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산된 집합의 책임 공백과 미래지향적 책임

        박의연 범한철학회 2023 汎韓哲學 Vol.108 No.1

        In this paper, I aim to explain that the many problems we face lie in a responsibility gap, and argue that forward-looking responsibility is necessary to solve these issues. My focus is on the problem of diffuse collections, which includes unintentional acts causing harm (such as the GPGP) and the case of putative groups facing moral demands in problematic situations that arise by chance. In Chapter 2, I define what a responsibility gap is and demonstrate how it manifests depending on the type of responsibility and collectives. In Chapter 3, I argue that problems of diffuse collections should be addressed by attributing responsibility to individuals rather than collectives. Finally, in Chapter 4, I propose a form of forward-looking responsibility based on Iris Young's social connection model. This type of responsibility is shared by all of people and collectives involved, and can be achieved through change, shared awareness, and collective political action, rather than blame and finger-pointing.

      • KCI등재

        반응적 태도 이론과 책임의 귀속 문제

        박의연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0 철학탐구 Vol.57 No.-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concept of moral responsibility can be well explained through the Reactive Attitude Theory. In the Reactive Attitude Theory, reactive attitudes of fellow agents are the basis for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active attitude depends on interpersonal relations, that is, practice, and the expectations that we have for each other. If this theory is valid, responsibility is attributed to the agent, even though determinism is true. I start with P. F. Strawson’s argument that reactive attitudes are the basis for attribution of responsibilities, and I look through the Normative Interpretation by J. Wallace that constrains and clarifies reactive attitudes and practices through normative concepts. And then, I want to show how practices let reactive attitudes hold people responsible in M. McKenna’s Conversation Theory. Strawson was the first philosopher to attempt to attribute responsibility through a reactive attitude, but he’s account is criticized for not only its ambiguity and vagueness but also unsolved problems of harmful practices. To solve these problems, Wallace organized the theory of reactive attitudes in a systematic form with normative concepts. However, he overlooks the role of practices that play a pivotal role in holding agents responsible. I argue that these problems can be complemented by McKenna's Conversation theory. Reactive Attitude Theory is a sound and original way of understanding responsibility and could provide a more extended understanding of the agency as a subject of responsibility. 이 논문의 목적은 반응적 태도 이론을 통해 책임 개념이 안정적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주장하는 것이다. 반응적 태도 이론은 행위자의 행위에 대한 동료 행위자의 반응적 태도가 책임을 귀속시키는 근거가 된다고 보는 입장이다. 반응적 태도의 적절성은 나와 상대가 공유한 상호작용적 관계, 즉 관행과 그것을 기반으로 서로에게 가지는 기대에 달려있다. 이런 방식으로 책임의 귀속 여부가 결정된다면, 결정론이 참이라고 해도 책임은 여전히 행위자에게 귀속된다. 필자는 반응적 태도가 우리 책임 귀속의 근거가 된다는 스트로슨의 주장에서 시작해, 그러한 주장을 규범적 개념들을 통해 제약하고 명료화 한 월리스와, 관행이 어떻게 반응적 태도로 하여금 책임을 귀속시키게 하는지 설명한 맥케나의 논증을 두루 살펴본다. 스트로슨은 반응적 태도를 통해 책임을 귀속시키는 시도를 한 최초의 연구자임에도, 개념의 애매모호함과 문제적 관행을 제약할 수 있는 설명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비판받는다. 월리스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규범적 개념들을 도입해 반응적 태도 이론을 체계적인 형태로 구성해 냈지만, 책임의 귀속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관행의 역할을 간과한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를 맥케나의 대화이론을 통해 보완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반응적 태도 이론은 건전하고 새로운 책임 개념의 이해방식이며, 책임의 주체로서의 행위자성에 관하여 더 확장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단초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세계적 분배정의의 문제: 분배정의를 통한 빈곤문제 해결의 가능성

        박의연 범한철학회 2014 汎韓哲學 Vol.73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전 세계적 기아 문제와 관련해 세계적 분배정의의 전개과정을 설명하고, 지구화 시대에 새롭게 정립될 정의론이 해결해야 할 문제들을 드러내는 데 있다. 기존의 자유평등주의적 정의론은 독립된 사회에서 일어나는 정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런 기존의 정의론으로 한 사회를 구성하는 사람들 사이의 분배 문제는 해결할 수 있을지 몰라도, 국경 밖의 모든 사람들에게 우리가 가지는 의무에 대해서는 여전히 말할 수 있는 것이 없다. 필자는 2장에서 세계 기아의 문제가 개인적 원조를 통해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라는 것을 밝힐 것이다. 그리고 3장에서 이러한 빈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정의론을 세계사회에 적용하는 것이 왜 문제가 되는지를 롤스적 세계시민주의와 롤스의 논쟁을 통해 보여줄 것이다. 이 과정에서 빈곤은 분배를 통해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된다. 그러나 4장에서 기존의 정의론에서 도출된 기본구조 개념을 받아들이면서도 기아를 해결하는 분배가 가능하다는 주장과 전혀 새로운 정의론이 필요하다는 최근의 여러 주장들을 살펴볼 것이다. 빈곤의 문제는 인류가 마주한 가장 시급한 문제 중 하나이기 때문에, 어떤 정의론이 등장하든 이 빈곤의 문제가 그 정의론의 성공여부를 가늠하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reviews recent theoretical debates within the field of global distributive justice with special regard to the problem of world poverty. Rawls' Theory of Justice (1971) provides the general framework for many recent debates of distributive justice. In The Law of Peoples (1999), however, Rawls argues that the liberal principles of distributive justice apply to domestic and not to international politics. Pogge and other cosmopolitans argue both with and against Rawls that the liberal principles of distributive justice should be extended to a global context. The paper contextualizes these theoretical debates by examining the problem of world poverty. Initially, the paper suggests that world poverty is difficult—if not impossible—to eradicate through UN, NGOs, and other forms of assistance. The paper supports the argument that we should apply new principles of distributive justice on a global level. The paper provides a detailed discussion of important counter-arguments as well as new proposals for global distribution. The paper concludes by outlining some of the requirements for a new theory of global justice.

      • KCI등재

        규범적 개체주의 비판 ―책임의 주체 논의를 중심으로

        박의연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2 철학탐구 Vol.65 No.-

        Normative individualism is a position that collectives should not be subjects of responsibility. The reason is that, first, if we regard a collective agent as the subject of responsibility, the individual principle is violated. Second, it is possible to fully explain collective behavior in a way that considers only human individuals to be moral subjects. Therefore, they argue that considering collective agents the subject of moral responsibility leads to excessive moralist society that restricts individual freedom or is only a surplus concep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normative individualists’ concerns are groundless. I intend to reveal that the collective subject is not dangerous and is a necessary concept. Individualism in a negative way, centered on concerns about totalitarianism, is refutable by showing the possibility that individual and collective responsibility may exist independently. For positive individualism, which attempts an individualistic explanation of collective behavior, I show that it cannot solve important problems. 규범적 개체주의는 집단을 도덕적 책임의 주체로 보아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이들이 이러한 주장을 하는 이유는 첫째 개인만을 도덕 행위자로 간주하는 기존의 방식으로도 집단행위에 대한 설명에 부족함이 없고, 둘째 집단행위자가 책임의 주체가 된다면 행위자는 타인의 행위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철학의 기본 원칙이 침해될지 모른다는 데 있다. 따라서 집단행위자를 책임의 주체로 간주하는 것은 세계의 이해에 굳이 필요 없는 잉여적 개념의 도입일뿐더러, 개인의 자유를 제약하며 지나친 도덕주의 사회로의 이행을 주도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규범적 개체주의자들의 우려가 근거 없음을 보이는 것이다. 그러한 과정에서 집단이라는 행위주체가 위험하지도 않고 또 요구되는 개념임이 드러날 것이다. 필자는 우선 규범적 개체주의자들의 주장을 단계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전체주의에 대한 우려를 중심으로 한 고전적 개체주의는 개인적 책임과 독립적으로 논의되는 집단적 책임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임으로써 논파 된다. 집단행동의 개체주의적 해명을 시도하는 강화된 개체주의는 중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주장임을 보여 그 한계를 지적할 것이다. 필자는 집단 역시 책임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집단주의자의 입장에서 규범적 개체주의자들의 주장을 설명하고 이들의 주장을 논박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기억, 돌봄, 윤리의 관계 맺기: A. 마갈릿의 『기억의 윤리』를 중심으로

        오창환,박의연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23 민주주의와 인권 Vol.23 No.1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construct a theory of the ethics of memory in light of Israeli philosopher Avishai Margalit's The Ethics of Memory(2002), which explores the features of cultural memory on which ethical obligations should be imposed and the ethical community as the primary agency who should bear such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We will first examine some of the elements that characterize Margalit's project of an ethics of memory(Ⅱ.), and then examine the triangular relationship that connects memory and caring, and then memory and ethics via caring(Ⅲ.). Through these connections, I will show that memory is not an abstract universality, but can be demanded as an ethical oblig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who share a concrete history and culture, i.e., who are in a caring relationship with one another(Ⅳ.). Furthermore, the duty to remember can be effectively carried out through a division of mnemonic labor rather than on an individual level, through various projects that seek to revive and commemorate our shared memories within an ethical community(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