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 "한국영화 7선": 2015년 한국영화를 말하다 : 폭력과 정체성에 대한 성찰 -<도희야>(정주리, 2014) 읽기-

        박유희 ( Yu Hee Park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5 현대영화연구 Vol.11 No.1

        <도희야>는 영남이라는 한 여성 경찰관이 가정 폭력 속에서 살아온 도희 라는 소녀를 만나 그 아이를 보호하려고 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여성 경찰이 불쌍한 소녀를 보호한다는 것은 지당한 일일 수 있으나, 두 인물이 내장하고 있는 문제가 그들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와 얽히면서 갈등이 빚어진다. 영남이 가진 문제는 동성애자라는 것이다. 그녀는 경찰대학 출신의 엘리트 경감이지만, 레즈비언이라는 이유로 경찰 조직에서 징계를 받고 궁벽한 어촌 마을의 파출소장으로 부임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도희가 지닌 문제는 그녀의 계부 박용하가 마을공동체의 이익에 직결된 외국인 노동자 브로커라는 사실이다. 마을에서 용하는 공동의 이익을 위한 필요악이기 때문에, 용하의 폭력성을 마을 사람들 뿐 아니라 경찰관들까지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눈감아준다. 따라서 도희는 법과 자본주의 논리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피해자가 된 것이다. 영남이 도희를 보호하려고 할 때, 그래서 용하를 처벌하려고 할 때, 마을공동체가 영남에게 맞서 용하를 비호하려고 하면서, 영남의 행동은 단순히 폭력에 노출된 한 아이를 경찰이 보호하는 문제가 아니라, 경제적이고 사회적인 문제로 비화된다. 그리고 그 문제의 핵심에는 ‘폭력’과 ‘정체성’이라는 키워드가 들어있다. 개인은 다양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일정한 정체성으로 환원적으로 판단될 때 개인은 타자화 되며 폭력이 발생한다. 그 판단 기준은 국가가 관장하는 법률일 수도 있고, 보편적 도덕률일 수도 있으며, 공동체의 관습일수도 있다. 이 영화가 제기하는 정체성에 대한 단일한 판단과 그로 인한 폭력이라는 문제는 가족공동체의 관습, 공직사회의 윤리, 그리고 자본의 논리에서 발생한다. 첫째, 전근대적인 유교 이념의 잔재에 기대어 자식에 대한부모의 폭력을 합리화하고, 여성에 대한 폄하를 정당화하면서 가족공동체의 관습에 의한 폭력이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도희에 대한 폭력과 영남에 대한타자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둘째, 공직사회의 윤리에 의한 폭력은 ‘공공성’과 ‘명예’라는 명분으로 개인을 성적 취향에 따라 차별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공(公)과 사(私)를 구별해야 한다면서 공(公)에 기대어 사생활을 침해해도 된다는 이중 잣대와 공직자는 명예를 지켜한다는 위계의식이 깔려 있다. 셋째, 공동체의 이익을 위한다는 명분으로 불의나 폭력에 눈감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불법체류 노동자와 같은 이들은 버려진 아동이나 동성애자와 마찬가지로 인권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된다. 이 영화는 엘리트이자 레즈비언인 여성 경찰과 폐쇄적인 공동체에서 무방비로 폭력에 노출된 소녀의 만남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서사화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가정폭력과 동성애를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인권유린 문제와 연관시켜 배치함으로써 소수자에 대한 타자화와 폭력이라는 사안을 폭넓게 바라볼 수 있는 관점을 마련한다. 그런데 이 영화에서 주목할 점은 그것이 성찰이나 문제제기에만 그치지 않고 피해자와의 동행을 제안하는 실천적 인식으로 나아간다는 것이다. ‘어린 괴물’이 되어버린 소녀에게 여성 경찰이 “나하고 갈래?”라고 하는 것은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관계와 연대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것이 이상적인 환상이라 할지라도 그러한 열린 가능성이야말로 영화이기에 가능한 희망일 것이며, 그것을 통한 다양성의 성취야말로 영화가 지켜야 할 몫일 것이다. A Girl At My Door tells a story about a female police officer named Yeong-nam who meets a girl named Do-hee that has suffered domestic violence for many years and tries to protect the girl from violence. It may seem natural that a female police officer tries to protect a poor girl, but the issues inherent in the two characters are manifested, being entangled with the social relationships surrounding them, and accordingly cause conflicts. Yeong-nam`s issue is that she is homosexual. She was an elite inspector that graduated from the police academy, but she was submitted to a disciplinary action by the police organization for being a lesbian and dispatched to a secluded fishing village as the head of the police substation. Do-hee`s issue is that her stepfather Park Yong-ha is a broker of foreign workers that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profits of the village community. Yong-ha is the necessary evil of the village to secure its common good, which is why all the village people and even police officers are aware of his habitual violence against Do-hee and yet turn their eyes away from it. Do-hee is thus placed in a blind spot of law and capitalist logic as a victim. When Yeong-nam attempts to protect Do-hee and punish Yong-ha, the entire village community goes against her and protects him. Yeong-nam`s attempt does not remain at the level of police protection for a child exposed to violence but escalates into an economic and social issue. There are two key words “violence”and “identity”at the core of the issue. An individual has a variety of identities. When one is reductively judged as a certain identity, he or she is otherized and violence ensues. The judgment criteria can be the laws controlled by the nation, universal ethical codes, or community conventions. Raised by the movie, the issues of single identity judgments and resulting violence are derived from the conventions of family community, ethics of public offices, and logic of capital. First, the conventions of family community rationalize parental violence against children and justify the derogation of women on the back of the remnants of pre-modern Confucian ideology. It is in such a process that Do-hee is subjected to violence and Yeong-nam is otherized. Secondly, the ethics of public offices otherizes individual sexual orientations in the name of "publicness" and "honor." Here, they discriminate against homosexuals according to the double standard that public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private and the rank consciousness that people in public offices should keep their honor. Finally, the logic of capital shuts its eyes to injustice or violence for the sake of community interest, in which process illegal foreign workers are put in a blind spot of human rights just like abandoned children and homosexuals. The movie effectively makes narrative of those issues through an encounter between a lesbian female police officer and a girl in a blind spot of human rights in a closed community, thus placing the issues of domestic violence and homosexuality in connection with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against foreign workers and offering a perspective to look at the issues of otherization of and violence against minorities in a broad sense. Those attempts do not remain at the level of introspection or problem presentation but move forward toward a practical perception to propose companions among minorities. The girl has become a "little monster," and the female police officer says to her "Wanna come with me?" It is an accomplishment to show the possibilities of new solidarity to the old types of relationships. Even though it might be an ideal fantasy, such accomplishments of hope ethics and diversity are the shares that movies should keep a hold on.

      • KCI등재

        장선우의 외설 논란 영화를 통해 본 포스트 시대 한국영화의 동향

        박유희 ( Yu Hee Park ) 한국드라마학회 2016 드라마연구 Vol.0 No.4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terns of Korean film in the Postmodern period with a focus on the movies of Director Jang Seon-woo in the 1990s. It was The Road to Race Track(1991) by Jang that was the first movie with the modifier of "postmodernism" in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It was promoted as a "postmodernism movie," being based on the novel of the same title by Ha Il-ji, which stirred a postmodernism controversy in the literary circles in 1990. As it was recognized for its unconventional content and form not found in previous movies, it was established as a "postmodernism movie." Since the movie, Jang has caused a controversy for every movie he made. His movies related to sexual love such as To You From Me(1994) and The Lies(1999) were especially hot issues. Those movies claimed to advocate pornography, resisted the government``s censorship system through their bold expressions of sexual love that went beyond the critical point, and caused controversy about obscenity and limitations of freedom. The controversies over his movies were connected to those over the contemporary literature of Ma Gwang-su and Jang Jeong-il and became one of many different patterns of postmodernism discourse in the nation. Based on the judgment that it would be useful to examine controversies over movies made by Director Jang Seon-woo in the 1990s and look into their texts for the understanding of trends in the South Korean cinema in the postmodern period, this study tracked his movies that were caught in a obscenity controversy in the 1990s and analyzed their meanings. The findings show that his claim to advocate pornography and his obscene movies in the 1990s were the avant-garde of postmodern period in the 1990s distinguished from the 1980s. The female characters in those movies hold significance as the type of "libertine whore" that made their first appearance in the history of South Korean cinema. As the South Korean cinema entered the period of South Korean-style blockbusters, however, his avant-garde moves lost a bond of sympathy with the public, which indicates the advent of full-blown Post-capitalism period when the avant-garde like the one seen in his movies had no place to stand any longer. 본고는 1990년대 장선우 감독의 영화를 중심으로 포스트 시대 한국영화의 동향을 고찰한 것이다. 한국영화계에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수식어를 달고 등장한 첫 영화는 장선우 감독의 1991년 작 < 경마장 가는 길 >이었다. 이 영화는 1990년 문학계에 포스트모더니즘 논쟁을 일으킨 하일지의 동명소설을 원작으로 함으로써 ‘포스트모더니즘 영화’로 홍보되었고, 기존에 없던 파격적인 내용과 형식을 선보였다는 것이 인정되면서 ‘포스트모더니즘 영화’로 호명되었다. 이후 장선우 감독은 영화를 내놓을 때마다 논란을 생산하는데, 특히 뜨거운 이슈가 되었던 것이 < 너에게 나를 보낸다 >(1994), < 거짓말 >(1999)과 같은 성애 관련 영화들이었다. 이 영화들은 기존 영화의 임계를 넘어서는 과감한 성애 표현을 통해, 외설과 자유의 한계에 대해 논란을 야기하고, 아예 ‘포르노그라피’를 표방하기도 하여 국가의 검열제도에 반기를 든다. 그리고 이 영화들을 둘러싼 논란은 동시기 하일지, 마광수, 장정일 문학에 대한 ‘외설 시비’와 맞물리며 한국에서의 포스트 담론의 여러 양상 중 하나가 된다. 따라서 1990년대 장선우 감독이 내놓은 영화를 둘러싼 논란을 살펴보고 그 텍스트를 들여다보는 것은 포스트 시대 한국영화의 동향을 살펴보는데 유용하다고 판단하고, 이글에서는 1990년대 장선우의 영화 중 외설 논란이 되었던 영화를 중심으로 그것을 둘러싼 논란을 추적하고 해당 영화의 의미를 분석했다. 그 결과 1990년대 장선우 감독의 포르노그래피 표방과 그가 내놓은 성애 관련 영화들은 그 자체가 1980년대와 변별되는 1990년대의 전위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 영화속 여성인물들은 한국영화사에 처음 등장한 ‘자유사상가 유형’으로서의 의의를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한국형 블록버스터 시대를 맞이하며 장선우 감독의 전위적 행보는 대중과의 공감대를 상실한다. 그것은 이제 주류 영화시장에서 장선우 영화와 같은 전위는 더 이상 설 자리가 없는, 본격적인 ‘포스트’ 자본의 시대가 도래했음을 알리는 것이었다.

      • KCI등재
      • KCI등재

        ‘文藝映畵’의 함의

        박유희(Park Yu Hee) 한국영화학회 2010 영화연구 Vol.0 No.44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examples of "literary film" in journalism around daily newspapers and to explore its implications and contexts. It was an effort to critically accept the previous studies on "literary film" that were conducted sporadically according to the periods and works and the research findings about literature and film and, at the same time, to review the contexts diachronically. Its ultimate goal was to investigate the topography and changes of modern Korean culture through the relationships between literature and film. The process of the term "literary film" emerging, prospering, and falling is the process of film dreaming of joining the status of art and then realizing that it is "popular art" different from literature. In the process, "literary film" went through an array of meanings including "film based on literary works," "quality film of broad significance," "film of scale and spectacle," "film that has a different form from literature and the same artistry as literature," "artistic film close to the level of western film," "artistic film based on modern short stories," and "film to stir the public's nostalgia through local esthetics." In the end, it ended up being trapped in "policy meanings" and deteriorated, being distant from both artistry and popularity. Although literary film was a genre that could be autonomous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it underwent excessive prosperity and distortion due to the aggressive interventions of policies. Those findings show that the implications of "literary film" we take for granted today went through changes and ups and downs in the competition and tension of its driving forces. And the process reveals the desire for the modernization of film, the history of bonds, the changes to the media hegemony between literature and film, and the resulting changes to the scene of Korea's culture and art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고립된 전사, 경계의 타자 -탈냉전시대 한국전쟁 영화에 나타난 "북(北)"의 표상-

        박유희 ( Yu Hee Park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8 No.-

        본고에서는 탈냉전시대에 제작되고 개봉된 한국전쟁 영화를 대상으로 그 영화들에 나타난 ‘북(北)’의 표상이 냉전시대와 달라지는 양상과 시기에 따라 변화하는 추이를 고찰하고 그 함의를 밝혀 향후 나아갈 바를 조망하고자 했다. 탈냉전시대가 시작되는 1990년부터 2012년에 이르기까지 ‘북’에 관련된 표상이 드러나는 영화는 1990년대 말을 변곡점으로 하여 크게 둘로 나뉜다. 1990년대에는 그 동안 다루어지지 못했던 빨치산이나 좌익운동을 소재로 취하여 인민군 혹은 공산주의 그룹의 내부로 들어감으로써 그들도 우리와 같은 피해자임을 보여주는 영화들이 나온다. 2000년대에 가면 한국전쟁을 비롯해 간첩, 탈북, 이산가족상봉 등 ‘북’에 관련된 제재가 영화 장르의 관계망 안으로 편입되면서 표상이 비교적 다양화된다. 그런데 2010년에 가까워올수록 또 다른 변화가 감지된다. 우선 기술과 스펙터클 면에서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눈에 띄는 관습의 혁신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장르의 답보 내지 퇴행상태에 머물고 있다. 그것은 분단에 대한 문제의식이 깊어지지 못하고 있는 데 큰 이유가 있다. 그리고 그 기저에는 개인감정을 최우선시하는 경향이 자리 잡고 있다. 개인감정은 적을 인간적으로 보이게 하고 이념과 경계를 무화시키며, 모든 가치에 우선한다. 그래서 기성의 경직된 질서를 깨뜨릴 때는 긍정적으로 작동할 때가 있다. 그러나 최근의 동향에는 분명히 우려할 만하게 과잉되는 점이 있다. 우정, 형제애, 민족애와 같은 감정에 의존하여 문제들을 봉합하여 온 것은 남북문제를 다루는 영화들의 뿌리 깊은 관습이다. 그런데 감정이 행동을 지배할 때 냉철한 판단과 합리적 소통은 설 자리를 잃는다. 게다가 ‘우리’라는 전제로 움직일 때 거기에는 언제나 타자화 되는 ‘다름’이 있을 수밖에 없다. 탈냉전시대에 들어서며 이분법을 해체하는 경계공간들이 생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곳에서 여전히 타자로 남아있는 것은 ‘이념’ 문제이다. 그래서 한국전쟁 영화에서 끝까지 이념을 고수하는 인물들은 고립된 전사로 죽어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representations of "North Korea" in films on the Korean War made and released during the post-Cold War era (as opposed to the Cold War era), trace their changes according to the periods, and explore their future directions through implications. Films containing the representations related to "North Korea" from 1990 when the post-Cold War era began to 2012 are divided into two major categories with the late 1990s as the inflection point. In the 1990s, films were made and released which depicted partisan or left wing movements, which were not treated before, delved into the inside of the people`s army or community groups, and showed that they were victims like us. In the 2000s, the representations of North Korea became relatively diversified as the materials related to "North Korea" such as the Korean War, spies, defection from North Korea, and reunion of dispersed families were included in the network of film genres. Another round of changes was detected after 2008 when the keynote of policies for North Korea was changed. In spite of the advancements in technology and spectacle, there was no noticeable reform of conventions, which led to the stalemate or regression of genres. It is largely because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the sepa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as not deepened. At the bottom of the reason was the trend of putting personal feelings before anything else. Personal feelings make enemies look human, break down ideologies and boundaries, and come before all other values, thus playing a positive role in breaking the old strict order. The recent trend, however, clearly has some excessive points that call for concern. One of the deep-rooted conventions of films on North and South Korean issues is to stitch up problems by resorting to such emotions as friendship, brotherly affection, and love for the race. When emotions rule actions, hard-headed judgments and rational communication have no place to stand in. Furthermore, when we move based on the premise of "us," "being different" always becomes others. Even though the dichotomous boundaries collapsed in the post-Cold War era, the issue of ideology at the boundary cannot help remaining as others. Such limitations are demonstrated in the figures who stick to their ideology till the end, facing death as isolated warriors in films on the Korean War.

      • KCI등재
      • KCI등재

        이창동 작가론-이창동 소설과 영화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박유희 ( Park Yu Hee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7 현대영화연구 Vol.13 No.1

        이창동은 명망 있는 중견 소설가로 활동하다가 불혹의 나이에 영화계로 건너와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주의 감독으로 거듭난 사람이다. 이창동의 영화는 소설가의 경력이 없었다면 쓰일 수 없었던 서사를 담고 있다. 나아가 이창동이 소설로 담아내고자 했으나 미진했던 영역까지 영화에서는 구현되고 있다. 이것이 이창동 영화의 새로움이자 정체성을 구성하는 핵심이고, `영화작가`로서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영화감독 이창동의 작가론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이창동 영화의 전사(前史)가 되는 소설과의 연관성 속에서 영화에 접근하는 것이 필연적으로 요청된다. 이창동은 문학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책임감이 컸으며. 1980년대 리얼리즘의 자장 안에 있는 작가였다. 그런데 그가 소설을 통해 집요하게 추구한 것은 1980년대 주류를 이루었던 리얼리즘 소설이 추구한 전형적 인물의 형상화나 역사적 전망이 아니라 핍진성이었다. 이창동에게 핍진성은 생생한 서술 이상의 것이었다. 그것은 삶이 드러내는 의외의 국면에 대한 끊임없는 탐색이었고 진정성(authenticity)의 구현을 향한 것이었다. 그리고 그가 지향하는 진정성은 문제를 제기하는 데서 끝나지 않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 데까지 나아가는 것이며 그 해결은 윤리적인 세계의 실현과 통하는 것이었다. 그의 소설에서 경계적(境界的) 인물이 냉정한 시선으로 사건을 서술하고, 리얼리즘의 관습이나 전형을 벗어나는 의외의 구성이 두드러지며, 돌연한 갈등의 해결이나 긴장의 해소를 보여주는 비약적 결말이 편재(遍在)하는 것은 이러한 작가의식의 발로였다. 이러한 특성은 이창동 소설의 힘이자 통속적 결함으로 지적되곤 했다. 그런데 그는 이러한 작가의식과 창작방법을 견지하여 영화를 만들면서 괄목할 만한 성취를 이룬다. 그것은 소설에서는 선형적이고 사실적인 언어 서술을 고집하다 보니 단절이나 비약으로 보일 수 있었던 것이 영화에서는 고유의 매체 요소들이 융합·발동하는 가운데 화소간의 간극이 메워지고, 나아가 심오한 의미까지 구축하게 된다. 이창동 소설에서 주변과 경계에 머물렀던 인물은 영화에서는 카메라와의 역학 속에서 돌올한 핍진성을 획득하며 새로운 영화 캐릭터로 거듭난다. 소설에서 우연이나 비약으로 보였던 구성적 측면은 영화에서는 불균질한 요소들의 간극을 메우는 배우의 연기와 협업의 현장성, 관객의 의식작용을 이끌어내는 성찰적인 카메라워크의 활용으로 상쇄되는 것은 물론 다중적인 의미망을 형성한다. 또한 이창동 소설의 특징이었던 윤리적 지향에 의거한 비약적 결말은 봉합이 가능한 도덕적 비학이 일반화된 영화에서는 자연스럽게 수용되고, 오히려 예술영화적인 열린 결말로 전화(轉化)할 수 있었다. 소설에서는 결함 내지 통속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었던 서술방식이 오히려 영화 서사에는 적합했던 셈이다. 그 결과 이창동은 1980년대 문청(文靑)의 문제의식과 창작방법을 영화 서사로 확장시켰으며, 이를 통해 영화 작가로 거듭나는 동시에 문학적이고 윤리적인 영화 작가주의의 지평을 열었다. Lee Chang-dong transformed himself from a reputed writer of medium standing into an auteurism director to represent the South Korean film after entering the filmmaking scene at the age of forty. His films contain narratives that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his career as a novelist and further implement the areas that he tried to depict in his novels, achieving insignificant success in the attempt. That is the core of newness and identity in his films and the reason for his success as an “film auteur”. It is thus essential to approach his films in their connections to his novels, which represent his history before his films, in order to complete a theory on the film director Lee Chang-dong as an author. Lee was a writer with the strong consciousness of literature`s social responsibilities within the magnetic field of realism in the 1980s. What he pursued in his novels tenaciously was verisimilitude rather than the typical embodiment of characters and historical prospects found in the mainstream realism novels of the 1980s. For him, verisimilitude was more than vivid descriptions. It represented a constant search for unusual aspects of life and attempt at the realization of authenticity. As far as he was concerned, authenticity did not end with raising a problem and lasted till its solution, which was in line with the realization of ethical world. In his novels, such writer consciousness of his was expressed in marginal characters` focalization and narration of events in a cool-headed manner, the prominence of unexpected composition beyond conventions and types of realism, and the ubiquity of swift conclusions to show a sudden resolution of conflict or relief of tension. Those characteristics were often cited as defects in his novels and decisive reasons that his works were not included in the mainstream. He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in film by maintaining his consciousness as a writer and writing method because unexpected compositions, swift conclusions, and sudden resolutions could be transformed into the fragmentary nature of images, the variables of actors` performance and siteness, and moral occult art that could be sutured up in the medium of film. Those characteristics that could be regarded as defects in novels turned out to be fit for film narratives. It was through those characteristics that his films expanded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and creative ethics of literary adolescents in the 1980s into the South Korean cinema and opened up a new horizon of auteurism.

      • KCI등재

        1950 년대 장편소설에 나타난 영웅적 인물 연구

        박유희(Yu Hee Park) 한국현대소설학회 2000 현대소설연구 Vol.- No.13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focus on the significance of the heroic characters appeared in Kim , Dong-lee'<The Cross of Saban> and Jang, Yong-hak's <The Legend of Round Shape> and to compare and examine the common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wo novels. Kim, Dong-lee is a representative writer of the Old Generation and Jang, Yong-hak is a representative writer of the New Generation in 1950s. Generally they have been separated and examined by researchers. However, they have a lot of common things and we have to compare and examine the novels of two writers without a prejudice. Kim, Dong-lee and Jang, Yong-hak criticized the rationality and the modernity, and they tried to find out solutions through novels. So they created the heroic characters such like saban and Yi Jang, Two novels are constituted of the lifetimes of Saban and Yi Jang who reflect philosophlies and intentions of writers. The lifetime of Saban and Yi Jang are consist of specific ingredients alike such like an extraordinary birth, leaving home, wanderings, a great determi-nation, confrontations, a triangular relationship, a tragedic ending. But meanings are very different. <The Cross of Saban> represents a embodyment of the Third Humanism of Kim, Dong-lee through Saban and Jejus' confrontations and deaths, on the ther hand <The Legend of Round Shape> shows through the deaths of all of the family, the purification of something like sins, vices, corruptions, namings and so on. In conclusion, this comparison shows the comman agonies of which writers lived in the same age of 1950s. beyond the distinction Old Generation between New Generation. The study that is escaped from the prejudice and based on the comparison and the examination about real works like this is needed to expand.

      • KCI등재

        한국 환상서사의 매체 통합적 장르 논의를 위한 서설

        박유희 ( Yu Hee Park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1 No.-

        본고는 1990년대 이후 디지털 정보화의 패러다임 속에서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한국 환상서사를 효율적으로 논의하기 위한 이론적 서설이다. 현재의 문화상황에서 ‘환상서사’는 우리에게 익숙한 세계의 법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비현실적인 사건이 발생하여 그 불가해함이니 비현실성이 텍스트의 끝까지 이어지는 이야기를 통칭한다. 그리고 환상서사를 함유한 문화 산물을 ‘환상물’이라 하며, 환상물 집합의 유형을 환상(서사)장르라고 부른다. 여기에는 SF, 공포물, 판타지와 같은 하위 장르가 포함되고, 그 범위는 출판된 소설이나 만화와 같은 활자매체를 비롯해 영화, 방송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의 영상매체, 그리고 1990년대 중반 이후 인터넷을 통해 활성화된 웹소설, 웹툰 등에 이른다. 주지하다시피 한국에서는 근대 이후 환상장르가 발달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공포물이나 SF가 간헐적으로 제작되다가 1990년대에 이르러 환상물이 나오기 시작했다. 1990년대는 모든 매체를 중성화ㆍ표준화하는 디지털 기술이 보편화되며 세계적으로 정보혁명이 일어나고 기존 아날로그적인 경계의 해체가 가속화된 시기였다. 그러한 변화를 더욱 부추긴 것은 40여 년 동안 세계를 지배했던 냉전구도가 무너진 것이다. 이러한 세계정세는 분단국가인 한국의 정치경제뿐 아니라 사회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치며 다방면에서 기존의 이분법적 경계가 의심받는 계기가 되었다. 현실과 비현실, 실재와 환영에 대한 질문을 전제로 하는 환상장르가 이 시기에 뿌리내리기 시작한 것은 그러한 변화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2000년대에는 ‘판타지’라는 이름으로 소설, 영화, 만화, 드라마 등 다양한 매체에서 창작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면서 매체 간 콘텐츠의 교류와 이동도 빈번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상장르에 대한 논의는 각 매체 별로 분리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며, 환상을 둘러싼 개념들에 대한 정의는 저널리즘 관습에 기대거나 서구 문학이론이 편의적으로 차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저널리즘의 용어 사용은 유동적인 것이고, 차용되는 문학 이론들은 동아시아 서사 전통 안에 있는 한국의 환상물을 설명하기에 부족한점이 많다. 또한 디지털 기반으로 문자, 영상, 소리가 중성화되고 그에 따라 매체의 경계 없이 콘텐츠가 합종 연횡하는 현재의 서사 상황을 설명하기에도 한계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 환상서사의 역사적 맥락에서 문자서사와 영상서사를 함께 논의할 수 있는 통합적 환상장르의 틀을 구상하여 디지털 시대 한국 환상장르 연구의 발판을 마련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문자서사를 대표하는 문학과, 영상서사를 대표하는 영화와 드라마를 중심으로 환상서사에 대한 선행 논의를 검토했다. 그리고 선행 논의에서 반복되어 사용되는 환상장르의 개념 및 요건에 주목하여 환상서사의 공통분모로서 ‘재현적 시각성’과 ‘본질적 전도성’를 추출했다. 그리고 동서양에서 환상의 개념이 형성되어온 맥락과 전근대에서 근현대에 이르는 동안 시대에 따른 환상 담론의 차이와 맥락들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문화상황을 고려하며 환상서사장르의 범주와 유형을 도출해 보았다.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스펙터클에 대한 욕망이 본격적으로 발현되며 마음속이나 그림책에서만 볼 수 있었던 온갖 신화와 영웅담이 영상을 통해 귀환하는 이 시대에는 ‘순수 기이환상적 기이환상적 경이순수경이’로 펼쳐진 환상서사의 스펙트럼에서 추리서사에 속하는 ‘순수 기이’와의 경계 영역부터 ‘순수 경이’에 이르기까지가 환상서사 범주에 속할 수 있다. 이러한 환상서사는 사건이 발생하는 공간의 위치와 현실계(1차 세계)와 환상계(2차 세계)의 관계, 그리고 그 이야기가 현실과 맺는 관계에 따라 다시 분류될 수 있다. 우선 사건이 일어나는 위치가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의 시공간이라면 그것은 현실계(1차 세계)에 속한다. 그렇지 않고 우리의 현실과는 다른, 자체의 자율적 질서로 움직이는 시공간이라면 그것은 환상계(2차 세계)에 속한다. 이 이야기들을 대할 때 수용자는 그곳에 나오는 낯선 질서나 규범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이게 된다. 이와 달리 현실계 안에서 현실계의 개연성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현실계와 환상계의 자율적 원리가 분리되지 않는 가운데 혼동과 망설임이 유발된다. 이러한 경우는 대개 보편적 인식과 개인의 심리적 현실이 충돌하며 세계에 대한 인식에 균열이 생긴다. 현실계와 환상계가 맺는 관계, 환상계를 통해 유추되는 현실계에 대한 태도 등에 따라 환상서사 텍스트의 의미는 달라질 터인데, 그 문제는 장르론을 벗어나는 실천적 영역으로 차후의 과제가 될 것이다. 지금까지 마련한 환상서사에 대한 정의와 유형화는 세상의 모든 환상서사 텍스트를 귀납하고 있는 것이 아닌 만큼 모든 텍스트를 설명할 수도없을 것이다. 다만 최소한의 나침반이라도 가지고 텍스트에 접근할 때 동시대의 텍스트가 구성하는 공시적인 특징과 통시적 추이를 조망하며 텍스트의 좌표를 세워나갈 수 있을 것이다. 본고의 시도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문화의 역동성에 대응하며 한국 환상서사장르의 지도를 그리는 데 작은 나침반이라도 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presents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efficiently discuss the fantastic narrative of South Korea, which has made explosive growth in the paradigm of digital informatization since the 1990s. As it is well-known, the fantasy genre did not develop years after the onset of modern times in South Korea, which led to the sporadic production of horror and SF works. It was only in the 1990s that fantasy works started to be produced. In the 1990s, the digital technology to neutralize and standardize all the media became universal and resulted in the information revolution across the globe. During the decade, the deconstruction of the old analogue boundaries gained momentum. The Cold War structure, which dominated the world for approximately 40 years, broke down, thus facilitating those changes further. Those circumstances of the world had huge impacts on the society and culture of South Korea as well as its politics and economy, creating an opportunity to doubt the old dichotomous boundaries across all the aspects. One of the resulting changes was the fantasy genre taking root during the period as it was on the premise of reality and unreality and also existence and apparition. Entering the 2000s, "the Fantastic Narrative" was created across many different media including novels, movies, cartoons, and dramas with frequent content exchanges and migrations between the media. In spite of those developments, however, the discussions about ‘the fantastic Narrative Genre’ have been separate among the media with the definitions of fantasy-related concepts depending on the journalism convention or borrowing from the Western literary theories conveniently. The journalistic terms are fluid, and the literary theories that have been borrowed from the West have many lacking aspects to explain the Fantastic Narrative Works of South Korea within the framework of East Asian narrative tradition. They also have limitations with explaining the current narrative situation, in which the letters, images, and sounds are neutralized based on digital with the different forms of content being combined and intersected each other with no boundaries between the media. This study thus set out to devise an integrated framework of the fantastic narrative genre with which to discuss both the letter and image narratives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South Korean fantasy narrative and build a foundation for research on the fantasy genre of South Korea during the digital era. The study first reviewed previous discussions about the fantastic narrative with a focus on literature representing the letter narrative and movies and dramas representing the image narrative. Focusing on the concepts and requirements of the fantastic narrative repeated used in the previous discussions, the investigator identified "representative visibility" and "essential conductivity" as the common denominators of the fantastic narrative. With the two elements as the minimum coordinates, the investigator also identified the categories and types of the fantastic narrative genre by taking into account the context in which the concept of ‘the Fantastic’ was formed both in East and West and the differences and contexts of ‘the Fantastic’ discourse from the pre-modern times to the modern times. ‘The fantastic narrative’ refers to the stories that depict unrealistic events, which cannot be explained with the familiar laws of the world,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When cultural products have such a type of stories, they are called ‘the fantastic narrative works’. the fantastic narrative undergoes stereotyping according the location of space where events take place, relations between the stories and readers, and the connections between the stories and reality. Further stereotyping can be possible according to the media of representation and conventional genre classification. The sub-types, however, do not belong to the upper-types exclusively. In today``s era of digital multimedia, the media of representation can be fused together to no limits with the conventional genres being fluid and hybrid, which raises a need to leave the system open. Performing those operations, the investigator was able to witness the dynamics of current culture that cannot be embraced with the old theories of the fantastic literature and felt a need for theoretical works to make flexible reactions to such cultural situations. Such attempts as the present study will hopefully make a contribution to the map of fantasy narrative genre in South Korea and provide a reference framework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