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상 소아에서 근시 진행에 따른 망막내층의 두께 변화

        박민섭(Min Seob Park),이경민(Kyoung Min Lee),김마르다(Martha Kim),정호경(Ho-Kyung Choung),오소희(Sohee Oh),김석환(Seok Hwan Kim)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2

        목적: 근시안에서 안축장 증가에 따른 황반부 망막두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3년 2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에서 굴절 이상으로 검진 받는 만 13세 미만, 구면렌즈대응치-0.75 diopters (D)보다 근시인 소아를 대상으로 전향적 코호트를 구축하였다. 빛간섭단층촬영을 통해 망막전층, 내망막층, 신경섬유층, 신경절세포-속얼기층의 두께를 9개의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ETDRS) subfield에서 측정하였고, 코호트 진입과 마지막 방문시 유의한 변화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동일 개체의 양안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ETDRS subfield 사이의 개체 내 상관을 linear mixed-effects model을 통해 보정하였다. 결과: 평균 2.7년의 관찰 기간 동안 굴절 이상은 조절마비검사 구면렌즈대응치 -4.26 ± 2.34 D에서 -6.09 ± 2.64 D로(p<0.001, paired t-test), 안축장은 24.80 ± 1.28 mm에서 25.58 ± 1.38 mm로 변화하였다(p<0.001, paired t-test). 그러나 망막전층 및 세부층 두께는 전 구역 평균 두께 및 9개 ETDRS subfield 모두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모두 p>0.05, linear mixed-effects model). 결론: 근시 진행에도 불구하고 황반부의 망막세부층은 두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안축장이 길어지는 시기에 두께로 측정되는 황반부의 거시적 구조는 큰 변화가 없음을 시사한다. Purpose: To investigate longitudinal changes in foveal retinal sublayer thicknesses during axial elongation. Methods: From February 2013 to September 2014, a prospective cohort was established comprising pediatric patients aged < 13 years exhibiting myopia with a spherical equivalent of less than -0.75 diopters (D). At each visit, the foveal retinal thickness was measured using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d sublayers were distinguished as follows: 1) total retinal layer, 2) inner retinal layer, 3) retinal nerve fiber layer, and 4)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The average thickness was calculated based on the nine subfields of the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ETDRS) map and compared between the initial and final visits. Intra-individual correlations were analyzed using a linear mixed-effects model. Results: Twenty-three subjects (46 eyes) were observed for 2.7 ± 1.0 years. During that period, the myopia progressed (spherical equivalent of cycloplegic refraction: from -4.26 ± 2.34 to -6.09 ± 2.64 D; p < 0.001, paired t-test), and the axial length increased from 24.80 ± 1.28 to 25.58 ± 1.38 mm (p < 0.001, paired t-test). Nevertheless, the thicknesses of foveal retinal layers (total retinal layer, inner retinal layer, retinal nerve fiber layer,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any of the nine ETDRS subfields (all p > 0.05, linear mixed-effects model). Conclusions: The foveal retinal sublayers maintained their thicknesses despite axial elongation, indicating that the foveal retinal structure, which is critical to visual acuity, is preserved even in elongated, myopic eyes.

      • KCI등재

        순차적 백내장수술에서 첫 번째 수술안 예측오차가 두 번째 수술안의 광학적 보정에 미치는 효과

        박민섭(Min Seob Park),김미금(Mee Kum Kim)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2

        목적: 일주일 간격의 지연된 순차적 양안 백내장수술에서 첫 번째 수술안의 예측오차를 통한 두 번째 수술안의 굴절 보정 효과를 연구하였다. 대상과 방법: 일주일 간격으로 양안 백내장수술을 시행 받은 100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의 후향 분석을 수행하였다. 굴절오차는 술후 굴절력과 의도된 목표 굴절력과의 차이, 예측오차는 술 후 굴절력과 인공수정체공식(SRK-T, Hoffer-Q,Haigis)별로 계산된 예측 굴절력과의 차이로 측정하였다. 술 후 1주와 1달에 굴절력을 측정하였으며, 첫 번째 술 후 1주에 예측오차를 계산하여 크기가 0.25 diopters (D) 이상일 경우 이에 맞추어 두 번째 수술의 인공수정체 도수를 조정하였다. 술 후 1달 굴절오차의 크기를 양안에서 비교하였다. 술 후 1주에 측정한 첫 번째 수술안의 예측오차와 술 후 1달에 측정한 반대안의 예측오차와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굴절오차의 크기는 두 번째 수술에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첫 번째 수술안의 굴절 오차가 0.5 D 이상인 경우에는 두 번째 안의 굴절오차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술 후 1주에 측정한 첫 번째 수술안의 예측오차와 술 후 1달에 측정한 반대안의 예측오차는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여주었다(r=0.483 [SRK-T], r=0.593 [Hoffer-Q], r=0.547 [Haigis]; p<0.001). 결론: 첫 번째 수술안의 굴절오차가 0.5 D보다 높은 경우, 일주일 간격의 지연된 순차적 양안 백내장수술은 두 번째 수술안의 굴절 결과를 보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Purpose: We investigated the refractive outcomes of second-operated eyes whose diopters of intraocular lens (IOL) were selected based on the prediction error (PE) of the first-operated eye in 1-week-delayed sequential bilateral cataract surgery. Methods: Medical records of 100 patients who had undergone delayed sequential bilateral cataract surgery with a 1-week interval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postoperative subjective refraction was evaluated at 1 week and 1 month after surgery. The refractive error (RE) was determined by comparing postoperative refraction with the intended postoperative refractive target. The PE was determined by comparing postoperative refraction with the predicted postoperative refraction calculated by multiple different formulae (SRK-T, Hoffer Q, and Haigis). When the PE of the first eye was outside the range of ± 0.25 diopters (D) at postoperative 1 week, selection of IOL power was adjusted to reduce the PE of the second eye. Mean numerical and mean absolute errors of RE were calculated. The correlations between PE of the first eye measured at 1 week and PE of the second eye measured at 1 month were analyzed. Results: The mean absolute value of RE was decreased on the second operated eye, but was not significant (p > 0.05). The subgroup whose RE of the first eye was > ± 0.5 D at 1 week showed a significantly decreased mean absolute value of RE in the second eye (p < 0.05). The PE of the first eye measured at 1 week and of the second eye at 1 month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r = 0.483 [SRK-T], 0.593 [Hoffer Q], 0.547 [Haigis]; p < 0.001). Conclusions: Delayed sequential bilateral cataract surgery with a 1-week interval may enable refinement of the refractive outcome of the second operated eye when the first operated eye shows a RE >0.5 D.

      • KCI등재

        제올라이트와 Klebsiella pneumonia sp.을 이용한 화학-생물학적 액상 암모니아의 제거 효율 연구

        박민섭 ( Min Seob Park ),최권영 ( Kwon-young Choi ) 한국공업화학회 2017 공업화학 Vol.28 No.6

        암모니아는 현대 산업에서 빠질 수 없는 유용한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 폐기물의 분해과정을 통해 배출되며 인체에 매우 해로운 독극물로 알려져 있다. 산업에서 흔하게 쓰이는 물질이기에 직접 누출이나 간접 누출로 인한 수질오염의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암모늄이온을 빠르게 제거하는 데는 제올라이트의 흡착능을 이용하는 것이 좋지만 흡착만으로는 충분히 제거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상용 제올라이트의 흡착능을 통한 암모늄이온의 제거 효율과 미생물의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통한 제거효율을 비교하였다. 추가적으로 제올라이트에 미생물을 고정하여 화학적 흡착 및 생물학적 전환 기술을 병합하여 그 효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100 ppm 기준 상용 제올라이트의 경우 2-4 h 사이에 67-81%의 제거효율을 보이는데 반해 선정 미생물인 Klebsiella pneumoniae subsp. Pneumoniae를 이용한 경우 8 h 내에 최대 97%의 제거 효율을 나타냈었다. 그리고 미생물을 제올라이트에 고정시켰을 때 8 h 이내에 98.5%로 제거 효율 및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mmonia is a useful substance which is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es. It is generally released by the decomposition of agricultural wastes and known to have toxic effects on human beings. Due to the common usage, it is possible to cause water pollution through either direct or indirect leakage. Such cases, it is preferable to use the adsorption capacity of zeolite to rapidly remove ammonium ions, but it is not sufficiently removed by the adsorption only. In this paper, the removal efficiency of ammonium ion through both the adsorption capacities of commercial synthetic zeolites and the biological mechanism of microorganisms were compared. In addition, microorganisms were immobilized on the zeolite in order to enhance the removal efficiency by applying a chemo-biological process. As a result, the standard commercial zeolite showed 67~81% of the removal efficiency in 2~4 hours at a 100 ppm concentration of ammonium, whereas the selected microorganism Klebsiella pneumoniae subsp. Pneumoniae showed up to 97% within 8 hours. When the microorganism was immobilized on the zeolite,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of approximately 98.5% were observed within 8 hours.

      • KCI등재

        탈수소화효소 반응 및 촉매적 흡착 반응에 의한 액상 포름알데하이드의 제거 효율 연구

        함규진 ( Kyu Jin Ham ),박민섭 ( Min Seob Park ),최권영 ( Kwon-young Choi ) 한국공업화학회 2017 공업화학 Vol.28 No.1

        포름알데하이드는 무색, 무취의 유독성 물질로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포름알데하이드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많이 보고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생물학적 효소 반응 및 화학적 흡착·촉매 반응에 의한 포름알데하이드의 제거 효율을 비활성을 통해 비교하였다. 첫째, Escherichia coli K12포름알데하이드 탈수소화 효소(Formaldehyde dehydrogenase, FDH)를 Escherichia coli BL21(DE3)에 클로닝하여 발현 및 분리하였다. FDH 효소 활성(k<sub>cat</sub>/K<sub>m</sub>)은 2.49 × 10<sup>3</sup> sec<sup>-1</sup>mM<sup>-1</sup>로 측정되었으며, 비활성은 8.69 U/mg으로 측정되었다. 둘째, 화학적 흡착 및 화학 촉매를 이용한 포름알데하이드의 제거 효율도 동시에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활성탄과 제올라이트, KI 및 KOH로 처리한 활성탄과 제올라이트를 화학적 포름알데하이드 흡착제로 사용하였으며 Pd/TiO<sub>2</sub> 산화 촉매를 이용하여 포름알데하이드의 산화 반응 효율을 결정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 수행한 화학적 흡착 및 산화 촉매 반응의 경우 대략 50%의 비슷한 수준의 포름알데하이드 제거 효율을 보였으며, 특히 비활성의 경우 탈수소화효소의 비활성이 0.01-0.26 U/g 수준의 화학적 흡착 및 산화 촉매보다 월등히 높게 측정되었다. Formaldehyde is one of the toxic substances without any color and smell. Several methods to remove formaldehyde has been inves-tigated up to now. Here, both the enzymatic and chemisorptive/catalytic liquid phase formaldehyde removal were investigated, and their catalytic activities in terms of specific activities were compared. Firstly, formaldehyde dehydrogenase (FDH) enzyme from Escherichia coli K12 was cloned, and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BL21(DE3). And the catalytic activity was characterized as 2.49 × 10<sup>3</sup> sec<sup>-1</sup>mM<sup>-1</sup> of kcat/Km with 8.69 U/mg of the specific activity. Secondly, the chemisorptive and oxidative catalytic removals were investigated simultaneously. Activated carbons and zeolites treated with heat, KI, and KOH were used as chemisorption medium. And Pd/TiO<sub>2</sub> was used as an oxidative catalyst for the formaldehyde removal. All of the tested chemicals showed similar formaldehyde removal efficiencies of around 50%. However, the specific activity of FDH dependent formaldehyde removal was absolutely higher than that of using chemisorptive and catalytic removal processes with the ranges of 0.01 to 0.26 U/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