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Opaque shade 복합레진의 배경 색상 차단 능력의 평가

        박수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복합레진 수복에 있어 정확한 색상과 자연치와 유사한 투명도의 재현은 성공적인 수복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우식이나 이전의 수복물에 의한 변색이 존재하는 경우 정확한 색상의 재현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위해 최근 배경색 차단과 투명도 조절을 목적으로 opaque shade 복합레진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임상에 사용되고 있는 opaque shade 복합레진의 opacity와 배경색 차단 능력을 평가하였다. 직경 5.5 mm, 깊이 3.0 mm의 치과용 석고 주형을 이용해 3가지 색상의 배경 판을 Tescera ATL Root dentin (Mustard, Brown, Rust)으로 각 색상당 24개씩 제작하고 제작된 배경판 레진의 색상(CIE L*a*b*)을 측색 기기인 Spectrolino (GretagMacbeth, Regensdorf, Switzerland)로 측정하였다. 아크릴 주형을 이용해 배경판 레진 상에 시판되고 있는 7종의 opaque shade 복합레진(Universal composite, Filtek Z350, Charisma, Clearfil ST, Palpaque Estelite, Esthet-X, Metafil Flo)과 통상적인 복합레진인 Estelite Sigma를 3.0 ㎜ 적층 수복 후 광중합하여 적층 후 시편의 최종 두께가 6.0 mm인 시편을 제작하였다. 적층된 opaque shade 복합레진의 표면 색상을 측정한 후, 적층한 opaque shade 복합레진의 두께가 0.5 ㎜가 될 때까지 0.3 ㎜ 간격으로 opaque resin이 적층된 면을 연마하면서 각 두께에서의 표면 색상을 측정하였다. 연마 후 각 두께에서 측정된 opaque shade 복합레진의 표면 색상과 적층 전의 배경판 색상, 그리고 연마전의 표면 색상 간의 색차를 계산하여 opaque shade 복합레진의 두께에 따른 배경색 차단 능력을 평가하였다. 또한 1 ㎜ 두께의 opaque shade 복합레진의 시편을 제작하여 opacity를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Opaque shade 복합레진의 opacity는 Clearfil ST, Metafil Flo, Filtek Z350, Palpaque Estelite, Universal composite, Charisma, Esthet-X 순으로 감소하였다(p<0.05). 2. Opaque shade 복합레진의 두께의 감소에 따른 L*a*b* 값의 변화는 opaque shade 복합레진의 색상과 배경색에 따라 각 재료 마다 일정한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L* 값은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을, a* 값은 증가하는 양상을, 그리고 b* 값은 재료에 따라 다른 변화 양상을 보였다. 3. 연마 전 표면 색상과 연마 후 각 두께에서의 색차(&#8710;E*)는 Clearfil ST 군은 배경색에 관계없이 모든 군에서, 그리고 Metafil Flo 군은 1.0 mm 이상에서 3 이하의 색차를 보였다. 4. 배경 색상에 대한 각 opaque shade 복합레진의 색차는 배경색상에 관계없이 모든 두께에서 10 이상의 색차를 보였으며, Clearfil ST와 Metafil Flo가 가장 큰 색차를 보였다(p<0.05). 현재 임상에 사용되고 있는 opaque shade 복합레진들은 제조사에 따라 서로 다른 opacity와 색상을 가진다. 따라서 재료의 선택에 있어 적용하고자 하는 병소의 특성에 따라 opaque shade 복합레진의 opacity와 색상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이토 도요 공간디자인에 나타난 감성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박수정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Despite the advancement of knowledge and techniques, architectural design has been developed by similar method and science as the logical tool since the development of Le Corbusier's "module". However, in the new millenium emotional design has become a key issue and today is the turning point regarding new method for designing human space. While architecture discipline of the West focused on logic, Japan based its origin in eastern discipline has developed a unique design concept called "metabolism" and advanced it very effectively. Since its development of the unique concept, Toyo Ito has becom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rchitect in and out of Japan who devoted his design career in developing new space concept. This study is specifically focused on Ito's project by finding characteristics of his projects and analyze emotional design factors by using 5 analytical tool -- experiencing the space, five senses, landmark, sequence, and scale. The result proves that continuing proper analysis and research in design method will assist in approaching new space design method into more advanced realm in very efficient time period with more definite design elements to accomodate and fulfill human needs in given space.

      • 기계학습과 음향데이터 기반의 육군 기동 및 화력 장비 식별방안

        박수정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향데이터는 음성 인식 기반 서비스 개발, 화자 식별 또는 환경음 분류와 같은 기술에 널리 사용된다. 국방 분야에서는 해군이 수중 음향데이터를 기반으로 목표물을 식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육군 역시 전장 가시화를 실현하고 전장에서의 생존성 및 실시간 전투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영상 혹은 이미지 그리고 음향이라는 분야 중 음성 위주의 데이터 활용이 주이며 전장에서 사용하려는 다양한 무기체계에 대한 非 언어적 데이터인 음향데이터 활용은 미비한 상황이다. 또한 인공지능에 필요한 방대한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식과 식별 방안에 대한 정책 역시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있지 않기에 추후 다수의 센서 및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장 가시화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계학습을 통한 음향데이터 식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육군의 기동 및 화력 장비에 대한 식별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기준을 검증하기 위해 2021년 정부 지원사업을 통해서 수집된 음향데이터 중 육군 기동 및 화력 장비 데이터를 활용하여 AI(Artificial Intelligence)의 CNN, LightGBM, SVM, RandomForest 4가지 학습 모델을 통해 분류 성능을 확인하였다. 먼저 음향데이터가 가지는 특징값(feature) 중 하나인 MFCC(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를 추출하였다. 전처리시 각각의 음향데이터에서 MFCC 계수인 n_mfcc 값은 모든 데이터에 동일하게 설정하였고 시간 프레임값은 음향데이터마다 모두 상이한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짧은 길이(30, 60), 중간 길이(30, 2162), 최대 길이(30, 4308) 총 3가지 파일 길이 기준으로 제로 패딩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맞추어 입력값을 생성하였다. 이를 통해 각각의 세 가지 유형의 값을 AI 모델에 적용시켜 분류 성능을 비교하였고 중간 길이의 파일을 기준으로 전처리한 음향데이터의 분류 성능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화력 장비에 대한 음향데이터의 패밀리 분류에서 데이터 수에 따른 학습결과 비교를 위해 SMOTE를 이용한 오버샘플링을 통해 패밀리당 데이터 수를 균일하게 재구성함으로써 성능이 더욱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CNN 및 LightGBM 모델의 분류 성능이 일반적으로 높고 데이터의 길이가 중간일 때 최고의 성능을 달성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SMOTE를 이용한 오버샘플링을 통해 패밀리당 데이터 수를 균일하게 재구성함으로써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음향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기동 및 화력 장비의 음향데이터 식별을 위한 고려사항들을 과학적 근거를 통하여 제안한다. Acoustic data is widely used in technologies such as voice recognition-based service development, speaker identification, or environmental sound classification. In the defense sector, the Navy has developed a technology to identify targets based on underwater acoustic data. The Army is also actively developing technologi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o realize the visualization of the battlefield and maximize the viability and real-time combat power on the battlefield. However, the use of voice-oriented data in the field of video, image, and sound is still main, and the use of sound data, which is nonverbal data for various weapon systems to be used in the battlefield, is insufficient.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specific policy on how to collect and identify vast amounts of learning data neede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 method of identifying acoustic data through specific machine learning should be prepared to realize battlefield visualization using data collected from multiple sensors and devices. In order to verify the criteria for presenting identification measures for Army mobile and thermal equipment, classification performance was confirmed through four learning models of AI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Army mobile and thermal equipment data collected through government support projects in 2021. First, one of the features of the acoustic data, MFCC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was extracted. During preprocessing, the MFCC coefficient, n_mfcc values, were set the same for all data, and the time frame values had different lengths for each acoustic data, so the input value was generated equally based on zero padding based on the total of three file lengths (30, 2162). Through this,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was compared by applying each of the three types of values to the AI model,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the pretreated acoustic data based on the medium-length file was high.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was further improved by uniformly reconstructing the number of data per family through oversampling using SMOTE to compare learning resul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data in the family classification of acoustic data for thermal equipment. We show that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CNN and LightGBM models is generally high and achieves the best performance when the length of the data is moderate.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by uniformly reconfiguring the number of data per family through oversampling using SMOTE. Based 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considerations for identifying acoustic data of mobile and thermal equipment based on acoustic data were proposed through scientific evidence.

      • 지역무질서가 부모양육태도를 통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박수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역무질서가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력과 지역무질서와 청소년비행과의 관계에서 부모의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무질서에 따라 부모양육태도, 청소년 비행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지역무질서가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지역무질서가 부모양육태도를 통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시 6개구의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636명으로부터 얻은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초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과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의 적합도를 평가한 후, 연구모형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는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무질서 수준이 높게 나타날수록 그렇지 않은 지역에 비해 비애정적이거나 거부적인 부정적 부모양육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청소년 비행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지역의 무질서가 청소년 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의 무질서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통해 청소년의 비행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무질서와 청소년 비행의 관계에서 부모양육태도의 매개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무질서한 지역의 청소년은 비행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부모의 양육태도 역시 지역의 무질서한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청소년의 비행 수준을 높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 비행의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지역의 무질서한 환경의 개선과 청소년을 양육하는 부모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제도적·실천적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in the process of neighborhood disorder influencing juvenile delinquency.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how do parents’ child-raring attitudes and juvenile delinquency level differ between neighborhood disorder and neighborhood order? Second, does the neighborhood disorder affect juvenile delinquency? Third, do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mediate the impact of neighborhood disorder on the juvenile delinquency? In order to answer the above research questrions, survey data - of students who were freshman of high school in the 6 district of seoul was analyzed. A descriptive analysis using PASW 18.0 was conducted,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valid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research model was conducted using AMOS 18.0.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neighborhood order, neighborhood disorder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not affection parenting and rejection parenting among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juvenile delinquency. Second,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revealed that the neighborhood disorder did directly affect juvenile delinquency.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was proved. That is, the neighborhood disorder indirectly affects the juvenile delinquency through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This research found that a disordered neighborhood’s juveniles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delinquency, and the neighborhood disorder has negative impact on the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which, in turn, increase the level of juvenile delinquency. Therefore, as a way to reduce the level of juvenile delinquency, political and practical interventions are demanded to improve neighborhood disorder and change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more positively.

      • 중산층 여성의 '일터로 돌아오기' 과정에 나타난 일상의 학습경험 : 구성주의 근거이론의 접근

        박수정 아주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산층 여성의 삶의 맥락을 살피고 그들이 명시적인 일의 세계를 떠나 다시 ‘일터로 되돌아오기’까지의 과정을 탐색하여 중산층 여성이 다시 일터에 재진입 하게 되는 동인과, 그 가운데 발생한 학습의 일상성, 그리고 여성으로서 겪게 되는 삶의 맥락을 성인교육의 관점에서 질적 연구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명시적으로 일터에서의 단절을 경험한 이후 다시 재진입에 성공한 중산층 여성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구성주의적 근거이론으로 접근하여 연구를 실시한 결과 핵심범주는 ‘중산층의 여성이 결혼으로 말미암아 명시적인 일의 세계에서 단절을 경험하고 일상의 삶 속에서 다양한 심리적 동인과 사유를 겪으며 학습의 본능을 자각하며 자아와 세계의 확장을 경험하며 성장’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성은 결혼과 동시에 일의 세계를 떠나게 되었다. 배우자의 주거지나 직장 근처로 삶의 터전을 옮겨야 했으며, 결혼생활과 실업의 상태에 적응해 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신혼생활의 즐거움을 느끼기도 하였고, 새 생명의 잉태에 행복을 느끼기도 했지만, 소외와 단절의 불안감이나 주변인들의 부정적인 평가 등에 심리적 동요를 겪는 모습도 보였다. 또한 뒤이어 찾아온 임신과 출산, 육아 등의 시간을 대부분 홀로 감내하며 다양하고 복잡한 심경을 겪고 있었다. 이후 소멸되지 않은 재기의 욕구 속에 때로 모성과 자아의 충돌을 겪기도 하며, 배우자의 무시와 비난으로 인해 열등의식을 부정적으로 표출해 나가기도 하고, 이른바 ‘잘난’ 시댁으로부터 낮아진 자존감으로 인한 자극도 받아 가며, 일터 재진입을 위한 ‘근성’을 키워가기 시작했다. 또한 일터 재진입을 위해 다양한 일상의 학습경험을 축적해 나가는 모습을 보였는데 첫째, 주변인들로 부터의 자극을 통해 강한 질투심을 느끼며 이를 학습의 열정으로 치환시키는 모습을 보였으며, 둘째, 아이의 출산 후 몸조리를 위해 입소했던 조리원에서 만난 또래의 인물들과 강한 유대의식을 가지고 함께 많은 것들을 경험하고 공유하며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텔레비전만 틀면 나오는 나보다 ‘잘난 여자들’을 시청하며 그들에게 느꼈던 열등감을 열정으로 승화시켜 본인의 자아실현을 위한 에너지를 생성하는 모습을 보였고. 넷째, 보육의 의무가 없거나 보육의 대행자가 있을 경우 ‘아이를 출산하듯’ 학습을 경험하고 지식을 축적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여성은 결혼과 임신, 출산, 육아 등의 삶의 맥락을 거치며 경력의 단절을 경험하고 타인 앞에서의 ‘체면의식’과 자아실현이라는 내면적 욕구와 경제적 필요성이라는 외면적 욕구의 중심현상을 거치며 소외와 열등의식을 느끼기고 하고, 재기의 욕구와 의지도 다지며 상호작용 및 전략의 방편으로 개인의 환경과 배경에 따라 다양한 일상의 학습 경험을 거친다. 이를 토대로 여성은 목표로 했던 일터 재진입에 성공하고,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자신의 재능을 발견함과 동시에 내면적으로도 외면적으로도 성장한 자아를 인식하게 된다. 또한 일련의 과정을 거치며 축적하게 된 다양한 경험들은 경력의 단절을 거치며 잠시 사회와 분리되었던 여성들에게 새로운 사회적 관계망의 확장도 가능하게 하였다. 성공적인 일터 재진입의 경험과 성장한 자신의 모습을 바탕으로 타인의 인정을 받게 되었고 이는 긍정적 자아인식과 삶의 행복으로 이어지며, 자신이 경험했던 학습경험에 대한 가치와 필요성을 체감하여 ‘학습’을 ‘삶’ 그 자체로 인지하며 ‘학습전이’의 주체자로 발전하는 모습에 이르게 되었다. 본 연구는 중산층 여성의 삶 속에 발생되는 ‘경력의 잠시 멈춤’ 상태를 살펴, 그녀들의 일상생활 경험 속에서 어떤 동인을 통해 다시 일터로 돌아가기를 원하게 되는지, 그리고 돌아가기 위해 어떤 준비와 경험을 거치는지, 그 가운데 유기적으로 의미 있게 작용하는 ‘일상의 학습경험’을 탐색하여 성인의 ‘삶’과 ‘학습’에 대한 접점을 고찰해 볼 수 있었다.

      • 심리사회적 업무환경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수정 한림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is study assessed the registered nurses intention to leave and stay at once and analyzed the influences on them of details of psychosocial work envrionment which was measured by the survey of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of Copenhagen in Korean version(COPSOCQ-K) Methods: The data collection was comple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161 nurses working shifts in general hospital with more than 680 beds located in C city of Gangwon Province.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pril 20, 2018 to June 30, 2018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commitment to the workplace was the most influential both in intention to leave and intention to stay, and intention to leave and intention to stay were found to be influenced by negative emotions such as stress and positive emotions such as job satisfaction, respectively. In intention to leave, commitment to the workplace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37.1%(β=-0.419, p<0.001), and the influence of working in the emergency room 8.2%(β=0.176, p<0.001), justice 4.8%(β=-0.267, p<0.01), stress 3.7%(β=0.179, p<0.05) was found. In the case of intention to sta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working department had no influence, and commitment to the workplace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33.9% and additional influence including social community at work 3%, job satisfaction 1.5% was identified.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ommitment to the workplace is a factor influencing both intention to leave and intention to stay and that it is effective to reduce the turnover of nurses and to induce stay when the attachment to the organization and the positive perception are improved. In addition, lowering the factors that affect intention to leave does not affect intention to stay,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strategy to induce stay by improving the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that affects intention to leave and intention to stay. Conclusions: This study targeted the nurses of one general hospital, so there is a limitation in representing all nurses, and we suggest follow-up studies using the same tools as in this study for quantitative comparison because there may be differences in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perceived by nurses according to working department, hospital size, region, and establishment typ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urses’ intention to leave and intention to stay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Therefore, we also suggest that both intention to leave and intention to stay should be evaluated to induce the stay of nurses.

      •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어휘 수업과 문맥 중심 방법의 어휘 수업 비교 연구

        박수정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어 학습에 있어서 기존에 중요시 되었던 문법이나 다른 언어 기능들과 함께 최근에는 어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는 외국어 교수의 초점이 의미 중심으로 옮겨 감에 따라, 의사 소통이나 언어의 각 기능의 수행에 있어서 의미를 나타내는 기본 단위로서의 어휘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본 여구에서는 이러한 어휘의 중요성을 실감하고, 현행 중학교대단위 수업에 적용할수 있는 어휘 교수법들의 효과를 연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두가지 어휘 교수법 즉. 시청각자료 중심, 문맥 중심 교수법을 선택하여 각 교수 법이 실제 중학교 3학년들의 어휘 기억량과 어휘활용도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경기도 모 학원 중학교 3학년 2개반을 대상으로 각 반에 각각 시청각 자료 중심, 문맥 중심 교수법을 8차시에 걸쳐 교수하였고, 실제 어휘 활용 능력을 측정하고자 8회의 1주 장기기억 평가를 진행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장기기억 시험 결과, 시청각 반의 평균이 월등히 높아서 시청각 자료가 학생들의 기억에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Pavio의 이중 부호화모델에서 그 근거를 찾을수 있으며, 중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있어서 시청각 자료가 언어 입력의 부호화를 활성화 시킨다고 결론 내릴수 있다. 단 추상적 어휘 에 대해 시청각 반이 높긴 하지만 두반 모두 낮은 평균률을 나타내기에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또한 문맥반의 평균률이 낮은것을 보아, 어휘의 기억에 있어서는 문맥이나 맥락의 제공의 효과가 낮음을 알수 있었다. 이는 시청각 자료 중심 교수법에 비해, 문맥 중심교수법은 어휘 의미의 직접적인 교수가 더디게 진행 되고, 어휘 자체 뿐 아니라 관련 문맥을 통한 언어 입력량이 많아져서 학생들이 개별 어휘를 기억하는데 에는 효과 적이지 못한 것이라고 여겨진다. 이러한 어휘의 기억을 넘어서, 어휘의 이해 정도와 활용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영작 평가를 진행 하였다. 영작 평가는 본 어휘 수업에서 학습한 어휘를 이용하여 적절한 문장을 만들어 내기 이며 이를 통해 어휘의 정확한 철자를 쓸수 있는지 여부와 해당 어휘의 품사에 맞도록 문장내에 배치할수 있는지의 여부, 문법적 활용도를 측정할수 있었다. 이 역시도 시각 자료를 통해 철자를 확인하고 소리로 발음을 유추할수 있었던 시청각 반의 점수가 높았다. 하지만 그 활용도 면에 있어서 100% 만족하는 점수는 얻을수 없었다. 즉 어휘학습의 효과가 쓰기에 까지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교사의 지속적이고 참신한 수업 방법이 요구 될것이다. 이러한 결론에 비추어, 학생들이 어휘 기억을 도울 수 있도록 교사는 기존의 어휘의 정의 설명에 덧붙여 적절한 시청각 자료를 사용하기를 제안한다. 그러나 시청각 자료는 그 개념을 보다 정확하게 전달할수 있는 자료로 신중하게 선택하고, 구체적인 어휘에 있어 보다 효과 적으로 사용할수 있을 것이다. 어휘의 기억을 넘어서 어휘 활용 능력의 신장을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즉, 허위 교수법이 어휘 활용능력의 향상 및 그 양상에 끼치는 영향을 보다 오랜 기간 동안 연구하고 관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만, 문맥에서의 추론을 통한 어휘 교수법은 학습자 개인적으로 책을 읽거나 문맥을 접할 때 활용할수 있는 가능성이 많으므로 다른 교수법과 함께 병행하는 것을 권장한다. 주제와 관련된 결론 외에 연구 진행시 나타난 작은 관찰 사항중 하나는 height 라는 단어에 대해 시청각 반은 처음에는 [heit]로 발음 했지만 시청각 중심 어휘 수업이 끝난 후에는 [hait]로 고쳐 발음 하는 몇몇 학생들을 볼수 있었다. 하지만, 문맥 중심 수업 반에서는 영어 어휘의 철자가 쓰여진 대로 발음 하는 경향이 많았다. 이에 비추어 어휘 하나하나의 소리 입력이 학생들의 어휘 학습에도 크고 작은 영향을 끼칠수 있다는 점에 주목 할수 있다. 본 연구는 서론에서 제시한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제한점 외에도,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난이도 조절이 미비했을 가능성, 학생들이 실험 기간중 개별적으로 관련 어휘를 복습하는 등의 요소를 통제하지 못한 점, 실험기간이 다소 짧아 어휘 활용 능력의 변화를 일으키는데 부족했을 가능성 등 의 제함점이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에는 어휘 교수법이 어휘 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하고, 학생들의 어휘 교수법 선호도, 학생들의 어휘 학습 전략 사용 등 어휘 학습 에 있어서 학생 중심의 관점을 연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같은 교수법 내에서도 어휘학습 자료의 충실도 및 적절성 혹은 교수의 설명 등에 따른 변수가 있는지, 그리고 타당도와 신뢰도 있는 어휘 평가(assessment)는 어떻게 이루어 져야 하는지 등에 대해 보다 깊은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as the basic unit of meaning for communication and aims to suggest an effective vocabulary teaching method for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in Korea.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2nd and foreign language vocabulary teaching methods- listening-visual aided method and contextual approach- has been carried out in a English education institute in Kyung-gi province. The effectiveness of vocabulary teaching has been measured in the following dimensions: how it affects long-term memory and how it affects application of memorized vocabulary in various contexts. The tests of long- term memory focused on the comprehension of vocabulary meaning, the Korean definition of vocabulary and writing sentences using learned vocabulary. The results of both long-term memory tests show that listening-visual aids ar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vocabulary memorization than vocabulary learning through contexts. The each test had various question types: selecting proper vocabulary based on the provided English or Korean meaning, selecting related vocabulary, in its meaning, selecting phrases that can go best with the vocabulary and writing two sentences using vocabulary. The results of the tests shows that listening visual aided class got more averages in each question type than contextual class. The structure of the thesis is as follows. In chapter , the purpose, necessity and the limitation of the study is provided. In chapter Ⅱ, theoretical background of vocabulary teaching methods, factors related human memory and vocabulary processing. In chapter Ⅲ, research questions, procedure are stated and the analysis of the test results is provided. Finally, chapter Ⅳ concludes the study and suggests further research questions in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