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정약용의 초기(사환기仕宦期) 산문에 대하여

        박무영 ( Moo Young Park ) 다산학술문화재단 2005 다산학 Vol.- No.6

        사회정의 실현에 이바지하는 글만이 존재할 가치가 있다는 것이, 정약용의 문장에 대한 견해이다. 그러나 그의 초기 산문들 중에는 일상생활을 경쾌하게 묘사하는 서정적 산문들이 있다. 본 논문은 이처럼 문장에 대한 정약용 자신의 견해와 성격을 달리하는 서정적 산문의 세계를 다룬다. 정약용 초기 산문의 하나인 「국영시서菊影詩序」는 당대에 유행한 `소품적` 경향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이 산문에서는 매우 예민하고 정서적으로 과잉상태인 주체에 의해 소재 가 지닌 기발한 측면이 순간적으로 포착된다. 이러한 「국영시서」의 성격은 그의 초기 산문들에서 자주 포착되는 특징이다. 비일상적이고 순수하게 문예적인 태도가 추구되고, 나아가 `기괴`가 예술과 예술가의 특권으로 인정된다. 그러나 정약용의 초기 산문은 이러한 태도를 궁극까지 밀고나가지 않는다. 일상적 삶을 영위하는 생활인으로서의 의식과 정서가 이러한 태도가 극단으로 발달하지 못하도록 견제하고 있다. 이 `일상성`엔 「칠실관화설漆室觀畵說」에서 보이는 `과학적 서정`, 「죽란시사첩서竹欄詩社帖序」에 보이는 `관료적 서정`이 포함된다. 즉 생활과 과학과 미학이 분리되지 않은 채 서정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정약용 초기 산문의 궁극적 방향이다. 결국 정약용 초기 산문은 `소품적` 경향을 강하게 드러내지만, `소품`은 아니다. 정약용의 초기 산문들은 18세기 이후 발달하는 도시문화를 함께 향유하던 동인 집단 내에서 지어진 것이다. 따라서 도시문화를 배경으로 유행하던 당대의 `소품적` 경향이 그의 산문들에서 드러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동시에 적어도 40대 이전의 정약용은 엘리트 관료로서 삶을 구가하였다. 그런 그의 산문 세계가 현실세계에서 실의한 비주류 문인들이 중심이 되었던 `소품`적 작가세계와 차이가 나는 것도 당연한 일일 것이다. It is the view of Cheong yagyong`s writings that only the works that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is worth. However, there are lyrical proses that lightheartedly describe the daily life among the prose from his earlier works. This study will deal with the world of lyrical prose that differs from the views and characteristics that Cheong yagyong himself had about composition. The "Shadow Play"[菊影詩序] which is a prose from Cheong yagyong`s earlier works, fully exhibits the trend of "sketch"[小品] that was very popular during his period. This prose momentarily catches the peculiar aspects of the subject matter through the principal body that is very sensitive and emotionally superfluous. Such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Shadow Play" are a feature that is found frequently in his earlier prose. Unusual and pure literal attitudes are pursued and furthermore, `strangeness` is recognized as a privilege of art and artists. However, the earlier prose works of Cheong yagyong does not push through with such attitude to the end. The consciousness and sentiment of a person living a daily life constrains the artist from developing such attitude to the extreme level. Such consciousness and sentiment includes the `scientific lyricism` shown in The principle of the Camera(漆室觀畵說) and the `bureaucratic lyricism` shown in the Preface to the Gathering on the Bamboo Balcony(竹欄詩社帖序). In other words, the ultimate goal of Cheong yagyong`s prose in his earlier works is where daily life, science and esthetics are not separated but are lyrically combined together. In the end, the prose written by Cheong yagyong in his earlier days strongly exhibit the trend of `similar to sketch` but is not a `sketch.` They was created within a group of similar people that enjoyed the urban culture that had developed after the 18th century. Therefore, it is inevitable that the trend of `sketch`, which was popular at that time surrounding the urban culture, shows up in his prose. At the same time, Cheong yagyong lived a life as an elite bureaucrat, at least prior to his forties. Therefore, it is only natural for his world of prose to be different from the artist world of `sketch`, which centered on the non-mainstream literary men who were disappointed with the real world.

      • KCI등재
      • KCI등재

        투고논문 : 『숙수념(孰遂念)』의 공간 설계와 문학적 사유

        박무영 ( Moo Young Park ) 동방한문학회 2007 東方漢文學 Vol.0 No.33

        홍길주는 문집의 체제를 자신의 문학관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이용했다. 『숙수념』은 그중 가장 급진적인 형태이다. 그는 온갖 장르와 온갖 성격의 글을 유기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골조로 ``숙수념``을 만들었다. ``숙수념``이라는 공간은 제2세계로서, 현실계와 겹쳐지는 또 하나의 세계로 기획되었다. 이러한 공간 설계는 현실법칙에 따르는 혹은 현실법칙을 위반하는 모든 사유의 결과물들을 하나의 유기적 공간 안에 배치하도록 틀을 마련해준다. 『숙수념』의 이러한 공간 설계는 문학에 대한 새로운 사유를 가능케 한다. 즉 ``숙수념``을 현실계와 겹쳐지는 또 하나의 세계로 설계함으로써, 현실계와 관념적/언어적 구조물의 관계를 실재와 그림자의 관계로 파악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공간 설계는 언어적 구조물의 세계가 현실계로부터 독립된 자족적 공간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따라서 기표와 기의 간에 절대적 관계가 없는 것으로, 문학의 본질을 문자의 기호적 결합과 재결합에 의해서 끊임없이 새로 창조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언어적 환상세계를 이처럼 파악하기 때문에 그의 문학관에서는 ``원본``의 존재가 부정되고, 끊임없는 이본의 생산 자체-즉 문학행위 행위 자체만 남게 된다. 이러한 문학관에서는 최종적인 진리가 부재하는 것이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틀이 『숙수념』이 보여주는 공간 설계에서 시작된다. 다만 홍길주가 기호적, 판단중지적 사유방식을 극단까지 진행시키는 것 같지는 않다. 종종 그는 어중간한 상태에서 멈춰서고, ``사대부적 교양세계``로 후퇴한다. 이것은 시대적 한계일 것이다. The collection of works by Hong Gil-ju(洪吉周) shows his view on literature in visible form. "Suksoonyeom" is the most radical form among them. He made a structure, that is ``Suksoonyeom`` to organically allocate works in various genres and types. ``Suksoonyeom`` is a space. This space was designed as another world overlapping on real world as ``Second world.`` This space design of "Suksoonyeom" allows new thinking on literature. As he designed "Suksoonyeom" as another world overlapping on real world, he could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real world and ideal/linguistic structure as the relation between actual existence and shadow. Also, this space design opened the possibility that the linguistic structure world could be independent and self-sufficient space from real world. Therefore, the absolute relation between signifiant and signifie was dissolved and the intrinsic nature of literature can be recognized as the thing which is consistently created by combination and recombination of signs. Therefore, the existence of ``original`` is denied in his view of literature, and continuous production of copy, that is the activity of literature itself only can be left. It is natural that final truth does not exist in this view of literature. The frame allows all these things started from the space design shown by the "Suksoonyeom." However, Hong Gil-ju seemed not to take the this ideas to the extreme. He often stop in the middle. This may be the limitation of the time he lived in.

      • KCI등재
      • KCI등재

        투고논문 : “삼사(三事)”의 꿈, 홍길주의 「여의침명서」 재론을 겸해

        박무영 ( Moo Young Park ) 동방한문학회 2010 東方漢文學 Vol.0 No.45

        본 연구는 홍길주의 저작인 『孰遂念』에 대한 주제적 측면에서의 연구이다. 『숙수념』의 제8관인 「三事念」은 ``三事’에 대한 담론을 다루고 있는 장이다. ``삼사’ 중에서도 기용의 이용에 대한 담론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 「삼사념」인데, 이 속에 제시되는 기물들은 기본적으로 ``삼사’에 관련된 담론의 현현물이라는 성격을 지닌다. 한편 이 「삼사념」에 놓인 기물 중 하나인 베틀은 그 자체가 『숙수념』의 은유이기도 하다. 즉 「삼사념」은 홍길주 자신에 의해서 『숙수념』 전체의 은유로도 해석되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삼사’ - 특히 이용후생의 이상을 둘러싼 담론은 『숙수념』의 세계를 구성하는 기획 이념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인다. 「삼사념」 속에 놓인 기물 중 하나인 여의침에 붙여진 「如意枕銘序」는 당대의 현실학문 풍토를 좌우했던 성리학과 고증학에 대한 비판과, 나아가 그 자신이 상당한 식견을 지니고 있던 도교나 불교적 취향에 대한 비판을 거쳐 ``삼사’의 학문적 결론에 도달하는 탐색의 경로를 환몽기의 형식으로 보여준다. 따라서 「삼사념」 전체의 서문에 해당한다. 「삼사념」의 기타 기물들과 기물명/찬을 통해서는 ``이용후생’과 관련된 갖가지 사고들을 드러낸다. 여기에는 현실의 음화로서의 환상세계라는 『숙수념』의 성격이 드러난다. 즉 「삼사념」에는 후생의 책임을 져야하는 지식인의 책임을 강조하고 자임하는 만큼, 현실적인 실현의 가능성에 좌절한 지식인의 자화상이 드러난다. 이 점에서 현실의 음화로서의 측면을 드러낸다. 한편 실용성에 초점을 맞추는 조선후기 이용후생학파의 삼사에 대한 이해와는 달리, 담론에 치중하거나 수학적ㆍ과학적 상상력 자체에 유희적으로 몰두한다는 점도 홍길주의 ``삼사’가 갖는 특징이다. 즉 홍길주의 「삼사념」은 실용성에는 큰 관심이 없어 보인다. 대표적인 이용후생지구에 대해서도 관념적으로 해석하는 명을 붙여놓았을 뿐이며, 수학적 기기를 창안하고 있지만, 실제 이 기구들에서 보게 되는 것은 실용성이 아니라 자족적인 수학적 상상력이기 때문이다. 이 점이 홍길주의 이용후생 관념이 실제 당대의 이용후생학파들의 이용 관념과 다른 지점이기도 하다. This thesis aims to explore the theme of “Sug-Su-Nyeom(『孰遂念』)” through the chapter of “Sam-Sa-Nyeom(「三事念」)” from the book “Sug-Su-Nyeom” written by Hong-Gil-Ju(洪吉周). In the chapter “Sam-Sa-Nyeom” there is the prose “Yeo-Ui-Chim-Myeong-Seo(「如意枕銘序」)”, showing the Sug-Su-Nyeom`s fantasy-like features. Therefore the manuscript has its debate centered around the “Yeo-Ui-Chim-Myeong-Seo” especially. The “Yeo-Ui-Chim-Myeong-Seo” carries the structure of “journey to explore the truth.” This journey to explore the truth is a journey of exploration for academic ideal. This journey of exploration reaches something that is the ideal of academic study of “Sam-sa (三事).” The other parts of the “Sam-Sa-Nyeom,” include diverse discussions that are relat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Yeo-Ui-Chim-Myeong-Seo” reaches - the goal of scholarly work is “to create convenient tools that make the people`s life much more fulfilling.” In this way it deals with the responsibilities of intellectuals who are in charge of the academic ideals and it also shows the pursuit of mathematic and scientific knowledge. At the same time, it shows the frustration of intellectuals who aren`t given realistic opportunities to act on their ideals. It also shows the tendency to be absorbed in a game of idea. As a result this is the true form of “Sug-Su-Nyeom.” In other words, “Sug-Su-Nyeom” is the world of reverse-reality that was created by intellectuals who eventually were unable to get the opportunity to realize that ideal although they were voluntarily in charge of the responsibility for “I-Yong-Hu-Saeng(利用厚生).”

      • KCI등재후보
      • KCI등재

        21세기 한국한문학사 서술의 여러 문제 -여성문학사의 입장에서-

        박무영 ( Park Moo-young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4

        본고는 새로 쓰게 될 21세기 한국한문학사의 서술에 여성문학사가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까 탐색해본 논의이다. 한국한문학사와 여성문학사는 쉽게 제휴하기 어려운 태생적 기반을 지닌다. 한국한문학의 자료와 역사는 남성문화에 기반을 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랜 여성배제의 결과이기도 하다. 최근 여성문학사에 대한 관심은 한국한문학사에서도 여성의 흔적을 찾는 일을 진행시켜왔고, 무시하기 어려운 성과를 거두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여성문학사의 성과를 기존 한국한문학사에 단순히 기입해 넣는 방식의 제휴는 문학사의 기본 성격을 간과한 것이라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다. 문학사란 무엇보다도 사관의 산물이고, 사관에 따른 전적으로 새로운 구성과 논의의 장을 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고전여성문학사와 한국한문학사의 병립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였다. 각각 남성젠더적, 여성젠더적 성격을 분명히 하고 상호 참조하는 방식으로 병립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덜 폭력적인 방식이라는 주장이다. 상호참조를 통해 젠더적 균형감각을 획득하는 것은 남성젠더로서의 한국한문학사의 서술에서도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 이 점이 한국고전여성문학사가 21세기 한국한문학사 서술에 기여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방식이라는 것이 본고의 잠정적 결론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what women`s literary history can contribute to writing new Sino-Korean literary history in 21 century. The fundaments of Sino-Korean literary history and women`s literary history hamper collaboration between the two. That is because materials and history of Sino-Korean literary history are based on male culture. The field is a consequence of the long exclusion of women. Admittedly, recent attention for women`s literary history has been discovering the traces of women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and made achievements which cannot be ignored. However, simply writing achievements of study of women`s literary history into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cannot be the desirable method of collaboration. We should not neglect the intrinsic nature of literary history. Literary history is a product of certain view of history above all, and it demands an entirely new structure and field of discussions. Thus, it is desirable that the history of women`s literature and that of Sino-Korean literature stand side-by-side. It must be the most effective and least violent way if each of them clarify their masculine or feminine gender qualities and refer to each other. Obtaining balanced sense of gender through cross reference would also be essential for writing masculine gendered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It is the provisional conclusion of this article that this is the most desirable method that the history of Korean women`s literature can contribute to writing the history of Sino- Korean literature in 21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

        여성시문집의 간행과 19세기 경화사족의 욕망 -『정일당유고』의 간행을 중심으로-

        박무영 ( Moo Young Park ) 한국고전문학회 2008 古典文學硏究 Vol.33 No.-

        사대부가 여성의 시문집 간행은 그 자체가 부덕 이데올로기에 반하는 것이다. 그런데 19세기 몰락 경화사족인 윤광연은 경제적 파탄 상황에도 불구하고 아내의 시문집인 『정일당유고』를 간행하였다. 윤광연은 가문 밖의 외부 인사들에게 서문과 발문ㆍ묘지명을 청탁하고, 외부 인사들의 만시를 대량의 부록으로 첨부하는 등, 사대부가 여성의 문집으로서는 대단히 파격적인 편집을 하고 있다. 이러한 파격적인 편집의 결과 『정일당유고』에는 대량의 남성 인명이 등재되었고, 강정일당의 문필활동은 비록 간접적인 방식이기는 하지만 『정일당유고』내에서 사회적 문맥을 형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공간됨으로써 이러한 관계를 공개적으로 드러내게 된다. 윤광연의 이런 출판행위는 몰락한 경화사족으로서의 현실적 욕망과 관련되어 있다. 즉 그는 정일당이라는 `여성 성리학자`를 동원하여 문한고가로서의 전통과 사회적 인맥을 과시하고, 이를 통해 몰락해가는 가문을 유지하려 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동원된 노론 학자들은 여성시문집의 출판이 부덕과 어긋난다는 것을 지적하면서도 `여성 성리학자`로서의 강정일당을 인정함으로써 윤광연의 욕망을 이루어준다. 여성의 문필작업을 공개적인 맥락 속에 둠으로써 가문의 지위를 확보하려는 윤광연의 욕망이 배태될 수 있었던 것은 19세기 전반의 서울 문화라는 현상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윤광연의 교유관계에 해당하는 노론 가문들에 여성시인이나 성리학자의 전례가 다수 존재하였고, 당대의 서울문화권에는 청조 문인들의 영향으로 여성의 공개적인 예술 활동에 대한 경험이 어느 정도 성립되어 있었다. 여기에 출판의 보급과 더불어 문집의 발간을 가문 유지의 수단으로 삼는 풍조가 하층 사족층에 만연해 있기도 하였다. 이 모든 것이 결합하여 윤광연이 『정일당유고』를 통하여 욕망을 실현할 수 있었던 배경이 되었다. Publishing of a scholastic lady`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is contradictory to the Confucian ideology which restricts women`s social activities. Women`s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published in spite of this contradiction are the very spot where various ideologies conflict with desires. This paper intended to survey the specific aspects of that conflict through the publishing process of `Jeongildang yugo`(『靜一堂遺稿』) published in early 19th century. Gwang-yeon Yun(尹光演), her husband, brings Jeongildang Gang(姜靜一堂) into a `female Sung Confucianist(女性性理學者)` and also brings his family into `literary family` through `Jeongildang yugo`. In addition, by adding the poems of men out of the family who remembered Jeongildang Gang as an appendix, he displays the social ties of his family. That is, Gwang-yeon Yun is using `Jeongildang yugo` to make sure of his family`s social position. Publishing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was commonly used by ruined nobles in order to preserve their families in the late Joseon(朝鮮) Dynasty. `Jeongildang yugo` shows that that kind of thing was done even by women. While, Gwang-yeon Yun`s editing style is directly opposite to the virtue to `hide their names` that women from noble classes should have. Accordingly, Gwang-yeon Yun makes Jeongildang Gang a person who earned the social respect, and on the other hand, describes her as a person who thoroughly kept `women`s virtues`. Even the men out of the family mobilized in publishing `Jeongildang yugo` joined him in bringing Jeongildang Gang into a `female Confucianist` while recalling that the publishing is contrary to the `women`s virtues`. All of this is attributed to Seoul cultural area in early 19th century where Gwang-yeon Yun belonged. That is, the atmosphere that women`s talents were positively recognized and women`s literary activities extending to the outside of family were not restrained was created in Seoul cultural area in early 19th century. That atmosphere in Seoul cultural area was the background that Gwang-yeon Yun`s desire could be satis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