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종이컵'을 활용한 인형극의 콘텐츠개발에 관한 연구 : 극단 문<門>의 '종이컵인형극' 시리즈물을 통하여

        박영희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Puppet shows are not only one of the excellent genres of art but also possibilities and potentials of magnificent culture contents. However, at present, puppet shows in Korea still remain accessible mainly to children only, Puppet actors, who had surpassed the limitations of human actors long ago, are under severe constraints to be stuck in children's plays only, and are never allowed to bail out beyond them. In order to escape from the limitation, puppet shows ought to be absolutely characterized and enhanced to an extent that not only toddlers and children but also many other people can enjoy, whether young or old, male or female. For that, professional and amateur puppet artists should start from the basics once again and attempt to change the perspectives of the public towards puppet shows, and to overcome current adverse circumstances of puppet shows. I. The need of professional teaching institutions in terms of puppet shows II. The creation and communication of puppet show networks, domestic and abroad III. The contents development for the vitalization of puppet shows Among these three approach methods, this research aim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the last one, using case studies of Theatre Door's first paper cup puppet show 'Culinary Genius and Giant' and second 'Grandpa Mangtae comes'. As the contemporary society regards highly the convenience of living, there came the mass production of disposable products, such as paper cups. Disposable products are easily produced, used, and thrown away by people and remain as contemporary people's homework, causing severe environmental problems. Once this problem is dissolved, the culture of mass consumption will also fade away, perhaps opening a path for another culture to come forward. Contents feed on culture where culture is often depicted as if it is a living creature that is created, evolves and then is destroyed. There is a need to maintain and develop the culture lest it vanishes, and the key to do so is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Yeon Goo Choi, a lecturer of the Course of Cultural Contents, has defined contents as "what has contributed to create or reinforce the value of some subject via various cultural processes. Contents created with values as these are valuable products not only culturally but also commercially and industrially. We have often seen, for instance, stage performances imported and exported domestically and abroad as contents. In that sense puppet shows can too be classified as contents, and their specific and successful case study would be the one by Theatre Door, using paper cups. Paper cup puppet shows involve making diverse puppets and props using disposable products such as paper cups. They help us acknowledge the potential use of disposable products as resources of art, far beyond being merely recyclable. Moreover, association between paper cup puppets and the actors assures the possibility to widen the spectrum of audience group. Paper cup puppet shows were created four years ago and are now invited to all sorts of street festivals in Korea. The show's questionnaires have confirmed the audience's satisfaction and their will to watch the show again. After all, commercial contents cannot play their functions if not for the consumers. The contents, named Paper Cup Puppet Show here, have succeeded in seizing the consumers' desire and have confirmed the potential of paper cup puppet shows as one of the major puppet shows. This research aims to confirm that if a puppet clad in imagination is given a new value and develops into a product along with an artist's creative imagination, it will be acknowledged as a successful and valuable performance content. This research also wishes to contribute to popularization of paper cup puppet shows into performance culture. 인형극은 훌륭한 예술장르일 뿐 아니라, 뛰어난 문화콘텐츠로서의 가능성과 잠재력도 충분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인형극이 아동극에 머물고 있다. 인간배우의 한계를 훌쩍 넘어서 있는 인형배우가 그 이상으로 확장되지 못하고 아동인형극으로의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 한계를 벗어나기 위하여 인형극이라는 특성을 절대적으로 특성화시키고, 유아·아동 위주의 관객대상에서 확장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관람할 수 있는 작품수준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그러기위해서는 아마추어 인형극인을 비롯하여 전문 인형극인들이, 다시 기본에서 출발하여 인형극을 바라보는 시각을 바꾸고, 우리 인형극의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지금까지와는 질적으로 다른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첫 째, 인형극관련 전문교육기관의 필요성이다. 둘 째, 국내외 인형극 네트워크의 구축과 소통이다. 셋 째, 인형극의 콘텐츠개발을 통한 관객개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세 가지 접근 방법 중에서 마지막 인형극의 콘텐츠개발에 대한 연구사례로써 극단 문<門>의 종이컵을 활용한 종이컵인형극 시리즈 1탄 ‘제랄다와 거인’과 종이컵인형극 시리즈 2탄 ‘망태할아버지가 온다’를 통해 그 가능성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현대사회는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의 사회로, 더불어 편리함이 중요시되면서 일회용품들이 생산되기 시작하였다. 그 대표적인 상품이 바로 일회용 종이컵이다. 일회용품사용의 편리함에 익숙해진 현대인들이 손쉽게 만들고, 손쉽게 사용하고, 손쉽게 버리는, 그야말로 함부로 사용하게 되는 일회용품들은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키며 지구촌 전체의 해결할 과제인 환경문제가 되어버렸다. 종이컵과 일회용품들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또 다른 숙제이며, 이 숙제를 해결한다면 대량소비문화도 역사의 한 축으로 소멸되어 또 다른 문화가 도래될 것이다. 콘텐츠는 문화를 필요충분조건으로 하는데 문화란 생물과 같아서 발생과 발전, 멸망의 과정을 거쳐 사라진다고 한다. 문화콘텐츠란 무엇인가, 살림지식총서217, ㈜ 살림출판사, 최연구, 10p 문화가 사라진다면 문화를 유지하고 성장시킬 필요가 있는데 그 방법이 바로 문화콘텐츠의 개발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콘텐츠학과 강사인 최연구는 “콘텐츠란 어떤 소재나 내용에 여러 가지의 문화적 공정을 통해 가치를 부여하거나 가치를 드높인 것”이라고 정의 내렸다. 문화콘텐츠란 무엇인가, 앞의 책, 60p 이렇게 가치를 부여하여 만들어진 콘텐츠는 문화적 가치뿐 아니라, 상업적, 산업적으로도 가치를 가진 상품이 될 수 있을뿐더러 더불어 고부가가치를 창출해 낼 수도 있다. 무대공연물들이 콘텐츠로써 세계 여러 나라와 국내에 수출, 수입되는 경우를 우리는 많이 보아왔다. 그것에 착안하여 인형극도 콘텐츠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종이컵을 활용한 극단 문<門>의 종이컵인형극을 살펴보기로 한다. 종이컵인형극은 일회용종이컵이라는 일상적인 소재를 활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인형과 소품들을 만들어내고, 인형극의 소재로써 종이컵의 활용이 의미와 가치, 그리고 콘텐츠로서 충분한 가능성이 있으며, 그것은 일회용품들의 재활용을 넘어선 새활용이 되는 것을 알게 해준다. 또한 종이컵인형과 배우의 연행성은 아이와 어른을 비롯하여 노인까지 다양한 관객층을 아우르며 예술에 대한 재미와 새로운 미적 감각과 인지능력을 함께 가지고 있어 현재 어린이 대상위주의 인형극이 관람대상에 관한 탈피의 가능성도 보여준다. 종이컵인형극은 창작되어진 지 4년 만에 대한민국 전국의 거리축제, 예술축제, 인형극축제, 각종 마을축제에 초청되어 공연하게 되었다. 한 번 공연을 접한 소비 관객들과 관계자들이 종이컵인형극을 다시 접하고 싶은 욕구를 갖게 되는 것을, 공연관계자들에 의한 재요청과 관객들의 공연후기와 설문지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상품으로의 콘텐츠는 소비하려는 객체가 없으면 소용이 없다. ‘종이컵인형극’이라는 콘텐츠는 소비의 객체인 관객들의 욕구를 불러 일으켰으며, 이 결과는 인형극의 다양한 종류처럼 종이컵인형극도 또 하나의 인형극콘텐츠로서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준다. 물론 종이컵인형극이 인형극의 전체를 아우를 수 있거나 대표할 수 있는 콘텐츠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인형극이라는 큰 틀 안에서 종이컵인형극이라는 작은 장르를 형식화하고 시리즈물로 다양화했을 때 인형극을 접하는 관객들이 좀 더 친숙하게 그리고 한 번 더 인형극을 보고 싶은 기대를 하게 한다면 그 다음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극단 문<門>의 ‘종이컵인형극’을 통해 종이컵이라는 흔한 물체를 활용하여, 상상력이 동원된 인형이 예술가의 창조적 상상의 과정을 거쳐 새로운 가치를 부가하고 하나의 상품으로 개발된다면, 공연콘텐츠로서의 충분한 가치와 가능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한다. 이 종이컵인형극의 사례가 발전이 더디고, 닫혀있는 우리나라의 인형극의 실태에 반영되어, 인형극이 어린이를 비롯하여 성인, 노인 등 모든 사람들이 관람할 수 있는 공연문화로 대중화되기를 기대해본다.

      •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불안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박영희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시의 중년여성으로 2022년 3월 6일부터 4월 30일까지 주 2∼3회, 약 80분씩 총 23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Inventory: SEI), 불안척도(Beck Anxiety Inventory, BAI)를 사용하였다. 또한 투사검사는 동적 집-나무-사람(K-HTP), 동적가족화(KFD) 그림검사를 사전·사후 비교 분석하였으며 회기별 관찰지를 이용하여 각 회기별로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자아존중감 전체 점수와 하위영연인 자기비하, 타인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자기주장과 불안의 점수가 모두 증가하였다. K-HTP 그림검사 결과, 전체적으로 그림의 크기가 커지고 가족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긍정적 자아상을 회복하였다. 둘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에서 중년여성의 불안 감소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KFD 그림검사 결과, 가족구성원 간의 이해와 소통을 통해 심리적 갈등에서 오는 불안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중년여성의 회기별 분석에서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긍정적인 감정의 경험으로 미술치료의 긍정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중년여성 자아존중감 향상과 불안 감소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음을 확인하였으며, 미술치료가 중년여성의 심리적, 정서적 안정을 위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self-esteem and anxiety of middle aged women.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middle aged woman. Therapies were conducted from March 6th, 2022 to April 30th, 2022 with sessions taking place 2~3 times a week for 80 minutes in total of 23 sessions. As research tools, self esteem inventory (SEI), Beck Anxiety Inventory(BAI) were used. In projection test, comparison analysis of pre and post Kinetic House-tree-person, Kinetic Family Drawing drawing test were conducted. Qualitative analysis of each session was conducted with observation sheet of each sess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ly, art therapy programs had positive effects on enhancing self-esteem of middle aged women. The overall scores of self-esteem and its subarea which were self-downing relationship with others, leadership and popularity, self-assertion and anxiety, increased. As a result of K-HTP Drawing Test result, the overall picture size was increased and a positive self-image was restored through the family interaction. Secondly, art therapy programs had positive changes in decreasing anxiety of middle aged women. As a result of KFD Drawing Test, the anxiety from psychological conflict is reduced through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among family members. Thirdly, middle-aged women found their strengths from each session and confirmed the positive effects of art therapy through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art therapy program gave positive changes to middle-aged women's self-esteem improvement and anxiety reduction. Wide use of the art therapy program will be expected as it can be used to help 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zation of middle-aged women.

      • 유아동작교육에 관한 예비교사의 인식

        박영희 원광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양성과정에 수학중인 예비교사의 유아동작교육에 대 한 인식과 수학연한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동작교육의 가치, 목적, 개념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수학연한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2. 유아 동작교육과 관련된 교사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수학연한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3. 유아 동작교육의 내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수학연한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4. 유아 동작교육의 방법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수학연한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5. 유아 동작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수학연한 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전북지역에 소재한 4년제 2개교와 3년제 6개교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학생으로서 유아동작교육(예; 유아음률교육, 유아동작활동 등)에 관 한 교과목을 1과목 이상 수강한 졸업학년의 예비교사 333명이며, 회수된 설문 지는 328부로 회수율은 98%였으나,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325부이며, 오정현 (2005), 이강순(2003), 백수덕(1998)등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작성 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빈도분석과 SD를 산출하였으며, 수학연한의 차이를 알기 위해 t 검증 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예비교사는 유아동작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며, 유아동 작교육의 목적은 창의성 육성으로, 유아동작교육의 개념은 음악적 표현활동 으로 인식하였으며 수학연한에 따른 순위의 차이는 없었으나 율동기능훈련 이라는 개념은 3년제가 더 높게 인식하였다. 2. 앞으로의 교사교육은 이론적 교육보다 실기교육과 교수방법에 대한 교육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며, 수학연한에 따른 순위의 차이는 없었다. 3. 유아동작교육 지도방법에 대하여 실내외 환경제공이 가장 중요하며, 전담교 사가 지도, 대그룹으로 지도하는 경우에 3년제가 4년제에 비해 더 높게 인 식하였다. 4. 유아동작교육 활동지도 시, 창의적인 표현 격려와 충분히 느껴보는 기회의 제공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수학연한에 따른 순위의 차이는 없었으 나, 3년제의 경우 전체적으로 인식정도가 낮았다. 5. 유아동작교육의 문제점에서, 공간과 시설이 부족하고 관심과 활동시간이 부 족하며 공연중심활동에 치중한다는 인식에 있어 수학연한에 따른 순위의 차 이는 없었으나 3년제의 경우 인식정도는 전반적으로 낮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differences of it according to the term of education. The questions for research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values, purposes and concepts of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rm of education? 2. What is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teacher education related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rm of education? 3. What is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ontents of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rm of education? 4. What is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method of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rm of education? 5. What is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problems of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rm of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3 pre-service teachers from 2 four-year colleges and 6 three-year colleges in Jeonbuk province, who took more than 1 course of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total of 32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98.5% of the questionnaires was returned, but the 32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questionnaire designed by researcher with reference to Oh, Jung Hyun(2005), Lee, Kang Soon(2003), and Baek, Soo Duk(1998). In order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and analyzed by frequency, standard deviation, and t test with SPSS 13.0 for Wind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e-service teachers have good perceptions of necessity and importance of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perceived the activities of musical expression as the concepts of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rm of education, but the three-year college students perceived rhythmic movement skills as the concepts of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more than the four-year college students. 2.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in the future. And they need practical training and education for teaching method more than the theor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rm of education. 3.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provision of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was important in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three-year college students perceived the large group instruction and instruction by professional part-time teacher more important than the four-year college students. 4.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encouragement of creative expression and giving a chance of feeling enough in teaching movement for young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rm of education, but the three-year college students generally showed lower level of perception than the four-year college students. 5.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 lack of spaces, facilities, interests, and times for activities and emphasis on the performanceoriented activities as the problems of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rm of education, but the three-year college students generally showed lower level of perception than the four-year college students.

      • TOPIK 작문형 쓰기 평가 결과물 분석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등급별 글쓰기 양상 연구

        박영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 국문초록 > TOPIK 작문형 쓰기 평가 결과물 분석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등급별 글쓰기 양상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박영희 (지도교수: 손영애)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구사 능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표준화된 유일한 평가 도구는 한국어능력시험이다. 학문 목적 또는 취업이나 영주권 취득을 위한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능력시험(TOPIK)을 통한 자격 취득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상당수의 학습자들이 쓰기 평가 영역의 과락으로 인해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쓰기 평가 영역에서 30점의 배점을 차지하는 작문 분야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분야이다. 따라서 본고는 토픽 쓰기 평가 영역 중 작문 평가 결과물을 바탕으로 초급, 중급, 고급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 양상과 특성을 분석하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 가장 필요한 핵심적인 교육 방안이 무엇인지 모색해 보고 그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고는 문법적인 측면보다는 전체적인 내용의 완성도 측면을 보기 위하여 내용 및 과제 수행에 있어서 주어진 과제를 충실히 수행하였는지, 문제에서 제시된 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지, 내용을 풍부하고 다양하게 표현하였는지, 시작과 마무리를 적절하게 구성하였는지, 내용의 전환에 따라 문단을 적절히 구성하였는지, 또한 각 등급의 수준에 맞는 어휘를 사용하여 문어적 특성을 살려 글을 썼는지 등의 내용적 측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 때 분석은 국립국제교육원에서 제공하는 채점표의 채점 근거를 토대로 필자가 만든 기준분석표에 의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한국어 학습자의 등급별 글쓰기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급이나 중급의 경우에 처음과 가운데 부분의 내용 전개는 양호하나 글의 구성 능력이 부족하여 글을 마무리하는 단계가 대체로 미흡하다. 그러나 고급학습자의 경우는 주어진 주제가 보다 심층적이며 전문적인 지식에 대한 사고력을 요하는 문제가 주어지므로 글의 처음이나 끝부분보다는 자신의 의견을 논리적이며 설득력 있게 구성해야 하는 가운데 부분에 대한 내용 전개가 미흡하다. 둘째, 초·중·고급 단계 내에서의 중하위권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 중의 하나는 문제에서 주어진 글쓰기 분량을 채우기 위해 비슷한 내용을 반복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자신의 생각을 조리 있고 다양하게 표현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며 이는 경험 및 독서량의 부족으로 인한 배경 지식의 부재가 큰 원인으로 작용한다. 셋째, 단계가 높아질수록 내용의 전환에 따른 문단 구성 능력은 많이 향상되었으나 외국인 학습자들의 구어표현 습관이 그대로 작문에도 반영되어 조사를 생략하거나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다. 본고는 위와 같은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 양상을 토대로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읽기’ 활동에 있음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읽기와 쓰기를 접목시킨 다양한 교재 개발 및 쓰기 수업 모형의 개발과 적용, 단계별 읽기 자료의 선정, 읽기·쓰기 교수 학습 시간의 확충, 그리고 한국어능력시험 초급 단계부터 쓰기 평가가 필요함을 제안했다. 읽기를 통한 배경 지식의 함양과 사고력의 향상은 결국 쓰기뿐만이 아니라 말하기, 듣기 4영역의 고른 향상을 가져오리라 확신하며 이는 한국어능력시험에서 쓰기 평가 영역으로 인한 실패율을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 학부모 교육정책의 개선 방안 연구 : 경기도교육청의 학부모 교육 정책을 중심으로

        박영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학부모 교육정책의 개선 방안 연구 -경기도교육청의 학부모 교육 정책을 중심으로- 박영희 정치시민교육학과전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교육 현장에서 학부모와 학생, 학교(교사)는 ‘교육의 3주체’이다. 3주체가 서로 지원과 협력하여 교육을 이끌어간다. 그러나 공교육 현장은 이와 같은 균형적 삼각구도와 달리 작동한다. 학부모와 학생, 학교(교사)는 서로를 불 신·반목하며, 갈등의 골이 심각한 상태이다. 불신의 늪에 빠져 서로를 폄하 하기에 급급하다. 교육공동체의 균형적 협력은 찾아볼 수 없다. 한편에서는 권리만을 주장하고, 또 다른 한편에서는 방관 또는 배척한다. 최근 ‘학부모 갑질’도 앞에서 언급한 균형적 삼각구도가 작동하지 않아서 그렇다. 학부모는 학교(교사)와 소통하며 협력 및 지원하는 교육의 동반자이 자 협력자이다. 그럼에도 일부 학부모의 교사(학교) 괴롭히기식 민원과 교권 침해 등이 발생하고 있다. 학교 역시, 학부모를 성가신 대상으로 여기고 교 육 현장에서 학부모의 교육 참여를 배척하거나 방치 또는 외면하고 있다. 나아가 학생(학부모)들이 공교육에서 탈피하여 사교육으로 빠져들고 있다. 공교육에서 발을 빼고, 사교육을 통한 각자도생(各自圖生)의 길을 선택한 것 이다. 사교육의 확장은 교육의 양극화를 더욱더 심화시킨다. 무엇보다 소외 계층의 건강한 교육은 더욱 피폐해지고, 양극화의 골은 더욱 깊어져 사회적 갈등으로 이어졌다. 그 원인은 다양하겠으나 교육정책이 중심을 잡지 못하 고 수시로 변하는 것도 큰 요인 중 하나이다. 무엇보다 교육의 한주체로 활 동하는 학부모를 위한 법적, 제도적 뒷받침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못한 것 도 큰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같은 문제를 개선하는 소박한 방안을 찾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 다. 개선 방안은 다양하게 있겠으나 이번 연구는 학부모의 교육주체화에서 방안을 찾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당사자인 학부모들의 대안을 찾아 내는 설문과 교육청의 학부모 업무 담담자 인터뷰를 통해 학부모 교육의 문 제점과 개선을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부모들은 학교(교사)가 학부모를 바라보는 ‘부정적 인 시각’에 대한 부담이 크다. 또 학부모들은 생업활동에 따른 여건상 교육 참여 활동을 못하고 있다. 대안으로는 “학부모 활동에 대한 법적 지원”을 최우선 개선 과제로 제시 하였다. 교육 현장에서는 학부모를 ‘귀찮은 존재’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적 어도 학부모들은 “그렇게 느끼고, 그래서 불편하다”는 것이다. 교육에 대한 법적 권한 여부를 떠나 학부모는 자녀의 교육에 함께할 수밖에 없는 최종적 보호자임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런 학부모들을 귀찮은 존재가 아닌 교육공동체의 한 주체로 인정할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뒷받침이 조속히 이 뤄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 실내원예활동에 따른 지적장애학생의 적응행동수준

        박영희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indoor gardening activity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adaptive behavior.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 Firstly, indoor gardening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adaptive behavior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experiment group applied with indoor gardening activity showed a positive effect in aggression, antisocial action and resistance, the sub-realms of social adaptive behavior, compared to control group. Also the post-test rather than prior-tes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ly, indoor gardening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sonal adaptive behavior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experiment group applied with indoor gardening activity showed a positive effect in speaking habit and human relations etiquette compared to control group. Also the post-test showed a decreased rate of change in habitual practice, human relations etiquette and speaking habit. These results showed that indoor gardening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the social and the personal adaptive behavior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fore, educational effect will be more promoted i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IEP) and Individualized Transfer Program(ITP), which are fitted to the level of each student, are established while a concrete and systematic indoor gardening activity is applied in schools. Also if the teaching activity focuses on granting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opportunity to adapt themselves to the society, while reflecting the interest and aptitude of each one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adaptive behavior.

      • 초등 여교사의 교육행정·전문직 진출에 관한 연구

        박영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s the recognition that male and female teachers' have about duty accomplishment when they are teaching, the difference of the perception between male and female work on educational administrative and supervisory positions, to analyse the factors which will cause an uneveness of female teacher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ome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How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male and female teachers' in accomplishing their duties? 2. How is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when male and female teachers' advance into educational administrative and supervisory position? 3. How is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male and female teachers' about obstructive factors when female teachers' advance into educational administrative and supervisory position? 4. What are the suggestions to activate the female teachers' advance of educational administrative and supervisory position? To examine these subjects, literature survey and researches had been carried out. Literature survey was focoused on advanced results of the studies, which were related to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And the results would be consisted by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ing. The questionnaire, which was made by researchers under an academic teacher, contained the content of the entry female teachers into school administrative and supervisory position. The Independent variable averag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question were yielded by statistical measurement. The F test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he response. The summary of the studying results are as follow : 1. The recognition of sex accomplishment in teaching 1) There is no difference of recognition about the fitness of females' teaching. Only the respondents understand that female teachers are more suitable for teaching students than male teachers. 2) The second, The respondents recognize, referring to the ability of accomplishment, female teachers aren't behind man. And it is a small matter for female teacher to manage a school as a administrator. 3) The perception of sex accomplishment of educational administrative is in the average response that male teachers' managerial position can't join actively than female teachers' administration. 4) The difference of ability in educational administrative and supervisory position is not sexual, but personal. 5) Referring the number of female teachers for the rate of the school administrative and supervisory position, they perceive the rate would b raised. 2. The recognition of need which female teaches in primary school have about an advance into educational administrative and supervisory position 1) The perception represents the high need to go up in proportion to man, status, schooling. Regarding the rate of female teachers in proportion to female assigned teachers, it can be said female teachers are willing to advance into educational administrative and supervisory positions. 2) Referring the perception of promotional rules of the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there are lots of differences in proportion to sex, status, career and scholarship, male teachers who are in high position with careers, perceive well. 3) Assigned teachers, administrators, graduate students and post graduate students perceive positively, and have accomplishing pride about their educational administrative and supervisory positions and an effort to expand their profession. 4) Lots of female teachers represented negative responses about teaching students in remote places and islands. Even though female teachers want to advance into educational administrative and supervisory position and are making efforts to extend their profession, it is actually impossible for female teachers to work on a school in remote places and islands, because female teachers' are suffering from many roles. 3. The recognition of obstructive factors in advance of female teachers into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supervisory position 1) There are some disadvantages for female teachers to be familiar with people who are in administrative position, and according to theopposite sex, educational administrators negatively perceive female teachers negatively. Female teachers have more handicaps than male teachers. 2) The respondents perceived that it is prevalent to underestimate woman's accomplishment in the man-centered educational atomosphere. Therefore, traditional thinking at the man-centered society and the negative perception which educational administrators have kept in their mind, a handicap to be familiar with administrators, and underestimation of woman's accomplishment are prevalent. Those are main factors to obstruct for female teachers to the push into educational administrative and supervisory position. Consequently female teachers are also aware of the handicaps in the teaching field. 4. The recognition of advance as primary female teachers into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supervisory position 1) Most of all, administrators should change their consciousness about of female teachers and they should be active and positive when they carry out their educational administrative and supervisory position. 2)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the number of female teachers, the rate of woman's educational administrative and supervisory position should be decided. Accomplishment record should be given equally without discrimination of sex. Consequently, to activate the advance of female teachers' into educational administrative and supervisory position, they should make an effort, develop themselves, change their mind positively and actively, and reduce the additional point which teachers at remote places and islands would get. At the same time, it is important for administrators to get out of the traditional man-centered thinking, to try to see female teachers from new point of view and to make an effort to find female teacher's hidden merits.

      • 남편은퇴 후 가족관계변화가 노년기부부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박영희 탐라대학교 경영‧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은퇴는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다양한 사회변화와 더불어 노년기가족의 삶의 질 차원인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남편은퇴 후 노년기 부부의 가족관계변화(부부관계의 질적인 변화, 부부관계의 권력변화, 부모자녀관계의 질적인 변화)가 심리적 안녕(생활만족도,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가족관계 형성·유지 및 노년기부부의 심리적 안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당성하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는 남편이 은퇴한 60세 이상 노년기부부 111쌍(22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편은퇴 후 노년기부부의 개인특성인 연령, 교육수준, 경제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남편의 은퇴사유에 따라 부부관계의 질적인 변화변인의 하위요인인 부부간 정서적 친밀도, 부부간 의사소통효율성, 부부간 여가공유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경제수준에 따라 부모자녀관계의 질적인 변화변인 중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효율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특성인 경제수준,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심리적 안녕과 그 하위요인인 생활만족도와 우울에서, 은퇴사유에 따라 생활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기부부의 가족관계변화와 심리적 안녕 간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부관계의 질적인 변화변인 및 부모자녀관계의 질적인 변화변인의 하위요인 대부분이 심리적 안녕과 그 하위요인 생활만족도와 우울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효율성과 부부간 여가공유도는 생활만족도에, 부부간 여가공유도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은퇴 후 노년기부부의 심리적 안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부부 간 여가선용프로그램 개발 및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