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카네이션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dianthi)의 국내 race 판별을 위한 카네이션 판별품종의 선정

        박수지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2013년에 국내 카네이션 재배단지로부터 시들음 증상을 보이는 카네이션 식물체를 수집하였다. 이병 카네이션 식물체로부터 27개의 Fusarium spp.를 분리하였으며, 형태학적인 특징과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 지역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20개의 균주를 F. oxysporum으로 동정하였다. Fusarium 시들음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을 육종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국내의 F. oxysporum f. sp. dianthi의 레이스(race) 판별에 지속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판별품종을 선정하기 위하여, 국산 카네이션 품종을 대상으로 시들음병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단포자 분리된 균주의 소형 분생포자 현탁액을 13개의 국산 카네이션 품종에 접종하고, 8주 후에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온실 내 평균 기온은 18.1-27.6°C로 유지되어 시들음 증상을 일으키기에 적합하였다. 접종 결과, ‘샛별’과 ‘마블뷰티’가 모든 F. oxysporum 균주에 대하여 저항성을 보였고, ‘0932-1’은 23번 균주를 제외한 나머지 균주에 저항성을 나타냈다. ‘가아넷’은 20번, 21번, 23번, 24번 균주에 감수성을 나타냈고, ‘핑크베릴’과 ‘은별’은 2번, 20번, 21번, 22번, 23번, 24번, 25번 균주에 감수성을 나타냈다. ‘산호’, ‘크라운’, ‘페가수스’는 20번, 21번, 22번, 23번, 24번, 25번 균주에 감수성을 나타냈다. ‘금별’과 ‘레오’는 20번, 21번, 22번, 24번 균주에 감수성을 나타냈다. 두 개의 균주는 비병원성이었으며, 11개의 균주는 11개의 국산 카네이션 품종에 감수성 반응을 일으키지 못하였다. 최종적으로, 18개의 F. oxysporum 균주에 대한 11개 국산 카네이션 품종의 저항성과 감수성 반응을 조합한 결과, ‘가아넷’, ‘크라운’, ‘은별’, ‘레오’, ‘샛별’ 5개의 품종이 판별품종으로 선택되었으며, 이를 통해 국내의 카네이션 시들음병원균의 race를 6개로 판별할 수 있었다. 판별품종에 대해 감수성 반응을 나타내지 못한 11개 균주는 race 1로 분류되었다. Race 2는 ‘은별’의 감수성 반응에 의해 race 1과 구별되었다. Race 3은 ‘가아넷’, ‘크라운’, ‘은별’, ‘레오’에 병원성을 보였다. Race 4와 race 5는 ‘가아넷’과 ‘레오’의 저항성 반응에 의해 각각 race 3과 구별되었다. Race 6은 ‘크라운’의 감수성 반응과 ‘가아넷’과 ‘레오’의 저항성 반응에 의해 다른 race들과 구별되었다. Carnation plants showing wilt symptom were collected from carnation cultivation area in Korea, 2013. Among 27 isolates of Fusarium spp. isolated from diseased carnation plants, the 20 isolates were identified as F. oxysporum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 gene sequence analysis. To give information for breeding of Fusarium wilt resistant cultivars and to establish a set of differential cultivars that could be consistently used in Korea for race identification of F. oxysporum f. sp. dianthi, Korean carnation cultivars were tested for their resistance against F. oxysporum f. sp. dianthi. Microconidia suspension derived from single spore isolation of 20 F. oxysporum isolates was inoculated to 13 Korean carnation cultivars. Mean daily air temperature inside the experimental glasshouse maintained at 18.1-27.6°C which was enough to induce Fusarium wilt symptom. At eight weeks after inoculation, cultivars’ reaction was determined. ‘Saetbyul’ and ‘Marble Beauty’ showed resistance to all F. oxysporum isolates and ‘0932-1’ showed resistance to the 19 isolates except no. 23. ‘Garnet’ was susceptible to no. 20, no. 21, no. 23, and no. 24. ‘Pink Beryl’ and ‘Eunbyul’ were susceptible to no. 2, no. 20, no. 21, no. 22, no. 23, no. 24, and no. 25. ‘Sanho’, ‘Crown’, and ‘Pegasus’ were susceptible to no. 20, no. 21, no. 22, no. 23, no. 24, and no. 25. ‘Kumbyul’ and ‘Leo’ were susceptible no. 20, no. 21, no. 22, and no. 24. Two isolates were nonpathogenic and 11 isolates did not induce susceptible reaction on 11 Korean carnation cultivars. Finally, a set of differential cultivars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resistant and susceptible reaction of 11 Korean carnation cultivars to 18 F. oxysporum isolates. Five cultivars ‘Garnet’, ‘Crown’, ‘Eunbyul’, ‘Leo’, and ‘Saetbyul’ were selected for differential cultivars and it was possible to identify 6 races of F. oxysporum f. sp. dianthi in Korea. The 11 isolates which did not induce susceptible reaction in this study were assigned to Korean race 1. Korean race 2 was distinguishable from Korean race 1 by the susceptible reaction of ‘Eunbyul’. Korean race 3 showed pathogenicity to ‘Garnet’, ‘Crown’, ‘Eunbyul’, and ‘Leo’. Korean race 4 and Korean race 5 were distinguishable from Korean race 3 by the resistant reaction of ‘Garnet’ and ‘Leo’, respectively. Korean race 6 was distinguishable from the other races by the susceptible reaction of ‘Crown’ and resistant reactions of ‘Garnet’ and ‘Leo’.

      •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의 초고속 분자진단법 개발

        박수지 충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에 의해 돼지에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인간에게는 발생하지 않는다. 감염된 돼지의 사망률은 최대 100%로 돼지 농장에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아프리카 돼지 열병은 백 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신속한 진단을 통한 예방이 최우선이다. 현재 면역 진단이나 분자 진단을 사용하여 실험실에서 진단되고 있으며 현장에서도 빠르고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진단법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는 먼저,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법에 적용하기 위해 정제된 Taq DNA 중합 효소에 anti-Taq 항체를 결합시켜 Hot Start Taq DNA 중합효소를 제조하였 다. 최대한 많은 종류의 ASFV의 검출을 위해 서로 다른 22종의 ASFV에서 p72 염기서열이 95% 이상 상동성이 있는 부분에서 프라이머와 프로브 세트를 제작하였다. 초고속 조건에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수행한 결과, 전체 반응 시간은 약 50분이며, 반응 당 약 7.5 x 10^0 copies를 검출할 수 있었다. 실제 양성 검출과 유사한 환경에서도 초고속 반응 조건 실험하기 위해, 돼지 혈액에 ASFV DNA를 농도별로 첨가한 결과, 내재유전자인 RPP30은 동일하 게 검출되었고 ASFV는 DNA의 농도에 따라 Cq값이 검출됨을 확인할 수 있 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사용하여 높은 특 이성 및 감도를 가지며 바이러스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분자진단법을 구 축했다. African swine fever is a disease that occurs in pigs infected with the African swine fever virus and does not occur in humans. The mortality rate of infected pigs is up to 100%, which can result in huge economic losses to pig farms. Because no vaccine or treatment for African swine fever has been developed, prevention through rapid diagnosis is important. Currently, it is diagnosed in the laboratory using immunological diagnosis or molecular diagnosis, and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diagnostic method that enables fast and accurate diagnosis in the field. In this study, first, a Hot Start Taq DNA polymerase was prepared by binding an anti-Taq antibody to a purified Taq DNA polymerase for application to real-time qPCR. To detect as many types of ASFV as possible, primers and probe sets were constructed using a homology portion of at least 95% of the p72 sequence of 22 different ASFVs. As a result of performing real-time qPCR under ultrafast conditions, the reaction time was about 50 minutes, and about 7.5 x 10^0 copies per reaction could be detected. To test the ultra-fast reaction conditions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a positive sample, 10,000 copies, 2,000 copies, and 500 copies of ASFV DNA synthesized in normal pig blood were added. The internal gene RPP30 was similarly detected, and the Cq value was 30.04, 32.81, and 34.80,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ASFV DNA. Therefore, we have constructed a molecular diagnostic method using real-time qPCR, which has high specificity and sensitivity, and can quickly detect viruses.

      • Fusion models for news quality prediction : Combining textual features with sentence embeddings

        박수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논문의 목표는 한국어 기사 품질을 예측하기 위한 언어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기사 품질 예측 과제는 최근 가짜뉴스 등의 범람으로 그 필요성이 대두되면서도 자연언어처리의 최신 기법이 아직 적용되지 못하는 실정에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문장의 의미를 표상하는 SBERT 모형을 개발하고, 기사의 언어학적 자질을 활용하여 품질 분류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그 결과 기사의 가독성, 응집성 등의 텍스트 자질을 사용한 기계학습 모형과 SBERT에서 자동으로 추출된 문맥 자질을 사용한 전이학습 모형이 모두 선행연구의 심층학습 결과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고, 구체적으로는 SBERT 학습시 훈련 데이터를 확장하고 정제할 때, 그리고 텍스트 자질과 문맥 자질을 함께 사용할 때 성능이 더욱 향상되는 것을 관측하였다. 이를 통해 기사의 품질에서 언어학적 자질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자연언어처리의 최신 기법인 SBERT가 언어학적 자질을 추출하고 활용하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 논문의 목표는 한국어 기사 품질을 예측하기 위한 언어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기사 품질 예측 과제는 최근 가짜뉴스 등의 범람으로 그 필요성이 대두되면서도 자연언어처리의 최신 기법이 아직 적용되지 못하는 실정에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문장의 의미를 표상하는 SBERT 모형을 개발하고, 기사의 언어학적 자질을 활용하여 품질 분류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그 결과 기사의 가독성, 응집성 등의 텍스트 자질을 사용한 기계학습 모형과 SBERT에서 자동으로 추출된 문맥 자질을 사용한 전이학습 모형이 모두 선행연구의 심층학습 결과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고, 구체적으로는 SBERT 학습시 훈련 데이터를 확장하고 정제할 때, 그리고 텍스트 자질과 문맥 자질을 함께 사용할 때 성능이 더욱 향상되는 것을 관측하였다. 이를 통해 기사의 품질에서 언어학적 자질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자연언어처리의 최신 기법인 SBERT가 언어학적 자질을 추출하고 활용하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이황과 기대승의 사칠 논변 연구 : 도덕감정 논의를 포함하여

        박수지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the Sadanchiljeong(四端七情) argument of the Joseon Confucian scholars, who focused on the concept of emotion(情), and compare the meaning of the emotion theory in the Sadanchiljeong argument with the viewpoints of moral emotion theory of modern cognitivism trend. Through this, the thesis also tries to think about the modern meaning of the Sadanchiljeong argument. For Confucian scholars, emotion was an concrete experience that mediates me and the other, and a window that reveals the universal nature(性) of humans. In addition, emotion was understood as a symbol representing the level of self-cultivation and psychological training of an individual because it was revealed through the temperament and tendency of the body. Furthermore, implicit agreement and comprehension by community members were required to exactly understand what proper emotion was. To examine these issues,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s of Sadan(四端) in Mencius(孟子), Chiljeong(七情) in Book of Rites(禮記), and Hinoaerak(喜怒哀樂) in Doctrine of the Mean(中庸) as a preliminary study. This study then tried to confirm that the Sadanchiljeong argument is an event based on Neo-Confucianism that revealed the uniqueness of the Joseon Confucianism, while examining the formation process of Simtongseongjeong(心統性情) and Seongbaluijeong(性發爲情) theses of Zhu xi, a Neo-Confucianist of Southern Song who provided the metaphysical ground of the Sadanchiljeong argument.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Sadanchiljeong arguments of Toegye Yi Hwang(退溪 李滉) and Gobong Ki Dae-seung(高峰 奇大升) in earnest, this paper tried to reorganize the controversial issues of the arguments and understand their critical minds by comparing their arguments methodologically.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oegye and Gobong's critical mind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justification of morality. Toegye had a major critical mind in establishing a moral subject[心] capable of acknowledging the moral competency given to self and fully revealing the moral potential, while Gobong maintained his critical mind to judge the universality of the moral emotion through the appropriateness of the situation. In the final chapter of this paper, we paid a special attention to the concept of emotion among the Sadanchiljeong arguments and compared it with the concept of emotion in cognitivism theory, one of the trends of modern emotion theory. Through this comparative analysis, we tried to highlight the uniqueness of the emotion theory of Joseon Confucian schola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otion theory of the Confucian scholars are as follows; First, the scope of the Confucian emotion is much wider than the cognitivism emotion because it covers all the interactions between oneself and others. Second, the Confucian scholars considered the compassion, in other words sympathy, as the last mechanism for moral judgment, so its meaning was different from the ground of moral judgment in cognitivism theory. Third, the concept of emotion in the Sadanchiljeong argument has its discriminative characteristics because it presupposed moral metaphysics as the basis of moral judgment and emphasize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through the body as well as the ethical community based on the ritual system(禮制) for emotion control. In this thesis, we thought that the fact that Confucian scholars emphasized the ability of self-cultivation and the self-control through the body when dealing with their emotions is an important element that we must pay attention to again. Lastly, this paper tried to deliberate what meaningful opportunity of reflection the Sadanchiljeong argument can give us. The themes of human nature and emotions that Toegye Lee Hwang and Gobong Ki Dae-seung dealt with intensively for a long period of eight years were addressed as a matter of realizing proper bal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 and others, not slanting toward either inner psychological state of an individual or social product composed through experience. They also thought about the moral-metaphysical grounds such as tendency(性), Li(理), and Taeguek(太極), but at the same time, they thoroughly deliberated about the proper relationship with the ethical community they belong to. In other words, they tried to deliberate about the problem of emotions in various ways in the process of thinking about metaphysics, community’s customs, and the distance and relationship between me and others. These Confucian scholars' emotion theories give us a clue to various thoughts that can explore emotional issues because they not only encompass the inner psychological state of humans and sociological approach covered in modern emotion theory, but also consider the theory of individual self-cultivation. 본 논문은 감정[情] 개념에 주목했던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사단칠정 논변의 내용과 의미를 분석하고, 그로부터 얻어진 사칠 논변에서의 감정론의 의미를 현대 인지주의 경향의 도덕감정론의 관점들과 비교해보았다. 이를 통해 사단칠정 논변의 현대적 의미가 무엇인지도 함께 고찰해보고자 한다. 유학자들에게 감정이란 나와 타자를 매개하는 구체적 경험이면서 동시에 인간의 보편적인 본성[性]을 드러내는 창구였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그들이 생각한 감정은 몸의 기질과 경향을 거쳐 드러나는 것이었기에 개인의 수양과 심리적 훈련 정도를 보여주는 상징적 요소로 간주되었다. 뿐만 아니라 적절한 감정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공동체 구성원의 암묵적 합의와 독해가 요구되었다. 이러한 쟁점들을 살펴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우선 예비적 고찰로 󰡔맹자孟子󰡕의 사단四端과 󰡔예기禮記󰡕의 칠정七情, 󰡔중용中庸󰡕의 희로애락喜怒哀樂 개념을 살펴보았다. 이후 사단칠정 논변의 형이상학적 근거를 제공한 남송 시대 신유학자 주희의 심통성정心統性情, 성발위정性發爲情 테제의 성립과정을 따라가면서, 사단칠정 논변이 주자학朱子學에 기반하면서도 조선 유학의 독특성을 드러내는 사건임을 확인해보고자 시도했다. 본격적으로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의 사단칠정 논변을 분석하는 과정에서는 쟁점을 중심으로 논변을 재구성하고 퇴계와 고봉의 입장을 방법론적으로 대비시켜 그들의 문제의식을 파악해보고자 했다. 분석 결과 퇴계와 고봉의 문제의식은 도덕성의 정당화 문제와 밀접히 관계 맺고 있었다. 퇴계는 내 안에 부여된 도덕적 역량을 긍정하면서 도덕적 잠재성[性]을 온전히 드러낼 수 있는 도덕적 주체[心]를 세우는 데 주된 문제의식이 있었다면, 고봉은 도덕감정의 보편성을 상황과의 중절 여부를 통해 판가름하려는 문제의식을 견지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론의 마지막 장에서는 사단칠정 논변 가운데 특히 감정 개념에 주목하여 현대 감정론의 조류 중 하나인 인지 이론의 감정 개념과 비교 분석해보았다. 이러한 비교 분석을 통해 조선 유학자들의 감정론의 독특성을 부각시켜 보았 다. 유학자들의 감정론의 특징은 첫째, 자타 간의 상호 작용 전체를 모두 포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지주의에서 말하는 감정보다 외연이 훨씬 넓은 개념을 사용하였다. 둘째, 도덕적 판단의 마지막 기제를 측은함이라는 동정심에 두었던 점에서 인지 이론의 도덕적 판단 근거와 그 의미가 달랐다고 본다. 셋째, 사단칠정 논변의 감정 개념은 도덕적 판단의 근거로서 도덕 형이상학을 전제하였고 감정 조율의 문제를 위해 예제禮制에 기반한 윤리공동체와 더불어 몸을 통한 수양론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변별적 특징을 가졌다. 본 논문은 유학자들이 감정의 문제를 다룰 때 몸을 통한 수양과 자기 조율의 능력을 강조했던 점은 오늘날 우리가 다시 한 번 주목해야 할 요소라고 판단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사단칠정 논변이 현재 우리에게 어떤 유의미한 성찰의 계기를 줄 수 있을지 숙고해보았다.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이 8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치열하게 논변했던 본성과 감정이라는 주제는 한 개인의 내면적 심리 상태 혹은 경험적으로 구성되는 사회적 산물 어느 한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고, 나와 타자 사이에 관계에서 적합한 균형을 실현하는 문제로 다뤄졌다. 이들은 성性이나 이理, 태극太極과 같은 도덕 형이상학적 근거에 대해서도 고민했지만 동시에 자신이 몸 담고 있는 윤리공동체에서의 적절한 관계맺음에 대해서도 철저히 숙고했다. 즉, 이들은 형이상학과 공동체의 관습, 나와 타인 사이의 거리와 관계에 대해 전체적으로 고민하는 과정에서 감정의 문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사유해보고자 시도했다. 이러한 유학자들의 감정론은 현대 감정론에서 다루고 있는 인간 내면의 심리, 사회학적 접근 방식을 포괄하면서도 개인의 수양론까지 고려하고 있다는 점에서, 오늘날 우리에게 감정 문제를 탐색할 수 있는 다양한 실마리를 던져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대전광역시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박수지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최근 변화하는 복지환경과 클라이언트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욕구에 대응하기 위해 대두되고 있는 민관협력의 주요 추진 계획인 지역사회 자원 발굴에 관하여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자원개발의 현 상황을 파악하여 사회복지사들의 자원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자원개발업무 수행의 원활함을 도모할 목적으로 출발했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에 대표적인 비영리 기관인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자원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하였다.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특성, 자원개발업무 비중 및 교육, 자원개발 방법등을 통해 실태를 파악하였고,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이 접하는 자원의 유형을 분류하여 총 8가지 자원에 대해 사회복지사들의 자원의 중요성, 필요빈도, 개발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사회복지사들의 자원개발역량을 더불어 살펴보면서 사회복지사들이 현재 자신의 자원개발 수준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있는 21개소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조사과정은 우편 및 직접방문을 통한 설문의 형식을 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사대상자들의 개인적 특성을 살펴보면, 자원과 관련된 교육에 대해 1년을 기준으로 조사대상자들의 약 반 정도가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 이상이 자원관련 모임을 참석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1년간 대부분의 사회복지사들이 자원을 개발하고 있고, 자원개발 업무에 대해 반 이상이 부담스럽다고 느끼고 있었다. 자원개발 시 장애요인으로 전문성 부족을 꼽았으며, 원활한 자원개발을 위해 실용적인 자원개발 시스템 운영을 요구하고 있어 사회복지사들이 현재 자신들의 역량 향상과 체계적인 자원개발 시스템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사회복지사들의 자원의 중요성, 필요빈도, 개발가능성 및 자원개발역량에 대한 실태를 살펴보고, 개인적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첫째,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은 자원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자원을 개발할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자주 자원이 필요한 상태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자원의 중요도, 개발가능성, 필요빈도가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자원의 중요성과 개인적 특성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자원개발가능성과 필요빈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의 연령이 30대와 40대가, 4년제 대학 졸업자 이상의 학력수준을 가진, 적어도 4년 이상의 경력의 사회복지사가 자원개발가능성이 높았고, 사례관리와 서비스제공 부서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가 자원이 더 자주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사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자원개발역량이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사의 연령, 최종학력, 총 근무경력, 사회복지관 근무경력, 직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 역량은 적어도 30대 이상, 대학원석사과정 정도의 교육수준을 가진, 8년 이상, 선임사회복지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자원개발역량과 관련해서는 절대적인 경험과 시간이 필요하며 교육을 통해서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사들의 자원의 중요성, 필요빈도, 개발가능성 간의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소득지원자원, 정신건강자원, 권익옹호자원의 경우 자원의 중요도, 개발가능성, 필요빈도가 모두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일상생활지원자원, 요양·돌봄자원, 건강·의료자원, 교육·문화·여가자원, 자활자원의 경우 자원의 중요도 필요빈도, 필요빈도와 개발가능성과 관계가 있었으나, 자원의 중요도와 개발가능성은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복지사들이 자원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더라도 개발할 가능성이 여의치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현장의 사회복지사들이 자원개발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과 자원개발가능성 및 역량을 갖추기 위해 현장에서 절대적인 시간적 배려, 그리고 사회복지사들의 자원개발 실태가 녹록치 않은 상황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social workers understand community resources and effectively perform resource development work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e of resource development in social work settings with regard to community resource development, a key public-private cooperation plan as a strategy to deal with today’s changing welfare environment and meet diverse complex client needs. Specifically,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ir perceptions and actual state of resources and actual conditions with social workers working in social welfare centers, representative community organization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the study investigated social worker's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proportion of resource development work, and methods of education and resource development to determine the actual state of community resources, and determine social workers’ perceptions of importance, frequency of need, and potential for development for eight resources based on classification of resources available to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centers. The study also examines social workers’ resource development competency to determine their perception of their resource development level.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social workers in 21 social welfare center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survey was conducted by mail and in-person visit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Regard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urvey respondents, about half of them were unable to receive training related to resources during the past year, and more than half of them were unable to attend resource related meetings. Nevertheless, during the past year, most social workers have developed resources and felt that more than half of them felt a burden about resource development work. The lack of expertise was listed as an obstacle in resourc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practical resource development system was required for effective resource development; therefore, improved social workers’ resource development competency and development of the resource development system are desperately needed. Regarding social workers’ perceptions, the importance, frequency of need,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resources were surveyed,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was investigated. First,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cent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resources, had resource development potential, and frequently needed resources. Second,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potential of, and frequency of need for resources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resource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ource development potential and frequency of need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Social workers in their 30s and 40s, with college education or higher, and with at least four years of work experience, had higher resource development potential, and social workers working in case management and service delivery departments were more frequently in need of resources. Third,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resource development competency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education level, total length of work experience, length of work experience at social welfare centers, and the job titles of social workers. The social workers’ resource development potential was high in those who were at least 30 years old, as well as senior-level social workers with more than 8 years of work experience, with about a Master’s level education. This suggests that experience and time are required for social workers’ resource development competency, and education may improve it. Fourth,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necessity,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social workers. The results showed that all relationships between the importance of resources, development potential, and frequency of need were significant in income support resources, mental health resources, and rights advocacy resources. However, in the case of daily life support resources, nursing care resources, health and medical resources, education, culture, and leisure resources and self-help resourc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of resources and frequency of ne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need and development potential were significan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and development potential for resources. This suggests that social workers may experience difficulty in resource development even if they consider resources to be importa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is recommended: development of the system to facilitate social workers’ resource development in social work settings, allowing enough time for them to have resource development potential and competency in social work settings, and study on the situations that the social workers have a tough time with resource development.

      • 공간위상학적 특성과 관광환경정보가 공간 인지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가상현실기법을 중심으로

        박수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과거 유명 관광지들이 쇠퇴함에 따라 지역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관광지 재생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관광지 재생 공모사업을 실시하여 2015년 2곳, 2016년 3곳을 선정하는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각 지자체에서는 도시재생을 통한 관광활성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대부분 노후화된 시설과 프로그램만을 개선하는 등 단편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테마파크, 국립공원 등과 같은 관광지는 일정한 매력물과 편의시설, 그리고 이를 체험하기 위한 통행로로 구성되는 복합적인 공간으로 관광지의 공간위상학적 특성과 더불어 관광객의 사회심리적 요소에 대한 통합적 관점의 이해가 요구되어지는 대표적인 공간이다. 그러나 공간의 구조가 복잡하면 관광객이 처리해야 할 정보의 양과 난이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사람들이 기억해야 하는 정보가 많을수록 자신이 통과해온 거리가 더 멀다고 가정하게 되는 등 관광지 계획 및 운영에 있어 공간 구조 개선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관광공간의 위상학적 특성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관광객에게 물리적 자극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관광객은 그러한 자극을 인지하고 관광지에 대한 선호도, 만족도 등의 태도로 반응을 갖게 된다. 본 연구는 관광 공간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도출된 공간위상학적 특성에 따른 관광객의 공간 인지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검증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또한 공간위상학적 특성에 따라 변화하는 관광객의 인지가 어떠한 관광환경정보에 더 큰 영향을 받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제시하였다. 첫째, 공간위상학적 특성에 따라 관광객의 공간 인지가 변화하는지 밝히기 위해 가설 1을 설정하였다. 둘째, 공간위상학적특성과 공간 인지, 관광환경정보의 상호작용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가설 2를 설정하였다. 셋째, 공간 인지와 만족도의 영향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가설 3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정을 위하여 유사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요인설계는 2(공간위상학적 특성 낮은 공간vs공간위상학적 특성 높은 공간)×2(관광안내체계vs도움요청)로 구성하였다. 본 실험은 공간위상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S3 Axial Analyzer 2.1을 활용하여 공간위상학적 특성이 낮은 공간과 높은 공간으로 구분하여 두 개의 공간구조를 설계하였으며, 변인제어에 용이하고, 계획단계의 공간에 적용하고 있는 Sketchu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각각의 가상현실 테마파크를 구현하였다. 실험을 통해 수집한 총 246개의 표본은 통계적 검증을 위해 사용되었다. 공간위상학적 특성에 따른 공간 인지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길찾기 능력이 집단에 미치는 영향을 동등화하고 관광환경정보의 상호작용효과 검증을 위한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공간 인지와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 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첫째, 공간위상학적 특성이 높은 공간에서 관광객의 인지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공간위상학적 특성이 높을수록 관광객이 공간을 인지하기 쉬워 관광객이 처리해야 할 정보의 양과 난이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둘째, 공간위상학적 특성이 높은 공간에서는 관광환경정보인 관광안내체계, 도움요청 모두 비슷한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간위상학적 특성이 낮은 공간에서는 도움요청이 관광안내체계보다 더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간위상학적 특성이 낮은 공간에서 도움요청의 상호작용효과는 공간위상학적 특성이 높은 공간에서 도움요청의 상호작용효과와 비슷한 수준으로 상승하였다. 이는 공간위상학적 특성이 낮은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도움요청을 처치할 경우 공간위상학적 특성의 차이를 상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위상학적 특성이 낮은 공간에서는 관광안내체계보다 도움을 줄 수 있는 인력 배치가 인지와 만족도를 높이는 것에 더 강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셋째, 공간 인지는 관광만족도와 보행만족도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동일한 시설이 배치된 가상현실에서 공간위상학적 특성에 따른 관광객 공간 인지에 차이가 나타남에 따라 상이한 공간을 대상으로 공간위상학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그친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화하였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관광분야 연구들이 물리적 자극을 관광객의 지각을 통해 파악한 한계점에서 벗어나 정량적 지표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공간위상학적 특성이 관광객의 사회심리적 요소와 영향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둘째, 가상현실 공간은 접해보지 않은 공간을 짧은 시간 동안 이용하게 되는 실험적 공간이라는 한계를 가졌는데, 이러한 특징이 비일상적 공간인 테마파크와 같은 관광지에 적합하다는 것을 밝혀 관광분야의 연구방법을 확장하였다. 셋째, 공간위상학적 특성이 낮은 공간보다 높은 공간의 관광객 공간 인지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공간구조의 물리적 환경 특성과 관광객의 공간 인지가 영향관계에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영향관계가 관광공간에서도 적용됨을 확인하였다. 넷째,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역할에만 집중되어 있는 관광정보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고 공간 인지에 대한 관광환경정보의 상호작용효과 확인하여 어떤 정보가 더 효과적인지를 혼입변수가 효과적으로 통제되는 유사실험연구를 통해 제시하여 그 설명력을 높였다. 다섯째, 기존의 관광분야 연구들에서는 만족도에 대하여 관광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단일요인으로 연구하였으나, 보행만족도를 만족도의 요인 중 하나로 도입하여 만족도의 영역을 확장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의 계획 및 관리에 있어 주관적 판단에 의존해 왔던 한계점을 보완해줄 수 있는 방법으로서의 공간위상학적 특성 분석의 도입을 제안했다. 둘째, 물리적 환경요인인 공간위상학적 특성이 관광객의 공간 인지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밝힘에 따라 관광지 재생 사업에 대하여 노후화된 건물의 재정비나 프로그램 개선과 같은 사업과 더불어 공간의 구조적 개선이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관광환경정보의 효용성을 파악함에 따라 공간위상학적 특성이 낮은 공간에서는 인력 배치를 통한 공간 인지의 상승과 공간위상학적 특성이 높은 공간에서는 안내표시체계를 통해 공간 인지의 상승을 제안하였다. 넷째, 가상현실 공간이 관광지의 방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가상현실이 관광의 대체제로서의 역할을 할 거라는 선행연구와 달리 가상현실의 다양한 마케팅 전략적 활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후화된 건물의 재정비, 유사한 프로그램 도입 등에 한정된 관광지 재생 사업에 대하여 문제점을 지적하며, 공간구조 개선이라는 새로운 시도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관광지의 계획 단계부터 주관적 판단에 의존해 왔던 한계를 보완해줄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므로 향후 새로운 관광지 수립 및 관광지 계획 시 유용한 근거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조지아 오키프와 주디 시카고의 작품에 내재된 페미니즘적 성향 비교연구

        박수지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초록 조지아 오키프와 주디 시카고의 작품에 내재된 페미니즘적 성향 비교연구 박 수 지 江陵原州大學校 大學院 美術學科 西洋畵專攻 본 논문은 미국을 대표하는 두 페미니즘 미술가 조지아 오키프와 주디 시카고의 작품에 내재된 페미니즘적 성향을 비교 연구한 논문이다. 19세기 이전까지 과학, 예술, 철학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여성은 주체가 아닌 주변이었다. 여성들은 온전히 예술가로서 인정받기 힘든 시대적, 사회적 상황에 놓여있었다. 20세기, 모더니즘이 대두되며 예술분야에서 변화들이 일어나기 시작 했다. 남성의 성적 욕망과 환상을 충족시키기 위한 시각적 도구로만 여겨졌던 여성상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는 20세기 종전 이후 미국의 격변하는 경제·사회적 상황 속에서 여성운동의 형태로 등장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1970년대쯤 정점에 달했고, 현재까지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의 정체성과 주체성을 찾기 위한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현재의 많은 변화에는 결코 간과할 수 없는 페미니스트들의 노력이 담겼다. 페미니즘은 역사에서의 여성 발견이며 미술사의 폭을 확대하는데 제공한 현저한 공헌으로써, 다시금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여성 예술가의 공적을 발견, 재평가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지아 오키프와 주디 시카고의 독보적인 페미니즘 미술 작품에 집중해, 전에 없던 방법으로 페미니즘 작품의 특성을 연구한다. 독보적인 오키프의 회화가 형성되기까지 크게 세 가지의 상황이 영향을 주는데, 스승인 아서 웨슬리 다우(Arthur Wesley Dow)에게서 회화를 배운 것, 스티글리츠와 서로 예술적 교감을 주고받은 것, 사진작가들의 클로즈업 기법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다. 다우의 공간 안에 적절하게 조화되는 선과 추상적으로 배치하고 반복하는 명암 원리는 오키프 회화를 이루는 핵심이 되었다. 다우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추상을 다양한 방법으로 실험하던 오키프의 작품을 본 스티글리츠는 그녀의 재능을 한눈에 알아보았고, 자신이 소장한 ‘291화랑’에서 개인전을 열어주는 등 예술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지해주었다. 오키프는 스티글리츠 서클에서 만난 사진작가들에게 사진 기술인 ‘클로즈업 기법’에 영감을 받아 그림에 있어 <세가지 백일초(3 Zinnias)>(도11)등과 같은 작업 방식을 발전시켰다. 그녀는 주로 자연과 더불어 살면서 자연 속에서 자신의 예술세계를 구축하고자 하였고, 화면에 자신의 경험과 내적인 것들을 담으려고 노력했다. 하지만 여전한 남성주의적인 해석과 시선, 스티글리츠의 외도에 대한 상처 등으로 고독을 찾아 뉴멕시코 사막에서 작업하며 평생을 보냈다. 오키프 회화의 강한 개성은 확대, 반복, 색채의 뚜렷한 특성으로 구분 지을 수 있다. 그녀의 작품은 구상과 추상의 경계에서 자유롭게 표현된다. 자연을 소재로 하여 그린 작품은 여성의 신체를 특성 있는 색채와 유기적인 형상을 사용해 상징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주디 시카고의 예술세계는 어린 시절의 경험들로부터 시작되었다. 어머니는 주디 시카고의 예술적 재능을 항상 응원해주었고, 여성의 자유로움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었으며, 아버지의 여성권에 대한 진보적 생각은 주디 시카고가 페미니즘 미술을 하는 데 크게 영향을 미쳤다. 유대인인 부모님에 의해 사회의 문제를 인식하게 된 주디 시카고는 여성권리 문제에서 더 나아가 사회의 문제들을 인식하고 그것을 고발하는 데 힘썼다. 남성중심주의 체제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그에 대응할 수 있는 ‘여성적인 것’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그녀는 생각했는데, 그녀의 작품에서부터 그 적극성이 드러난다. 가령<디너파티>에서처럼 여성의 성기이미지를 차용함으로써 남성주의 체제에 맞대응하려는 의도가 작품에 드러나는 것이다. 회화가 형성되던 시기 두 작가가 놓인 상황은 조금 달랐다. 여전히 남성주의적 시선에 고통스러워했던 조지아 오키프는 소극적인 형태로, 스스로 페미니스트를 자처하고 나섰던 주디 시카고는 진취적이고 적극적인 형태로 페미니즘 미술을 전개했다. 그러나 두 작가 모두 ‘여성’이라는 공통점에 있어 ‘여성신체’를 사용해 ‘여성성’을 나타내고자 했던 페미니즘적인 의도는 그 시작점이 일치한다. 유기적인 형태와 다채로운 색채, 다양한 재료의 사용으로 예술의 다양성을 항상 실험하고 노력한 열정도 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두 작가 모두 한 가지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움을 추구했다. 이렇듯 서로 다른 시대와 상황 속에서도 ‘여성’이라는 소재 하나로 연결 될 수 있다는 점을 본 연구는 주목한다. 페미니즘이 대두되면서 현대 여성 미술가들의 주체성과 권리는 보장 받고 있지만, ‘여자답게(Like a Girl)' 같이 언어나 사회 분위기 속에 잔재하는 차별의 문제가 아직 남았다. 그 인식을 바탕으로, 과거부터 지금까지 지속된 페미니스트들의 노력을 재조명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조지아 오키프와 주디 시카고의 회화를 비교 분석하여 논하고자 하였다. 주제어: 페미니즘, 페미니스트, 조지아 오키프, 주디 시카고, 여성성 , 여성, 모더니즘 Abstract The study on the feminism in the works of two artists by comparing Georgia O'keeffe with Judy Chicago Park susie Department of Fine Art Graduate School of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compared two typical American painter, Georgia O'keefee and Judy Chicago, who had feminine inclination in their works. Until 19th centuries women were not subject but object all over the fields, Science, Arts, philosophy and so on. They were faced the hard situation people didn't give any periodical and social recognitions on them as artists. But after 20th centuries something changed in the field of Arts when the new idealism came in so called modernism. The critics about the model of woman that seemed to be the optical tools which satisfied men as a sexual appetites changed to another way of feminine movement in the sudden economical and social changes in the States after war. This movement came to a peak by the feminists in 1970s and they have been tried to find the identities and individualities, and we have to recognize their services. I studied the unique feminism works of Georia O'keefee and Judy Chicago as a ways never being tried. Till forming O'keefee's typical works, she have been influenced by three large situations; the first, learned the paintings to her master, Arthur Wesley Dow, the second, influenced and to be influenced the artistic characters with Stiglitze and the last, to be inspired by the photographers' close-up techniques. Dow's technique which principals of sharing and repeating the harmony of lines and the light and the darkness abstractly made the core in her painting works. Stiglitze realized O'keefee's abilities as seeing her works, being affected by Dow and supported her artistic acts as putting an exhibition on her works at his Gallery 291. O'keefee developed her techniques to the 3 zinnias as a close-up technique which being learned by photographers met at the Stiglitz circle. She tried to set her own arts living in nature and tried to put her own inner experiences. But by still being critics of androcentric understandings and glances and the hurts of Stiglitz's wantonizing, she spent the rest of her life at the desert of New Mexico. Her paintings are characterized with enlargement, repeating and colors. She expressed her works in between conception and abstraction. Her works as material of nature, she expressed the woman's body with special colors and structural forms as a symbolic ways. Since 1919, she began to combine with her painting and photographs very seriously. Art's world of Judy chicago started with experiences in childhood. Her mother always supported Judy's talents for arts and planted the recognition of woman's free to her heart. her father's progressive idea of woman's rights affected Judy Chicago's works impling feminism. Jewish parents of hers recognized and tried to inform the issues of social problems. She thought the special woman's properties to break up the androcentric society. At some her works revealed her purpose, for example, in the Dinner Party, as expressing woman's genital parts, she tried to face the man's society. They were faced to different situations in the forming of painting arts, troubling at the man's glances, Geogia O'keefee made her way of art very passively, but Judy Chicago, the other way around. But they are women in common, they started to use the woman's body to express the woman's rights and the feminism. Each of them were trying to pursue the woman's freedom. As you could see, you should attent to the subject that it could unique the every issue just one as a matter of woman. As rising the feminism, identities and rights for female painters are guranteed though, I tried to compare and study with two artist, knowing the problems differentiation with men and women as the leftovers in this societies and to purpose putting the spotlight efforts of feminists from the past to present. Key word: Feminism, Feminist, Georgia O'keeffe , Judy Chicago, womanhood , woman, modernism

      • 중등교사 임용시험과 학교수학의 연관성 : 해석학 중심

        박수지 경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and the school mathematics, not just for the purpose of a teacher appointment, but also to find out the relevance of what knowledge is needed in the field of education with a systematic knowledge of Analysis. The major subject to learn Calculus professionally is Analysis. Therefore, it is clear that Analysis is an important subject. So, the relationship between Analysis and school mathematics are analyzed based on the questions of secondary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from 2014 to 201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