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명사칼럼-여름철 만병의 근원, '만성피로'

        박병란,Park, Byeong-Ran 한국건강관리협회 2008 건강소식 Vol.32 No.8

        요즘 같은 삼복더위엔 고온다습한 기후 때문에 체력 소모가 커서 쉽게 피로해진다. 하지만 적당한 피로감은 밤에 숙면을 이루게 해주는 상쾌한 피로이며 다음날 아침 유쾌한 기상을 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단순한 피로 자체가 걱정거리는 아니다. 문제는 몇 주나 몇 달이 가도 가시지 않는 만성적인 피로감이다. 만성피로는 흔히 두통, 뒷목의 뻣뻣함, 식욕부진, 권태증, 성욕감퇴, 신경쇠약, 의욕상실, 우울증 등을 동반한다. 쉬운 말로 각종 종합검사에서는 정상이지만 온몸이 나른하고 무기력하며 아무런 의욕도 없고 만사가 귀찮아지며 단지 피로할 뿐이다. 만성피로는 모든 질병의 근원이다. 으레 그러려니… 하면서 애써 참다가 낭패를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만성피로를 예방하는 것은 건강한 삶을 위한 첫걸음이다.

      • KCI등재

        3차원 전산화단층촬영으로 측정한 경상돌기의 정상크기

        김세종,박병란,김병근,Kim, Se-Jong,Park, Byeong-Ran,Kim, Byeong-Geun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6 No.4

        목적: 3차원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해 한국인 경상돌기의 정상크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경부나 측두골 CT를 시행한 1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3차원 재구성 영상과관상단면이나 축상단면을 이용하여 좌우 각각의 경상돌기의 길이, 모양, 첨단의 위치, 경상설골인대의 석회화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경상돌기의 평균길이는 우측이 26.6($\pm$7.9)mm, 좌측이 26.4($\pm$8.3)m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694). 성별 평균길이도 남자가 26.2($\pm$8.5)mm, 여자가 26.7($\pm$ 7.2)m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733). 연령별 평균길이는 20대까지는 증가 하는 경향을 보이나 그 이후로는 연령별 차이는 없었다. 경상돌기의 모양은 분절형(104/230, 45.2%)과 단절형(73/230,31.7%)이 많았고 곤봉형 첨단(74/230,32.1%)보다 체감형 첨단 (156/230,67.9%)이 많았다. 굴절형을 보인 경우는 6예(2.6%)이었다. 경상돌기의 첨단의 위 치는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사이에 있는 경우(211/230,91.7%)가 좀 더 내측에 위치한 경우 (19/230,8.3%)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첨단의 위치에 따른 경상돌기의 길이는 내경동맥과 외 경동맥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26.2($\pm$7.2)mm, 좀더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 37.0($\pm$6.0)mm를 보여 통계학적인 의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0). 경상설골인대의 석회화는 33예 (14.3%)에서 보였다. 결론: 경상돌기의 길이는 18-32 mm이며 좌우 길이나 성별 차이는 없었다. 연령별로는 20대 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그 이후 연령별 차이는 없었다. 경상돌기의 첨단의 위치는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사이에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의 내측에 위치한경우가 그 사이에 있는 경우보다 경상돌기의 길이가 길었다. Purpose: To measure the normal size of the styloid process using 3D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C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3D reconstruction images obtained after coronal and axial CT scanning of the temporal bone or neck of 115 patients. The length and shape of both sides of the styloid process, the location of its tip, and calcification of the stylohyoid ligament were retrospectively analysed. Results: The mean length of the styloid process was 26.6 ($\pm$7.9)mm on the right side, and 26.4($\pm$8.3)mm on the left, a statistically insignificant difference (p=0.694). Its mean length was 26.2 ($\pm$8.5)mm in men and 26.7 ($\pm$7.2)mm in women, a statically in significant difference (p=0.733). As for variation with age, mean length tended to increase until the third decade, but not beyond. Segmental type (104/230, 45.2%) and fragmental type (73/230, 31.7%) were more commonly seen in shape of styloid process, and tapering tip of styloid process (156/230, 67.9%) is more commonly seen than clubbing tip of it (74/230, 32.1%). The process was angulated in six cases (2.6%); its tip was more frequently located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carotid artery (211 cases, 91.7%) than more medially (19 cases, 8.3%). In the former location, the length of the process was 26.2($\pm$ 7.2)mm, and in the latter, 37.0($\pm$6.0)mm.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0). Calcification had occurred in 33 cases (14.3%). Conclusion: The length of a normal styloid process was 18-32 mm.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ts two sides, or between the sexes. Length tended to increase until the third decade, but not beyond. Predominantly the tip was located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carotid artery, though the process was longer when its tip was located medially.

      • KCI등재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후의 초음파 검사: 정상과 합병증의 소견

        김세종,박병란,김병근,Kim, Se-Jong,Park, Byeong-Ran,Kim, Byeong-Geun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6 No.4

        목적: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후 정상소견과 합병증에 대하여 초음파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0년 6월까지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 4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 35명과 여자 12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61세였다.전 예에서 3.5 MHz와 10 MHz탐촉자를 사용하여 인공고관절 초음파를 시행하였다. 이중 최소한 1년동안 증상이 없었던 30명을 인공 고관절의 초음파소견을 정상으로 삼았다. 증상이 있었던 17명중 11명에서는 방사선 투시 유도하 흡인술이나 초음파유도하 흡인술을 통해 얻은 검체물의 세균배양검사에서 음성이었으며 나머지 6명은 수술이나 초음파유도하 흡인술에 의해서 인공관절주위 감염으로 확인되었다. 결과: 최소한 1년동안 증상이 없었던 30명의 무증상군에서 위막모양은 대퇴경부의 앞쪽에 평행하게 달리거나 약간 굴곡된 모양을 보였으며 평균 골-위막간의 거리는 2.9 mm이었다. 증상이 있었으나 세균배양검사에서 음성이었던 11명의 평균 골-위막간의 거리는 4.7 mm이었으며 무증상군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감염으로 확인된 나머지 6명은 관절강외 액체저류가 있었으며 평균 골-위막간의 거리는 5.5 mm이었고 마찬가지로 무증상군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증상이 있었으나 세균배양검사에서 음성이었던 환자군과 감염으로 확인된 환자군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증상이 있더라도 골-위막간의 거리에 관계없이 관절강외 액체저류를 지닌 환자만이 감염을 시사하는 소견으로 생각된다. 결론: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후에 변형된 정상소견을 평가하고 관절주위 감염을 발견하는데 있어서 초음파가 매우 유용하였으며 관절강외 액체저류가 관절주위감염을 강력히 시사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sonography in the evaluation of normal pseudocapsular morphology and the detection of complications after total hip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vary 1997 and June 2000, 47 patients [35 men and 12 women aged 24 to 84 (mean, 61) years] using real-time linear-array, convex US units with 3.5-MHz and 10-MHz transducers. Normal capsular morphology in 30 with total hip replacements, who had been asymptomatic for at least one year, was studied, and the prosthetic joint infection demonstrated in six of 17 who had experienced was confirmed at surgery or by US-guided aspiration. Results: Sonograms indicated that a normal pseudocapsule lay straight over the neck of the prosthesis or was slightly convex toward the neck, and that the mean bone-to-pseudocapsule distance was 2.9 mm. However, in the 11 symptomatic patients in whom no evidence of infection was revealed by cultures, th mean distance was 4.7 mm; in the remaining six patients, whose joints were infected (a condition strongly suggested by the presence of extracapsular fluid), the mean distance was 5.5 mm,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Sonography can be used to evaluate normal caspular morphology after total hip replacement and to diagnose infection around hip prostheses. In all patients in whom sonography revealed the presence of extra-articular fiuid, infection had occurred.

      • Computed Tomographic Findings of Unusual Extranodal Involvement of Non-Hodgkin's Lymphoma

        Kim, Eun-Kyung,Kim, Young-Chul,Park, Byung-Ran 조선대학교 1993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18 No.2

        복부에 발생하는 비호즈킨 림프종(non-Hodgkin's lymphoma)의 진단에 있어서 전산화 단층촬영(CT)은 질환의 유무 및 위치 뿐만 아니라 인접 장기와의 관계, 임파절 종대 및 원격전이를 관찰할 수 있어 정확한 진단과 치료방법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에 저자들은 1989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만 4년동안 화학요법후 CT 추적 검사, 생검 또는 수술로 확진된 복부의 비호즈킨 림프종 39예의 CT 소견을 분석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소견을 보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복부 악성 림프종중 비호즈킨 림프종의 CT 소견과 빈도는 다음과 같다. 1. 요근 비호즈킨 림프종은 전체 39예중 12예이었으며 CT 소견은 비대 또는 부종 또는 팽창된 윤곽, 그 내부에 저음영 9예이었으며 양측과 편측 침범이 각각 3예, 12예이었다. 2. 신장 비호즈킨 림프종은 전체35예중 15예이었으며 그중 편측 침범 12예, 양측 침범 3예이었고 CT 소견은 고립성 저음영 결절 3예, 다발성 저음영 결절 3예, 광범위 저음영 침윤 9예이었다. 3. 췌장 비호즈킨 림프종은 전체 39예중 18예로서 16예에서 췌장내에 저음영 결절 또는 종괴와 그 주위 림프 종대로 나타났으며 2예에서 단지 췌장주위 림프 종대만 보였다. 4. 복막 착상(peritoneal impalnt)과 망(omentum) 비호즈킨 림프종 전체 39예 모두가 후복막 또는 장간막 림프종대가 있었고 이중 18예에서는 저음영의 후복막 림프절 종대, 12예에서는 장간막을 따라 선조(streaky) 또는 관모양(plque)의 저음영, 그리고 6예에서는 장간막을 따라 저음영 림프종대나 종괴가 보였고, 나머지 6명에서는 복수가 나타났다. 그리고 9예에서 망 비호즈킨 림프종을 보였다. 5. 간 및 비장 림프종 전체 39예중 21예에서 비장 침범을 하였고 전부 비장 종대와 그 내부에 광범위 또는 다발성 저음영을 보였다.(mean Np. : 47.7) 또한 18예에서 간 비호즈킨 림프종이 나타났고 이중 5예에서 간비대와 그 내부의 광범위 저음영을 나타냈고 1예에서 정상 크기의 간 내부에 저음영이 보였다. 6. 소화기계 비호즈킨 림프종 소장 비호즈킨 림프종이 3예, 대장 비호즈킨 림프종이 12예이었고 이들의 CT 및 바리움검사 소견은 소장 림프종에서 종괴, 궤양, 그리고 협착을 보였고 대장 림프종은 3예에서 종괴, 나머지 9예에서는 협착, 궤양, 동맥류성 확대를 보였다. Since the advent of CT, anatomic areas that have been difficult to assess by conventional radiologic methods can be easily and routinely evaluated, while may investigations have been shown the value of CT in patient with non-hodgkin's lymphoma. CT has already made a potentially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treatment of abdominal lymphoma by delineating the extent of lymphomatous masses that are currently not as well visualized with other noninvasive technique. The authors analysed the extranodal involvement sites and CT findings of 39 cases of non-Hodgkin's lymphoma, which were confirmed by follow-up CT after chemotherapy, biopsy or operation, from January, 1989 to December, 1992. Unusual sites of non-Hodgkin's lymphoma below the diaphragm were liver(18), spleen(21), psoas muscle(12), kidney(15), pancreas(18), peritoneal implants(36), omentum(9), and gastrointestinal tract(15).

      • KCI등재

        대장암에서 공기주입 나선식 CT의 유용성$^1$

        강형근,정용연,정광우,정태웅,박병란,Gang, Hyeong-Geun,Jeong, Yong-Yeon,Jeong, Gwang-U,Jeong, Tae-Ung,Park, Byeong-Ran 대한영상의학회 200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8 No.1

        목적: 대장암 환자에서 나선식 CT 검사시 횡단면 영상뿐만 아니라 바륨 대장조영영상과 유사한 삼차원 영상의 CT 대장조영영상(colonogram)을 얻을 수 있는데, 이때 사용되는 장관내 조영제로 공기를 이용하고 있다. 이에 대장암 환자에서 공기주입 나선식 CT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공기주입 나선식 CT 검사를 한 후 수술로 확진된 대장암 3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예에서 검사직전 항문을 통하여 적당량의 공기를 주입하여 횡단면으로 나선식 CT 영상을 얻었다. 이중 CT 검사 전 바륨 대장조영술을 시행한 11예에서 CT 대장조영영상을 함께얻었다. 두 명의 방사선과 의사가 합의하에 횡단면 CT 영상에서 병변의 위치와 발견율을 결정하고 변형Dukes(Astler-Coller)분류를 기초로 병기 결정을 하여 병리조직학적 소견과 비교하였다. 또한 CT 대장조영영상에서 병변의 발견율을 알아보았다. 결과: 횡단면 CT 영상에서 대장암의 병변의 발견은 33예중 32예로 97%에서 가능하였다. 전체적인 병기결정의 정확도는 23예에서 병리학적 소견과 일치하여 70%의 정확도를 보였다. 병기결정에서 CT와 병리학적 장막 침윤정도에서 일치하였던 예는 30예, 과대 평가되었던 예는 3예, 과소 평가 되었던 예는 없어, 예민도 100%, 특이도 50%, 정확도 91%를 보였다. 림프절침범은 CT와 병리학적 병기가 일치하였던 예는 25예, 과대 평가 되었던 예는 4예, 과소 평가되었던 예는 4예로 예민도 69%,특이도 80%,정확도 76%였다. CT 대장조영술 영상에서 병변의 발견은 11예 모두 (100%)에서 가능하였고, 병변의 위치도 바륨 대장조영술과 비교하여 모든 예 (100%)에서 일치하였으나 병변의 모양은 1예를 제외한 91%에서 일치하였다. 결론: 공기주입 나선식 CT는 양성조영제를 사용하는 것 보다 대장암을 발견하고 병기 결정하는데 우수하였고, 바륨 대장조영영상과 유사한 CT 대장조영영상을 얻을 수 있어 대장암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삼차원적으로 제공하므로 대장암의 성상을 정확히 알 수 있는데 도움을 주었다. Purpose: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rcinoma, helical CT using air as a contrast agent provides axial images and a three-dimensional CT colonogram similar to that provided by barium enem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usefulness of air insufflation helical CT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hree patients with colorectal carcinoma confirmed by surgery underwent air insufflation helical CT scanning after the infusion of air through the anus. In eleven who underwent barium studies, CT colonograms were also obtained. Two radiologists, who reached a consensus, analysed the detection rate, location and staging of the tumors; staging was based on the modified Dukes (Astler-Coller) classification. Results: Using axial helical CT, the detection rate was 97%; staging was correct in 23 of the 33 patients, with an overall accuracy of 70%. Pathologic correlation was correct in 30 of the 33 cases (three were overestimated), and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were 100%, 50%, and 91%, respectively. With regard to the involvement of lymph nodes, pathologic correlation was correct in 25 of the 33 patients; four were overestimated and four were underestimated.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were 69%, 80%, and 76%, respectively. The detection rate of CT colonography was 100%, but because in one case there was a discrepancy between CT colonography and barium enema as to the shape of the carcinoma, the agreement rate was 91%. Conclusion: Air insufflation helical CT, which provides a higher detection rate and more precise staging of colorectal carcinoma than the use of positive contrast materials and three dimensional depiction of tumor location, is helpful for the evaluation of colorectal carcinoma.

      • SCOPUSKCI등재

        신생아 황달에서 99mTc - DISIDA 간담도 스캔 : 감별진단에서 간 섭취율의 유용성

        김세종(Se Jong Kim),박병란(Byung Ran Park),지주연(Joo Yun Ji) 대한핵의학회 1995 핵의학 분자영상 Vol.29 No.4

        N/A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hepatic uptake in neonatal jaundice, Tc-99m-DISIDA cholescintigraphy was reviewed for 13 infants with prolonged mixed jaundice and no demonstrable excretion into bowel, even after 24hr. Five patients proved to have biliary atresia. The remainder had neonatal hepatitis. There was no distinct differentiation of the hepatic uptake of tracer at 5 and 10 minutes between biliary atresia and neonatal hepatitis. The consideration of hepatic uptake rate of the tracer is not useful in differentiating neonatal hepatitis from biliary atresia.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3차원 전산화단층촬영으로 측정한 경상돌기의 정상크기

        선영석,이경록,최지혜,김순수,김세종,박병란,김병근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6 No.3

        Purpose: To measure the normal size of the styloid process using 3D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C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3D reconstruction images obtained after coronal and axial CT scanning of the temporal bone or neck of 115 patients. The length and shape of both sides of the styloid process, the location of its tip, and calcification of the stylohyoid ligament were retrospectively analysed. Results: The mean length of the styloid process was 26.6 (±7.9)mm on the right side, and 26.4(±8.3)mm on the left, a statistically insignificant difference (p=0.694). Its mean length was 26.2 (±8.5)mm in men and 26.7 (±7.2)mm in women, a statically in significant difference (p=0.733). As for variation with age, mean length tended to increase until the third decade, but not beyond. Segmental type (104/230, 45.2%) and fragmental type (73/230, 31.7%) were more commonly seen in shape of styloid process, and tapering tip of styloid process (156/230, 67.9%) is more commonly seen than clubbing tip of it (74/230, 32.1%). The process was angulated in six cases (2.6%); its tip was more frequently located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carotid artery (211 cases, 91.7%) than more medially (19 cases, 8.3%). In the former location, the length of the process was 26.2(± 7.2)mm, and in the latter, 37.0(±6.0)mm.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0). Calcification had occurred in 33 cases (14.3%). Conclusion: The length of a normal styloid process was 18-32 mm.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ts two sides, or between the sexes. Length tended to increase until the third decade, but not beyond. Predominantly the tip was located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carotid artery, though the process was longer when its tip was located medially. 목적: 3차원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해 한국인 경상돌기의 정상크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경부나 측두골 CT를 시행한 1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3차원 재구성 영상과 관상단면이나 축상단면을 이용하여 좌우 각각의 경상돌기의 길이, 모양, 첨단의 위치, 경상설골인대의 석회화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경상돌기의 평균길이는 우측이 26.6(±7.9)mm, 좌측이 26.4(±8.3)m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694). 성별 평균길이도 남자가 26.2(±8.5)mm, 여자가 26.7(±7.2)m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733). 연령별 평균길이는 20대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그 이후로는 연령별 차이는 없었다. 경상돌기의 모양은 분절형(104/230, 45.2%)과 단절형(73/230, 31.7%)이 많았고 곤봉형 첨단(74/230, 32.1%)보다 체감형 첨단(156/230, 67.9%)이 많았다. 굴절형을 보인 경우는 6예(2.6%)이었다. 경상돌기의 첨단의 위치는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사이에 있는 경우(211/230, 91.7%)가 좀 더 내측에 위치한 경우(19/230, 8.3%)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첨단의 위치에 따른 경상돌기의 길이는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26.2(±7.2)mm, 좀더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 37.0(±6.0)mm를 보여 통계학적인 의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0). 경상설골인대의 석회화는 33예(14.3%)에서 보였다. 결론: 경상돌기의 길이는 18-32 mm이며 좌우 길이나 성별 차이는 없었다. 연령별로는 20대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그 이후 연령별 차이는 없었다. 경상돌기의 첨단의 위치는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사이에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의 내측에 위치한 경우가 그 사이에 있는 경우보다 경상돌기의 길이가 길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