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폭력에 대한 교사 스트레스 연구 - 발생건수, 심각성 지각과 대처효능감의 관련성 -

        박종효,효정,정미경 한국교육개발원 2007 한국교육 Vol.34 No.2

        A study on teacher stress of school bullying and violence: Relation to prevalence, perception of seriousness and coping efficacyPark, Jong-Hyo(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Park, Hyojung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Chung, Mikyung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This study was aimed to estimate the degree to which a teacher feels under stress when dealing with school bullying and violence (SBV) and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variables related to SBV impact on the teachers' levels of stress of SBV. To fulfill these objects, a part of 2006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urvey data on SBV was utilized with a sample of 165 head teachers of guidance and 1,677 teachers. A series of ANOVA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higher levels of stress than middle or high school teachers. Teachers who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jobs, had less teaching years or entered the teaching career for occupational stability had higher levels of stres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eachers felt under stress when incidents of SBV in their schools occurred more frequently, when teachers perceived them more seriously, and when teachers evaluated their schools as having lower levels of coping efficacy. Furthermore, the 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he incidents of SBV and teachers' levels of stress were mediated by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eriousness of SBV.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systematic supports to be relieved teacher stress on SBV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학교폭력에 대한 교사 스트레스를 이해하고 학교폭력 관련 변인이 교사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6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한 학교폭력 실태조사(박효정 외, 2006) 자료 중 초중고등학교 학생부장 교사 165명과 일반교사 1,677명을 대상으로 교사와 학교 특성 변인, 학교폭력에 대한 교사 스트레스, 학교폭력 발생건수, 학교폭력에 대한 심각성 지각, 학교의 대처 효능감 등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경우,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교직 만족도가 낮을수록, 직업의 안정성 때문에 교직을 선택한 경우, 교사는 학교폭력에 대하여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고 있었다. 또한 교사와 학교 특성 변인 이외에 학교폭력 발생건수가 많을수록, 학교폭력에 대한 심각성 지각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의 대처 효능감 수준이 낮을수록 교사의 스트레스 수준은 높았다. 특히 학교폭력 발생건수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교사의 심각성 지각에 의해 중재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학교폭력에 대한 교사 교육의 중요성, 학교 차원의 학교폭력 대처 효능감 증진 방안과 교사 간 멘토링 제도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대한 이해: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박종효 한국교육학회 2007 敎育學硏究 Vol.45 No.1

        The current study is aimed to understand aggressive behavior of school bullying and violence so as to explore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gender, self-concep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Firs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aggressive behavior can be explained by student's gender, self-concep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e result showed that student's gender, self-concep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to aggressive behavior, with 9% of aggressive behavior variance being explained. Second, since interaction effect of student's gender and one of other predictors was examined, an interaction term between student's gender and social self-concept was significant. That is, female students who had positive social self-concept were more likely to involve in aggressive behavior than those who had negative social self-concept. This was not the case for male students. Third, structural equal modeling was carried ou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self-concept, interpersonal relations, and aggressive behavior. While a mediational model as hypothetical one was created, integrative and independent models served as alternative ones. The mediation model posits that interpersonal relations mediate the linkage between self-concept and aggressive behavior. The independent model hypothesizes that self-concep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impact aggressive behavior independently. The integrative model combined two models, independent and mediation ones. The LISREL output showed that the mediational model was better than the other alternative models. The model fits did not differ in male and female students. 본 논문은 6,908명(남학생 51.5%, 여학생 47.2%)의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가해행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학생의 성별, 자아개념, 대인관계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첫째, 학생의 성별, 자아개념과 대인관계가 학교폭력 가해행동을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체 자아개념을 제외한 학생의 성별, 자아개념과 대인관계는 학교폭력 가해행동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이들 설명변수는 가해행동 변량의 9%를 설명하였다 학생성별과 설명변수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 자아개념이 긍정적인 여학생은 그렇지 않은 여학생에 비해 더 빈번하게 가해행동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남학생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자아개념, 대인관계와 가해행동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모형으로는 대인관계가 자아개념과 가해행동 간의 관계를 중재한다는 매개모형을 설정하였고, 경합모형으로는 자아개념과 대인관계가 별도로 영향을 미친다는 독립모형과 독립과 매개과정을 결합한 통합모형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매개모형이 다른 두 모형보다 나은 적합도 지수를 보였다. 매개모형의 구조가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분석한 결과, 성차는 발견되지 않았다.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용서 빌기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종효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5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evels and characteristics of forgiveness-seeking and its related variables among college students in Korea. Forgiveness-seeking is defined as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an offender(s) who regrets his/her wrongdoing and seeks forgiveness from his/her victim(s). It encourages victims to forgive the offender, which helps recover the broken relationship and trust. A total of 240 college students in the current study were administered with three psychological instruments that each measure forgiveness-seeking, empathy, and moral judgment.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college students have a medium level of forgiveness-seeking, and the mean score of this behavior in male students is greater than that in female student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seek forgiveness if they are male, have a high level of empathy, believe in the victim’s forgiveness, or have done moral (prosocial) deeds for the victim (i.e. apologizing, providing explanations, or making reparations) after the offense.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forgiveness-seeking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의 용서빌기 수준과 특징, 용서빌기와 관련 있는 요인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용서빌기는 가해자가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피해자에게 용서를 구하는 일련의 심리적 과정이다. 용서빌기는 피해자의 용서를 도울 뿐 아니라 가해자와 피해자 간의 깨어진 신뢰와 인간관계를 회복하는데 기여한다. 본 연구를 위해 240명의 대학생이 참여하였고 용서빌기 척도를 통해 용서빌기의 수준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공감, 도덕 판단력, 피해자와의 관계, 가해자의 용서빌기 행동과 용서빌기 수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회귀분석 결과, 남학생일수록, 공감능력이 발달할수록, 피해자를 위한 용서빌기 행동(사과, 화해, 보상 등)을 한 경우와 피해자가 용서했다고 가해자가 믿는 경우, 가해자의 용서빌기 수준은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용서빌기의 교육적 활용 및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용서와 건강의 관련성 탐색

        박종효 한국건강심리학회 200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8 No.2

        본 연구는 용서와 건강사이의 관련성을 밝히고 이러한 관계를 매개하거나 조절하는 생리 기제 및 심리사회적 요인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용서는 대인관계 상처 때문에 고통 받았던 사람이 가해자에 대한 미움과 분노, 원한을 버리고 오히려 그에게 공감과 동정심을 바탕으로 사랑을 실천하는 이타 행동이다. ‘용서를 잘 할수록 건강하며 용서를 못할수록 건강하지 못하다’라는 가설은 선행 연구에 의해 상당 부분 지지되었다. 용서하지 못함을 대표하는 적대감이나 분노는 신체 및 정신 건강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반면에 용서 반응은 신체 및 정신 건강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용서 처치는 다양한 집단의 신체 및 정신 건강의 향상에 기여하였다. 용서와 신체 및 정신 건강을 매개하는 변인은 생체 적응성이다. 용서하지 못하는 반응으로서 분노나 적대감은 생체 적응성에 영향을 주어 교감신경의 각성 수준을 높이며 심혈관, 내분비 및 면역 체계의 부적응 상태를 초래하게 된다. 반면에 용서의 핵심 요소인 공감은 긍정적인 정서를 유발함으로써 생리 체계의 적응에 기여한다. 마지막으로 추후 연구에서 다룰 만한 쟁점들을 소개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reviewing previous empirical research on the relation between forgiveness and health, and exploring physiological mechanisms and psycho-social factors, influencing the relation. Correlational analyses have proved that a variety of forgiving and unforgiving responses are associated with health indices, either mental or physical. Studies of forgiveness interventions have validated the effects on health with a wide range of groups, including clinical populations. In this study, physiological mechanisms and psycho-social factors were explored as mediators or moderators for the relation between forgiveness and health. Unforgiving responses result in allostasis load, influencing sympathetic nervous system (SNS), cardiovascular, immune and endocrine systems. Conversely, empathy, a key component of forgiveness, increases positive affect and creates relaxed conditions within physiological systems. Future research on the relation between forgiveness and health should consider issues, such as an accurate definition of forgiveness, a comprehensive explanatory frame for the relation, focus on specific aspects of forgiveness, and applicability to previously excluded populations and health indice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지각된 인기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종효(朴宗孝),김진구(金珍句),윤영(尹煐)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아시아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학생의 지각된 인기와 교사-학생관계, 학급의 또래관계 연결성과 위계성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지각된 인기와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를 학급 내 또래관계의 연결성과 위계성이 조절하는지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총 34학급 943명 초등학생(여학생 47.8%)을 대상으로 또래지명과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해 관련 변인을 측정하였다. 학생과 학급의 수준을 포함하는 다층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지각된 인기가 높을수록, 또래-교사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초등학생의 친사회적 행동 수준은 높았다. 또한 학급 내 또래관계 연결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위계성이 낮을수록, 초등학생의 친사회적 행동수준은 높았다. 특히 지각된 인기와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를 학급의 또래관계 연결성과 위계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관계의 연결성이 높은 학급에서는 연결성이 낮은 학급에 비해 지각된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친사회적 행동이 더 증가하였다. 유사하게 또래관계 위계성이 낮은 학급에서는 위계성이 높은 학급보다 지각된 인기가 친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는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급 구성원이 친사회적 행동을 발현하는 데 있어서 학급 내 또래 연결망의 구조적 특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으로, 학급의 또래관계 개선을 위한 교사의 개입과 처방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n the current research, we explored the effect of perceived popularity, teacher-student relationship, peer network connectivity and hierarchy on prosocial behavior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peer network connectivity and hierarchy. Using a sample of 943 elementary school students (female: 47.8%) in 34 classrooms, we measured relevant variables using peer nomination and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of a multi-level analysis reflecting student and class levels showed that being female and having higher scores for perceived popularity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osocial behavior. Prosocial behavior was also higher in classrooms with high peer network connectivity and low hierarchy. Peer network connectivity and hierarch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opularity and prosocial behavior. Prosocial behaivor increased more rapidly according to perceived popularity in classrooms with high connectivity compared to those with low connectivity. Similarly, in classrooms with low hierarchy, prosocial behavior increased at a much higher rate than those with high hierarchy.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eer relationships can influences students’ prosocial behavior in the classroom. The researchers conclude with policy implications for teacher intervention and prescriptive measures for improvement of peer relationship in classrooms.

      • KCI등재

        또래 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특성 탐색

        박종효(朴宗孝)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또래로부터 괴롭힘을 당하는 학생과 괴롭힘 수준이 높은 학교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 243개교 중학교와 47,017명(남학생 55.0%) 중학생을 대상으로 건강실태조사 자료와 학교공시 지표를 활용하여 또래 괴롭힘 피해 학생과 학교에 대한 집단차이 분석과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집단차이 분석 결과, 학년이 낮을수록, 남학생일수록, 저체중이나 과체중, 비만인 경우, 또래 괴롭힘 피해 학생이 될 확률이 높았다. 또한 전체 학생 수가 적거나, 남학교인 경우, 전출학생 비율이 높거나, 국어 기초미달학생 비율이 높은 학교에서 학교수준의 또래 괴롭힘 피해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경향은 다층분석 결과에서도 확인되었다. 학교폭력에 관한 학교공시지표는 학교 수준의 또래 괴롭힘 피해를 설명하는데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또래 괴롭힘을 줄이기 위한 교육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current research is aimed to better understand students whose are victimized by peers and schools where bullying occurs frequently. This research uses two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sets comprising a total of 243 middle schools and 47,017 students (55.0% males): (a) The 2011 national health survey data; (b) The 2011 school information disclosure data. A series of t-tests and Hierachical Linear Modeling analysis were conducted so as to locate characteristics of victimized students and schools with frequent bullying. According to t-tests, students who were male, in lower grades or abnormally low- or high-weighted are more likely to be bully victims, while schools with a high ratio of victims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male only schools, small number of students, high rates of student, or high rates of students with lowest levels of Korean scores. HLM analyses confirmed the student and school features mentioned above. Interestingly, several indicators related to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treatment did not play a role in explaining bullied students or schools with frequent bullying. Educational policies to reduce bullying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개정 국제표준교육분류(ISCED)에 따른 한국의 교육체제분류 개정방안 및 효과분석

        박종효,변기용,우선영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2

        본 연구는 UNESCO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현행 국제표준교육분류(ISCED-97) 개정에 대비하여, 한국의 교육체제 분류 개정안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OECD와 UNESCO 회의자료 분석을 통해 ISCED 개정의 주요 쟁점과 개선 방향을 확인하였고, 전문가 협의회와 교육기관 방문조사를 통해 한국의 교육체제 분류의 쟁점 및 문제점을 탐색하였다. 현재 UNESCO에서 논의중인 네 가지 개정대안별로 한국의 교육체제분류 개정안을 개발하여 그 장단점을 분석하였으며, 이와는 별도로 개정안의 효과를 탐색해 보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취학이전 교육단계와 고등교육단계 주요지표의 변화를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한국의 교육체제 분류 개정안은 2011년 UNESCO의 국제표준교육분류 최종안이 마련되면 전문가들의 논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확정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se and empirically verify the Korean classification of education in order to submit nation-level suggestions for ISCED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revisions.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primary issues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s debated at several international OECD and UNESCO meetings. Revisions to the Korean classification of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UNESCO's latest revision, the ISCED level has been extended from 7 levels (ISCED 0-6) to 9 levels (ISCED 0-8). Second, the ISCED level has been changed to not only include kindergarten but also center-based child care institutions. The decision must still be made whether to constrain the entrance age of children to three or older or to grant entrance to younger children. Third, post-secondary non-tertiary education has been changed to include vocation and job training education institutes that are established and run by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Fourth, tertiary education, which had complicated sub-categorized levels, has been simplified and re-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grees awarded and theoretical duration. Simulations have been conducted on main indicator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revised Korean classification of education. Discussion should continue in order to create a better classification for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 KCI등재

        Differential correlates of bully/victim status and bystander roles of school violence with school adjustment in Korea

        박종효 한국교육개발원 2013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Vol.10 No.-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fferential associations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s with school adjustment by specifying bully/victim status and bystanders’ roles. A total of 1516 primary (67.4%) and middle (32.6%) school students in Korea were administered a series of psychological instruments. Mean differences showed that students without bullying experiences were better adjusted at school than those of bully, victim or bully-victim status. Victim helpers were better adjusted at school than bully helpers or passive observers.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students were better adjusted in schools if they had higher levels of empathy, lower levels of hostile attribution, no experiences of school bullying, or being victim-helpers.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bullying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