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양체계 및 NDF 급여 수준이 번식용 육성우의 혈중 대사물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병기,안준상,우종민,김민지,손기활,조상래,김병완,권응기,신종서,Park, Byung Ki,Ahn, Jun Sang,Woo, Jong Min,Kim, Min Ji,Son, Gi Hwal,Cho, Sang Rae,Kim, Byong Wan,Kwon, Eung Gi,Shin, Jong Suh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사양체계 및 TMR의 NDF 수준이 번식용 젖소 육성우의 혈중 대사물질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에너지, 단백질, 지질 및 간 기능 관련 지표 대사물질의 농도를 토대로 영양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공시동물은 번식용 젖소 육성우 5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구 배치는 사양체계에 따라 TMR 처리구(TMR) 및 배합사료 + 혼합 조사료 처리구(CON)의 2처리로 하였으며, TMR의 NDF 수준에 따라 53% 이상(T1), 50 ~ 53%(T2) 및 50% 이하(T3)로 3처리 하였다. 혈중 GLU 농도는 사양체계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NDF 수준이 감소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사양체계가 혈중 단백질 관련 대사물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으며, NDF 수준이 낮아질수록 혈중 ALB 농도가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혈중 CHOL 농도는 TMR 보다 CON 처리구에서 높았으며(p<0.05), NDF 수준이 낮을수록 증가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혈중 지질 농도는 TMR 보다 CON에서 높았으며, NDF 수준이 낮아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혈중 ALT 농도는 T3구가 T1 및 T2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사양체계 및 TMR의 NDF 수준은 번식용 젖소 육성우의 혈중 대사물질 농도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사료섭취량 및 영양성분 수준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system and NDF levels of TMR on blood metabolites in Holstein heifers. Fifty heifers were assigned to one of five treatments according to feed type and level of NDF: TMR (total mixed ration), CON (concentration + mixed forage), T1 (${\geq}53%$ NDF), T2 (50~53% NDF), and T3 (${\leq}50%$ NDF). Although GLU concentrate was not effected by feed type,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level of NDF decreased. There was no effect on concentrate of blood metabolite related with protein. As the level of NDF decreased, the blood ALB concentration was increased (p<0.05). The concentration of blood CHOL was higher in CON than those of TMR (p<0.05), and increased as the level of NDF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blood lipid was higher in CON than those of TMR and increased at lower level of NDF. The concentration of blood AL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3 than T1 and T2 (p<0.05).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feeding system and NDF level may affect the blood metabolite concentration; however, the feed intake and other nutrient levels should also be considered.

      • KCI등재
      • SXGA 급 a-Si TFT LCD 범용 컨트롤러 설계

        박병기(Park Byong Ki),최철호(Choi Chul Ho),박진성(Park Jin Sung),권병헌(Kwon Byong Hoen),최명렬(Choi Myung Ryul) 한국정보처리학회 1999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6 No.9

        As the size of the FPD(Flat Panel Display) becomes larger and its resolution is higher, it is required a new controller to support these specifications. In this paper, we have designed a universal controller of a-Si TFT LCD which will dominate the future market. We propose a new type of a LCD controller, which is constructed by four-line parallel-bus architecture and can enlarge low resolution images to SXGA class images by using a new interpolation algorithm. The proposed LCD controller has been simulated and synthesized by using Synopsys VHDL.

      • KCI등재

        반추위 보호 Choline이 In vitro 반추위 발효특성과 착유우의 유생산 및 유조성분에 미치는 영향

        박병기(Byung Ki Park),김병완(Byong Wan Kim),장현용(Hyun Yong Jang),신종서(Jong Suh Shi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8 No.3

        본 연구는 반추위 보호 choline의 급여가 in vitro 반추위 발효특성과 착유우의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구 배치는 기초사료 첨가구 (T1), 기초사료 +23 g/일 보호처리를 하지 않은 choline과 부형제 첨가구 (T2) 및 기초사료 + 25.56 g/일 보호 choline 첨가구 (T3)의 3처리로 하였다. 보호 choline의 첨가가 in vitro 배양액의 pH에 미치는 영향은 3시간을 제외한 전 배양시간에서 없었으며, ammonia 농도에 대한 보호 choline의 영향도 배양 9시간을 제외한 전 배양시간에서 없었다. 보호 choline의 첨가가 acetate 및 total-VFA 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으며, propionate 및 butyrate 농도의 경우 배양 6시간을 제외한 전 배양시간에서 보호 choline 첨가의 영향도 없었다. 보호 choline의 급여로 착유우의 산유량과 유지방 및 유당 함량이 증가되었으나 (p<0.05), 보호 choline의 급여가 착유우의 유단백질, 무지고형분, 총고형물, MUN, 체세포수 및 지방산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따라서 반추위 보호 choline은 in vitro 반추위 발효에 대한 별다른 영향 없이 산유량과 유지방 및 유당 함량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rumen protected choline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and milk production and its composition in Holstein cows. Experiments were done with three treatment groups, basal diet without any supplement (T1), basal diet+23g/d of mixture of choline and wheat shorts (T2) and basal diet + 25.56 g/d of rumen protected choline (T3). The in vitro ruminal pH and ammonia concentrations were similar for three treatments during all incubation periods except for the in vitro ruminal pH on 3 hr incubation and ammonia concentrations on 9 hr incub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oncentrations of acetate and total-VFA. The propionate and butyrate concentrations were not affected by the rumen protected choline except on 6 hr incubation on which the propionate and butyrate concentrations were intermediate (8.98 ㎎/㎗) and least (3.22 ㎎/㎗), respectively. Higher milk yield and milk fat and lactose were resulted in the rumen protected choline. However, the rumen protected choline did not affect the milk protein, solids not fat, total solids, MUN, somatic cell count. It is concluded that the rumen protected choline can be effective materials to improve the milk production, milk fat and lactose without little change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 KCI등재

        Effects of Brewery Meal-Based Fermented Feedstuff Supple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or Saccharomyces Cerevisiae on Ruminal Microorganism

        박병기(Byung Ki Park),라창식(Chang Six Ra),김병완(Byong Wan Kim),오진석(Jin Seok Oh),신종서(Jong Suh Shi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5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Aspergillus oryzae(AO) 혹은 Saccharomyces cerevisiae(SC)를 첨가하여 제조한 맥주박 위주 발효사료의 급여가 한우의 반추위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반추위 cannula가 장착된 한우 암소 2두를 이용하였다. 시험은 시판 배합사료 71.5% 및 corn silage 28.5% 급여구(대조구), 시판 배합사료 45.0%, AO 첨가 발효사료 26.5% 및 corn silage 28.5% 급여구(TAO)와 시판 배합사료 45.0%, SC 첨가 발효사료 26.5% 및 corn silage 28.5% 급여구(TSC)의 3처리구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Total viable bacteria(p<0.05), 혐기성 곰팡이 및 protozoa(p<0.05)의 수는 대조구에 비해 TAO및 TSC에서 높았다. 단백질 분해 박테리아(p<0.05), 섬유소 분해 박테리아 및 xylan 이용 박테리아 수는 대조구에 비해 TAO 및 TSC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Protozoa의 건물회수율은 대조구에 비해 TAO 및 TSC구에서 높았다(p<0.05). 총미생물 및 protozoa의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구 및 TAO구에 비해 TSC구에서 높았다(p<0.05). 박테리아의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TAO 및 TSC구에서 높았다(p<0.05). 총미생물의 조지방 함량은 대조구 및 TSC구에 비해 TAO구에서 높았으며(p<0.05), protozoa 및 박테리아의 조지방 함량은 대조구 및 TAO구에 비해 TSC구에서 높았다(p<0.05). 총미생물의 필수아미노산 비율은 TAO 및 TSC구에 비해 대조구에서 높았다. 박테리아의 methionin 및 alanine 비율은 대조구에 비해 TAO 및 TSC구에서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AO 혹은 SC를 첨가하여 제조한 발효사료의 급여는 반추위내 미생물 수 및 균체 조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조사료 대용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알코올 발효사료가 In vitro 반추위내 발효특성 및 NDF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

        김병완(Byong Wan Kim),임광철(Guang Zhe Lin),박병기(Byung Ki Park),김종덕(Jong Duk Kim),신종서(Jong Suh Shi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7 No.4

        본 실험은 알코올 발효사료 처리에 따른 in vitro 발효 pattern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반추위내 ammonia, pH, alcohol 및 volatile fatty acids 농도와 NDF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비지박 알코올 발효사료(AFS)는 비지박(DM 20%)과 시판중인 배합사료(DM 87%)를 각각 50:50의 비율로 혼합하고 당밀 5%, yeast 0.5%를 첨가한 후 30℃에서 24시간 혐기적으로 배양하여 제조하였으며,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AFB)는 맥주박(DM 25%), 비지박(DM 20%), 옥분 및 시판중인 배합사료를 각각 25:25:25:25의 비율로 혼합하고 당밀 5%, yeast 0.5%를 첨가한 후 제조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배합사료를 급여하는 대조구(control), 비지박 및 맥주박 알코올 발효사료(AFS구 및 AFB구)를 첨가하는 처리구를 각각 AFS 및 AFB구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은 배양 0, 2, 4, 6, 8 및 12시간별로 배양액을 채취하여 배양액의 alcohol 농도, ammonia 농도, pH, VFA 농도 및 NDF 분해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배양액의 ammonia 농도는 배양 2시간에 대조구 11.84 ㎎/㎗ 보다 AFS구 및 AFB구에서 각각 12.47 및 12.85 ㎎/㎗로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배양 6시간까지의 pH는 대조구보다 AFS 및 AFB구가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배양시간이 경과하면서 AFS 및 AFB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배양액의 알코올 농도는 AFS 및 AFB구에서 배양 12시간에 대조구보다 각각 43.9 및 48.0%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Acetate 농도는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구는 빠른 속도로 감소하였으며 AFS 및 AFB구들은 다소 감소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Propionate 및 Butyrate 농도는 배양 전기간 동안 대조구보다 AFS 및 AFB구에서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배양 4시간까지 NDF의 분해율은 대조구에 비해 AFS 및 AFB구가 높았으나, 배양 4시간 이후부터 대조구에 비해 AFS 및 AFB구가 낮은 결과로 나타났다(p<0.05).이상의 결과로부터 알코올 발효사료는 반추위 내에서 반추미생물의 발효 pattern을 조절하여 주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n in vitro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lcohol-fermented feedstuff formulated with byproducts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NDF disappearance in the rumen. Dietary treatments were either a soybean curd-based alcohol-fermented feedstuff (AFS) or brewery grain-based alcoholfermented feedstuff (AFB). The AFS and AFB are composed of 50% commercial beef cattle feed, 50% soybean curd dreg, 5% molasses and 0.5% yeast, and 25% commercial beef cattle feed, 25% brewery grain, 25% soybean curd dreg, 25% corn grit, 5% molasses and 0.5% yeast, respectively. The change of ammonia, pH alcohol, volatile fatty acids, and NDF disappearance were measured at 0, 2, 4, 8 and 12 hr after in vitro incubation in the rumen. After 2 hr incubation, higher ammonia concentrations were resulted in AFS (12.47 ㎎/㎗) and AFB (12.85 ㎎/㎗) compared to control (11.84 ㎎/㎗) (p<0.05). Ruminal pH of AFS and AFB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during 1 to 6 hr fermentation, but the pH of AFS and AFB were decreased after 6 hr. At 12 hr fermentation, the alcohol concentration of AFS and AFB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43.9% and 48.0%, respectively. The acetate concentration was rapidly decreased in control, while the concentration was slowly decreased in AFS and AFB with increasing the fermentation time. Lower concentrations propionate and butyrate were observed in AFS and AFB during every fermentation time (p<0.05). The NDF disappearance was significantly lower in AFS and AFB after 4 hr ferment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cohol fermented feedstuff can control the fermentation pattern in the rumen.

      • KCI등재

        Effects of IgY Supplementation on Hanwoo Calves Fed withHigh Quality Roughage

        홍병천,신종서,박병기,김병완,성경일,안준상,Hong, Byung-Cheon,Shin, Jong-Suh,Park, Byung-Ki,Kim, Byong-wan,Sung, Kyung-Il,Ahn, Jung-Sang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016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6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IgY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sm, and disease occurrence in the weaned calves at 3 or 4 month of age. Average daily gain (ADG) and feed intakes were not affected by IgY supplementation, regardless of weaning months. White blood cell (WBC) count of the control group was higher in the final stage than in the initial stage (p<0.05), while that of the IgY supplemented group was lower in the final stage compared to the initial stage (p<0.05). regardless of treatments. Hematocrit (HCT) and red blood cell (RBC) counts were lower in the final stage than in the initial stage (p<0.05), but mean corpuscular volume (MCV) and 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 counts were higher in the final stage than in the initial stage, regardless of treatments. In the control group, concentrations of albumin and globulin were higher in the final stage compared to the initial stage in the weaned calves at 3 month of age (p<0.05), and concentration of blood urea nitrogen (BUN) was increased in the IgY supplemented group. In the control group, concentration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gamma (${\gamma}$)-glutamyl transferase (GGT) were higher in the final stage compared to the initial stage (p<0.05). In contrast, concentration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gamma(${\gamma}$)-glutamyl transferase (GGT) were lower in the final stage compared to the initial stage for the IgY supplemented group. A diarrhea calf was only found in the control group. Manure score was higher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IgY supplemented group (p<0.05). Thus,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IgY supplemen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ome blood metabolites, fecal condition score and diarrhea without negative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of the weaned Hanwoo calves.

      • KCI등재

        호밀 건초 급여하의 By-pass 전지종실을 첨가한 알코올 발효사료의 in vitro 발효특성

        신종서(Jong Seo Shin),박병기(Byoung Ki Park),오진석(Jin Seok Oh),김병완(Byong Wan Kim),홍병주(Byong Ju Hong) 韓國草地學會 200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호밀 건초를 급여하는 조건하에 알코올 발효사료에 대한 면실, 아마 및 대두종실의 첨가가 in vitro 반추위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전지종실을 첨가하지 않고 발효한 알코올 발효사료구(대조구: T1), 면실종실을 첨가하여 발효한 면실 알코올 발효사료구(T2), 아마종실을 첨가하여 발효한 알코올 발효사료구(T3) 및 대두종실을 첨가하여 발효한 알코올 발효사료구(T4)의 4처리로 하였다. 배양시간에 따른 pH는 면실 종실을 첨가한 T2구는 대조구에 비해 배양 6시간에서 12시간까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p<0.05), 대두종실을 첨가하는 T4구의 pH는 대조구보다 배양 3시간에서 12시간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러나 아마종실을 첨가하는 T3구의 pH는 배양 초기부터 배양 9시간까지 대조구에 비해 차이가 없는 결과를 보였다(p>0.05). 배양액의 ammonia 농도는 T2구가 대조구에 비해 배양 6시간경에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T4구의 ammonia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배양 6 및 9시간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배양시간에 따른 반추위액 배양액의 휘발성 지방산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전지종실 처리구들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양 3시간경에서 면실, 아마 및 대두종실을 첨가하는 T2, T3 및 T4구의 acetate, butyrate 및 propionate 농도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p<0.05). 특히, 대두 종실을 첨가한 T4구의 휘발성지방산은 배양초기부터 12시간까지 전체 배양시간 동안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면실, 아마 및 대두의 전지종실을 첨가하여 발효한 알코올 발효사료는 반추위 배양액의 pH를 다소 감소시키며, ammonia 및 휘발성지방산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호밀 건초를 급여하는 조건에서 면실, 아마 및 대두 종실 처리하는 알코올 발효사료는 반추위내 발효양상을 개선할 수 있는 처리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pplementing whole oilseeds to the alcohol fermented feedstuff based on rye hay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of Hanwoo steers. Experiments were arranged with four treatment groups, T1 (without any oilseeds), T2 (supplemented with cottonseed), T3 (supplemented with linseed) and T4 (supplemented with soybean). The pH decreased at 6 and 12h in vitro incubation in T2 and at 3 and 12h in vitro incubation in T4 (p<0.05). However, no decrease of the pH was observed at any in vitro incubation in T3 (p>0.05). Ammonia concentration increased at 6h in vitro incubation in T2 and at 6 and 9 h in vitro incubation in T4 (p<0.05). Concentrations of acetate, butyrate and propionate increased at 3, 9 and 12h in vitro incubation in T4 and at 3h in vitro incubation in T3 (p<0.05).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supplementation of whole oilseeds to alcohol fermented feedstuff based on rye hay can improve the in vitro rumen fermentation.

      • KCI등재

        Fermentable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Brewery Meal-Based Fermented Feedstuffs Supple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신종서(Jong Suh Shin),박병기(Byung Ki Park),김병완(Byong Wan Kim)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5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Aspergillus oryzae (AO) 및 Saccharomyces cerevisiae (SC)를 첨가하여 제조한 맥주박 위주 발효사료의 발효특성 및 영양학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시험사료에 AO 1%를 첨가하여 제조한 발효사료 처리구(FFAO), SC 1%를 첨가하여 제조한 발효사료 처리구(FFSC) 및 AO 0.5%와 SC 0.5%를 첨가하여 제조한 발효사료 처리구(FFAS)로 나누었다. 48시간 발효에 따른 조단백질 함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조지방 함량은 48시간 발효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FFAO, FFSC 및 FFAS구의 NDF 함량은 48시간 발효로 인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ADF 및 ADL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FFAO 및 FFAS구의 pH는 FFSC구에 비해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신속히 감소하였으나(p<0.05), 24시간 이후에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Alcohol 함량은 FFAO구에서는 발효 18시간까지 증가하였고 FFSC 및 FFAS구에서는 발효 12시간까지 증가하였으며, FFAO, FFSC 및 FFAS구의 alcohol 함량은 발효 24시간 이후에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FFAO, FFSC 및 FFAS구의 발효 48시간에 암모니아 함량은 각각 0.022, 0.073 및 0.040%로 나타나 FFSC구가 FFAO 및 FFAS구에 비해 암모니아 함량이 2배 이상 높았다(p<0.05). Dextrose 함량은 FFAO구에서는 발효 6시간까지 증가하였으나 FFSC 및 FFAS구에서는 발효 6시간까지 급속히 감소하였다(p<0.05). Lactate 함량은 FFAO 및 FFAS구가 FFSC구에 비해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수분 함량이 높은 맥주박을 이용하여 발효사료 제조시 AO를 첨가하게 되면 조지방, alcohol 및 lactate 함량은 증가하지만, NDF 및 암모니아 함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AO의 첨가는 수분 함량이 높은 발효사료의 사료가치 및 보존성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韓國에서 分離한 Salmonella 및 Shigella의 抗生物質耐性

        全燾基,李在九,許東燮,朴秉琦 中央醫學社 1941 中央醫學 Vol.10 No.6

        One hundred and fifty-six strains of salmonellae isolated in 1964 and 1965 and 109 strains of shigellae isolated in 1963, 1964 and 1965 in Taegu area were studied on the resistance to chloramphenicol (CM), tetracycline (TC), terramycin (TM) and streptomycin (SM). Antibiotic resistance was tested by the plate dilution method. Briefly, antibiotic was diluted serially_ by doubling dilution method in distilled water and one volume of respective dilution was added to a series of nine volumes of melted nutrient agar. Nutrient agar containing antibiotic was then throughly mixed and poured into Petri dish (20m1) . The final concentration, of antibiotic in nutrient agar ranged from 400-0:78 mcg/ml. One loopful of inoculum containing varyingg numbers of bacilli (500,000; 5,000; and 50 per loop) was streaked on the surface of nutrient agar plate and incubated for 20 hours at 37°C. The results were read by the inhibition of growth of inoculum and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antibiotics to test strains was determined. A strain is considered as resistant if it is capable of growing in the presence of 25 mcg/ml of respective antibiotic.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Most of the salmonella strains was inhibited their growth in the presence of 1.56-6.25 mcg/ml of CM, TC or TM in nutrient agar, and 25 rncg/ml of SM. 2.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antibiotics to shigellae was distributed widely ranging from less than 0.78 to more than 400 mcg/rnl. However, a majority of strains was inhibited their growth in the presence of 100-400 mcg/ml of CM, TC or TM. Sixty-five strains out of 109 were not inhibited their growth even in the presence of 400 mcg/ml of SM. 3. MIC of antibiotics to test strains varied slightly by the inoculum size used for testing antibiotic resistance. MIC became slightly lowered in most cases when small size of inoculum was used, as compared with the MIC tested with large size of inoculum. - 4. The rate of resistant strains to CM, TC, TM and/or SM among salmonellae was 1.9 to 4. 5 per cents and that of resistant strains among shigellae ranged from 67.9 to 77.1 per cents to four antibitoics. 5. There is a tendency of yearly increase in the rates of resistant strains among salmonellae and shigellae. 6. The multiple antibiotic-resistant strains were only four among 156 strains of salmonellae tested, but those were 82 among 109 strains of shigellae. Seventy-three out of 82 multiple resistant strains of shigellae were resistant to all of four antibio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