함으로써 악비의 환생인 악문용 등과 지속적으로 대립을 벌이는 인물들이다. <운수지>에서는 운화 월화의 행위가 전생의 악연임을 알리는 표지를 작품의 작품 곳곳에 배치함으로써 서사의 방향을 일관되게 하는 한편, 두 사람에 대한 징치의 정당성을 확보하는데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전생에서의 악연이 운화 월화가 악인이 될 수밖에 없는 태생적 문제라면, 결연에 대한 집착은 그녀들의 욕망이 빚어낸 악행의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운수지> 서사 내에서는 운화 월화가 저지르는 계교들이 분명 악행임에도 불구하고 악녀로서의 성격이 희석화되어 있다. 그녀들의 목소리에는 처연한 감정이 들어 있는데, 이 처연함은 그녀들 스스로의 잘못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일정한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결연에 목매는 여성이라는 점에서 운화와 월화는 그녀들이 벌인 행위와는 별개로 잔인무도한 악녀라기보다는 어리석은 여성에 더 가깝다. 이러한 인상은 그녀들이 심각한 패배를 당하기보다 조롱거리 혹은 희화화되는 과정을 통해 강조된다. 마지막으로 <운수지>의 운화화 월화는 장편소설이나 영웅소설에서 나타난 전통적 악인의 형상을 일부분 수용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그 구체적 형상화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운수지의 악행은 결연이라는 가정 내적 문제로 시작되고 있지만 이것이 가정 내로 편입되지 못하고 운화와 월화가 지닌 태생적 운명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국가 대립 안에서 형상화되고 있다. 이 지점이 <운수지>의 악인의 형상을 더욱 다채롭고 입체적으로 만들고 있다.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Unhwa and Wolhwa' that were shaped as wicked women in <Unsoochi>. The women, who were QinHui's wife, Nokju and Mansasul’s wife, Myungju, who originally brought Akbi(Yue Fei) to death, were characters who constantly conflicted with Akmunyong, reincarnation of Akbi(Yue Fei) by reincarnating to Unhwa and Wolhwa, princesses of Yuan Dynasty. In <Unsoochi>, with consistent direction of narrative by placing the sign that the action of Unhwa and Wolhwa indicated evil connection of past life everywhere of work, it was utilized effectively in ensuring the rightfulness of disciplinary punishment against two people. Evil connection of past life was the inherent problem that Unhwa and Wolhwa had no choice but to be wicked, but the obsession with the relationship was called the direction of evil actions brought to desire of the women. Within the narrative of <Unsoochi>, though the tricks that Unhwa and Wolhwa committed were obvious evil actions, the characters as wicked women were diluted. The voices of the women included melancholy emotion, and the melancholy raised a certain sympathy in that it did not come from the fault of women themselves. Also in terms of women obsessed with relationship, apart from actions of the two women, Unhwa and Wolhwa were closer to foolish women rather than cruel wicked women. This impression was emphasized through the process of being ridiculed or caricatured rather than being seriously defeated. Finally, Unhwa and Wolhwa of <Unsoochi> seemed to accommodate the part of traditional wicked shape who appeared in novels or hero fiction, but to show the difference in specific shaping process. Evil actions in <Unsoochi> began with family internal problems called relationship. However, this was not incorporated into family and it was constantly shaped in the national conflict because of the inherent fate of Unhwa and Wolhwa. This point made the shape of the wicked in <Unsoochi> more colorful and solid.

      • KCI등재

        고통, 주체성 그리고 덕

        박혜순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05 철학논집 Vol.11 No.-

        레비나스에 따르면 고통은 완전한 수동성의 상태를 말한다. 고통은 구원에 대한 희망을 가질 수 없으며 삶의 주도권을 상실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스스로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완벽한 수동성에 놓여 있음을 뜻한다. 때문에 우리의 감각은 고통을 거부한다. 그러나 이성은 고통을 기꺼이 수용한다. 과실이 익기 위해서는 비바람을 맞고 뜨겁게 내리쬐는 햇볕을 견뎌야 하듯 고통이 따르지 않으면 인간의 정신세계도 높은 경지로 승화되기 어렵다. 위대한 덕의 소유자는 크나큰 고통을 통해서 키워진다. 그러므로 그 사람의 정신적인 깊이는 그가 곤경에 처했을 때 비로소 드러난다. 맹자에 의하면 모든 현인들이 때를 만나 등용되기 전에는 참담한 고통의 시간을 보내야 했다. 하지만 그 고통의 시간은 그들을 성숙시키기 위한 하나의 과정이었을 뿐이다. 고통없이 성숙되는 인간은 없다. 위대한 인물은 모두 고통으로 단련된다. 그들은 '마음'의 괴로움과 '근육과 뼈'의 '수고로움'을 견뎌야 하며, '육신의 굶주림'마저 겪어야 한다. 그들은 그런 극심한 고통을 겪으면서 큰 인물로 성숙되어 간다. 고난은 인간을 강건하게 만들고, 그 속에서 인간은 진정한 주체성을 확보한다. 고통이 없었다면 아마도 도덕적 문제는 전혀 제기되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고통은 주체성을 확보하게 하는 하나의 단초이다. 고통이 아무 의미도 없는 것이라면 고통을 피할 수 없는 삶 역시도 아무 의미가 없다고 봐야 한다. 고통이 없었다면 덕을 키워야 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고통은 덕을 쌓는 과정에서 반드시 겪어야 할 하나의 도구이다. 고통의 본질은 덕을 쌓고 진정한 의미의 주체로 완성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공자는 군자의 고통이 외적 조건에 있지 않고 도를 잃고도 부끄러워할 줄 모르는 마음에 있다고 했다. 따라서 유가적(儒家的) 세계관에서 고통은 아무 의미도 없는 것이 아니라 인간을 내적으로 성숙시켜주는 하나의 과정이며 단계일 뿐이다.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