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년대 초 반자본주의사상과 "대중시보사 그룹"

        박종린 ( Jong Rin Park ) 한국사상사학회 2014 韓國思想史學 Vol.0 No.47

        대중시보사 그룹’은 ‘맑스주의 크루조크’의 구성원들이 맑스주의의 연구와 출판 상황이 식민지 조선보다 유리한 일본으로 이동하여 재일조선인 사회운동가들과 결합하여 조직한 모임이다. 이 모임은 비합법적인 공산주의 그룹이 아니라 대중시보사를 조직하고 『대중시보』를 제3호까지 발행했던 ‘동인(同人)’ 5명으로 구성되었다. 동인 가운데 김약수.정태신.변희용은 사회주의자였고, 원종린.황석우는 아나키스트였다. 이들이 함께 할 수 있었던 것은 ‘반자본주의’라는 기치 때문이었다. ‘대중시보사 그룹’은 1921년 가을 무렵 김약수와 정태신이 ‘맑스주의 크루조크’를 ‘재일본조선인공산단체’로 재조직하는 과정에서 해체되었다. 그러나 그 구성원들은 해체 후에도 각각의 조직을 중심으로 활동하면서 지향하는 바가 동일한 경우는 공동 행동을 전개하였다. 『대중시보』에 실린 글 가운데 가장 주목되는 글은 원종린의 「사회주의의 정의」이다. 그 글에 수록된 16개 항목의 사회주의에 대한 정의가 갖는 사상적 스펙트럼의 다양성 때문이다. 즉 사회주의에 대한 다양한 정의 자체가 사회주의자와 아나키스트가 ‘반자본주의’를 매개로 함께 만들어 가고 있던 『대중시보』의 성격을 잘 보여 주고 있기 때문이다. ‘맑스주의 크루조크’가 『대중시보』를 통해 맑스주의 자체가 아니라 ‘반자본주의’에 초점을 맞추어 주장을 천명한 것 역시 ‘대중시보사 그룹’ 구성원 가운데 아나키스트인 황석우와 원종린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맑스주의 크루조크’는 1920년 『개벽』과 『공제』를 통해 맑스주의의 유물사관을 선전하고 자본주의를 지양하기 위한 방법으로 노동운동을 강조하였다. 그런데 1921년 『대중시보』를 통해서는 맑스주의 자체에 대한 선전보다는 자본주의의 지양이라는 ‘반자본주의’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Daejungsibosa Group(DG, hereafter)’ was an organization which the members of ‘Marxist Group(MG, hereafter)’ made together with the existing Korean social activists in Japan. They recently went to Japan where the conditions of the research and the publication were relatively better as in the colonial Korea. DG was membered of five persons who was called as the coterie. It was not an illegal communist group, so that it could organize the Daejungsibosa, and also publish the magazine The Taichung(『大衆時報』) to the third volumes. The three members of DG, Kim Yak Su, Jeong Tae Shin, Byeon Hui Yong, were socialists, and the last two, Won Jong Rin, Hwang Seok Woo, were anarchists. Despite of a different political attitude, they could make a group under the same banner of the Anti-Capitalism. On the autumn of 1921, DG was disassembled in the process of the reorganization of MG into the Korean Communists Group in Japan by Kim Yak Su and Jeong Tae Shin. But after its dissolution, the members continued to make activities differently on the center of the individual organizations, and furthermore they could take common actions on the condition of the same direction. The most noticeable article in the magazine The Taichung was a critical essay by Won Jong Rin, “Definitions of Socialism”. He tried to define the socialism with the 16 clauses, so that he could submit various aspects of understanding the socialism. This had the historical meaning, in that the various definitions per se of the socialism mirrored the peculiarity of the magazine The Taichung, united by the socialists and the anarchists being published on the medium of the Anti-Capitalism. The fact that MG clarified out their insistence with the magazine The Taichung, not for the Marxism per se, but on the base of the Anti-Capitalism, can be also a certain evidence which they took deep consideration into the anarchists members Hwang Seok Woo and Won Jong Rin. In 1920, MG propagated the historical materialism of the Marxism and emphasized the labour movement as the method sublating the capitalism through a popular magazine Gaebyeok(『開闢』) and Gongje(『共濟』). But in 1921 they took more accent on the Anti-Capitalism sublating the capitalism, instead of propagating the Marxsim per se with their magazine.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사(朝鮮史)`의 서술과 역사지식 대중화 ― 황의돈(黃義敦)의『중등조선역사(中等朝鮮歷史)』를 중심으로

        박종린 ( Park Jong Rin ) 역사문제연구소 2014 역사문제연구 Vol.18 No.1

        After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s Japan switched to the cultural politics and implemented reconciliation policies, wider movements for the education of Korean history emerged. The 2nd Joseon Education Decree in 1922 also stimulated public demand for the education. This situation made it possible for Korean history books by Korean historians to be published. During 1923 and 1924, seven Korean history books were published. These book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books by nationalist historians and books by pro-Japanese historians. Among the best known books is 『Sinpyeon Joseon History(新編朝鮮歷史)』 by Hwang Ui Don. 『Jungdeung Joseon History(中等朝鮮歷史)』 by Hwang was first published in 1926 and the 9th edition was published in 1933. This book was easy to read and included a lot of maps and pictures, and thus it was more popular than other books. 『Revised Jungdeung Joseon History(增訂中等朝鮮歷史)』 by Hwang was used as a textbook for Korean history in many secondary schools, and widely read by those who have an interest in Korean history. Accordingly, Hwang affected public recognition of Korean history, and the books by Hwa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popularizing historical knowledge.

      • KCI등재

        효성 김원벽의 생애와 민족운동

        박종린(Park, Jong-Rin)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8 동방학지 Vol.184 No.-

        In 1894, Kim Won-Byeok(1894∼1928) was born as the son of a pastor in Eunyul, Hwanghaedo. He grew up in Christian circles and got into Yonhee College after being graduated from Kyungshin School. He emerged as the leader of Christian students due to the movements of the YMCA and Seungdong Church. Also, he led the alumni association and the regional students’ society, and interacted with Becker, Park Hui-Do, and Lee Byeong-Jo. Kim Won-Byeok played a key role in organizing the student leadership, which was an important group of the March 1st Movement with the religious circle. After the Daegwanwon meeting, he led the student movement with Kang Gi-Deok and Han Wi-Geon. He engaged in the agreement of the unification of religious and students groups, and led the 2nd Protest at the Namdaemun Station Square. Kim Won-Byeok worked hard on social movements after leaving prison on November, 1921. He gave lectures on the reality and problems of the Japan-occupied Korea. He organized the Sinsaenghwalsa with Park Hui-Do, Lee Byeong-Jo, and others of the Hawnghaedo network, and published New Life (󰡔新 生活󰡕) with socialists of the ‘New Life Group’, who shared the ideas of overcoming the reality of colonial Joseon. This was the ‘new movement’ of ‘new life’ to renovate colonial Joseon. After the persecution of Sinsaenghwalsa, Kim Won-Byeok worked as a journalist but went to his hometwon, Sariwon, because of his illness. And he participated in the regional mass movement. There he was active in the Seonundonguhoe and argued against the One Station-One Office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m, supporting the One Station-Two Office Policy. 김원벽은 1894년 황해도 은율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기독교의 자장 속에서 성장한 그는 경신학교를 거쳐 연희전문학교에 진학하였다. 이후 중앙YMCA와 승동교회의 활동을 통해 기독교 학생들의 리더로 부상하였다. 또한 동문회와 지역 학생친목회의 조직을 주도하였다. 그 과정에서 백아덕(Becker), 박희도, 이병조 등과 밀접하게 교류하였다. 김원벽은 종교계와 함께 3․1운동의 한 축을 담당했던 학생지도부의 조직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대관원 모임 이후 강기덕․한위건과 함께 학생지도부의 리더로 제반 활동을 주도하였다. 그는 종교계와 학생계의 ‘일원화’ 합의에 관여하고, 3월 5일 남대문역 광장에서 전개된 제2차 만세시위를 이끌었다. 1921년 11월 출옥한 김원벽은 사회운동에 매진하였다. 먼저 식민지 조선이 처한 현실과 문제점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대중강연을 통해 설파하였다. 1922년 1월에는 박희도, 이병조 등 황해도 인맥과 함께 신생활사를 조직하였다. 그리고 식민지 조선의 현실 극복이라는 지향성을 함께 했던 ‘신생활사그룹’의 사회주의자들과 󰡔신생활󰡕을 발행하였다. 식민지 조선을 개조하기 위한 ‘신생활’의 ‘신운동’을 전개한 것이다. 신생활사 필화사건 이후 언론계에서 활동하던 김원벽은 건강상의 문제로 사리원으로 낙향하였다. 낙향한 이후 그는 지역의 대중운동에 참여하였다. 특히 선운동우회(鮮運同友會)의 활동에 적극적이었는데, 일제의 ‘1역(驛)1점(店)주의’에 반대하여 ‘1역2점주의’를 주장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또 하나의 전선(戰線)-신생활사그룹의 민족일치론 비판을 중심으로-

        박종린 ( Park Jong Ri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 No.61

        1922년 11월 신문지법으로 발행이 허가된 『新生活』은 제10호부터 『週報 新生活』로 발행되었다. 이를 계기로 신생활사그룹은 『신생활』의 사상적 지향을 ‘사회주의’로 더욱 명확히 하고, 자신의 위상을 ‘신흥계급의 전위’로 자리매김하였다. 『신생활』제10호에 ‘民族ㆍ階級’ 특집을 구성하고, 『東明』의 민족일치론 비판을 통해 부르주아 민족주의세력과의 논쟁, 즉 ‘또 하나의 戰線’을 형성하였다. 또한 兪鎭熙와 李赫魯가 기자로 합류하였는데, 이는 단순한 기자 증원이 아니라 신생활사그룹 구성원의 확대를 의미하였다. 『동명』의 민족일치론은 식민지 조선의 당면 문제가 ‘民是’를 정하는 것이며, 모든 조선인이 ‘一致’하여 民是를 확립하고 행하면 최후의 소망을 성취할 수 있다는 논리이다. ‘민족적 일치’는 ‘민족적 자각’에 기반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특히 강조된 것이 ‘3ㆍ1운동’이다. 3ㆍ1운동을 통해 ‘민족적 자각’과 ‘민족적 일치’가 이뤄졌고, 그를 통해 ‘민족’을 ‘발견’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朝鮮民是論」이 강조한 ‘발견’은 바로 ‘민족’이며, 『동명』은 ‘발견된 민족을 완성하려는 자’로 자리매김되는 것이다. 민족 내의 계급적 이해관계는 고려의 대상이 아니며, 무엇보다 ‘민족’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민족이라는 레테르를 앞세워 자신들의 이익을 선취하고자 했던 부르주아 민족주의세력의 이해를 그대로 보여주는 주장인 것이다. 일치란 동일한 이해를 전제로 한다. 한 민족 안에서도 ‘경제적 착취’에 기반한 상반된 이해관계를 갖는 착취계급과 피착취계급, 즉 부르주아지와 프롤레타리아트가 존재한다. 이는 제국주의냐 식민지냐라는 정치적 상황과는 무관하며, 따라서 식민지 조선에도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부르주아지와 프롤레타리아트가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명』이 ‘민족일치’를 주장하는 것은 결국 부르주아지의 이익을 대변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것이 『동명』의 민족일치론을 신생활사그룹이 비판한 핵심이다. 또한 ‘민족일치’와 함께 『동명』이 주장한 ‘民族完成’에 대해서도, 현실의 불가능을 활자로나 가능한 제국주의ㆍ침략주의ㆍ부르주아지의 ‘활자마술’일 뿐이라고 비판하였다. New Life, which was allowed to be published after the newspaper law’s passage in November 1922, was issued as New Life Weekly from the issue no.10. Then, the New Life group identified itself as the ‘vanguard of emerging class,’ clarifying the ideological orientation of New Life towards socialism. The 10th issue of New Life featured ‘Nationality and Class,’ and ‘the other front’ with bourgeois nationalist groups was formed through the critique of the theory of national unity of Dongmyung. On the other hand, the journalists, Yoo Jin Hee and Lee Hyeok Ro, joined the group, which showed the expansion of New Life group. The theory of national unity of Dongmyung holds that the immediate problem in colonial Joseon is to identify the national ideology since they can achieve their final purpose if all Joseon people unite to establish their ideology and put it in practice. ‘National unity’ is based on ‘national awareness’ and ‘3ㆍ1 movement’ should be emphasized in this sense. ‘National awareness’ and ‘national unity’ was achieved through 3ㆍ1 movement, through which the ‘national identity’ was ‘discovered.’ Therefore, the ‘discovery’ in the theory of Joseon national ideology refers to the ‘nation itself’ and Dongmyung is regarded as ‘one who wants to complete the nation discovered.’ Here, class interests within the nation are not considered and the ‘nation’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his shows that the bourgeois nationalist groups try to bring the nation to the fore to achieve their own interests. Unity should be based on the same interests. Within a nation, there are an exploiting class and an exploited class, bourgeoisie and proletariat, which have different class interests based on ‘economic exploitation.’ This is regardless of its political situation of imperialism or colonialism, and thus there are bourgeoisie and proletariat in colonial Joseon. Dongmyung just represents the interests of the bourgeoisie by claiming ‘national unity.’ In this sense, the New Life group ciriticized the theory of national unity of Dongmyung. On the other hand, the group criticized the ‘national completion’ of Dongmyung as just the ‘type magic’ of imperialismㆍaggressivenessㆍbourgeoisie, making the impossible of reality possible in print.

      • KCI등재후보

        바쿠닌과 슈티르너의 아나키즘과 식민지 조선

        박종린(Park Jong-ri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7 No.1

        미하일 바쿠닌과 막스 슈티르너는 아나키즘의 역사에서 ‘실천’과 ‘이론’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각각 혁명적 아나키즘과 개인적 아나키즘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 바쿠닌이 전집이 출간될 정도로 활발하게 소개된데 비해 슈티르너의 경우는 그의 주저인 『유일자와 그의 소 유』만이 번역되었다. 식민지 조선에서는 바쿠닌과 슈티르너가 모두 매우 제한적으로만 소개되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는 민족해방운동의 급격한 성장과 함께 사회주의사상의 주류가 맑스주의로 급속하게 전일화(專一化)된 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소개의 주체와 목적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바쿠닌의 경우는 아나키스트들에 의해 아나키즘을 소개하는 차원에서 전개되었다. 그러나 슈티르너의 경우는 맑스주의자들에 의해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의 차원에서 전개되었다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Mikhail Bakunin and Max Stirner ha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anarchism on the both aspects of its theory and practice. They were respectively an example person of the revolutionary anarchism and the individual one. In Japan, only one of Stimer's main writings, The Ego and his Own, was introduced in Japanese language, while the complete collection of Bakunin was vigorously translated and widely made known. But in colonial Korea, it can be said that both of two revolutionists were all very restrictively made known. It had a close connection with the fact that in accordance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the main stream of the socialists thoughts were quickly flown together into one pool, Marxism. However,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 on the introducing subjects and their purposes. The anarchists had translated Bakunin's collection only in order to newly introduce about him, but Stirner was critically done by the Marxists who had the main intention to criticize the nature of capitalism.

      • KCI등재

        1920년대 사회주의사상의 수용과 『社會主義學說大要』

        박종린(Park, Jong-ri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4 역사문화연구 Vol.50 No.-

        일본의 대표적 맑스주의자인 堺利彦의 『社會主義學說の大要』는 1922년 발행된 이래 수 천부가 발행되는 대중적 성공을 거두었다. 民衆社의 일원이었던 鄭栢은 『社會主義學說の大要』를 번역하여, 1923년 10월부터 1924년 3월까지 5회에 걸쳐 「社會主義學說大要」라는 제목으로 『開闢』에 연재하였다. 이는 출판물의 간행을 통한 맑스주의 선전이라는 민중사의 프로젝트의 하나로 진행된 것이다. 『開闢』에 연재된 「社會主義學說大要」는 기본적으로 『社會主義學說の大要』를 매우 충실하게 번역하고 있다. 그리고 번역자의 '註'를 통해 내용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고, 원저에 삭제된 부분을 문맥에 맞게 복원하기도 하였다. 또한 맑스주의 원전 부분의 번역은 단순한 重譯이 아니라, 다른 일역본도 참조하여 번역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開闢』에 연재되었던 「社會主義學說大要」는 1925년 5월 개벽사출판부에서 『社會主義學說大要』라는 단행본으로 출판되었다. 출판 과정에서 검열로 인해 3곳이 삭제되었는데, 삭제된 내용은 모두 자본주의의 필연적인 붕괴와 사회주의의 필연적인 도래를 주장하는 부분이다. 『社會主義學說大要』의 내용 가운데 가장 주목되는 것은 '進化'를 변화와 발전이라는 차원에서 이해하고, 이를 인간사회에 적용하여 자본주의 체제도 결국은 '필연적'으로 붕괴한다고 설명한 점이다. 또한 '사회주의의 필연성'과 함께 '계급투쟁'을 '필연적' 역사진화의 동력으로 강조한 점도 주목된다. '계급투쟁'에 대한 강조가 정백이 『社會主義學說の大要』를 번역한 이유이다. 『社會主義學說大要』의 번역은 '사회주의의 필연성'을 강조하던 이전의 번역단계에서 '계급투쟁'을 통한 사회주의로의 혁명적 이행을 강조하는 단계로의 전환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는 민중사 관계자들이 물산장려논쟁 과정에서 전개했던 맑스주의 혁명론에 대한 인식의 연장선에 위치하는 것이자, 1924년 이후 공산주의 그룹들의 전위당 조직을 위한 활동 및 논쟁과 맞물린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것이다. 일관된 시각과 체제를 갖고 맑스주의를 소개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던 『社會主義學說の大要』를 번역 출판했다는 것은 맑스주의를 대중적으로 선전하려 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것이다. 그리고 47개월 동안 모두 5판이 발행된 것에서 알 수 있듯 『社會主義學說大要』에 대한 식민지 조선 대중들의 반응도 매우 뜨거웠다. 이러한 대중적 성공은 이 책이 대중들의 사회주의에 대한 관심을 적극적으로 해소시켰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민중사가 맑스주의를 선전할 목적으로 번역했던 『社會主義學說大要』는 천도교가 운영하던 개벽사의 출판부에서 발행되었다. 개벽사는 자신들이 발행하던 『開闢』ㆍ『彗星』ㆍ『別乾坤』의 54%에 『社會主義學說大要』의 광고를 게재하였는데, 이러한 빈도는 개벽사가 발행한 잡지에 게재된 책들 가운데 최고 수준이다. 또한 18종이나 되는 광고문을 통해 『社會主義學說大要』를 홍보하였다. 그러나 개벽사가 광고에서 강조한 점은 급변하는 세계정세 속에서 행세하기 위한 하나의 '처세상식'인 사회주의의 체계를 『社會主義學說大要』가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도록 해 준다는 것이었다. The book, Shakaishugi Gakusetsu no Taiyō(『社會主義學說の大要』), written in 1922 by Sakai Toshihiko who is a well-known Japanese Marxist, was very popular at the time. Jeong Baek, a member of Minjoongsa, translated the book into Korean and divided the book into 5 chapters, which were published serially under the collective title, "The Outline of Socialism Theory"(「社會主義學說大要」), in Gaebyeok(『開闢』) from October 1923 to March 1924. This was for the purpose of propagating Marxism by publications. In "The Outline of Socialism Theory" the author not only tried to translate exactly but also tried to make it easy to understand by adding notes. He even recovered some missing elements from the context. Especially, he referred to other books as well when he translated Marxist texts in the book. "The Outline of Socialism Theory" was published as a book in May 1925. Some paragraphs were removed by the censor, which were about the inevitable collapse of capitalism and its replacement by socialism. What is noteworthy in the book is that evolution is understood in terms of change and development, and thus capitalism is claimed to be brought to an end. In addition, class struggle as well as the necessity of socialism is focused on as the engine of the evolution of history. The emphasis for the class struggle is the reason why he translated the book. The translation of The Outline of Socialism Theory(『社會主義學說大要』) shows that while the necessity of socialism had been emphasized before the publication of the book, the transition into socialism by class struggle was emphasized at the time of the publication.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spective of Marxist revolution by the members of Minjoongsa during the Debate of the Encouragement of Korean Products, and the activity and discussion for the organization of the vanguard party by the communist groups since 1924. The publication of the book was for the purpose of propaganda of Marxism, and the book was so popular that it was published in five editions for forty seven months. The book satisfied the public demand for knowledge of socialism successfully, which was the reason of the popularity. The department of publication of Gaebyeok published the book and advertised it through it's magazines - Gaebyeok, Hyeseong(『彗星』), Byeolgeongon(『別乾坤』). It is noteworthy that the level of advertising was highest. The department emphasized in the advertisement that people could understand the socialism, a philosophy of living in the face of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

      • KCI등재

        1920년대 초 공산주의 그룹의 맑스주의 수용과 ‘유물사관요령기’

        박종린(Park Jong-rin) 한국역사연구회 2008 역사와 현실 Vol.- No.67

        On the first half of 1920, Marxism was risen up on the main stage of the Korea socialism in both aspects of ‘movement’ and ‘thought’. In oder to backing up the rapid and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socialist’ movement, the Marxists in Korea had strenuously studied and introduced many main works of Marxism. They had attempted the translation of the original texts of Marx and Engel. The first translated and published text was ‘The Handbook of Historical Materialism’ in the preface of For the Political and Economic Critic. On March and April in 1921, ‘The Handbook of Historical Materialism’ was translated by Yun Ja Young and Shin Pack Woo, but this was the retranslation on the base of the Sakai Toshihiko translation version. Only this Original was again and again translated and intensively introduced through many different media. The result was that the socialists in Korea had come to know that history is progressive, it necessarily proceeds from capitalism to socialism, and that Korea was a capitalist society under the imperial Japan, but Japan should be inevitably broken down according to this historical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