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안정형 협심증과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에서 경동맥의 재형성

        박정랑 ( Jeong Rang Park ),권태정 ( Tae Jung Kwon ),강영란 ( Young Ran Kang ),박소라 ( So Ra Park ),고진신 ( Jin Sin Kho ),임성일 ( Sung Il Im ),박성지 ( Sung Ji Park ),곽충환 ( Chung Hwan Kwak ),황진용 ( Jin Yong Hwang )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3

        목적: 불안정하고 염증이 활발한 동맥경화반에서는 보상적인 혈관의 양성 재형성이 일어난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에서 일어나는 관상동맥의 양성 혈관재형성이 전신적 염증반응에 의해 경동맥의 혈관 재형성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이에 저자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과 만성 안정형 협심증환자에서 경동맥과 상지동맥구조의 차이를 관찰하여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에서 발생하는 관상동맥의 염증으로 인한 혈관재형성이 총경동맥에서도 발생하는가를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74명과 안정형 협심증 31명을 대상으로 B-mode 초음파 검사를 사용하여 양측 총경동맥의 IMT, LD, IAD를 측정하였다. 양성재형성 은 IMT>1 mm이면서 IAD>8 mm인 경우, 음성재형성은 IMT>1 mm이고 IAD<7 mm일 때, 그 외의 경우를 무재형성이라 정의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과 안정형 협심증 양 군에서 IMTmax, LD, IAD는 차이가 없었고, 우총경동맥과 좌총경동맥 각각의 양성재형성, 음성재형성, 무재형성 또한 차이가 없었다. 양 총경동맥의 동맥경화반의 존재유무, 동맥경화반의 특징의 비교에도 두 군의 차이는 없었다. 총경동맥의 재형성지표인 IAD/LD는 IMTmax와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우총경동맥의 IMTmax과 IAD/LD의 상관계수 r=0.797 p<0.001, 좌총경동맥의 IMTmax와 IAD/LD의 상관계수 r=0.860, p<0.001).결론: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와 안정형 협심증 환자를 비교했을 때 총경동맥의 특징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혈관의 재형성 과정은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과 같은 전신적인 염증에 의해 진행되는 전신적인 변화보다 주로 국소적인 혈역학적 인자가 더 중요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더 많은 환자에서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cute adaptive vascular remodeling occurs in active and unstable inflammatory plaque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adaptive coronary vascular remodeling,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ACS), may be systemic and may show similar vascular remodeling in the carotid arteries. We investigated the ultrasonographic features of the common carotid artery (CCA) to determine whether the arterial expansive remodeling found in the coronary artery occurs in the carotid arteries of patients with ACS. Methods: We measured lumen diameter (LD), interadventitial diameter (IAD) and intima media thickness (IMT) using a B-mode ultrasound in both common carotid arteries in patients with ACS (N=74) and chronic stable angina (CSA) (N=31). Positive remodeling was arbitrarily defined as an IMTmax>1 mm and IAD>8 mm and negative remodeling as an IMTmax>1 mm and IAD<7 mm. Other values were defined as no remodeling.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D IAD and maximal IMT of the right CCA and the left CCA in comparisons between the ACS and the CSA patient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for number of cases with no remodeling or differences in positive and negative remodeling in the right common carotid artery and left common carotid artery in comparisons between the ACS and CSA patient groups. . Presence of plaque in both common carotid arteries showed similar frequency in the ACS and CSA patient groups. The characteristics of carotid artery plaques were not different in the two groups. The remodeling index (IAD/LD) was correlated with IMTmax (right CCA r=0.797, p<0.001; left CCA r=0.860, p<0.001). Conclusions: The common carotid arterial structure of ACS patients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CSA patient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ansive arterial remodeling, due to coronary inflammatory plaques, appears to take place locally rather than systemically.(Korean J Med 71:266-275, 2006)

      • KCI등재

        심부전 환자에서 Tolvaptan 유발 삼투압성 탈수초 증후군 1예

        김계환 ( Kyehwan Kim ),강민규 ( Min Gyu Kang ),박정랑 ( Jeong Rang Park ),황진용 ( Jin-yong Hwang ),곽충환 ( Choong Hwan Kwak ) 대한내과학회 2017 대한내과학회지 Vol.92 No.1

        저나트륨혈증은 심부전 환자에서 흔하게 관찰되며 이환율 및 사망률의 증가와 관련되어 있다. Tolvaptan은 V2-수용체 항길항제로서 심부전 환자에서 저나트륨혈증의 새로운 치료 약제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tolvaptan에 의한 삼투성 탈수초 증후군의 보고는 거의 없었다. 78세 여자가 심부전, 심방세동 및 저나트륨혈증으로 내원하여 tolvaptan을 투여받았다. 약제 처방 후 3일째 갑작스런 소변량 증가 및 혈청 나트륨 증가가 발생하였으며 의식저하가 동반되었다. 고령, 저체중 등의 위험 인자를 가진 심부전 환자에서 tolvaptan의 비정상적인 지연 반응이 나타나 탈수초 증후군이 발생한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Hyponatremia is commonly encountered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nd has a poor prognosis. Tolvaptan, a novel selective vasopressin V2 receptor blocker, has received attention as an effective drug for treating the 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tic hormone secretion and hypervolemic hyponatremia. However, the safety of tolvaptan in the treatment of hyponatremia is not clear. We experienced a 78-year-old woman with a history of heart failure, atrial fibrillation, and hyponatremia who developed osmotic demyelination syndrome as an unexpected response to treatment with tolvaptan. (Korean J Med 2017;92:62-65)

      • KCI등재

        증례 : 동기능 부전을 동반한 MELAS 증후군 1예

        민지현 ( Ji Hyun Min ),안종화 ( Jong Hwa Ahn ),이정미 ( Jeong Mi Lee ),박정랑 ( Jeong Rang Park ),고진신 ( Jin Sin Koh ),황진용 ( Jin Yong Hwang ),곽충환 ( Choong Hwan Kwak )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4 No.2

        MELAS 증후군은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비후성 심근증, WPW 증후군, 심장전도장애 등의 심장 관련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동기능 이상과 동반된 MELAS 증후군은 거의 알려 진바 없어, 실신을 동반한 동정지로 영구형 심박동기 시술을 시행한 MELAS 증후군 환자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 35-year-old male patient with heart and renal failure and pneumonia was transferred to our department due to recurrent cardiac standstill with syncope. He had been diagnosed as and treated for MELAS (mitochondrial myopathy, encephalopathy, lactic acidosis, and stroke-like episodes) syndrome for the past 3 years. Electrocardiography (ECG) showed the Wolff-Parkinson-White pattern, and an echocardiogram showed hypertrophic cardiomyopathy. He developed syncopal attacks intermittently, and ECG monitoring showed intermittent bradycardia. His Holter monitoring showed several episodes of 5-16 seconds of sinus arrest. We conducted an electrophysiological study to evaluate the arrhythmia. During atrial and ventricular extra-stimuli, cardiac standstill developed several times, and the duration of pauses varied from 2.5 to 5.5 seconds. Abrupt asystolic events also developed accompanying syncopal attacks that were not related to the extra-stimuli. We decided to implant a permanent pacemaker. The patient`s syncopal episodes disappeared after implantation of a DDD type pacemaker. (Korean J Med 2013;84:265-268)

      • KCI등재

        증례 : 순환기 ; 영구형 인공심박동기 삽입술 후 발생한 스트레스성 심장 근육병증 1예

        강민규 ( Min Gyu Kang ),김나영 ( Na Young Kim ),박정랑 ( Jeong Rang Park ),황석재 ( Seok Jae Hwang ),박용휘 ( Yong Whi Park ),곽충환 ( Choong Hwan Kwak ),황진용 ( Jin Yong Hwang ) 대한내과학회 2012 대한내과학회지 Vol.82 No.5

        Stress-induced cardiomyopathy is a disease characterized by acute transient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following exposure to stressful situations. We encountered an 80-year-old woman with complete atrioventricular block and normal LV systolic function. After permanent pacemaker implantation, electrocardiogram showed inverted T-waves in precordial leads. Follow-up echocardiographic findings indicated dyskinesia of the apical wall. Final diagnosis was stress-induced cardiomyopathy associated with a physically stressful condition (i.e., pacemaker implantation). (Korean J Med 2012;82:609-613)

      • KCI등재

        증례 : 순환기 ; 설인신경통과 동반된 실신 환자에서 영구형 인공 심박동기 치료

        조상영 ( Sang Young Cho ),김나영 ( Na Young Kim ),박정랑 ( Jeong Rang Park ),황석재 ( Seok Jae Hwang ),박용휘 ( Yongwhi Park ),황진용 ( Jin Yong Hwang ),곽충환 ( Choong Hwan Kwak ) 대한내과학회 2012 대한내과학회지 Vol.82 No.2

        설인신경통은 삼킴에 의해 유발되는 극심한 작열통이 설인신경의 지배 영역인 인두, 편도, 후두 부위에 발작적으로 발생하는 드문 질환이다. 설인신경통으로 유발되는 서맥 또는 심장무수축으로 실신이 발생할 수 있고 치명적인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저자들은 설인신경통에 의해 유발되는 심장무수축에 의한 실신으로 영구형 인공 심박동기 치료를 시행한 증례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Glossopharyngeal neuralgia is a rare disease that is characterized by sharp pain in the posterior pharynx, tonsils, and larynx, triggered by swallowing. Glossopharyngeal neuralgia can trigger bradycardia or asystole, which can induce life-threatening cardiac syncope. A 55-year-old male was admitted with severe paroxysmal pain in his left jaw and ear, followed by asystole and syncope. We report a patient with cardiac syncope associated with glossopharyngeal neuralgia treated with a permanent pacemaker. (Korean J Med 2012;82:217-220)

      • KCI등재

        증례 : 순환기 ; 심부전 환자에서 발생한 반복적인 자발성 저혈당과 의식저하 1예

        김계환 ( Kye Hwan Kim ),김완철 ( Wan Chul Kim ),이은주 ( Eun Ju Lee ),고진신 ( Jin Sin Koh ),박정랑 ( Jeong Rang Park ),함종렬 ( Jong Ryeal Hahm ),황진용 ( Jin Yong Hwang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7 No.2

        저자들은 반복적인 저혈당에 의한 의식저하를 주소로 내원한 심부전 환자로 수술적 치료 이후 1년간 저혈당 및 심부전 악화 없이 외래 경과관찰 중인 환자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Hypoglycemia in adults without diabetes can be caused by drugs, critical illness, hormone deficiency, and hyperinsulinism. Spontaneous hypoglycemia in congestive heart failure has been reported rarely in adults. We report a case of spontaneous hypoglycemia in congestive heart failure in a 73-year-old woman with mitral stenosis and atrial fibrillation who had been receiving treatment for 6 years. She had two episodes of low serum glucose with unconsciousness, but there was no evidence of diabetes. Heart failure with concomitant hepatic dysfunction was presumed to have caused the hypoglycemia. She underwent mitral valve replacement after being diagnosed with severe mitral stenosis. There was no episode of hypoglycemia during follow-up. (Korean J Med 2014;87:205-208)

      • KCI등재후보

        관상동맥 컴퓨터 단층 촬영술과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의 실제임상에서의 검사 정확도 비교

        윤성은 ( Seong Eun Yun ),강영란 ( Young Ran Kang ),김계환 ( Kye Hwan Kim ),최영민 ( Young Min Choi ),최정우 ( Jung Woo Choi ),고진신 ( Jin Sin Koh ),박정랑 ( Jeong Rang Park ),박용휘 ( Yong Whi Park ),황석재 ( Seok Jae Hwang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7 No.2

        목적: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XECG)와 관상동맥 컴퓨터단층 촬영술(CTCA)은 현재 임상에서 관상동맥 질환의 초기 진단법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CTCA와 XECG를 동시에 시행한 환자에서 각 검사의 결과에 따른 고식적 관상동맥 조영술(CCA) 및 재관류시술(RT)의 시행률을 관찰하였고 CCA가 진행된 환자에서 각 검사의 진단능을 비교 분석하여 선별 검사에서 각 검사의 역할과 제한점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10년 3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 외래에서 관상동맥 질환을 평가하기 위해 CTCA와 XECG 검사를 같이 시행한 환자 598명의 임상자료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589명 중 107명(19%)에서 보다 정확한 검사 및 RT를 위해 CCA가 진행되었으며 77명(12.8%) 환자에서 한 가지 이상의 혈관에서 의미 있는 협착(≥ 50%)이 발견되었고, 65명(11%)의 환자에서 RT이 시행되었다. CTCA에서 의미 있는 협착(≥ 50%)을 보인 120명에서는 RT/CCA가 58(48%)/75 (62%)명에서 시행되었지만, XECG에서 양성을 보인 115명 중 RT/CCA 23 (20%)/41 (35%)명에서 시행되었다(p <0.05). 정상 CTCA를 보인 302명 중에는 RT/CCA가 1 (0.8%)/6 (5%)명에서 진행된 반면, XECG 음성이었던 413명 중 RT/CCA가 27 (6.5%)/51 (12%)명에서 진행되었다(p < 0.05). XECG 에서 진단이 불가능한 환자가 CTCA보다 많았다(11.7% vs. 5%, p < 0.05). CCA로 진행되었던 107명에서 의미 있는 관상동맥협착(≥ 50%)의 CTCA와 XECG의 민감도 89.9%, 50.0%, 특이도 74.0%, 67.9%, 양성예측도 90.6%, 78.0% 및 음성예측도 71.4%, 37.3%로 CTCA의 진단율이 더 우수하였다. CCA와 CTCA진단의 일치율은 0.62로 통계적인 의미가 있었으나(p< 0.001), CCA와 XECG의 일치율은 0.14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 = 0.113). 결론: 비교적 적은 위험도를 가진 환자에서 관상동맥 질환의 선별 검사로 CTCA의 결과를 XECG보다 더 신뢰하여 임상경로를 결정하고 있었으며 실제 진단율이 CTCA가 XECG보다 우수하였다. Background/Aims: The exercise ECG test (XECG) and computed tomography coronary angiography (CTCA) have been used widely in initial evaluations of coronary artery disease (CAD) in real-world practice.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diagnostic power of CTCA and XECG, based on conventional coronary angiography (CCA). Methods: We enrolled 589 consecutive patients retrospectively who had been examined with both XECG and CTCA for the evaluation of CAD in outpatient clinics. Significant stenosis was defined as more than 50% diameter stenosis. Triage to CCA and/or revascularization treatment (RT) by the results of XECG and CTCA and the diagnostic accuracy of both exams, based on CCA, were investigated. Results: In the 589 patients, 107 (19%) were triaged to CCA for further evaluation; in 77 (12.8%) significant stenosis was detected on CCA. Also, 65 (11%) patients underwent RT. In the CTCA results, 120 patients had significant stenosis. Of them, 58 (48%) and 75 (62%) patients were triaged to RT and CCA, respectively. Based on the XECG, 115 positive patients were triaged to RT and CCA (23 [20%]/41 [35%]). Among 107 patients with CCA,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 e predictive value for significant stenosis on CCA of CTCA were 89.9%, 74.0%, 90.6%, and 71.4%, respectively, and those of XECG were 50.0, 67.9, 78.0, and 37.3, respectively. The kappa value of CCA and CTCA was 0.62 (p < 0.001) and that of CCA and XECG was 0.145 (p = 0.113). Conclusions: In real-world practice, CCA was decided on more frequently, based on CTCA. CTCA showed better diagnostic accuracy than XECG. (Korean J Med 2014;87:165-17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