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산강 하구호 Network 유출해석을 위한 SSARR-SWMM 연계모형 개발

        박지성 충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Streamflow Synthesis and Reservoir Regulation model(SSARR) is an computerized watershed model. Storm Water Management Model(SWMM) is used for analysis related to stormwater runoff in urban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ed SSARR-SWMM model to simulate water level and discharge in the estuary lakes network, and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The model was applied to estuary lakes network in Youngsan River watershed, which was recently redeveloped with increased drainage gates and widened connecting canals. The highest water levels in Youngsan Lake and Youngam Lake during flood season after redevelopment were much lower than those before redevelopment. The highest water levels in Youngsan Lake and Geumho Lake during flood season for lake-connected operation were much lower than those for individual operation. Those mean that floods in the lakes are greatly reduced by redevelopment or lake-connected operation. The water levels in Youngsan Lake and Youngam Lake for highly controlled water level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for current controlled water levels. The result shows that additional water use volume can be secured by heightening controlled water level. The model will be used for establishing integrated water management system of Youngsan River watershed.

      •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을 위한 순환적-점진적 복합 분석방법

        박지성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대 IT기술의 발전으로 데이터의 생성량과 속도, 그 다양성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빅 데이터 시대에서 다양한 데이터의 분석을 위해 개발되는 서비스의 수가 증가하면서 이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상충되는 요구사항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효과적인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의 중요성 또한 점차 부각되고 있다. 효과적인 요구사항 분석을 위해서는 상충하는 요구사항들을 초기에 확인하고 이를 점진적으로 개선하며 요구사항을 구체화할 수 있어야 하지만, 기존의 순차적 요구사항 분석 방법은 이를 해결하기에 여러 제약사항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순차적 방법과 순환적-점진적 방법을 결합하여 대규모 시스템에서의 효과적인 요구사항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복합 요구사항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In the modern era of big data, there have been growing demands for the effective requirement analysis since there will be an increasing number of conflicting requirements as the number of services and data to be integrated increases. The effective requirement analysis involves early detection of conflicting requirements and iterative refinement and resolution of the requirements for which the traditional sequential methods have limitations. In this thesis, we propose an integrated requirement analysis method that blends the traditional sequential method and the iterative-incremental method to achieve an efficient requirement analysis for large scale systems.

      • 누에 혈림프 유래 Storage-protein 2를 이용한 중간엽줄기세포의 동결보존

        박지성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줄기세포 치료는 암, 당뇨, 신경질환과 같은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중간엽줄기세포(human mesenchymal stem cells, hMSCs)는 윤리적 문제가 없고, 면역거부반응이 적기 때문에 세포 치료제의 자원으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된다. 줄기세포 치료제의 개발은 크게 줄기세포의 분리, 동결보존, 배양 및 대량배양의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 세포를 장기간 보관하는 동결보존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현재 줄기세포의 동결 보호제로서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FBS는 동물유래 오염원을 유발할 위험이 있으며,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생산 공정 간 차이로 인해 FBS의 품질이 일정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동결보존시 사용되는 FBS를 대체하고자 누에 혈림프 유래의 storage-protein 2(SP2)를 이용하였다. SP2는 70 kDa의 분자량을 갖는 수용성 단백질로서 누에의 혈림프로부터 얻을 수 있다. SP2는 동물세포의 배양에 있어서 활성 산소의 발생 및 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hMSCs의 일종인 탯줄유래 중간엽줄기세포(umbilical-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UC-MSCs)와 지방유래 중간엽줄기세포(adipose-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T-MSCs)를 사용하였다. 90% SP2와 10% DMSO를 혼합한 동결보호제를 이용하였다. 완만동결법(slow-freezing)으로 세포를 동결하였으며 7일간 액체질소에 보관하였다. SP2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결보존시 발생하는 활성산소 및 세포 사멸을 측정하였다. 동결보호제에 첨가할 SP2의 농도를 결정한 후에 세포를 동결하였다. 동결된 세포를 해동(thawing)하여 hMSCs의 특성을 유지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SP2의 사용은 동결보존시 활성산소의 발생과 세포사멸을 억제했다. 동결보호제에 첨가할 SP2의 농도는 5 mg/mL로 결정하여 세포 동결을 수행하였다. 동결 후에도 hMSCs의 특이적 성질과 분화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SP2는 세포의 변화를 야기하지 않았으며 동결보호제로 사용되는 FBS를 대체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SP2가 동결보호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SP2를 이용한 hMSCs의 무혈청 동결보존 방법을 제시하였다.

      • 철광석 소결 공정에서의 NOx 발생에 미치는 Calcium Ferrite의 영향

        박지성 포항공과대학교 철강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NOx emission from fuel - coke breeze or anthracite are representatives as fuel in the iron ore sintering process - combustion during the iron ore sintering process is one of major causes of air pollution such as acid rain and photochemical smog. And the iron ore sintering process occupies more than 40% of the total NOx emission from Korean domestic steel works So reducing the amount of NOx emission and prevent NOx generation from fuel combustion is greatly important. Basically NO gas generated during coal combustion in the iron ore sintering process can be reduced by CO gas and this reaction can occur at high temperature. And there are many papers about catalytic effect of these oxides on NOx reduction. This work focused on understanding NOx reduction mechanism by evaluating effect of Calcium Ferrite. Different types of Calcium Ferrite(CF, 2CF, C2F) were used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during reaction between NO and CO gases. These materials were exposed to NO-CO gas reaction system in the gold furnace. And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controlled by manual flow controllers and detected by QMS detecting system. First of all , the CF reduction reaction experiments by gas (NO, CO, NO-CO gas) were conducted. When only NO gas was blown, no reaction occurred, but when CO gas was blown, the CF reduction reaction was confirmed. It was especially active between 400 and 800℃, and it was found that the reduction capacity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CF. In addition, when blowing NO-CO gas, not only CF reduction by CO gas but also NO gas reduction by reduced CF occurs. Also, The gas composition was changed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nd the type of CF. Next, a coal combus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type and amount of CF as a catalyst for the NO reaction, and the effect of the catalyst was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catalyst. The presence of CF was certainly effective in reducing NO emissions. NOx는 소결 과정에서 연료로 사용되는 코크스 또는 무연탄에서 주로 배출됩니다. 철광석 소결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소는 산성비 및 광화학 스모그와 같은 대기 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철광석 소결 공정은 국내 제철소의 총 NOx 배출량의 40 % 이상을 차지하므로 NOx 배출량을 줄이고 연료 연소로 인한 NOx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철광석 소결 공정에서 석탄 연소 중에 발생 된 가스는 기본적으로 CO 가스에 의해 감소 될 수 있으며 이 반응은 고온에서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NOx 환원에 대한 이들 산화물의 촉매 효과에 관한 논문이 많이 있습니다. 이 연구는 칼슘 페라이트의 효과를 평가하여 NOx 감소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NO 및 CO 가스 사이의 반응 동안 상이한 유형의 칼슘 페라이트 (CF, 2CF, C2F)를 정성적 또는 정량적 평가에 사용 하였다. 우선, 가스 (NO, CO, NO-CO 가스)에 의한 CF 환원 반응 실험이 수행되었다. NO 가스만을 취입 한 경우에는 반응이 없었지만, CO 가스를 취입 한 경우에는 CF 환원 반응이 확인되었다. 400 ~ 800 ℃에서 특히 활성화되었으며 CF의 종류에 따라 환원 용량이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또한, NO-CO 가스를 송풍 할 때, CO 가스에 의한 CF 환원뿐만 아니라 CF 감소에 의한 가스 환원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가스 조성은 CF의 온도 및 유형에 따라 변경되었다. 다음으로, NO 반응을위한 촉매로서 CF의 유형 및 양에 따라 석탄 연소 실험을 수행하고, 촉매의 효과를 기존 촉매와 비교하여 분석 하였다. CF의 존재는 확실히 NO 배출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 중등학교에서의 효과적인 오페라학습을 위한 오페라 체험학습모형 개발

        박지성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종합예술의 대표성을 지닌 오페라학습을 통해 예술에 관한 전반적 이해와 그에 따른 세부적 이해를 통한 가시적인 인지적 관점과 오페라가 가지고 있는 미적 감수성과 통찰력을 통해 자아의 잠재적 창의성의 계발 가능성을 신장시켜 줄 수 있다는 거시적이고 원시안적인 내재적 관점은 오페라의 교육적 가치의 중요성을 위한 내적 가치의 전제를 부여해준다. 종합예술로서의 오페라가 가지고 있는 특성과 의미를 학습자에게 올바르게 인식시켜 줄 수 있다면, 예술에 관한 전반적인 심미적 경험과 이해를 학습자에게 심어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또한, 오페라 학습을 통해 학습자는 통합적 사고에 의한 잠재적 행동양식과 전인적 인간상의 가능성을 체험하게 된다. 교육의 거시적 관점에 의해 지지되는 이러한 잠재력은 오페라학습이 다른 음악 양식과 차별화되는 오페라학습만의 유일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오페라학습은 그 자체로서의 중요성에 비해 현재까지 학습의 효율성과 효과성 모두에서 소정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오페라는 전문적 속성이 강한 음악형식이며, 이러한 속성을 가진 학습양식은 학습자의 발달단계에 맞는 충분한 학습 경험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오페라학습은 교수중심의 오페라개념학습을 통해 오페라감상으로 이어지는 평면적 단일 학습체계의 교수학습방법을 사용해 왔다.본 연구를 통해 개발되어진 오페라체험학습모형은 오페라학습의 효율성을 최대화하여 오페라학습의 교육적 가치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되었으며, 기존의 오페라 학습에서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해결하고, 그에 따른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오페라학습을 향한 대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연구되었다.오페라체험학습모형은 크게 두 가지 구상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것은 오페라 학습에 관한 구체적인 교수학습방법의 개발과 오페라감상학습에 관한 기본적인 패러다임의 변화이다. 오페라 학습에 관한 구체적인 교수학습방법의 개발은 기존의 오페라개념학습을 통해 오페라감상으로 구성되던 평면적 단일 학습체계에서 벗어나 입체적 다중 학습체계로의 변화를 의미한다.중등학교에서의 오페라 학습의 최종목표는 학습자가 효과적인 오페라감상을 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오페라감상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청소년기의 학습자에게 있어 그 효과성에 의문의 여지를 남긴다. 왜냐하면 이러한 교수학습 진행방법은 학습경험이 아직 완전하지 못한 청소년기 학습자에게는 감상이 수동적인 지각에 맡겨져 버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페라 감상의 능동적 지각활동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그런 이유로 이번에 연구된 오페라체험학습모형은 기존의 오페라학습의 방향을 역진행하고 개편하여, 오페라감상을 위한 교육이 아닌 오페라학습을 통한 오페라감상으로의 학습의 전이를 추구하였다. 오페라체험학습 모형은 궁극적으로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학습과정에 참여함을 통해 학습자의 높은 동기를 유발하고, 계속적으로 유지하며, 학습자 자신이 학습의 전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오페라 체험학습 모형은 세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첫 단계는 <하이퍼미디어 오페라개념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오페라의 기본개념을 습득하는 과정이다. 기존의 시청각 요소가 배제된 활자·지면위주의 교수방식에서 벗어나 음향·동영상의 동시 전달과 하이퍼링크(hyper link)의 장점을 가진 하이퍼미디어를 이용하여 오페라의 기본개념학습의 효과성을 기하였다.오페라의 기본개념을 학습한 후에는 두 번째 단계인 <오페라 등장인물 탐구를 위한 협동학습>단계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은 오페라의 등장인물을 통해 오페라의 내용을 학습하는 단계로 오페라의 개념학습을 통해 익힌 오페라의 이해를 실제학습에 올바르게 적용하기 위하여 거치는 과정으로 오페라의 내용을 학습하는 과정이다.오페라체험학습모형의 마지막 단계인 <오페라체험극>은 전 단계를 통해 체험한 오페라의 기본적인 개념학습(하이퍼미디어 오페라개념학습 프로그램)과 내용학습(오페라 등장인물 탐구를 위한 협동학습)에 대한 총체적 체험의 단계이다. 오페라체험극은 멀티미디어 기기를 이용하여 기존의 전문성이 강한 오페라의 속성을 보완하여 학습자가 오페라에 제한적이지만 직접 참여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형식의 음악극이다.오페라체험학습모형의 완성이 학습의 전이를 통해 효과적인 오페라 감상으로 이어져 학습자에게 오페라의 완전학습을 유도하고, 그를 통해 오페라감상의 능동적 지각활동과 더불어 오페라를 향유함으로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을 수 있는 가능성의 잠재력을 추구하였다.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arts that comes from learning about opera, which is representative of the composite arts, the visibly recognizable viewpoints that come from a detailed understanding that arises from the general understanding, and the comprehensive and far-sighted intrinsic viewpoints which are said to be able to expand the developmental possibilities of one''s latent creativity through the aesthetic sensitivity and insights found in opera these things bestow the premise of intrinsic value for the importance of opera''s educational value. If the special qualities and meanings that opera possesses as a composite art can be properly taught to learners, we can expect to plant within them general aesthetic experience and meaning regarding the arts. In addition, through opera learning, learners end up experiencing latent behavior patterns that result from a comprehensive way of thinking and the possibility of being a well-rounded human being. This potentiality being supported by a comprehensive view of education has a unique educational value that can be found only from learning about opera and not from other forms of music.Opera learning, in comparison to its importance, has not yet achieved the desired level of results in terms of learning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pera is a music form with strong specialized attributes, and for a learning form with such attributes, consideration must first be given to a satisfactory learning experience that fits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learner. Existing opera learning, however, has been using a flat and simplistic learning system as its teaching-learning method, in which appreciation of opera comes from teacher-centered opera-concept learning.The opera-experience learning model developed in this paper was researched and developed in order to effectively materialize the educational value of opera learning 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opera learning, analyze the problems of existing opera learning and solve them, and propose an alternative plan for a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opera learning.The research on opera-experience learning model proceeded largely according to two concepts: the development of concrete teaching-learning method regarding opera learning, and a basic paradigm change regarding opera-appreciation learning. The development of concrete teaching-learning method regarding opera learning means escaping from the flat, simplistic learning system composed of opera appreciation through existing opera-concept learning, and changing to a three-dimensional, multiplex learning system.The ultimate goal of opera learning in Secondary Schools is to let the learners have an effective appreciation of opera. Using a teaching-learning method only for opera appreciation, however, leaves room to question its effectiveness to adolescent learners. This is because to adolescent learners whose learning experience is still incomplete, such teaching-learning progression method causes their sentiments to be given over to passive perception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active perceptual activities of opera appreciation. For this reason, the opera-experience learning model researched in this paper reverses and reforms the direction of the existing opera learning, and promotes changes in learning which is an education not for opera appreciation but for opera appreciation through opera learning. The goal of opera-experience learning model is for learners to actively become the center and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process, induce high learner motivation, continuously maintain it, and make themselve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whole learning process.The opera-experience learning model is made up of three stages.The first stage is where one learns the basic opera concepts through the <Hypermedia Opera-Concept Learning Program>. It gets away from the existing print-space-oriented teaching method that excludes the audiovisual elements, using instead a hypermedia that has the advantages of hyperlinks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sound and movies to insur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basic opera concepts.Once basic opera concepts are learned, one can move on to the second stage, which is <Cooperative Learning for the Exploration of Opera Characters>. This stage is where one learns about opera content through opera characters, where opera content is learned as part of a process of properly applying to actual learning situations the understanding of opera gained through learning about opera concepts.The last stage of opera-experience learning model, the opera-experience play, is where one wholly experiences both the basic concept learning (Hypermedia Opera-Concept Learning Program) experienced in the previous stage, and the content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for the Exploration of Opera Characters) of opera. The opera-experience play is a new form of musical play that uses multimedia tools to supplement the existing strong, specialized attributes of opera and enables learners to directly participate in opera, albeit with limitations.The completion of opera-experience learning model, through learning changes, leads to effective appreciation of opera, which incites learners to wholly learn opera, and through that, as the learners enjoy opera together with the active perceptual activities of opera appreciation, the potentiality of the possibility of raising their quality of life is promoted.

      • 연극치료가 미취학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지성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effect of drama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the socialization of preschool children. Research subject of this study is 23 preschoolers who enrolled in a kindergarten, which is located in Gyeonggi-do. The children were classified in the comparison group of 11 people and the experimental group made ​​up of 12 people. This drama therapy program has been conducted during 4 months, from November 2013 to February 2014, based on Robert Landy’s Role Model and Sue Jennings’ EPR Model. This program is constructed as follows: pre-post test is carried out during the program and classifi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rough this program, two research tools are used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desirable communication, self-asser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s in improving socialization: Rokos and Schroeder’s self-expression scale(1980), which is modified and adapted by Byun Changjin and Kim Sunghee(1980) to suit the cultural background of Korea, is us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drama therapy on the change in the self-expression of the children. Also, K-SSRSP(Korea-social Skill System Profile), which is developed and standardized by Yoon Chiyeon(2008) is used by teachers who can meet the children near by to measure the improvement of socialization of preschool children though the therapy. Kim Kyunghee’s emotional intelligence rating scale for preschool shildren(1998) is also used and Kim Yeokok’s PBSYC(2003) is used for parents’ test. SPSS(Sta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7.0 is used for t-test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by the help of observation diaries and taking video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has been found that through the drama therapy, the result of self-esteem test of preschoolers is improved. A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ed in comparison of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2. It was found that in the comparison of pre-post-test, the score of social skills of preschool children has increased after through the drama therap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changes in problem solving, emotional expression, order consciousness, self-esteem and sociality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3. This drama therap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children showed improved expression abilities when they express their feelings to others in social life. 4. Self-expression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experienced the drama therapy generally improved, especially in the sub-factor of expression—internal elements, phonetic elements, and substantial elements. 5. Result of social behavioral tests of the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the drama therapy showed significant changes and general improvement in terms of giving help for social life of the children, communication, caring others, approaching to others, sharing, empathiz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fter the therapy than before.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confirmed that drama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 skill,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xpression of preschool children. Conducting drama therapy to preschool children means expansion of the scope of drama therapy which is confined only to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eenagers and adults. 본 연구는 연극치료가 미취학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경기도 소재 유치원의 미취학 아동 23명중 실험집단 12명, 비교집단 11명을 대상으로, Robert Landy의 역할모델과 Sue Jennings의 EPR모델을 중심으로 2013년 11월27일부터 2014년 2월 7일까지 총 12회기 동안 연극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두 집단 모두 사전-사후 검사를 1회씩 실시하였다. 사회성 기술향상의 중요한 요소인 바람직한 의사소통, 자기주장, 감정표현 등이 아동의 자기표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Rokos와 Schroeder(1980)의 자기표현 행동 척도를 변창진과 김성희(1980)가 국내 문화적 배경에 맞게 번안하여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사회적 향상을 측정하기 위해 윤치연(2008)이 개발하여 표준화시킨 아동의 사회성 기술검사 도구 K-SSRSP(Korea-Social Skill Rating System Profile: 한국 유아 사회성 기술 척도)를 교사가 측정하도록 하였으며, 김영옥(2003)이 제작한 유아의 친사회성 행동 평가척도(PBSYC)를 유아의 친사회성 행동 측정을 위해 부모용 검사지로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정서적 지능을 측정하기 위한 평정척도로는 김경희(1998)가 제작한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검증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7.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test로 분석하였으며, 관찰 일지, 동영상 등을 부수적으로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극치료를 경험한 미취학 아동의 자아존중감 검사 결과가 경험하지 않은 비교 집단과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향상된 것으로 보아 연극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미취학 아동의 사회성 기술 점수가 높아졌으며, 아동의 문제해결, 정서표현, 질서의식, 자신감 및 사회성 지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 집단에서 변화를 보여 연극치료가 미취학 아동의 사회성향상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미하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아동이 의사소통 과정에서 자신의 감정을 나타내는 감정표현능력을 비롯, 하위 요소인 내용적 요소, 음성적 요소, 체언적 요소가 두루 향상된 것을 보아 연극치료가 정서지능 및 자기표현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극치료를 경험한 미취학 아동의 친사회성 행동 검사 결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연극치료가, 아동의 사회생활에 필요한 도움주기,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시도하기,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 등 전반적인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극치료가 미취학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정서지능 및 자기표현 향상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연극치료를 실시함으로써 특수아동 및 청소년 그리고 성인에게만 국한되어 있던 연극치료의 적용범위를 넓히고, 확장한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성인병에 이환된 중년의 치매정보이해능력, 내적 건강통제위, 치매두려움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박지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e of middle-aged with Chronic Diseases’ Dementia Literacy,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Fear of Dementia and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and to provide evidence for middle-aged with Chronic Diseases to improve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s of middle-aged men and women, between the ages of 45 and 65, living in Seoul, and have been taking medications for at least three months with one of the following underlying diseases: Hypertension, Diabetes, and Hyperlipidemia. There were a total of 123 participants for this stud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analyzed with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Dementia literacy mean score was 54.75±12.98 out of 80 points, The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ored an average of 25.46±3.49 out of 30 points and the average Fear of Dementia score was 42.98±21.48 out of 120 points. The average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score was 43.58±6.63 out of 65 points. 2.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merged in the Dementia literacy, depending on gender(t=–2.480, p=.015), age(t=-2.154, p=.033), dementia level of knowledge(F=9.351, p<.001), dementia education experience(t=2.113, p=.037), whether dementia information is exposed(t=-3.762, p<.001). The variable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ith the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were gender(t=2.652, p=.009), whether they have Chronic Diseases patients in their families(t=-2.003, p=.047), whether they needed dementia education(t=2.481, p=.014). The duration of taking Chronic Diseases medication(F=3.963, p=.010), perceived health conditions(F=4.254, p=.016),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possibility of getting dementia(F=13.957, p<.001), whether they needed dementia education(t=2.571, p=.018)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Fear of Dementia. The variables tha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ith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were age(t=-2.524, p=.013), perceived health conditions(F=10.199, p<.001) and dementia level of knowledge(F=2.811, p=.042). 3. The participants’ Dementia literacy(r=.247, p=.006) indic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correlation with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but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and Fear of Dementia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4. When perceived health conditions were healthy(β=.501, p=.004), the higher the Dementia literacy score(β=.211, p=.013), the higher the level of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F=5.778,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Dementia literacy and perceived health conditions were reported as major factors affecting dementia prevention behavi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and further research to enhance the Dementia literacy as a major variable i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When providing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programs to middle-aged people who have been transferred to Chronic Diseases,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ir level of the perceived health conditions and the Dementia literacy. 성인병 중에서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을 가진 중년의 경우 치매 발병 위험이 높아 중년 때부터 오랜 기간 꾸준히 생활양식의 변화를 통해 치매예방행위를 수행하도록 돕는 것이 노년기 치매예방에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성인병에 이환된 중년의 치매예방행위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치매예방행위를 효과적으로 증진할 수 있는 간호중재에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서울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45-65세 중년 중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으로 3개월 이상 약물 치료를 받는 총 123명을 연구대상자로 편의 추출하여 2020년 3월 13일부터 31일까지 자료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로 치매정보이해능력은 Kim 등(2017)이 개발한 치매정보이해능력(Dementia Health Literacy Scale) 도구를 사용하였고, 내적 건강통제위는 Wallston 등(1978)에 의해 개발된 도구를 박보윤(2008)이 한국형 척도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치매두려움은 French 등(2012)에 의해 개발된 the Fear of Alzheimer’s Disease Scale (FADS)을 Moon 등(2014)이 번안한 한국어판 치매두려움 척도(K-FADS)를 이용하였고 치매예방행위 도구는 임경춘 등(2018)이 개발한 “치매예방수칙 권·금·행”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와 one-way ANOVA, 사후검정은 Scheffé post hoc,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인병에 이환된 중년의 치매정보이해능력은 80점 만점에 평균 54.75±12.98점, 내적 건강통제위는 30점 만점에 평균 25.46±3.49점, 치매두려움은 120점 만점에 평균 42.98±21.48점, 치매예방행위 평균은 65점 만점에 43.58±6.63점이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예방행위는 연령(t=-2.524, p=.013), 지각된 건강상태(F=10.199, p<.001), 치매지식정도(F=2.811, p=.04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치매정보이해능력(r=.247, p=.006)은 치매예방행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내적 건강통제위와 치매두려움은 치매예방행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치매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할 때(β=.501, p=.004), 치매정보이해능력(β=.211, p=.013)순으로 치매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6.4%였다. 따라서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할 때, 치매정보이해능력이 높아질수록 치매예방행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성인병에 이환된 중년의 치매예방행위에 지각된 건강상태와 치매정보이해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고 그 중에서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할 때 치매예방행위에 가장 영향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하고 치매정보이해능력의 정도가 높으면 치매예방행위를 잘하게 되므로 성인병에 이환된 중년을 대상으로 치매예방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해 지각된 건강상태와 치매정보이해능력의 수준을 파악한 후 개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 청소년지도사 효능감과 청소년수련시설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박지성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청소년수련시설에 재직 중인 청소년지도사 총 274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지도사 효능감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청소년수련시설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효과성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조직효과성 전체와 하위요인인 조직몰입에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직책에 따른 조직효과성 전체와 하위요인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팀원보다 팀장 및 부장이상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격증에 따른 조직효과성 전체와 하위요인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1급이 2급과 3급보다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지도사 효능감, 청소년수련시설의 조직문화, 조직효과성의 상관관계에서 청소년지도사 효능감과 청소년수련시설의 조직문화는 조직효과성에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청소년지도사 효능감이 조직효과성에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결과를 살펴보면, 청소년지도사 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직무 난이도가 조직효과성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조직몰입에는 프로그램운영 조절효능감과 직무난이도가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이는 직무난이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프로그램운영 조절효능감은 조직몰입에 높은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청소년수련시설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결과를 살펴보면, 청소년수련시설의 조직문화 하위요인인 집단문화와 위계문화가 조직효과성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조직몰입에는 집단문화, 발전문화, 위계문화가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구성원이 소속된 조직을 집단문화 또는 위계문화로 인식 할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지고 직무만족을 많이 하는 것으로, 조직이 가족적인 문화 또는 지시 형 문화인지를 참고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모험 업무형태인 발전문화일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개인적 특성, 청소년지도사 효능감, 청소년수련시설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직효과성 전체에는 집단문화, 발전문화, 직무난이도, 위계문화, 프로그램운영 조절효능감, 직무귀인 순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직효과성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에는 집단문화, 직무난이도, 위계문화, 직무귀인 순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조직몰입에서는 집단문화, 발전문화, 위계문화, 프로그램운영 조절효능감, 직무난이도, 직책 순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결론적으로, 개인적 특성, 청소년지도사 효능감, 청소년수련시설의 조직 문화가 조직효과성 전체와 하위요인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력은 집단문화가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지도사 효능감 보다 조직문화가 영향력이 더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a total of 274 youth leader efficiency, who are working in youth facilitiess located at the Seoul Metropoli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in the youth facilities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an be varied according to general features: there are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hol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gend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sub-factor of it, for males than for females; there are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hol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duty and job satisfaction, a sub-factor of it, for over leader or department manager than for member; and there are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hol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licens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wo sub-factors of it, for first rate than second and third rate. Second, the youth leader efficiency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in youth facil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particular, the latter has more positive effects on it. Third, the youth leader efficiency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job difficulty, a factor of the former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that of the latter; and control efficiency of program operation and job difficult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uggesting that higher job difficulty has mor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at control efficiency of program operation has mor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the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youth facilities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group and hierarchy culture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a sub-factor of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group, developmental and hierarchy culture have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dicating that as members increasingly recognize their groups as group or hierarchy cultur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re enhanced, it is necessary to refer to whether the organizations have family- or instruction-type of culture, and moreover the developmental culture with more creative, innovative and adventurous forms of tasks can promot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ifth, the hierarchy analysis conducted to examine what effec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youth leader efficiency and organizational culture in youth facilities hav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ows that the entir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most affected by group culture, followed by developmental one, then job difficulty, hierarchy culture, program operation regulatory efficiency and job attribution in order; the job satisfaction, a sub-factor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group culture, followed by job difficulty, then hierarchy culture and finally job attribution;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group culture, followed by developmental one, then hierarchy culture, program operation regulatory efficiency, job difficulty and duty, in turn. In conclusion, it can be found that it is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at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youth leader efficiency and organizational culture in youth facilities; it is the group culture that has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entir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sub-factor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s effect is stronger than that of youth leader efficiency.

      • 기업의 문화예술 교육기부 컨설팅 적용 연구 :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박지성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업의 교육 기부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창의적인 탐구능력과 서로 배려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향후 문화예술분야의 기부가 교육형태의 기부로 활성화 되도록 기업에게 그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사회공헌 시스템을 분석하여 각 기업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컨설팅 하였다. 기존의 기부형태에 교육기부가 없는 기업에게는 기존의 진행하던 프로그램을 교과목이 융합된 교육기부 프로그램으로 컨설팅 하였고, 기존의 기부형태에 교육기부가 있는 기업에게는 기존의 교육기부 프로그램을 교과목과 융합하여 기존 교육의 단점을 완화하고 교육 수준의 질을 높였다. SK 에너지, 제주유나이티드 FC, 대한축구협회 기업은 스포츠와 연계된 프로그램 컨설팅 요청하여 스포츠와 교과목이 융합된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고, 딜로이트 기업은 기존의 경제 프로그램을 융합교육 프로그램으로 컨설팅 요청하여 음악비지니스와 관련된 활동과 융합하여 기존 교육의 단점을 완화하고 교육 수준의 질을 높였다. 설계를 바탕으로 교사용 자료, 활동 세부내용, 파워포인트, 활동지, 참고 이론 등을 제작하였다. 기업의 교육 적용에서는 이 자료를 이용하여 기업이 교육할 수 있도록 수혜기관과 매칭 하여 시범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기업의 만족도를 설문지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수혜기관의 교육 적용에서는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반응과 활동을 기록하고, 수업 이후 융합교육의 효율성 및 교육의 질을 바탕으로 작성한 설문지를 통해 학생과 교사의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기업들은 기부형태에 있어서 다양성을 발굴해 나가는 것에 앞장서야 하며 국가도 기업과 수혜기관에 많은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기업은 사회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중 교육기부를 활발히 하여 국가와 기업의 미래인 아이들의 교육을 지원하고, 교과목과 융합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회와 더 가까이 소통함으로써 사회적 자본을 쌓고, 미래지향적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 나갈 수 있다. Education services of corporates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and help to cultivate creative research skills and thoughtful communication skills. In this respect, this study suggest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form of cultural arts education. This study develops and consults programs customized to each corporates by analyzing their CSR systems. To corporates that originally did not provide education service, programs combining their current CSR with curricular subjects were suggested. To corporates that already provided education service, programs combining their current education CSR with curricular subjects were suggested in order to minimize the weaknesses and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SK Energy, Jeju United FC and the Korea Football Association have requested sports related education program therefore we developed education program combining sports and curricular subjects. Deloitte has requested to develop current economy education program into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erefore it was combined with music business related activities in order to reduce the weak points and increase the quality of education. Class material such as instructor's manual, activities details, Powerpoint slides, activity sheets, reference theories and so on were designed with plans. In application of corporates, corporates were paired with beneficiary institutions and conducted test sessions utilizing these materials and level of satisfaction of corporates was surveyed afterwards. In application of beneficiary institutions, student behavior and reactions were recorded during sessions and levels of satisfac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were collected with surveys based on the efficiency and quality of education. In conclusion, corporates need to step forward in developing diversity in donating education and governments need to provide national support to corporates and beneficiary institutions. In order to gain trust from society, corporates should actively provide education service and continuously supporteducation of children who are the future of the nation and corporates. They should also develop convergence program and communicate with society and gain trust to build social capital and construct a future-oriented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