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宋稶 文學 硏究

        박종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고는 宋 稶(1925-1980)의 시와 시론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송 욱은 <文藝(1949-1954)> 지에 서정주의 추천을 받아 시작 활동을 전개하면서 동시에 비평 활동을 활발히 전개했다. 특히 본고는 그의 시와 시 비평에 나타난 시론, 시 창작과 그의 주체적 시론과의 상관 관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피고자 하였다. 송 욱에 대한 기존 논의는 송 욱의 대표적 시집인 「何如之鄕」 을 중심으로 언어의 특징과 풍자 정신을 밝히는 데에 집중되었다. 그리고 송 욱이 만해의 「님의 沈默」을 연구한 점과 만해에 몰두하면서 가진 불교적 선(禪)의 세계를 송 욱 문학 연구에서 언급하지 않았다. 그래서 송 욱의 전시집을 대상으로 시세계의 지속성과 변화 양상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시론에 대한 연구는 객관적이고 논증적인 비판보다는 주마간산격의 평설에 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송 욱의 비평서에 나타난 비평 태도와 내용을 심층적으로 검토하여 송 욱의 시론을 새롭게 조망할 필요성이 있다. 본고의 주 연구 대상은 5권의 시집(시선집 포함)과 「詩學評傳」, 「文學評傳」, 「<님의 沈默> 全篇解說」이다. 본고는 문학반영론적 관점을 통해 시에 나타난 현실 반영의 태도를 염두에 두고 연구하였다. 문학반영론은 작게는 작가의 전기적 영향을 염두에 둔 방법론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이 부분이 원용되었다. 그리고 송 욱이 시를 어떻게 장치했는가라는 방법적인 미학을 연구하였다. 특히 방법론의 미학은 시어의 형태와 시적내용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시론을 검토하는 방법론은 송 욱이 수용한 외래적 시론을 검토한 다음, 그 시론의 한국 문학 비평의 타당한 적용과 비판을 통한 그의 주체적 시론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는 송 욱의 서구문학론 검토와 서구문학론에 따른 한국시의 실천비평- 황진이, 김소월, 김기림, 정지용-이라는 두 가지 조건을 갖추었을 때,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는 실천비평을 통해 그가 추구하는 시론이 무엇인지를 파악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뉴 크리티시즘, 모더니즘이 서양 시론에 대한 한국시의 적용, 검토인 점과 달리 동양정신의 미학이라 할 수 있는 불교적 세계관, 즉 선(禪)을 통한 만해 연구는 송 욱 시론의 대조가 되는 점에서 연구 가치가 있다. 그리고 시 창작과 외국 시론을 통해서 표출된 주체적 시론이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아울러 검토하였다. 송 욱은 전후 한국 현대시와 시론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대했다. 즉 시의 내용과 형식을 미학의 차원으로 끌어 올렸으며, 시론을 학문적 차원으로 상승시키는 데 이바지하였다. 그의 시가 보여 준 내용의 미학적 변모는 '현실의 비극적 인식(수용)-> 현실 비판-> 사회 현실의 이탈로 자연 추구-> 정신적 정점을 찾은 동양정신에 나타난 초월 지향의 세계'로 나타난다. 5 권의 시집을 통해서 1950년대 전후의 비극적 인식을 보여 주었고, 60년대 타락한 시대상과 사회를 비판하는 데 있어 독특한 방법적인 미학을 보여 주었다. 즉 한자음의 반복을 통한 시대성 비판과 비문서술화(非文敍述化)로 날카로운 풍자성을 보여 준 것이다. 즉 초월적 세계를 담는데 동양정신의 패러디화라는 새로운 미학을 시도하였다. 이는 송 욱 시가 갖는 전후시사에 있어 독자적인 의의라 할 수 있다. 송 욱은 서구문학론의 수용과 비판을 주체적으로 소화하여 주체적 비평 의식을 가진 시론가이다. 그래서 학문을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실제비평의 성과는 이후 비평가들에게 모범이 되었다. 또한 김소월, 김기림, 정지용 등과 같은 한국시사의 중심 부분에 대한 비판은 한국시비평사에서 의미있는 내용이다. 그러나 그의 비평의 문제점은 비교적 정당한 방향성과 논거에도 불구하고 편견과 선입견, 그리고 독선적인 태도와 권위주의가 암암리에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60년대 한국 시론 연구에 앞장서서 체계적인 연구, 분석적인 태도, 다양한 문학론의 소개 및 접목 등은 한국시 비평의 수준을 높였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송 욱의 시 창작과 주체적 시론과의 상관 관계는 접목과 변용으로 나타났다. 첫째 뉴크리티시즘의 비판을 동해서 주장한 내면공간은 선취(禪趣)와 무하유향(無何有鄕)의 정신세계로 접목되어 그의 시에 표현되었다. 모더니즘 비판을 통해서 강조한 역사의식은 현실 비판의 접목으로 나타났다. 또한 뉴 크리티시즘, 모더니즘 비판을 통해서 줄곧 주장한 리듬에 대한 인식이 그의 시에서는 한자음의 반복으로 변용되었다. 만해 연구를 통해서 밝힌 산문시에 대한 가치는 송 욱 시에서는 연작시 형태로 접목되었다. 그리고 송 욱 시창작의 패러다임은 비문서술화(非文敍述化), 성유화(性喩化), 용사(用事)의 패러디화 등이다. 송 욱의 「誇學評傳」과 「文學評傳」, 「님의 沈默- 全篇解說」을 검토한 결과, 그의 비평 태도는 반드시 방법과 근거를 아울러 밝히는 원전비평의 단계, 구조분석을 통한 객관적인 특징을 밝히는 단계, 작품의 정신적 가치 체계를 밝히는 단계로 압축할 수 있다. 이는 송 욱이 「文物의 打作」에서 밝힌 작품의 정리, 평가와 독자의 쉬운 이해를 돕는 비평의 기능을 실천한 것이다. 송 욱의 비평 태도는 문학 연구의 보편적인 축이라고 볼 때, 철저한 그의 연구 태도는 후대 연구자의 한 본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연구는 송 욱 문학의 문학사적 의미를 해석하는 일에 귀결되는 것이다. This is a study on the poetry and poetics of Song Wook(1925-1980). In particular, I paid a careful attention to his poems, poetics showed in his critic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his writing and his unique poetic theories. Recommended by Suh Jung-joo in 「Literary Art(1949-1954)」, he started to write and review poems. Many studies on him so far have been focused on characteristics of his words and satires used in his famous work, 「HaYoJeeHyang」. The comments, in my opinion, must be absolutely partial or prejudiced on his immersed attitudes towards Korean and on the lack of showing his possibly experienced oriental 'nil'. Even in their works on him, they do not include his praiseworthy study on 「The Meditation of a Lover」 and his own finding of Zen during the study. I find, unfortunately, studies on his poetics cursory views rather than objective and demonstrating ones. I'd like to look over the continuity and transformations in his poems and then review his poetics by scrutinizing his critics on poems and his way of criticisms. For my study, I focus on his 5 poetries (including his Selected Poems), 「Critical Biography of Poetics」, 「Critical Biography of Literature」 and 「Expounder of 'The Meditation of a Lover'」. I studied the way he reflected reality in his poems from the view of literary reflection. The reason I used this theory is that it is a methodology having biographic effect of writers in mind and therefore it is natural to be used. I also studied his methodological aesthetics through which he set his 0poems up. I quoted a structural analysis to reveal characteristics of the aesthetics. In particular, the methodological aesthetics was reviewed on the basis of patterns and contents of his words used. I analyzed his methodology by looking over his borrowed poetics first and then looking for a possibility of its survival even after it is experienced through reasonable adaptations and criticisms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For the convenience of my study, I narrowed his works to ones having two conditions of western literary review and practical review of Korean poems. With this, I can figure out the poetics he is pursuing. He reviewed poems using Zen, the Buddhist world view and the core of Orientalism while others did it using new criticism or modernism. Finally, I looked over the interaction of writing poems and his own theory filtered by western theory. He extended a possibility of Korean modem poetry and poetics after Korean war. In other words, he enhanced the pattern and contents of Korean poetry up into a aesthetic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scholastic poetics. The aesthetic contents of his poems were transformed into a tragic recognition(or acceptance) of reality, practical comments, nature-pursuit beyond reality of life and into a oriental transcendentalism looking for a mental summit. His five poetries well showed the totally destroyed reality of post- Korean war in the 1950s and found their way into his own methodological aesthetics while depicting the corrupted society in the 1960s. He used a repeat of Chinese characters to criticize the society and to show his cynical satire. His chosen words showed the depth of his mental. In other words, he selected a new aesthetics parodying orientalism to draw the Buddhist transcendentalism, which makes his poems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post-Korean-war poetry. He has been considered a critic who accepted the western theory positively, improved it and came up with a fruit of methodological criticism. That's why he has been followed by many descendants. His comments is still meaningful on the people who take main seats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such as Kim, So-Wol, Kim, Ki-Rim and Chung, Ji-Yong. The flaw of his great criticism is that we can find a kind of prejudice, self-righteousness and authoritarianism in it. Despite that, his achievements are justified to the title of literary significance with the help of his advanced systematic study, analyzing attitude, introduction and adaptation of various literary theories in the 1960s. As for quality of poetry, the interaction of his writing and poetics, along with inner life claimed in the name of new criticism, is immersed in his poems in the form of Buddist sense and non-obsessive mental world. His sense of history claimed in the name of modernism is immersed in the form of practical criticism. As for pattern of poetry, his sense of poetic rhythm which he had claimed through new criticism and modernism is immersed in the form of repeating Chinese characters. The value of prose poetry which he revealed on the study of Manhae's poetry is developed into the form of consecutive poetry. The unique paradigm of his writing is non-sentence discription, sex-figurative and the parody of borrowed Chinese poetry. Judging from his 「Critical Biography of Poetics」, 「Critical Biography of Literature」 and 「Expounder of 'The Meditation of a Lover', his critic attitude could be added to a step of criticizing original texts with its method and reason showed, a step of revealing objective characteristics through structural analysis, and to a step of showing mental values of the texts. The reason is that, as shown in 「Threshing of Civilization」, he had followed his principal of regulating texts first and then helping readers with easy criticism. His earnest critical attitude must be a good example for us since it has become a main pivot of literary study in these days. I hope my study would be an addition to understanding his literary consequence.

      • 하천 수질개선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등급화 모델 개발

        박종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하천은 국토의 동맥으로서 국가 경제발전과 국민 복지향상을 위한 다양한 기능과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는 하천환경기능 그리고 친수·문화 활동공간을 제공하는 친수·문화기능, 용수를 공급하는 이수기능, 홍수를 소통 시키는 치수기능 등을 가지고 있다. 이들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기능 간 균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통합적으로 하천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는 4대강 물관리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삭감시설을 확충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대상 하천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나 체계화된 방법이 아닌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적 특성이나 재정적인 측면에 의해 삭감시설이 설치되고 있어 시설에 대한 효과를 답보할 수 없는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수질개선을 위해 오염원의 유입을 차단하거나 오염원의 저감 대책을 시급하게 시행해야 하는 하천이 오히려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유역 내 오염원의 제어 및 하천의 수질 개선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해당 하천 유역을 정확히 진단하고, 개선이 필요한 하천 유역을 선정하여 제한된 재정여건에서 선택과 집중을 통한 방법이 중요하다. 따라서 하천을 관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하천 평가에 대한 지표 및 지수화가 필요하며, 하천 수질개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등급화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하천 수질개선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평가 항목을 설정하고 등급화 모델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AHP 기법을 통하여 평가 항목의 계층화를 통하여 상대적인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하천 수질의 종합적인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배출부하량, 유역 면적, 배출부하량 밀도, 수질, 유량, 유달부하량 등 6가지 평가 분야를 선정하였으며, 평가 분야의 하위 항목으로 20개의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다. 2) 평가 항목의 정량적 평가를 위하여 각각 평가 항목에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히스토그램에서 7개 구간으로 구분하여 각 구간별 정규분포의 확률범위로 평가 항목의 지표를 설정하였으며, 등급화 지표는 5등급으로 구분하여 1등급과 5등급의 수준을 상·하위 10%로 설정하고, 2등급과 4등급 수준을 상·하위 20%로 설정하고, 나머지 3등급을 40%로 설정하였다. 3) 하천 수질개선 우선순위 결정을 위하여 6단계 하천 등급화 모델, 4단계 하천 등급화 모델, 2단계 하천 등급화 모델 등 3가지 등급화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집단의 AHP 분석 결과 3가지 등급화 모델 중 6단계 하천 등급화 모델이 최적의 수질 등급화 모델로 나타났다. 4) 하천 수질개선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등급화 모델 개발에 적용된 6개의 평가 부분의 중요도는 유달부하량 29.3%, 수질 23.1%, 유량 19.0%, 배출부하량 밀도 12.4%, 배출부하량 10.5%, 면적 5.8% 순으로 나타났다. 5) 등급화 모델에 적용된 20개의 하위 항목의 중요도는 유량이 18.95%를 차지하여 가장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BOD 유달부하량 6.65%, TOC 유달부하량 6.19%, 면적 5.84% 순으로 나타났다. TP 배출부하량 밀도 2.80%, SS 유달부하량 2.74%, TN 배출부하량 2.36%, SS 농도 2.10% 순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정밀 프레스 금형 기계에서의 사운드 신호를 이용한 오작동 감지 시스템

        박종석 성공회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금형 프레스 작업은 특성상 제품을 찍어낼 때마다 비슷한 유형의 소리가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만약 비슷한 유형의 소리가 프레스 기계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면 기계에 이상이 생긴 것이며 이로 인해 많은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곤 한다. 이러한 불량을 작업 현장에서 바로 발견하지 못하면 회사는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되기 때문에 항상 불량이 나질 않도록 만전을 기해야한다. 그러나 상황의 중요성에 비해, 현장에서 하는 일은 단지 현장 기술자가 프레스 기계의 부품 찍어내는 소리를 듣고 소리가 이상하면 기계를 멈추고 점검하는 일 뿐이다. 이러한 일은 사람이 하기에는 단순 반복적인 일이기는 하나, 그렇다고 이 분야 숙련공이 아닌 아무나 할 수 있는 일도 아니어서 어려운 점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방법에 착안하여 사람의 귀가 아닌 사운드 신호를 입력 받아 분석함으로써 오작동을 감지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우선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하여 프레스 기계의 작업음을 입력 받은 후 간섭 신호와 잡음을 줄인다. 잡음이 제거된 신호는 신호의 에너지를 측정하여 작업음이 존재하는 부분과 존재하지 않는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중 작업음이 존재하는 부분만을 추출한다. 추출된 데이터는 특성을 보다 쉽게 분석하기 위해 주파수축으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데이터를 DTW를 이용하여 정상 작동 작업음과의 유사도를 측정하면 이 유사도에 의해서 오작동을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주요어: 음성 검출, DTW, 오작동 감지

      • 지적측량기준점 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종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적은 지표면의 관계 등을 기록한 공문서로서 토지의 호적이라 할 수 있다. 지적측량은 지적공부를 정리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으로서 일필지 토지마다 경계와 면적을 법률적으로 결정하는 행정처분인 동시에 토지에 대한 물권이 미치는 한계를 밝히는 사법측량이라 할 수 있다. 지적측량기준점은 지적측량을 할 때 기준이 되는 점으로 국민의 자산과 국가의 재산을 지키는 국가시설물임에도 국민의 인식부재와 국가의 관리 소홀로 망실 또는 훼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적측량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지적측량기준점의 관리를 물리적인 측면에서 표지의 유형, 행정적인 측면에서 관리체계, 기술적인 측면에서 성과관리 부분의 실태로 구분 조사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과정에서 지적측량기준점 표지의 유형도 많고 기타 공공기업에서 매설한 지하시설물 매설 안내 표지와 구분이 어렵고, 조사․관리하는 기관이 이원화되어 관리가 어렵고, KLIS 개발이 완료되었으나 성과관리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지적측량기준점(지적도근점)을 부동산측량기준점으로 명칭을 변경하면 국민들이 주인의식을 갖고 선의의 관리자로 인식이 전환될 것이고, 지적측량기준점 관리업무를 대한지적공사로 일원화시킬 경우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지적측량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적측량기준점 정보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본 연구와 관련된 향후 개선방안으로는 지적측량의 성과가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지적측량과 지적제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된 대한지적공사의 주인의식이 요구된다. 주요어 : 지적측량, 지적측량기준점, 부동산측량기준점

      • 기술기반 중소기업의 기업가지향성, 조직문화, 거점기관의 지원이 제품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종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1952년 스탠퍼드 리서치파크의 성과에 고무되어 정책으로 도입된 테크노 파크는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에서도 첨단산업을 육성하고, 기술 기반 중소기업을 지원하며 성과를 내고 있다. 국내에서는 1997년 6개 시범테크노파크가 조성된 이후 세종테크노파크까지 19개의 테크노파크가 각 시도별로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20여 년이 지난 지금은 사업비 규모 등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원사업을 추진함으로써 기업들의 성과 창출에 질적으로도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하지만 국내 테크노파크의 성장과 확대에도 불구하고 테크노파크의 역할과 성과로 이어지는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초창기 연구는 문헌과 사례연구 중심이었고, 최근의 실증분석 연구는 독립변수로 작용하기 보다는 조절변수나 매개변수로 사용되거나, 만족도를 확인하는 연구가 대다수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테크노파크의 지원이 독립변수 로 작용하여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그간의 선행연구가 단순히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만을 분석 하는데 그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기술기반 중소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혁신과정을 탐색함으로써 기존 연구와 차별화할뿐더러 기술기반 중소기업의 성과가 발생 되는 메커니즘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가지향성, 조직문화, 거점기관의 지원이 신제품개발역량을 매개하여 제품혁신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설문 조사는 테크노파크로부터 지원받은 경험이 있는 기술기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181개의 회수 응답지 중 169개의 유효한 설문에 대해 AMOS 22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으로 연구모형 및 가설을 검증했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기업가지향성은 신제품개발역량을 매개로 제품혁신성 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문화 역시 신제품개 발역량을 매개하여 제품혁신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셋째, 거점기관의 지원은 신제품개발역량을 매개하여 제품혁신성 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기존 테크노파크 관련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테크노파크의 지원이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연구가 단순히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만을 분석하는데 그친 것과 달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혁신과정을 탐색함으로써 혁신성과가 발생하기 위 해서는 혁신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를 통해 향후 기술기반 중소기업의 지원 시책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Since the creation of six pilot techno parks in Korea in 1997, 19 techno parks have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by each city and provincial government, and more than two decades later, they are now helping companies to generate results by pursuing diverse support projects as well as quantitative growth, including the size of their business expenses. However, despite the growth and expansion of Techno Park in Korea, there is a dearth of research that leads to its role and performance. Early studies were centered on literature and case studies, and recent empirical analysis studies are mostly used as adjustment variables or parameters, or to confirm satisfaction, rather than acting as independent variables. Therefore, this study looks at how the support of Technoparks act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affects performance. In addition,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onl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this study sought to differentiate from existing research by exploring innovative processe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small businesses and to identify mechanisms for generating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SMEs. To this end, it was confirmed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how the company's orientat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support of the hub institution affect the performance of product innovation by mediating the new product development capabiliti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echnology-base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ith experience with support from Techno Park, and 169 valid surveys out of 181 retrieval response sites were used by AMOS 22 to verify their research models and assumptions through structured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first, corporate orient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by using new product development capabilities. Second, organizational culture is also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by mediating new product development capabilities. Third, support from the hub institution has shown positive impact on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by mediating new product development capabilities. Unlike previous research on Techno Park, this study showed how Techno Park's support affects performance. In addition, we found that it was important to enhance innovation capabilities in order for innovation to occur by exploring performance-impacting innovation processe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merely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ed performance. Through this process, it will be able to use this technology to support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in the future.

      • 한국 전통사찰의 봉로대(奉爐臺) 양식에 대한 연구

        박종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Buddhism has long been with us and Buddhist temple stoneworks and their structures have significant both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There is a stonework called Bongrodae. "Bongrodae" is a stonework that has been used for religious activities since the Silla Dynasty, but it is misused in the term "Baeryeseok," meaning "a stone for bowing with courtesy." Therefore, in this paper, I intend to establish a concept through the analysis of Bongrodae's historical data, and to establish the understanding of Bongrodae style through the analysis of data on the lotus and ahn sang patterns sculpted on Bongrodae. The name and location of Bongrodae were identified through Bulguksa (Buddhist Temple) 「bulguksa Gogeumchangki佛國寺古今創記(1740)」, and the name Bongro was mentioned 49 times on the Korea Classical DB The first record showed in 1421 and the final record appeared in 1890. The Bongrodae was appeared on the woodblock prints of Don Hwang Seok-gul and Hwaeumbyeonsangdo. The term "Baeryeseok" refers to the record of the Japanese Gojeongwon 「Chuksanjeongjojeon(築山庭造傳 前編.1735년)」, 「Seokjowonsaeng Paljungwonje on(石組園生八重垣伝1827)」, 「Chaakryujeonggobeobbijeonseo嵯峨流庭古法秘伝の書1867년)」. Worship stones were introduced in these books. This shows that Baeryeseok is not a Korean term. As the sample, the Bongrodae of Bulguksa Temple in 「bulguksa Gogeumchangki」, was identified through an on-site survey, and 68 Bongrodae we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68 sites were classified as Bongrodae, which had patterns of Type 1, 2, and 3, and Bongrodae without patterns were classified as Type 1, 2, 3, and 4 in the form of ahn sang. In addition, those without patterns were classified as plain style and special style. 68 Bongrodae is consist of the Type 1, upper facade with lotus patten, is 26 (57.8%), Type 2, front and back facade with ahn sang pattern is 19 (42.2%), and ahn sangType 1, side facade 24 (53.3%) appeared the most. The basic style of the Bongrodae is the lotus flower patter on the upper face, ahn sang Type 2 the front and the back face, and the side face ahn sang type 1. In addition, Bongrodae were classified into six types and studied. Of the total 22 Bongrodae in front of the pagoda, 18 Bongrodae are located in front of the temple and in front of the Beopdang. Based on the theory that the sculpture should be constructed on an appropriate scale ratio to the size of the outdoor space, the largest number of Bongrodae were located in front of the pagoda. 19 samples were selected to regression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ight of the pagoda. The results showed y=0.1794x+28.449 with a value of 0.3849, indicating a 38.5% explanatory power. This regression analysis result is believed to be an important material for the construction of pagoda. Bongrodae is located in front of the temple's shrine or in front of the pagoda, and is a component of the temple. This stone structure was built to perform religious service in the temple as the support for incense burner, and it is urgent to designate and preserve Bongrodae as a cultural asset after conducting a cultural evaluation. It is hoped that it is the basic standar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temple, and that Bongrodae shoul be established when the pagoda is constructed.

      • 學圃 梁彭孫의 藝術과 史的考察

        박종석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can say that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the time when painting prospered most was the Yi Dynasty. The paintings of the Yi Dynasty succeeded to the tradition of Koryo and formed the basis of the Korean painting style accepting the new painting styles from China. Especially,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in the early 16th century, when Yang Paeng-Son took an active part, Ahn Kyun's painting styles overwhelmed the painting styles in the landscape painting.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Korean became distinct in his composition and brush strokes. This age is evaluated as a turning point of succeeding to the painting styles of the 15th century and, at the same time, forming a new tradition. In the painting style of the Ahn Kyun school, space sense was extended in composition and biased composition was mainly used. The brush strokes, became wild, compared with these of Ahn Kyun but it was soon settled as a unique Korean stroke style in those days. Hakpo yang Paeng-Son (1488-1545), a typical scholar painter of the Ahn Kyun school who had such painting style, was from Neungju, but his family origin was in Cheju. His other name was Daechun and he graduated together with Myonangjung Song Sun from Damyang. When he was thirteen he was trained by Chijidang Song Shik. In the 5th year of King Jungjong(1510) he passed the minor civil examination, and in the 11th year, he passed the higher civil service examination. He took the office of Jungun (the governmental post of expostulating with the king), and he made close friends with Cho Kwang-Jo(1482-1519), who was in the same class of the higher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refore with Cho Kwang-Jo he was in the Rising Sarim School (a school that was one of the four classes of Confucian scholars) and served as Kyori (a high-ranking official who managed the overall documents) in the 14th year of King Jungjong(1519) . When the Kimyo massacre of scholars occurred he was removed from office and so returned to his hometown. Since then, Yang Paeng-Son built the Hakpodang in Ssangbong-ri, where he expressed his ideology and art through paintings and writings living in seclusion. Later he resumed office, and in 1544 he served as Hyullyung (a local minister) in Yongdam and then he retired. The next year he died. After his death he was granted a posthumous government position named Ijopanseo (the highest official in charge of personnel), and his epithet was Hyegang. Yang Paeng-Son was excellent in writing and painting but most of his posthumous works were not handed down. The works known as his are "Sansudo" (a geographical picture of hills and waters), "Yunjido"(a lotus pond picture) and "Mukjukdo" (a painting of bamboo with Chinese ink), owned by the National Central Museum. In his world of art he reflected his political ideas and ideology, A strong desire for transcendence of reality caused by the Kimyo massacre of scholars and his internal world on the frustrated idealism are expressed strongly. In addition, four pieces of "Mukjukdo" opened to the public recently, have high value as materials that make it possible to reevaluate his field of painting. As a forerunner of the Honam painting school, he realized his inner moral law. Through the research of this paper, we can confirm that he should be revaluated as one who made great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 21세기 새신자목회의 중요성 : 21세기 새로운 한국교회성장을 바라며

        박종석 한일장신대학교 한일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끔까지 본 논문은 1. 초기 한국교회의 새신자 양육 2. 21세기 한국교회의 변화전망 3. 21세기형 목회구조로 전환 4. 21세기 목회의 정보화 및 미디어를 활용 5. 새신자 목회에서의 새신자의 정의 6. 새신자의 유형 7.성경에 나타난 새신자 교육 8. 초대교회 새신자 교육의 방법 9. 새신자 양육의 실제 로 이루어져있다. 21세기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엘빈 토플러가 그의 책 제 3의 물결 미래쇼크 권력이동에서 예언한대로 21세기는 기존의 생각과 틀에서는 생각할 수 없고 상상할 수 없는 엄청난 변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대에 교회는 이 시대적 흐름에 대세에 뒤쳐져서는 안되고 오히려 시대를 이끌어 갈수 있는 리더의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회는 스스로의 변화를 추구해야 하며, 시대적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할 것이다. 좀더 치밀하고 계획적으로 이 시대적 변화의 요구에 대응해야 할 것이다. 21세기에 목회에서 새신자의 목회는 치열한 경쟁 속에서 소외당하기 쉬운 개인 한사람 한사람의 영혼에 관심을 갖고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로 성숙시켜야 하는 목회적 책임을 다하는 목회의 한 방편이라고 생각한다. 21세기는 갑작스런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도태되는 사람이 많이 생기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교회에서도 새신자들은 기존의 신자들에 비해 복음에 대해 그리고 신앙에 대해 교회질서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 그들을 하나님의 자녀로 예수 그리스도의 일꾼으로 그리고 교회의 일꾼으로 성장시키는 문제는 시대가 변화되어도 교회에서 추구해야 할 목표이며 목적이 됨을 인식하지 않을 수 없다. 예수 그리스도가 온 목적은 잃어버린 한 마리의 양을 위해 오셨다고 했듯이 21세기의 목회에서 새로운 한 사람의 새신자를 위해 전력을 다하는 목회가 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새로운 21세기의 목회에서 새신자의 목회의 중요성을 열거했다. 시대가 변화가 되고 예수 그리스도는 언제나 잃어버린 양 한 마리(새신자)에게 관심이 있다는 것을 잃지 말고 그 양 한 마리가 주님안에 성장하는 것이 쇠퇴하고 있는 한국 교회의 성장에 다시 한번 기폭제가 될 수 있는 길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 하고 싶다. 새신자 한 사람을 성장시키는 것은 그리 간단치 않다. 그래도 초대교회 4세기에서 긴 인내를 가지고 교육을 시켰듯이 한국교회도 다급하게 서둘지 말고 교육을 시켜 주님의 제자가 살아가야할 올바른 길을 알고 그리고 그 앎을 삶으로 실천할수 있는 길을 제시하는데 게으리지 말아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회에서 적극적으로 교육적인 프로그램 계발과 그들에게 다가갈수 있고 같이 신앙생활 할 수 있는 참신한 프로그램 계발과 애정을 갖고 다가가야 할 것이다. 그제서야 다시 한번 한국교회의 정직한 성장을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