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상론, 범주론 그리고 영역 존재론

        박승억 새한철학회 2001 哲學論叢 Vol.24 No.2

        이 글은 마이농(A. Meinong)의 대상론(Gegenstandslehre)과 라스크(E. Lask)의 범주론(Kategorienlehre) 그리고 후설(E. Husserl)의 영역 존재론(Regionale Ontologie)을 학문이론적 관점에서 다룬 것이다. 이는 그들의 이론이 학으로서의 정신과학(인문학, Geisteswissenschaft)의 가능성에 대한 논구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세기 말엽에 제기된 '철학의 자기 정체성 위기'는 단순히 자연과학의 성과에 밀린, 철학 혹은 여타의 정신과학만의 문제만은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학문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을 요구하는 역동적인 상황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뿐이다. 이러한 학문성(Wissen-schaftlichkeit) 자체에 대한 반성은 당연히 학적 대상의 본성에 대한 물음을 제기한다. 마이농의 대상론과 라스크의 범주론 그리고 후설의 영역 존재론은 각각의 방식으로 그 물음에 대한 대답을 시도한다. 문제 의식의 공유로부터 출발한 이들 세 이론의 공통점은, 마이농의 표현을 따르자면, 소위 높은 수준의 대상들의 대상성, 혹은 이념적 대상(ideate Gegenstand)의 대상성(Gegenstandlichkeit)을 존재론적 영역의 구분을 통해 확보하고자 했다는 점이다. 이 존재론적 영역의 구분은 곧바로 학문의 영역 구분에 상응한다. 이러한 구분은 본질적으로 '학문' 자체의 본성에 대한 통찰에 기인한다. 따라서 이들 세 이론이 추구한 작업은 인문학의 위기가 회자되는 오늘날에도 의미있는 시사점을 주리라고 믿는다. Das Thema dieser Abhandlung ist Gegenstandslehre(A. Meinong), Kategorien-lehre(E. Lask) umd Regionale Ontologie(E. Husserl). Ich berachtete sie arts Wissen-schaftslehre, die die Mo‥glichkeit der Geisteswissenschaften als Wissen- schaft begru‥nden will. Aber die sogennante "Identita‥tskriese der Philosophie" in der zweiten Ha‥lfte des 19. Jahrhundert gilt nicht nur fu‥r die Geisteswissenschaften, sondern sie ist ein symbolischer Ausdruck fu‥r die Forderung der ursru‥nglichen Besinnung der "Wissenschaftlichkeit" selbst. Die oben genannte Theorien versuchen nach eigenen Weisen die Antwort dafu‥r. Bei der inhaltlichen Verschiedenheit ist die Gemeinsamkeit der Fragestellung dieser Theorien, dass sie alle die Gegensta‥ndlichkeit des idealen Gegenstandes durch die Sonderung(od. besser, Kategorisierung) der wissenschaftlichen Gebiete zu begru‥nden versuchen. Diese Arbeit verliert nicht north, finde ich, bis zum heutigen Tage, wenn wir north von der Kriese der Geisteswissenschaften sprechen wollen.

      • KCI등재

        다양성 사회의 갈등 양상에 관한 현상학적 성찰

        박승억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문화 Vol.0 No.31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various social conflicts and even hear the hate speeches. These conflicts can cause a crisis of our democracy.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motive of the conflicts is the conflict between the different values, and I call this phenomenon “values war.” What we have to notice is that the conflicts occur in the democracy ill conceived as a ‘winner-take-all’ market. However, I try to show that this conflicts can be a launch pad for the better society. It has to be understood as the cost for our society to be upgraded. For this argumentation, I adopt the phenomenological method: epoche and the teleology of the reason. And I propose the idea of the ‘good citizen’ as a solution for the social conflicts. 최근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갈등, 나아가 혐오로까지 이어지는 갈등은 민주주의를 위협할 수 있는 위기를 유발하고 있다. 이 글은 그런 사회적 문제들을 다양성 사회에서 일어나는 가치관의 갈등이라는 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이러한 갈등이 시장주의적으로 이해된 민주주의 제도 아래서 일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다양성 사회에서 가치관의 대립과 승자독식의 시장주의적 민주주의 아래서 시도되는 문제 해결은 치열한 경쟁과정 속에서 전쟁으로 비화된다. 혐오 현상은 이러한 사회적 환경이 초래한 결과이다. 이 글은 이러한 현상을 가치전쟁이라는 개념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 상황이 오직 부정적이기만 한 것은 아니다. 가치전쟁은 우리 사회가 더 좋은 사회가 되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사회적 비용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치전쟁을 더 좋은 사회로 가기 위한 도약대로 삼을 수 있기 위한 해법으로서 나는 현상학적 방법론을 원용한 해법을 모색하였다. 판단중지와 이성의 목적론이 그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 사회가 지향해야 할 이념적 가치로서 ‘착한 시민’이라는 개념을 제안할 것이다.

      • 媒介變數에 의한 圖形의 考察

        朴勝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교육논총 Vol.12 No.-

        현행 고등학교 일반수학의 직선의 방정식 단원에서는,평면 위의 점의 좌표, 선분의 내,외분점,직선의 방정식을 다루고 있으며,수학Ⅱ의 상권에서 매개변수를 전후 연계성 없이 막연하게 도입하여,공간성에서 직선을 매개변수 방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매개변수를 전후 연계성 없이 막연하게 도입하여,수학과의 교과목표인 수학의 기본적인 개념,원리,법칙과 그 상호 관련성을 이해하는데 곤란함을 느끼게 할 뿐만아니라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처리하는 능력을 배양하고, 다각적인 사고를 통한 사고의 유연성을 기르는데도 지장을 초래한다.

      • KCI등재후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 인문 교양

        박승억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3 교양교육과 시민 Vol.7 No.-

        Recently becomes digital transformation a hot issue in our society. I have made, in this paper, some suggestion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education,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general educ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our society is rapidly changing, and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can’t be free from such changes. This is also why digital literacy education is emphasized in general education. Digital literacy is now becoming a basic knowledge. But it does not mean just the ability to make good use of digital tools. The ability to use computers and software is meaningful, only when it is accompanied with an appropriate level of content knowledge. Therefore, digital literacy as a civic literacy in the digital society should be understood more broadly. This article proposes that digital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approached in three categories. The first is technical knowledge to deal with digital tools, the second is domain knowledge, and the third is procedural knowledge to participate in social decision-making process. They can be called instrumental knowledge, domain knowledge, and digital citizenship, respectively. Digital literacy education could only be expected to have its effect when these three axes are in a harmonious balance. 이 글은 최근 대학 교양 교육에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 관련하여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와 몇 가지 제안을 담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사회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대학의 교양 교육 역시 그런 변화와 무관할 수없다. 대학 교양 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강조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디지털리터러시는 이제 시민의 기초 소양이 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이 단지 디지털 도구를잘 활용하는 능력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문제 해결에서 컴퓨터와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기술적 능력은 적정한 수준의 지식 소양을 갖추고 있을 때 비로소 의미 있게 발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지털 사회의 시민 소양으로서 디지털 리터러시는 좀 더 폭넓게 이해되어야만 한다. 이 글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세 가지의 범주에서 접근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첫 번째는 디지털 도구들을 다룰 수 있는 기술적 지식이고, 두 번째는 디지털 시대를 살아갈 시민 교양을 갖추는 데 필요한 영역(domain) 지식이고 세번째는 디지털 사회에서 참여하는 시민적 삶을 위한 인성과 사회적 의사결정 과정에참여할 수 있는 절차적 지식이다. 이들을 각각 도구적 지식, 영역 지식, 시민성 지식(digital citizenship)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은 이 세 축이 조화로운 균형을 유지할 때 비로소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의미론적 체험 연구를 위한 방법론: 후설과 비고츠키를 중심으로

        박승억 범한철학회 2017 汎韓哲學 Vol.86 No.3

        The methodology controversy of psychological research about human mind had been around for a long time. Recently, this old debate enter upon new phase because a progress of brain science and neuroscience shows a new path to the understanding of human mind. Moreover, a digital technology try to represent the semantic experience of human being: virtual reality, mixed reality technology, and machine intelligence able to talk with human being etc. In this paper, I tried to show the new implication of Husserl’s phenomenology and Vygotsky’s developmental psychology. They had criticised the contemporary methodology of the psychology which stuck to methodological reductionism, because it could not afford to explicate the human experience of meaning. This critics is still unrepealed and has a vitality in regards to the high tech which try to represent the human experience. And hereby, I want to show the possibility of collaboration between Humanities and Engineering sciences. 인간의 심적 현상을 연구하는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은 오래된 논쟁거리였다. 이러한 방법론 논쟁은 최근 첨단 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뇌과학과 신경과학의 발전, 인간의 의미론적 체험을 재현해 내는 첨단 기술의 발전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 아래서 후설과 비고츠키의 논의는 새롭게 조명될 여지가 있다. 비록 후설과 비고츠키가 심리학을 대하는 태도에는 차이가 있지만, 적어도 당시 심리학의 환원주의적 접근 방식으로는 인간의 의미현상을 제대로 포착해낼 수 없다는 점에서는 일치된 견해를 보인다. 이러한 비판은 오늘날의 상황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 이 글은 심리학의 방법론 논쟁을 실마리 삼아 후설의 생활세계 현상학과 비고츠키의 발달심리학적 논의가 오늘날 인간의 의미론적 체험들을 재현해내고자 하는 첨단 기술들에 대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논의를 통해 공학과 인문학이 협업할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보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인문교육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박승억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5 사고와표현 Vol.8 No.3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clarify of a role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creativity education. In general, the creativity education is too broad, and has an ambiguous goal. If we consider the reason, why the creativity is important in general education, we have to focus the goal of the education o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The creativity in this case means to find the new solution which is different to old algorithms for problem-solving. Futhermore, the problem-solving in our complex society is to be sound from a ethical point of view. Because a certain problem-solving is apt to cause another problems, so it is always inseparable from social values. In this circumstance, the liberal arts education is effective in two points: the education of social value, and the heuristic skills for creative problem-solving. 이 논문은 최근 교육과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창의성 교육과 관련하여 인문학교육의 역할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창의성 교육은 대단히 광범위하고모호한 목표를 갖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의 교육에서 창의성 요구되는 문제 상황을 고려할 때, 창의성 교육의 목표는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는 일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이 경우의 창의성은 기존의 문제해결 알고리즘과는 다른 새로운 문제해결 방법을 찾아내는 데 있다. 이렇게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신장이 주요한 교육라면, 그것은 단지 인지적인 요소만이 아니라 윤리성도 고려해야 한다. 복잡한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일은 예외 없이 사회적 가치들과 연루되어 있기 때문이다.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에서 인문교육은 학습자에게 이러한 가치의 문제를 교육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인 동시에 인지적 측면에서도 발견적 사유 역량을 신장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 KCI등재

        선형적 텍스트와 합리성의 위상학

        박승억 한국동서철학회 2012 동서철학연구 Vol.66 No.-

        포스트모던이라는 말이 시대를 상징하는 표현이 됨으로써 근대적 합리성 역시 위기에 처한 것처럼 보인다. 그런 상황을 지지하는 증거를 찾는 일은 실제로도 그리 어려워 보이지 않는다.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하이퍼텍스트의 의미 공간은 그에 대한 단적인 증거이다. 주어진 사태를 단순화함으로써 절차적 도식을 만들어 내는 근대적 합리성으로 설명하기에는 오늘날의 사회가 너무 복잡해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근대적 합리성이 좌초했음을 선언하고 그 대안을 모색한다. 이 논문은 그러나 그런 상황이 하나의 착시 현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이고자 했다. 즉 선형적 합리성으로 해명하기 어려운 고도의 복잡성은 질적인 차이가 아니라 미시적인 선형성이 중첩됨으로써 발생하는 일종의 위상적 효과라는 점을 보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근대의 선형적 합리성을 상징하는 책과 하이퍼텍스트의 의미 공간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분명히 드러나는 것은 근대의 선형적 합리성과 그 대안들 사이의 관계는 적대적 관계가 아니라는 점이다. "Post-modem" has become a cliche which represent today's intellectual situation. Peoole says that the linear rationality of modern sciences were used up, because the society has become too complex, to be explained by it. But I think, it can be a too hasty conclusion, The complexity is nothing but an effect of a overlap of a lot of linear rationalities. It can be only an optical illusion. So, I have suggested in this paper a explaining model, which shows that the complexity of "meaning space of hypertext" is an topological effect of modern linear rationality. It means, the relation of the linear rationality and the alternatives is not incompatible exclusion but competitive coexistence.

      • KCI등재

        대학 기초교육과정에서 과학 커뮤니케이션에 관하여

        박승억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19

        This article proposes that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include the science communication education. Today, the social influences of science and technology are greater than ever. Science communication education is a response for these social changes. It includes not only scientific thinking but also a communication problem from a viewpoint of pragmatics about science and technology issues in the public sphere. Also, science communication education is a way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to science and technology and encourage critical reflection on the social influences of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the meaning and possibility of science communication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이 글은 대학의 교양기초교육과정에서 과학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강화하자는 제안을 담고 있다. 오늘날 과학기술의 사회적 영향력은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더욱이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빠르게 확산하는 지식과 정보에 대한 비판적 성찰 능력은 시민의 개인적 삶에서는 물론이고 민주주의 사회 구성원의 삶에서도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과학 커뮤니케이션 교육은 대학의 교양 교육이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이다. 과학 커뮤니케이션 교육은 과학적 사고만이 아니라 과학기술 이슈를 공론장의 영역에서 다루고자 하는 화용론적 문제의식을 포함한다. 과학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강화하자는 제안은 과학적 사고의 본령이 비판적 사고와 다르지 않으며, 과학의 사회문화적 의미가 과거와는 사뭇 달라졌고, 과학적 오류나 거짓 정보의 사회적 위험성이 과거와 비교해서 크게 증폭되었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과학 커뮤니케이션 교육은 학생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과학기술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자극할 수 있는 한 방편이다. 이 글은 이러한 논의들을 토대로 대학의 교양기초교육 과정에서 과학 커뮤니케이션 교육이 갖는 의미와 가능성을 해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인공지능 시대, 전문가 시스템의 위기와 인문 소양 교육

        박승억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6 사고와표현 Vol.9 No.3

        In this essay, I have tried to show what a main focus of general education of university is by a review of the expert system. The basic idea of expert system is that A.I. (as a expert system) use the knowledge of human expert. Namely, A.I. have to learn the knowledge of human expert. But the progress of the data science and the data processing technology set of the substitution of A.I expert for human expert. This substitution cause a crisis for human experts as well as A.I. expert system, because it endanger the knowledge production system. So, recently, the general education of university have focused on ‘convergence’ by the training of thinking skills. And ‘liberal arts education’ is nominated for an effective solution. But it seems to need a consideration. I have tried to show that we have to stress not mere thinking skills but the human skills. 이 글은 인공지능 전문가 시스템을 사례 삼아 대학 교양교육에서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들을 들추어내고자 한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따라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전문가 시스템의 기본 아이디어는 인간 전문가의 지식과 경험을 절차적 지식으로 정의함으로써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인간의 경험과 지식을 활용하 도록 한 것이다. 주목해야 할 사실은 인공지능 전문가 시스템은 여전히 인간이 만들어 내는 전문 지식들을 활용한다는 것이다. 만약 인공지능 전문가 시스템이 인간의 지식 생산을 위축시킬 수 있다면, 그것은 인간 전문가 시스템만이 아니라 인공지능 전문가 시스템 자체에게도 위기이다. 그렇다면 문제는 대학 교육이 지식 생산에 있어서 효과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느냐이다. 최근 대학 교육의 중요한 키워드는 융합과 교양이다. 특히 교양교육은 학생들에게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 대처할 수 있는 지적 역량들을 길러주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글은 테일러리즘에 대한 성찰을 통해 교양교육에서 강조되 어야 할 점이 무엇인지 보이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