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적 인식론 변화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유효현(Hyo-Hyun Yoo),최리나(Ri-Na Choi),박병기(Byung-Gee Bak)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적 인식론 변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사적 인식론에 대한 박병기ㆍ채선영(2006)의 재개념화를 근거로 하였다. 효과검증의 준거는 사적 인식론과 성취목표지향성이다. 사적인식론은 프로그램 효과성의 직접 준거이며, 성취목표지향성은 간접 준거이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 73명이었다. 실험집단은 35명, 비교집단은 38명으로서 동일학교의 2개 반을 무선할당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사적 인식론 변화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읽기자료, VTR시청, 개념도 그리기, 발명아이디어 제시하기, 조사와 찬반토론, 효율적인 학습방법 찾기, 교과서 분석하기 등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은 1회에 40분씩 총 8회에 걸쳐 4주 동안 실시되었다. 측정은 프로그램 실시 직전(사전검사), 실시 직후(사후검사), 실시 3주 후(지연검사)로 총 3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사전검사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동질적이었다. 사적 인식론의 소박한 인식론은 사후검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세련된 인식론은 사후검사와 지연검사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수행회피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사적인식론이 가치있는 인간의 신념체계라는 점 외에도, 이 신념의 변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국내ㆍ외적으로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는 매우 크다. 향후 사적 인식론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의 측면에서 연구결과가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ersonal epistemology change program, and to test its effects. The program was based on the conceptualization of Bak & Chai(2006). The Criteria of effect testing included personal epistemology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ubjects were 73 students from two 6th grade classes. Each class was randomly assigned to one of experimental or comparison condition. The eight sessions of personal epistemology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of 35 students) for 4 weeks. Two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three times: pre-test, post-test, and delayed-test. One-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Pre-test supported the homogeneity of two group of experimental and comparison condition. The Personal epistemology program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general. This study is a valuable attempt in view of the situation that the program development study for the personal epistemology enhancement is very hard to find.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은유적 이미지에 대한 다차원적 구조 탐색

        박병기 ( Byung Gee Bak ),김우리 ( Woo Ri Kim ),김영미 ( Young Me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는 유치원 교사의 은유적 이미지 차원 구조를 살펴보고, 기관유형과 담당 학급연령, 어머니의 지각에 다른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유치원 교사 60명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의 어머니 60명을 대상으로 유치원 교사 이미지 간의 유사성을 다차원척도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2차원의 이미지 지각도를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은유적 이미지들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지각을 살펴본 결과, 기관유형에 따라 지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담당 학급 연령에 따라 만 5세반 교사는 만 3·4세반 교사와 다르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치원 교사의 은유적 이미지들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지각은 어머니의 지각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다차원적 탐색 결과는 유아교사의 역할과 기대의 관점에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on the structure of the metaphorical images and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between the mothers’ and teachers’ based on the type of the institutions and the age classes they were in charge of.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 teachers and 60 mothers of students in kindergarten. Data was analyzed by multidimensional scaling. After analyzing the positioning maps of the metaphorical images of the subjects, differences were foun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positioning map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stitutions the subjects were in charge of.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classes they are in charge of between the teachers of 5th students and 3rd and 4th students. Lastly,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mothers’ perceptions in their positioning maps. As an overall discussion, this study resulted in an outcome which led us to think what was expected to the kindergarten teachers through the relation among the perception maps.

      • KCI등재

        아이들의 행복, 행복교육, 그리고 행복사회

        박병기 ( Bak Byung G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3

        아이들의 행복에 반대할 사람은 거의 없다. 이 글은 아이들이 언제, 어떻게, 무엇으로 행복해야 하는지에 대한 나의 고민을 담은 것이다. 이 글의 첫째 목적은 행복의 ‘진정한’ 의미를 드러내고, 그에기초해서 행복한 아이의 모습을 그려보는 것이었다. 둘째 목적은 이런 그림에 비추어 행복교육의 방향을 목적과 내용의 측면에서 제안하는 것이었다. 셋째 목적은 한국사회가 지향해야 할 모습을 행복사회의 관점에서 투시하는 것이었다. 첫째 목적과 관련하여, 나는 진정한 행복의 의미를 주관적 안녕과 객관적 안녕의 통합으로 파악하였다. 주관적 안녕으로서의 행복은 일상에서의 정적 정서와 만족 판단을 포함한다. 객관적 안녕으로서의 행복은 인간 잠재력의 충분한 실현에 초점을 맞춘다. 나는 ‘행복나무’라는 은유적 그림으로 통합적 관점이 반영된 행복한 아이의 모습을 표상하였다. 둘째목적과 관련하여, 나는 행복교육의 목적을 ‘평생 행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아이들을 돕는 데’서 찾았다. 행복교육의 가치는 행복의 완벽한 실현이라는 결과가 아니라, 아이들이 행복역량을 갖추어 가는 과정의 지속성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나는 행복역량을 행복교육의 내용으로 제안하였다. 행복역량은 행복나무의 뿌리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아이들이 행복하기 위해 필요한심리적 특성들이다. 나는 이것을 신념체제, 동기망, 의지조절, 정서균형, 관계지향, 그리고 메타능력을 담은 BeMoVER_Me라는 약어로 나타냈다. 셋째 목적과 관련하여, 나는 Bronfenbrenner의 사회생태체제 관점과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관점을 통합하여 행복사회의 다면적, 역동적 모습을 구상하였다. 행복사회는 각 개인의 행복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조화로운 행복을 추구하는 사회다. 아이들은 언제, 어떻게, 무엇으로 행복해야 하는가? 그 답은 행복한 아이, 행복교육, 행복사회에 대한 균형잡힌 시각에서 찾아야 한다. There should be few that stands against the happiness of children. This article contains my worries about when, how, and by what the children would be happy? The first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reveal the authentic meaning of happiness, and to figure out a happy child. based on it. The second purpose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happiness education in terms of goals and contents. The third one was to see through the perspectives of Korean society from the angle of happy society. With regard to the first purpose, I grasped the authentic meaning of happiness as the integration of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ppiness as subjective well-being pertains to the positive emotion and satisfactory judgment in the everyday life. That as psychological well-being is focused on the full actualization of human potential. I represented a happy child by drawing a metaphoric picture of ‘happiness tree.’ In relation to the second purpose, I equalized the goal of happiness education with helping children to acquire the competency to be happy. The significance of happiness education should be judged by the continuity of children’s forming happiness competency, not by the their perfect realization of happiness. I proposed the happiness competency as the content of happiness education. Happiness competency i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children to become happy. I coined the acronym word BeMoVER_Me for these characteristics which includes belief system, motivation network, volition regulation, emotion balance, relation orientation, and meta-capability. With the third purpose, I constructed the multiple, dynamic figure of happy society integrating the perspectives of Bronfenbrenner’s socio-ecological system and Erikson’s psycho-social development. Happy society is the society which pursues the happiness of entire society as well as that of each individual. When, how, and by what the children should be happy? The answer should be found based on the balanced viewpoint about happy child, happiness education, and happy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시험불안 관련변인의 메타분석

        박병기(Byung Gee Bak),임신일(Shin Il 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敎育心理硏究 Vol.24 No.4

        시험불안은 학업성취에 직·간접적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동기, 정서, 성격, 사회성 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시험불안 연구를 관련 변인과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종합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 논문은 195편이었는데, 이들 논문에서 1,538개의 상관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자료의 코딩과 분석은 CMA 2를 활용하였다. 시험불안 관련변인의 범주는 Zeidner (1998)의 분류체계를 참고하여 학업성취?지능(과목별 학업성취, 지능), 정서(불안, 우울, 부적 정신건강), 동기·신념(귀인,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자존감, 비합리적 신념, 성취목표, 학습동기, 자기조절, 자기효능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부모(성취압력, 애착, 학습관여, 부모학력, 관심, 경제력, 양육태도), 사회성·성격(자기애, 완벽주의, 대처방안, 지지, 강박, 인정욕구, 부끄러움, 교사관계, 학교적응, 학교 생활태도, 기대, 학업스트레스, 일탈, 학습태도) 등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다섯 영역에서 시험불안과 관련된 변인들의 관계성을 상관효과크기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험불안은 학업성취?지능영역의 관련 변인과는 대체로 낮은 수준의 관계를 맺고 있었다. 정서영역의 관련 변인과는 중간 수준 이상의 관계를 맺고 있었는데, 특질불안 및 우울과의 관계성이 주목할 만하였다. 동기·신념영역의 관련 변인 중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내적귀인 내적동기, 자기조절 등과의 낮은 관계, 학업적 대 일반적 자기효능감과의 상이한 관계 양상이었다. 부모영역의 관련 변인은 시험불안과 대체로 낮은 관계성을 보였으나, 부모양육태도의 종류에 따라 관계 양상이 대조되는 것은 흥미로웠다. 사회성·성격영역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은 시험불안과 사회적지지의 매우 높은 관계성이었다. 14개 하위영역의 관련 변인과 시험불안의 관계성은 일률적이지 않았다. 이 연구의 의의와 결과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est anxiety is believed to influenc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est anxiety also is believed to have a cl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anxiety and related variables. For this study, 1538 correlation effect size from 195 studies were analyzed by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V2) Program. Related variables were categorized into one of five subsets of academic achievement·intelligence, emotion, motivation·belief, parent, and sociality·personality. The relationship was analyzed by corelation effect size and moderators. Meta-analysis reveals following results. First, test anxiety has a weak (linear)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lligence. Second, test anxiety has a medium level of relationship with emotion. Third, against to the theoretical anticipation, test anxiety has a low level of relationship with internal attribu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Fourth, test anxiety has a weak relationship with parent-related variables. Finally, among many sociality? personality relationships with test anxiety, social support has the highest on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업무기력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박병기 ( Byung Gee Bak ),노시언 ( Si Un Roh ),김진아 ( Jin A Kim ),황진숙 ( Jin Suk Hwa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학업무기력 척도(AHS: academic helplessness scale)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 척도가 가지는 가장 큰 특징은 기존의 학습된 무기력 척도가 영역 일반적인 관점에서 제작된 문항들로 구성된 데 반해, 학업상황에서 나타나는 학습된 무기력을 구체적으로 측정할 수있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는 것이다. 학습된 무기력이 인간 심리의 전체적 특성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신념, 동기, 정서, 행동 등 4가지 영역에 따른 4요인구조를 갖추도록 하였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학습된 무기력의 심리적 특성을 반영한 20개 문항의 예비척도를 개발한 후 문항선별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간명하고 신뢰로운 16문항의 학업무기력 척도를 완성하였다.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을 포함한 총 593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학업무기력 척도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로 인정할 수 있었다. 다중집단분석을 통한 교차타당화를 수행한 결과 탐색집단에서도 타당성을 인정받았다. 영역 특수적인 개념에서 시도된 학업무기력 척도개발의 의의와 추후 논의점 및 제한점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Academic Helplessness Scale(AHS). The AHS construction was based on learned helplessness theory and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m, 20 items were developed. The preliminary scale was administered to 178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reduced into 16 items. Subjects were 593 students, which included 224 in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56 in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213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The AHS was validated through the evidence based on internal structure, the test-criterion relationship, and the cross-validation. The value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학습컨설팅 운영에서 한국교육심리학회의 역할과 과제

        박병기(Byung Gee Ba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4

        한국교육의 문제는 끊임없이 심화되고 확장되고 있다. 학습컨설팅은 한국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교육심리학회(KEPA)가 주도하는 새로운 교육운동이다. 이 글의 목적은 학습컨설팅의 시작과 정착 그리고 발전과 관련하여 KEPA의 역할과 과제를 조망하는 것이다. 첫째, 학습컨설팅의 운영에 있어 KEPA의 역할이 출범, 관리, 평가, 그리고 가교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학습컨설팅이라는 교육운동이 공식적으로는 2011년 하반기에야 출범되었지만, 그 배경에는 다양한 측면에서 KEPA의 지속적인 관심이 있었다. KEPA는 향후 학습컨설턴트 자격증 관리뿐만 아니라 학습컨설팅의 내용과 효과를 질적으로 향상시켜야 하는 책임을 진다. 학습컨설팅의 질관리를 위해서는 학습컨설턴트의 활동에 대한 평가와 피드백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학습컨설팅이라는 교육운동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KEPA가 학습과 관련된 대부분의 사람들과 단체들의 가교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둘째, KEPA의 과제가 발전, 심화, 연계, 창출 등 네 가지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KEPA는 학습컨설팅의 내용과 방법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끊임없는 반성적 고찰이 필요하다. KEPA의 근본은 학술단체이므로 이에 걸맞게 학습컨설팅 관련 학술연구를 심화시켜야 한다. 학술단체로서의 KEPA와 교육기관으로서의 각 대학(원)은 교육과정을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이렇게 되면, 학습컨설팅 시스템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것이다. 학습컨설턴트의 자격증은 그의 생계와 연결되어야 실효성이 있을 것이므로, KEPA는 자격증에 적합한 직업을 창출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 이 글의 말미에는 KEPA가 지향하는 학습컨설팅의 모습이 학습문제를 보는 두 가지의 관점, 즉 복합성과 메타문제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Educational problems in Korea have been continuously being deepened and expanded. A system of learning consultation is a new educational movement initiated by KEPA(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overlook the roles and tasks of KEPA in the management of this system. First, the roles were overlooked in view of beginning, administration, evaluation, and bridging. Although the system of learning consultation formally began in late 2011, the KEPA had shown a consistent interest in it for several years. KEPA should administer the learning consultation system with quality control. For the quality control, evaluations are needed on the performance of learning consultants. For the success of learning consultation movement, KEPA should act as a bridge connecting all the persons and institutes interested in learning problems. Second, the tasks of KEPA were overlooked in terms of development, enrichment, connection, and creation, KEPA is needed to incessantly develop the contents and methods of learning consultation. As an academic organization, KEPA should actively study about learning consultation in academic ways. KEPA should search a reasonable way to connect tracks of learning consultation with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s. KEPA should pay a great effort to create the earning jobs appropriate for the certificate of learning consultant. The last part of this article was filled with the feature of learning consultation system which KEPA ought to purs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