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요소를 고려한 초고층 건설공사의 타워크레인 양중시간 예측 시뮬레이션 모델

        강혁,이현수,문서,정민혁,황성주,Yang, Kanghyeok,Lee, Hyun-Soo,Park, Moonseo,Jung, Minhyeok,Hwang, Sungj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3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4 No.2

        초고층 건물공사에서 타워크레인의 양중계획은 전체 공사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타워크레인의 양중계획에 있어 양중시간은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로 이를 바탕으로 양중부하 및 타워크레인을 선정하기 때문에 양중계획을 위해서는 정확한 양중시간의 예측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초고층 공사의 양중시간 예측은 기존의 실적자료와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수행하고 있지만 양중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인 요인에 대해서는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중작업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바람을 시뮬레이션에 반영하여 초고층 공사의 타워크레인 양중시간을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였다.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바람의 영향을 반영한 양중시간은 높이가 올라갈수록 증가하였으며, 초고층부의 경우 기계적 양중시간보다 바람의 영향에 의한 양중 지연시간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 대상지인 서울의 풍속은 4월이 강하고 10월이 약하게 나타났으며, 양중시간을 예측한 결과 둘 간의 큰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향후 초고층 타워크레인 양중계획 시 바람이 양중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이를 고려하여 실제 상황과 동일한 양중계획을 세우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wer crane hoisting plan is one of the key element for the success of entire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Hoisting time is the basic factor to appropriate hoisting plan which need to the hoisting load estimate and tower crane selection. With this reason, accurate hoisting time is needed to the proper hoisting plan. The current hoisting time estimation for High-Rise Building focus on the hoisting cycle time estimation with historical data. However, this method underestimated the external influences like environmental factor. Thus,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hoisting time estimation model with discrete event simulation which include the wind influences with certain height.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 the hoisting time which applied wind influence is increasing with height growth. Because of the high speed wind, the upper area of building has more operation delay time than the mechanical operation time. Seoul, the research area, has the most fastest wind speed on April and the least on October. Due to these differences of wind speed, the hoisting time is estimat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pril and October. This hosting time estimation model would be used for estimating the influence of wind. Moreover, this could apply to make the realistic hoisting plan.

      • SCOPUSKCI등재

        천식 증상 환아에서 기관지과민성의 지표로서 혈액 내 호산구와 혈청 호산구 양이온 단백(ECP)

        박양,강희,강은경,고영률,Park, Yang,Kang, Hee,Kang, Eun Kyeong,Koh, Young Yull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12

        목 적 : 소아기와 청소년기의 기관지 염증과 기관지 과민성의 비침습적인 지표로서 혈액 내 호산구 수와 ECP 농도의 측정의 의미를 판정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0년 2월부터 2002년 1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 외래를 방문한 만 6세에서 18세 사이의 천식이 의심되는 환아 87명을 대상으로 메타콜린 흡입 유발 시험을 시행하여 $FEV_1$과 $PC_{20}$을 측정하고 메타콜린 흡입 유발 시험으로 측정된 $PC_{20}$에 따라 4개의 군(I군 : 2 mg/mL 미만, II군 : 2-8 mg/mL, III군 : 8-18 mg/mL, IV군 : 18 mg/mL 이상)으로 분류하여 이들 각 군 간의 임상적 특성과 $PC_{20}$에 따른 혈액 내 호산구 수와 혈청 ECP 농도의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PC_{20}$ 18 mg/mL을 기준으로 기관지과민성 양성군과 기관지과민성 음성군으로 재분류 하여 혈액 내 호산구 수와 혈청 ECP 농도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결 과: 대상 환아에서 분류된 네 군에서 혈액 내호산구 수는 각 군 사이에서 차이가 있었고 메타콜린 $PC_{20}$가 증가함에 따라 혈액 내 호산구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청 ECP 농도도 각 군 사이에서 차이가 있었고 메타콜린 $PC_{20}$가 증가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메타콜린 $PC_{20}$가 증가 함에 따라 혈액 내 호산구 수와 혈청 ECP 농도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역(逆)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기관지과민성 양성군($PC_{20}$ 18 mg/mL 미만)과 음성군($PC_{20}$ 18 mg/mL 이상)으로 재분류 한 두 군 사이에 혈액 내 호산구 수와 혈청 ECP 농도의 평균과 표준편차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혈액 내 호산구 수와 혈청 ECP 농도는 유의한 정(正)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본 결과는 혈액 내 호산구 수와 혈청 ECP 농도가 천식 환아에서 기관지 염증과 기관지과민성을 반영한다는 결과를 보여주며, 기관지과민성 유무를 판별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Purpose : Airway inflammation is considered to be a characteristic feature of asthma, and eosinophils are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inflammatory cell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importance of blood eosinophil count and serum eosinophil cationic protein(ECP) levels as a noninvasive marker of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BHR) in children with suspected asthma. Methods : This study used data from 87 subjects with asthma-like symptoms(6-18 years old). The $FEV_1$ and provocative concentration producing a 20% fall in $FEV_1(PC_{20})$ on methacholin inhalation challenge test were measured. Four groups were classified based on $PC_{20}$[Group I : <2 mg/mL; Group II : 2-8 mg/mL; Group III : 8-18 mg/mL; Group IV : (18 mg/mL], and blood eosinophil count and serum ECP levels were analyzed. In addition, subject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cutoff value of $PC_{20}$(BHR positive group : <18 mg/mL; BHR negative group : (18 mg/mL). Then blood eosinophil count and serum ECP level were compared between these two groups. Results : Likelihood ratio test for trends reveal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blood eosinophil count or serum ECP level, and the degree of BHR as measured by methacholine $PC_{20}$. Blood eosinophil count or serum ECP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BHR(+) group than in the BHR(-) group. Blood eosinophil cou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rum ECP level. Conclusion : Blood eosinophil count and serum ECP level may be a useful non-invasive clinical marker of BHR in subjects with suspected asthma. This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BHR in asthma is a consequence of airway eosinophilic inflammation.

      • KCI등재

        군포 지역 비증상 환아의 고양이 항원의 감작률

        박양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08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8 No.4

        Purpose: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rate of sensitization to indoor allergens, especially cat allergen in children with nasal symptoms in Kunpo city. Methods: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our radioallergosorbent test (RAST) database. We included 926 children with nasal symptoms between 3 months and 14 years of age. They underwent RAST which included 5 indoor and 4 food allergens. They were grouped according to age (0 to 3 years, 3 to 6 years, 6 to 9 years, 9 to 15 years). We calculated the prevalence rate of that sensitization according to age groups. Results:Among the patients, 50.4% had the sensitization to at least ≥1 allergen of the RAST. The prevalence rate of sensitization increased according to the age group (P<0.05). The most common indoor allergen was Dermatophagoides farinae (D.f.) (22.6%), followed by cat (22.5%) and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D.p.) (17.4%). Especially in the 0 to 3 age group, cat allergen (22.1%), was the predominant allergen, followed by dog (18.1%) and D.f. (8.7%). Among 926 patients, the rate of cat ownership was only 0.43%. The most common food allergen was pork (15.7%), followed by milk (4.9%) and egg white (3.2%). Pearsons test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at and pork (r=0.563, P=0.000). Conclusion:This study shows a high rate of sensitization to cat allergen especially the 0 to 3 age group. It might be caused by exposure to wild cat in the community. We need to design a policy to reduce airborne cat allergen in the community. Purpose: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rate of sensitization to indoor allergens, especially cat allergen in children with nasal symptoms in Kunpo city. Methods: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our radioallergosorbent test (RAST) database. We included 926 children with nasal symptoms between 3 months and 14 years of age. They underwent RAST which included 5 indoor and 4 food allergens. They were grouped according to age (0 to 3 years, 3 to 6 years, 6 to 9 years, 9 to 15 years). We calculated the prevalence rate of that sensitization according to age groups. Results:Among the patients, 50.4% had the sensitization to at least ≥1 allergen of the RAST. The prevalence rate of sensitization increased according to the age group (P<0.05). The most common indoor allergen was Dermatophagoides farinae (D.f.) (22.6%), followed by cat (22.5%) and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D.p.) (17.4%). Especially in the 0 to 3 age group, cat allergen (22.1%), was the predominant allergen, followed by dog (18.1%) and D.f. (8.7%). Among 926 patients, the rate of cat ownership was only 0.43%. The most common food allergen was pork (15.7%), followed by milk (4.9%) and egg white (3.2%). Pearsons test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at and pork (r=0.563, P=0.000). Conclusion:This study shows a high rate of sensitization to cat allergen especially the 0 to 3 age group. It might be caused by exposure to wild cat in the community. We need to design a policy to reduce airborne cat allergen in th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