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래겸의 『심사일기』 연구

        박동욱 ( Dong Wuk Bak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6

        박래겸(朴來謙, 1780∼1842)은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공익(公益), 호는 만오(晩悟)·탑서(塔西)이다. 저서로는 『탑서유고초(塔西遺稿抄)』, 『만오유고(晩悟遺稿)』 등이 있다. 그는 자신의 개인적인 공무 체험을 담은 3종의 일기를 남겼다. 평안남도 암행어사의 체험을 담은 『서수일기(西繡日記)』, 함경도 북평사(北評使) 때의 공무를 기록한 『북막일기(北幕日記)』, 그리고 심양문안사(審陽問安使)의 서장관으로 임명되어 심양(瀋陽)을 견문한 내용을 담은 『심사일기(瀋사日記)』가 그것이다. 『심사일기』는 1829년 4월 20일 심양문안사의 서장관으로 임명된 때부터 동년 10월 24일 집으로 돌아올 때까지의 기록을 담고 있다. 여기에는 98일간 심양문안사로 갔던 견문들이 매우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우선, 상행(上行), 체류(滯留), 하행(下行)의 모든 기록이 날짜별로 정리되어 있어서 이동 경로, 소요 시간, 일정 등을 매우 상세히 파악할 수 있었다. 심양의 이국적인 풍경이나 풍속은 그의 눈길을 사로잡기에 충분했다. 이를테면 태평거(太平車), 창녀, 바둑, 전족(纏足), 상례(喪禮), 원숭이 재주 등은 외지(外地)에게는 낯선 풍속들이었다. 그뿐 아니라, 청나라의 유서 깊은 장소들을 꼼꼼히 탐방하고 기록을 남겼다. 오랜 연행을 통해서 현지 중국인들과 인적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있기도 했다. 앞서 다녀온 선배들이 후배들에게 현지인을 추천하기도 하고, 현지인들이 자신의 지인을 소개하기도 했다. 체류 기간 내내 필담을 통해 의사소통을 하고 시와 선물을 주고받았다. 대부분은 예부(禮部)와 관련된 인물이라는 한계가 있긴 하지만 자유롭게 서로의 거처나 숙소를 내왕했다. 그 중에 무공은(繆公恩)은 박래겸과의 교유뿐 아니라, 한중 교류에서 주목할 만한 인물이다. 한 달 동안의 심양 체류 기간에서 가장 중요한 행사는 역시 황제를 친견하는 것이다. 실시간으로 예부를 통해 황제의 동정(動靜)이 보고되고 이에 따라 연행사의 동선(動線)이 결정되었다. 다만 수많은 인원과 물자가 소요되는 행사치고는 황제와의 접견이나 대면은 싱겁게 끝이 났다. 황제가 직접 참석하여 제를 올리는 오운제(烏雲祭)와 환원제(還願祭)와 같은 것은 다른 데에서 흔히 찾아볼 수 없는 소중한 기록이다. 또, 황제가 주최하는 여러 연회의 모습도 상세하게 그려져 있다. 다만 『계산기정(계山紀程)』, 『담헌서(湛軒書)』, 『노가재연행일기(老稼齋燕行日記)』, 『연원직지(燕轅直指)』 등의 기록들을 지나치게 의존해서 특정 장소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것은 아쉬운 부분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이 기록의 가치를 평가 절하 할 수는 없다. 이 논문을 통해 연경과는 분명히 구분되는 심양의 연행 체험이 구체화되고, 박래겸의 일기에 대한 총체적이고 종합적인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The family clan of Bak Raegyeom(朴來謙, 1780∼1842) is Milyang. The name in his childhood is Gongik(公益), and his pen name is Mano(晩悟) and Tapseo(塔西). His books include 『Tapseoyugocho(塔西遺稿抄)』 and 『Manoyugo(晩悟遺稿)』. 『Simsailgi』 wrote about the story from when he was appointed as Seojanggwan in Simyangmunansa on April 20, 1829 until when he returned home on Oct. 24 in the same year. The book described the details about the experience while he worked in Simyangmunansa for 98 days. The exotic scenery or customs in Simyang was enough to attract his attention. Taepyeonggeo, prostitutes, Baduk, foot-binding, funeral rites and skills of monkeys were strange custom for foreigners. Moreover, he visited every corner of historic sites in Qing dynasty and wrote details about them. He also made the human network with the Chinese through the visit as an envoy. The senior people who visited Qing recommended their juniors to the Chinese or the Chinese introduced their acquaintances to the envoys. He communicated in writing and exchanged poems and gifts all throughout his stay in China. The most important event during his stay in Shenyang for one month was to meet the emperor. Every activity of the emperor was reported through Ministry of Rites in real time and so the activities of envoys were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such activity of the emperor. Furthermore, he descried the details on a variety of feasts hosted by the emperor.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explains the details about the journey to Shenyang as the envoy which is clearly differentiated from Yanqing and the diary of Bak Raegyeom is generally and extensively investigaged.

      • KCI등재

        문학 : 한시에 나타난 가족애의 한 양상 -부녀 관계를 중심으로-

        박동욱 ( Dong Wuk Bak ) 온지학회 2012 溫知論叢 Vol.0 No.31

        남아선호사상은 딸의 존재는 아들을 낳은 후에는 잉여(剩餘)의 의미로, 아들을 낳기 전에는 결핍(缺乏)된 대상으로 만들었다. 이 때문에 부녀 관계는 아들을 대체할 수 없는 딸과 최소한의 책임감을 지닌 아버지로 대표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예상과는 달리 아버지가 딸에 대해 보이는 정은 지금과 다를 바 없으며, 오히려 드러나지 않는 속정은 곰살맞기까지 하다. 여자 아이의 출생에서는 아쉬운 감정을 숨기지 않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낙담하거나 실망하는 모습 또한 찾아볼 수 없다. 딸에 대한 감사와 사랑의 마음을 주로 표현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딸을 기르면서 느꼈을 감정은 요즘 아버지의 정서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딸을 시집보내는 아버지의 마음은 대견함과 상실감이 교차된다. 더군다나 지금처럼 왕래가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서 헤어짐의 아쉬움은 더욱 절절하다. 딸아이의 출산을 통해 순산(順産)에 대한 안도와 대견함을 드러낸 내용도 인상적이다. 시집간 딸아이를 공식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근친(覲親)을 통해서이다. 딸의 방문을 기다리는 아버지의 애타는 마음이 진진하다. 만남의 기쁨에 마음을 놓기도 전에 다시 이별을 준비해야 하는 아버지는 서운하기만 하다. 자식의 죽음은 인간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극한의 아픔이다. 자식을 앞세운 아버지의 심정은 어떠한 시보다 애달프다. 뿐만 아니라 사위의 죽음을 겪은 딸아이의 불행에 대해서도 함께 상심(傷心)하고 있다. 한시에 나타난 아버지와 딸의 모습을 통해 부성애도 모성애에 못지않은 깊이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딸에 대해서 아버지만이 가질 수 있는 가슴 시린 감정은 예나 지금이나 차이가 없다. Preference for male offspring made the existence of a daughter mean the surplus after having a son and the lack before having a son. Thus, in the father-daughter relationship, a daughter can`t replace a son and a fatehr has the minimum responsibility on her. However, unlike general expectations, the affection of a father toward a daughter is the same even in the past as in these days and the internal affection which is not exposed is even generous and broad. While a father doesn`t hide his sad feeling when a daughter is born, he is never disappointed nor downhearted. The poem expressed mainly a father`s affection and appreciation on a daughter and a father`s sentiment while raising up a daughter in the past stands comparison with that in these days. A father is proud of his daughter as well as feels sense of loss as giving his daughter away in marriage. Moreover, his lament from sending his daughter away was more earnest because it was difficult to visit each other at that time. It is also impressive that a father exposes his proud and feeling of relief on his daughter`s easy delivery. It was the bride`s first visit to her family after marriage when a father could officially see his daughter. A father`s anxiety as waiting for his daughter`s first visit after marriage is overflowing in poems. A father is sad because he has to be ready for sending his daughter away again even after he is delighted by his daughter`s visit for a short moment. A death of a child is the most painful experience for a human being. The poem about the father whose child is dead is more heartbreaking than any other poems. Furthermore, a father is so heartbroken about the misfortune of a daughter after her husband is dead. The expression on father and daughter in Chinese poems indicated that a father`s instinctive love was as deep as a mother`s instinctive love. The heartbreaking feeling which only a father can have to his daughter is the same in the past as in these days.

      • KCI등재

        고봉 기대승의 문인과 그 의미

        박동욱(Bak Dong wuk) 대동한문학회 2014 大東漢文學 Vol.41 No.-

        고봉 奇大升(1527∼1572)은 한국 지성사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그러나 현재 고봉의 문인은 거의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의 짧은 생애 탓에 학문이 단절되었던 이유가 컸다. 그 외에는 정치적인 구도가 크게 작용한다. 퇴계를 통해 존재 증명을 했지만 퇴계를 통해 그는 지워졌다. 퇴계와의 관계를 마냥 긍정적으로 볼 수만은 없는 부분이다. 퇴계가 엄청난 흡입력으로 고봉의 기억될 공간마저 사라지게 한 것은 아닐까. 또 율곡과는 반목이 심했다. 고봉의 정치적 견해에 대한 율곡의 반감은 생각보다도 훨씬 더하다. 이로써 그는 퇴계에게 흡수되고 율곡에게 배척되었다. 그는 동인, 서인 어느 쪽에서도 지분을 확보할 수는 없었다. 이호민을 포함한 거의 모든 문인들의 문집에서 고봉과 관련된 기록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의식적으로 기억에서 삭제하지 않고서는 설명하기 힘든 부분이다. 奇自獻(1562∼1624) 같은 사람의 정치적 선택도 고봉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던 것 같다. 그는 서인계에게 지탄을 받았고 동인계도 호의적으로 보지 않았다. 고봉의 문인들은 의병으로 활약한 이가 많다. 정확하게 그 숫자가 어떻게 되는지 현재로서는 파악할 수 없다. 하지만 이때 고봉의 문인들 중 상당한 인물들이 전란에 목숨을 잃었던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제자의 활동과 지명도가 스승 사후에 스승의 위치를 규정한다. 그를 가장 확실하게 기억해 줄 사람들의 부재는 그의 부재를 가속화시켰다. 본고는 고봉의 문인이 사라졌다는 것을 증명한 셈이다. 잊힌 그를 온전히 복원하는 데는 왜 잊혔는가에 대한 원인을 찾아보는 작업이 우선이어야 한다. 남은 자료가 많지 않지만 좀 더 치밀하게 하나하나 모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 작업을 계기로 관련 문인들의 자료 속에 흩어져 있는 고봉의 흔적들을 정밀히 추적해 볼 것을 기대한다. Gobong Gi Daeseung(奇大升, 1527∼1572) can't be missed in the discussion on the history of mentality in Korea. However,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re is almost none who knows him at present. It's mainly because his short life broke his academic life. Another reason was the political system. He was ignored in the literary world by Toegye even thought he became prominent through Toegye. Furthermore, he was severely at feud with Yulgok. The animosity of Yulgok against the political view of Gobong was beyond what anyone could imagine. Thus, he was ignored by Toegye but excluded by Yulgok. He couldn't secure his position both in Dongin(Easteners) and Seoin (Westeners). A significant number of writers who knew Gobong participated in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There is no data to accurately identify the number of such writers at present. However, a number of writers who were Gobong's acquaintance definitely died in the wars. The activities and publicity of disciples define their teachers' position in the society after the death of their teachers. The fact that there is none who can remind us of him accelerated his absence in the history of mentality in Korea. This paper proved that there were no more data on his acquaintances. It is required to find out why Gobong was completely forgotten before restoring his literary status. I hope the result of this paper will be the opportunity to throughly investigate his trace dispersed in the data of other writers

      • KCI등재

        절명시(絶命詩) 연구

        박동욱 ( Dong Wuk Bak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7

        세상을 뜨기 전에 마지막으로 남긴 시를, 절명시(絶命詩), 절필시(絶筆詩), 임명시(臨命詩), 임형시(臨刑詩), 사세시(辭世詩), 필명시(畢命詩), 자만시(自挽詩)라고 한다. 병으로 인해 회복이 불가능할 때나, 스스로 순절(殉節)을 결심하며 결행하기 전, 또는 정치적인 이유로 처형되기 전에 쓴 작품들로, 모두 죽음을 돌이킬 수 없을 때 전하는 마지막 전언(傳言)인 셈이다. 고승들이 입적할 때 수행을 통한 깨달음을 전하는 마지막 말이나 글을 임종게(臨終偈)라 한다. 다른 말로는 열반게(涅槃偈)·열반송(涅槃頌)·입적게(入寂偈)라고도 한다. 통상 육신의 허망함, 대자유를 얻은 해방감, 삶의 부질없음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일반 유자(儒者)들의 절명시가 삶의 연속성에서 죽음을 바라보는 것과는 달리, 임종게는 죽음이 삶과의 완전한 단절을 의미하는 것으로 파악한다. 보통 임종게는 이승에서의 가치나 인연에 전혀 연연하지 않고, 종교적 신념을 깔고 있으므로 절명시와는 별도의 문제로 다룰 필요가 있다. 절명시나 자만시 모두 자신의 죽음을 기록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절명시는 자만시보다 죽음과 더 지근(至近)한 거리에 있다. 자만시가 언제 맞을지 모를 죽음을 예비하는 성격이라면, 절명시는 회생(回生) 가능성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삶의 마지막을 정리하는 성격이 강하다. 표제(表題)가 자만(自挽)으로 되어 있지만, 죽음에 임박해서 지은 시라면 절명시로 분류하는 것이 온당해 보인다. 절명시는 다른 어떤 문학 작품보다 죽음에 근접해 있다. 죽음을 예기해서도, 타인의 죽음을 목격해서도 아닌 자신의 죽음에 대한 날 것 그대로의 기록인 셈이다. 절명시가 아직도 유효한 메시지가 되는 이유는 생의 마지막 순간에 아직은 살아있는 우리에게 주는 마지막 전언이기 때문이다. The death poem means the last poem written right before death. It is written as the last message left when the death is only way to choose including when it is impossible to live due to diseases, when dying for one``s chastity or when being executed due to political reasons. The death testament is the last message or writing which high priests express their enlightenment through asceticism when passing into Nirvana. Although the death poem by Confucian scholars look death on the continuity of life, death is the complete severance from life in the death testament. Death poem or assumed death poem have the same feature that the authors wrote their own death. However, the death poem is closer to death than the assumed death poem. Assumed death poem is to prepare the death which they are not sure when it comes. On the contrary, the death poem more tends to settle the last moment of life without any possibility for recovery. The death poem is closer to death than any other literary works. It``s the records on the own``s death itself. It``s not written by estimation on death or by observing others`` death. The death poem is the message which is still effect because it is the last message to ourselves still alive at the last moment of life.

      • KCI등재

        일반논문 : 동호거실에 나타난 자아의식(自我意識) 연구

        박동욱 ( Dong Wuk Bak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9

        이언진(1740∼1766)은 불과 27살에 요절한 천재 시인이다. 그의 시집에는 짧았던 생애만큼 많지 않은 수의 작품들이 유일한 흔적으로 남아있을 뿐이다. 『동호거실』은 자의식의 다양한 토로를 보여 준다. 본고에서는 『동호거실』을 중심으로 그의 자아의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부분의 해명을 통해서 이언진 문학에 한걸음 더 가까워지기를 기대한다. 이언진의 『동호거실』은 170수로 구성된 연작시이다. 보통의 연작시와는 다르게 계기적인 흐름이 존재하지 않는다. 의식이 흘러가는 대로 자연스레 기술한 내용들이다. 이 작품이 자의식(自意識)의 과잉에 가까운 토로가 주를 이룬다는 것은 부정키 힘들 것 같다. 이언진은 끊임없이 자신에 대해서 천착하고 있다. 그는 "나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찾고자 애를 썼다. 오만함에 가까운 자부심을 갖고 있으면서도, 현실에서는 소외받고 있다. 가족에게는 무력한 가장의 지위에, 문단에서는 비주류의 길에 놓여 있었다. 그래서 남들과의 소통을 단절하고, 스스로 자신을 높이는 자존(自尊)의 길을 찾았다. 그가 격멸하는 삶이란 나답지 못한 삶이다. 그것은 참 나[眞我]가 아닌, 거짓 나[假我]의 삶이다. 그의 시에서는 저잣거리와 관리가 이것을 대표하고 있다. 그렇기에 현실적인 보상을 부정하고, 자신을 견고히 하는 유폐(幽閉)의 삶을 지향한다. 또한 그는 남들과의 단호한 단절 속에서 참된 나를 찾고자 했다. 남의 문체나 도습하고 모방하는 데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목소리로 문단(文壇)에 자리매김하고자 했다. 그러기 위해 백화(白話)를 사용한 6언 시 창작을 시도하기도 했다. 여기에는 왕세정, 원굉도, 수호지의 독서 흔적이 상당 부분 반영 되었으며, 유·불·선(儒佛仙)의 다양한 사상적 편력도 엿볼 수 있었다. Yi Eonjin(1740~1766) is the highly-gifted poet dying at 27. The only trace of his life is his poems which are not so many like his short life. "Donghogeosil" reveals a variety of his self-consciousness. This study examined his self-consciousness around "Donghogeosil." I hope this study be the opportunity to come closer to his works. "Donghogeosil" by Yi Eonjin is a series of poems comprising 170 poems. Unlike other series of poems, the successive flow doesn`t exist in "Donghogeosil." The works in "Donghogeosil" described whatever to be said by his consciousness as it is. It may be hard to deny that his works in "Donghogeosil" comprised mainly reveals which were nearly excess of self-consciousness. Yi Eonjin ceaselessly inquired into the self. He tried to find out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I?" In spite of the self-esteem which was nearly arrogance, he was neglected in reality. He was the powerless head in his family and in the fringe group in the literary world. Thus, he stopped communication with others and found the way to self-esteem elevating the self by himself. The life which he despised was the unusual life which was not mine. Unusual life is the life not by true self but by fake self. The streets and government officers in his poems represented the unusual life. So he denied the realistic compensation but pursued the life confining himself to strengthen the self. Furthermore, he put every endeavor to find out true self as being resolutely cut off from others. Beyond following or imitating others` literary styles, he wanted to find out his position in the literary world only by his own voice. To this end, he tried 6-word poems using colloquial Chinese. Those poems reflected substantial influences from Wang Shizhen, Yuan Hongdao and Shui-Hu-Zhi as well as a variety of ideological exploits o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 KCI등재

        교육 : 고전에서 찾은 대학 인성 교육의 해법

        박동욱 ( Dong Wuk Bak ) 온지학회 2014 溫知論叢 Vol.0 No.40

        인성 교육은 한마디로 말해 인간다운 인간을 만드는 것이다. 동양 고전은 인성 교육에 가장 이상적인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서(四書)만 하더라도 수신(修身)과 인간관계에 대해서는 더할 나위 없는 교과서라 할 수 있다. 그밖에 고전들도 따로 인성 교육이라 표방하지 않았지만 대체로 인성 교육에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본고에서는 고전에 나타난 인성 교육 문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참된 나를 찾는 것은 그 어떤 일보다 중요하다. 가끔 나를 타자(他者)화 하는 훈련이 필요하며, 남들의 조언이나 충고를 통해 자신을 점검하는 시간들이 필요해 보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왜곡되지 않은 나를 찾았다면, 그 다음에는 더 좋은 인간이 되기 위한 수신의 과정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지나친 개성을 강조하는 교육도 한번쯤 재고할 필요가 있다. 뛰어나고 창의적인 인재를 양산하는 공(功)도 있었지만, 자신밖에 모르는 독불장군을 키우는 과(過)도 있었다. 남들과의 관계는 고통스럽다. 인간관계가 쉬운 사람은 아무도 없으나 어렵다고 포기할 수 있는 일도 아니다. 모든 공부의 전제는 역시 예절 습득에 있다. 아울러 생명에 대한 경외도 잊지 않아야 한다. 정말로 동물을 사랑하는 사람은 인간을 사랑하기 마련이다. 인간에 대한 혐오가 동물에 대한 사랑으로 바뀐다면 진정으로 생명을 사랑하는 태도가 아니다. 제자, 자식에 대한 인성 교육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지만 여전히 쉽지 않은 문제다. 그러나 가장 본질적인 교육이 여태 무시되어 왔다는 사실만은 분명해 보인다. 교육과정에서 인성 교육이 당당하게 한 축을 담당하기를 바라고 또 기대해 본다. To be brief, personality education is to cultivate humanistic people. The oriental classics can be the idealist text in personality education. While other classics didn`t claim to stand for personality education, those classics also include the contents related to personality education.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ersonality education observed in classics. Finding out the true self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things. It is required to train the self to be the objective other. It is also necessary to have time to check the self through advice or mentors. Next is the process to cultivate morals to be better person. The prerequisite for all kinds of studies is learning etiquettes. When we successfully make the ideal relation with parents, teachers or friends on the basis of the etiquettes, the relation with those whom we don`t know will be naturally restored. Furthermore, we should not forget about the respect on life. Those who really love animal can love people. The personality education was discussed up to now, but it is still difficult issue. However, this paper clarified that the fact that the most essential education was ignored most. It is expected that personality education will play the significant role in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기획논문: 문학의 통속화, 통속의 문학화 : 조선시대 일기에 나타난 성 의식 -보이는 성, 숨겨진 성-

        박동욱 ( Dong Wuk Bak ) 근역한문학회 2014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9 No.-

        성(性)이란 매우 개인적인 차원의 일이다. 성 문제에 있어서 은폐나 왜곡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문집은 말 그대로 저자 본인에 의해 한 번, 문집을 간행할 때 그와 관련된 관계자들에 의해 또 한 번 선별이 되는 까닭에 고인에게 누가 될 기록은 빠지기 마련이다. 반면 일기는 아주 개인적인 기록으로 날것 그대로를 담고 있어 내밀한 성 체험에 대한 기록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일기도 자기 검열이 없을 수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빈번히 등장하는 성경험에 대한 기록은 그것이 별반 흠이 되지 않았음을 반증하고 있다. 조선은 정말 금욕(禁慾)을 절대선으로 믿고 실천했으며, 성적(性的)으로 매우 억압된 사회였을까? 본고에서는 일기 속에 나오는 성적 체험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성의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얼, 열녀, 축첩, 처첩 간의 갈등까지 많은 문제들이 성 문제와 연동되어 있다. 그러나 문제의 본질인 성 그 자체에 대해서 당시에 주목한 사람들은 거의 없다. 남성의 성욕에 대한 관대함은 상대적으로 여성의 성을 억압하는 방향으로 틀어진다. 여성은 무성(無性)의 존재로 만들어 놓았으며, 열녀(烈女)의 삶을 강제했다. 엄격한 부도(婦道)를 강조하며 가부장제를 곤고히 했고, 현모양처(賢母良妻)라는 이름으로 자발적인 사회적 활동을 봉쇄하고 가족 내에 얽매어 두었다. 자신의 성욕으로 파생한 결과물인 자식마저도 서얼이란 이름의 딱지를 붙여서 사회 주류로 편입되는 것을 막아, 자신들만의 견고한 성을 구축해 놓았다. 성 문제는 지금껏 우리가 믿고 싶고 보고 싶은 조선이 아니라, 조선의 민낯을 여실하게 보여준다. 낯설지만 외면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 남성의 자유분방한 성생활이 과연 우리 사회에 어떤 변화를 일으켰는지 주목해야 한다. Sex is included in very personal dimension. Hiding or distorting related to the sexual issues may be a matter of course. Collection of works don’t include the records which may damage the honors of the deceased. However, since diaries contain the personal records without hiding, it is not difficult to find out the records on the intimate sexual experience. This paper investigated the sexual awareness in Joseon period with the focus on the sexual experience observed in diaries. A number of problems including concubines`` sons, chaste women, concubinage and conflicts among concubines were related to sexual issues. However, there were a few people who paid attention to the sex itself, the nature of the sexual problems at that time. Generosity on the sexual desire of men was accepted, but the sexual desire of women was relatively oppressed. Men built their own strong castle by preventing the children born by their sexual desires to enter into the mainstream society by naming them ‘concubines`` sons’. The sexual issues showed the true appearance of Joseon, not Joseon which we wanted to identify and believe. It’s the fact which is strange to us but we can’t ignore. We have to focus on what kinds of changes were made by such freewheeling sexual life of men in our society.

      • KCI등재

        연객 허필의 예술 활동과 일상성의 시학

        박동욱 ( Dong Wuk Bak ) 한국한문학회 201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6

        허필(許필, 1709~1768)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서화가였다. 본관은 양천(陽川)이고 호는 연객(煙客)·초선(草禪)·구도(舊濤)이며, 자는 여정(汝正)이다. 그는 시서화(詩書畵)에 모두 뛰어난 인물로 알려져 있으나, 자료를 찾을 수 없어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최근에 그의 시집이 발굴된 이후로 시집에 대한 전반적인 실체가 규명된 정도이다. 煙客詩稿에 남아 있는 시편들을 통해 그의 생애를 재구해 보고, 시단(詩壇)과 화단(畵壇)의 주요 인사들과의 교유를 살펴보며, 그의 시세계를 전반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허필은 200수의 많지 않은 작품을 남겼지만, 작품의 숫자와 관계없이 인상적인 작품들이 적지 않았다. 그의 시들은 대부분 일상적인 이야기들을 담고 있지, 관념적이거나 음풍농월하는 시들은 많지 않다. 일상적 현실을 비범한 시각으로 포착하려고 애썼던 것으로 보이긴 하나, 때로는 지나친 자의식이 작품의 격을 떨어뜨리는 우를 범하기도 하였다. 일상적인 감정에 충실한 시에는 현실의 불우, 노년에 대한 탄식, 나른한 감회 등이 점철되어 있었다. 이 시들은 그의 내면세계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다만 지나치게 감상적인 부분은 그의 시가 지니는 일정한 한계로 보인다. 또 그는 죽음이란 명징한 사실을 미화하여 표현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그려 내었다. 인상적인 장면을 엮어서 고인을 재구(再構)한다거나, 시편에 고루 퍼져 있는 탁월한 발상은 혜환이용휴의 구기(口氣)마저 느끼게 했다. 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사건이나 풍경을 그만의 독특한 시각으로 풀어내는 재주가 있어, 별다른 의미가 없어 보이는 공간이나 사건들에서도 그의 필치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도출해 내고 있다. Heo Pil(1709~1768) was the scholar and calligraphic painter in late Joseon period. The family clan started from Yangcheon and his pen name was Yeongaek, Choseon and Gudo. The chlidhood name was Yeojeong. While he was known to be excellent in poems and paintings, the researches on him were not done much because there isn`t much data on him. Since his collection of poems was recently found, only the existence of his collection of poems was verified. This study examined his life, exchange with important figures at that time and his poetic world using the poems in "Yeongaeksigo."Heo Pil left not so many works of about 200 poems, but his works are very impressive regardless of the number of works. Most of his poems contain the ordinary stories. There are not many works which are abstract. Moreover, he didn`t compose the poemsabout enjoying the bright moon or fresh wind. While he tried to capture the daily reality with the unusual point of view, sometimes he made the mistake to spoil the dignity of his works by excessive sense of identity. The poems which faithfully described the common emotions are riddled with unfortunate reality, sigh in the old age and listless memory. His poems contain very important meaning to understand his inner world. However, the excessively emotional parts seem to be a certain limit in his poems. Moreover, he described the death as it was without beautifying the death, the clear fact. Memorizing the deceased by weaving impressive scenes or exceptional idea widely infused in his poems remind us the way of thinking of Hyehwan Yi Yonghu. Furthermore, he has the distinguished ability to describe a daily event or a scene with his unique point of view. Thus, he dew the new meaning even from insignificant spaces or events by his ability to describe.

      • KCI등재

        천연두, 그 아픔과 상실의 기억 -장혼(張混)의 「기척(記慽)」을 중심으로-

        박동욱 ( Dong Wuk Bak )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2 No.-

        Smallpox was too general and fatal disease in accordance with the ancient records. It was difficult to treat smallpox because of short period of outbreak. Moreover, the probability of misdiagnosis to other diseases was very high until the definite symptoms appeared. Thus, smallpox was the sad disease which people couldn``t help staking their destiny to taboo or pray. “Gicheok” by Janghon described the actual prescription on smallpox in very details. It is the important data to examine the actual treatment on smallpox. He described the entire process from the first stage of smallpox observed in his grandson to his death in detail. Gicheok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records presenting several fragmentary episodes or furiously expressing emotions as being indulged into sorrow itself. As detailing the whole process of struggle against the disease, he objectively and cold-heartedly described the conflicts with a doctor, symptoms of the grandson, prescription and treatment. All endeavors were meaningless and only regret remained at the end of fierce struggle against the disease. The latter half of the records comprised mainly sense of loss and regret from the death of the grandson. Gicheok is enough to be the masterpiece in the literature of mourning because of the vivid description on the piercing sorrow after losing the grandson as well as on the pathetical endeavor of the grandfather who strived not to lose the grandson.

      • KCI등재

        조선 지방관의 고단한 서북(西北) 체험 : 「북정고」를 중심으로

        박동욱 ( Dong Wuk Bak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3 嶺南學 Vol.0 No.23

        심언광(沈彦光, 1487~1540)은 조선 중종 때의 문신으로 본관은 삼척(三陟), 자는 사형(士炯), 호는 어촌(漁村)이다. 어린 나이에 과거에 급제한 재사(才士)였다. 최고의 감식안을 지녔던 허균(許筠)은 그를 당시 문단에서 정사룡(鄭士龍)에 버금간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것만으로도 그의 시가 범상한 수준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심언광의 생애에서 김안로(金安老)는 큰 부분을 차지하는 동시에 악연으로 얽힌 인물이다. 김안로는 기묘사화를 통해 정계에 급부상하였다가 곧 그 세력을 경계하는 인물들로 말미암아 조정을 떠났는데, 그를 다시 조정에 불러들인 장본인이 바로 심언광이다. 처음에는 그들의 사이가 돈독하였으나 끝내 사이가 틀어져 심언광이 1537년 함경도 관찰사로 쫓겨나기도 했다. 전통적으로 서북 지역은 그 지역민이 홀대 당한 것은 물론이고, 그곳에 부임되는 지방관 또한 좌천의 성격이 강했다. 「북정고」는 심언광이 함경도 관찰사로 있을 때의 체험을 담고 있다. 뒤에 아주 잠깐 중앙 관직으로 복귀하기는 했지만 그에게 있어서 함경도 관찰사는 실질적으로 마지막 관직이라 할 수 있다. 함경도 관찰사로 출사하기는 했지만 사실 좌천의 성격이 강했다. 자신의 잘못된 판단에 대한 자탄과 회한이 주를 이룬다. 이릉, 가의, 굴원, 소무 같은 이들에게 빗대어 자신의 심정을 표출했다. 여기에 보이는 시들은 거의 유배객의 심사와 다를 바 없다. 아무래도 낯선 풍속과 풍토는 중앙 정계에서 오래 활동한 노신(老臣)에게는 심신(心身) 모두에 있어서 견디기 힘든 문제였다. 여기에서 벌어지는 어떤 사안에 대해 자신이 적극적으로 개입해서 해결하려 하기보다는 방관자의 시각을 벗어나지 못한다. 이러한 의식은 대부분의 소외된 지역에 파견된 관리에게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함경도는 국경과 인접해 있어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지이다. 지리적인 위치 탓으로 국경 문제로 인한 분쟁이 심심치 않게 벌어졌다. 공무에 대해서 커다란 의지를 표명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변방 영토의 수복이나 방어에 대한 의지만은 잊지 않았다. 그가 함경도에 부임하게 된 상황이나 시기를 볼 때 개인적으로 매우 모욕적으로 받아들일 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상황을 타개해 줄 사람은 역설적으로 이러한 상황에 놓이게 한 주체이기도한 임금밖에 없었다. 매우 간절하게 연군(戀君)을 외칠 수밖에 없는 아이러니한 상황이었다. 그의 정서는 유배객의 모습과 다를 바 없었다. 심언광에 대한 연구는 아직 시작에 불과하다. 그의 생애 전체를 포섭하여 전망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와 함께 세밀하게 특정 시기의 시들을 분석하는 작업이 함께 이루어져 할 것이다. 이번 연구가 문학사에서 정당한 평가를 받고 있지 못하고 있었던 심언광 문학의 위상이 제자리를 찾는데 작은 단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Sim Eongwang(沈彦光, 1487~1540) was the civil officer during the King Jungjong`s reign during Joseon period. His family clan was Samcheok(三陟), his courtesy name was Sahyeong(士炯), and his pen name was Eochon(漁村). He was the man of talent passing the government examination when he was young. Heo Gyun who had the best discerning eye evaluated that he was second only to Jeong Saryong in the literary world at that time. While he started the government service as the provincial governor of Hamgyeong-do, it was a kind of demotion. His literature mainly comprised the self-complaint and regret caused by his own wrong judgment. It would be very difficult for an old retainer who worked in the central government for a long time to endure strange customs and environment in his body or mind. He couldn`t escape from the point of a bystander instead of the attempt to progressively interfere and solve any events occurring in such environment. Hamgyeong-do is the very critical fort in the military aspects because it is close to the border. Although he didn`t express any significant wills on the public affairs, he didn`t forget the wills to restore or protect the territory around the border. He could consider the appointment to Hamgyeong-do provincial governor was very insulting. Paradoxically, it was only the king, the principal agent putting him in that situation, who could resolve the situation. It was ironic situation which he couldn`t help pledging the loyalty to the king very eag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