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伊藤東涯의 『三韓紀畧』편찬과 조선 연구

        박대재(Park, Dae Jae)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29

        1704년 일본 京都 古義堂 2代 當主 伊藤東涯(1670~1736)에 의해 편찬된 『三韓紀畧』은 일본에서 최초로 편찬된 조선 전문 地志이다. 그 안에는 고조선(檀君)부터 조선 중기(宣祖)까지 한국의 역사와 제도가 백과사전식으로 서술되어 있다. 특히 渤海의 역사가 신라, 백제, 고구려 등 삼국과 고려의 사이에 서술되어 있다는 데 특징이 있다. 이것은 柳得恭의 『渤海考』(1784)보다 앞서 나타난 발해사에 대한 주목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東涯는 『삼한기략』 이전에 「朝鮮壤墜之圖」, 「朝鮮國官階頒祿圖」, 「朝鮮國官制 」등을 지었는데, 이들이 『삼한기략』의 주요한 기초 자료가 되었다. 『삼한기략』은 東涯 말년까지 교정 작업이 계속되면서 끝내 목판본으로 간행되지 못하고, 여러 종의 필사본으로만 전해지고 있다. 다만 『삼한기략』 가운데 조선시대 관제 부분은 1711년 『朝鮮官職考』로 간행되어 널리 유통되었다. 『삼한기략』이 필사본으로 유통되었지만, 1747년 제작된 『三韓世表』의 전거자료로 이용되면서 그 내용은 상당히 널리 보급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Sankankiryaku (三韓紀畧) is the first ethnography of Korea published in Japan. It was compiled by Ito Togai (伊藤東涯, 1670~1736), who was the second head of the Kogidou (古義堂), at Kyoto in 1704. The book narrates the history and system of Korea from the Old Chosŏn to the mid-Chosŏn period(the reign of King Sŏnjo) in encyclopedia format. Particularly, the book is noteworthy that the history of Parhae is written in the clause between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Koryŏ dynasty. Ito Togai paid attention to the history of Parhae earlier than Yu Tŭkkong (柳得恭)’s Parhaego (渤海考, written in 1784). Apart from Sankankiryaku, he wrote Chosenjonozu (朝鮮壤墜之圖), Chosenkokukankaihanrokuzu (朝鮮國官階頒祿圖), Chosenkokukansei (朝鮮國官制), and etc.. Later, these materials became the basic sources for compilation of Sankankiryaku. As Togai continued to proofread the book until his latter years, Sankankiryaku was never published as a block book, but distributed as a format of manuscript. Still, among “Shokuhinryaku (the outline of officials ranks; 職品略)” in the book, the officials in the Chosŏn period was published under the title of Chosenkanshokukou (朝鮮官職考) in 1711. Sankankiryaku has been circulated as a manuscript, but it seems to have been widely used as it was used as the base source of Sankanseihyou (三韓世表) made in 1747.

      • KCI등재

        夫餘의 왕권과 왕위계승 : 2~3세기를 중심으로

        박대재(Park Dae-jae) 고려사학회 2008 한국사학보 Vol.- No.33

        夫餘의 왕권에 대해 기존 연구들은 中國댐과의 우호적인 관계, 諸加共立에 의한 왕위계승, 풍흉에 따라 왕을 교체하거나 살해하는 풍속 등을 근거로 대외 의존적이며 제가들에 의해 제약 받았던 연맹왕적 성격으로 이해했다. 그러나 『後漢書』와 『三國志』의 기록을 새롭게 검토해 본 결과, 부여의 왕위계승은 2세기 초 이래 이미 嫡子相續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또한 夫餘 · 高句麗 · 後漢 사이의 상호관계(전쟁 및 교빙) 및 부여 국내의 宮室, 倉庫, 牢獄의 존재를 통해 볼 때 夫餘王은 국내외적으로 자율성을 갖춘 國家(state) 단계의 왕권을 가지고 있었다고 파악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kingship and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from the 2nd century to the 3rd century in Puy?, the ancient Korean state in middle Manchuria. The previous studies on the topic understood that the kingship of Puy? was dependent on the Chinese Commandery and was restricted by the several ka-the noblesse. However according to the San-kuo chih and Hou Han shu the throne was succeeded by the legitimate son of king namely primogeniture. and the king of Puy? outside made war with the Chinese Commandery and inside had royal chamber. warehouse. and prison for his ruling. This suggests that the kings of Puy? were independent on the Chinese Commandery and exercised domain over the people. As it is. the kings of Puy? were coming into self-imposed power both inside and outside as a king of an autonomous stat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古朝鮮과 燕ㆍ齊의 상호관계

        박대재(Park Dae-Jae) 한국사학회 2006 史學硏究 Vol.- No.83

        기원전 323년 무렵 燕은 齊의 ‘稱王’에 영향을 받아 왕호를 자칭하며 동쪽으로 朝鮮을 침공하려고 한다. 이에 朝鮮도 스스로 ‘王’을 칭하며 燕을 공격하려고 하였으나, 朝鮮의 大夫 禮의 유세에 의해 양국 사이의 군사적 충돌이 사전에 무마되게 된다. 한편 齊와 朝鮮은 춘추시대 이래로 산동반도와 요동반도를 연결하는 廟島列島의 해상로를 통해 우호적인 교류 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었다. 그러다가 기원전 314년 齊가 燕의 내란을 틈타 침공하자 朝鮮도 燕의 동쪽 변경지역 즉 遼西지역에 침입했던 것으로 보인다. 『鹽鐵論』과 『博物志』에 전하는 朝鮮의 燕 침공 기록은 바로 燕의 대혼란기(314~312 B.C.)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齊의 침공으로 王이 사망하고 거의 멸망상태에 이르렀던 燕은 기원전 311년 燕 昭王이 즉위하면서 혼란을 수습하고 齊에 대한 보복을 준비하게 된다. 燕 昭王은 28년간 추진한 부국강병의 결과로 기원전 284~283년 드디어 齊를 정벌하여 거의 몰락시키기에 이른다. 그리고 곧이어 燕은 기원전 282~280년에 북쪽의 東胡와 동쪽의 朝鮮을 공격하여 크게 퇴각시킨다. 특히 燕將 秦開의 朝鮮 침공은 산동반도에 남아있던 齊의 잔여세력을 염두에 둔 전략적인 군사행동으로 이해되는데, 燕의 최종 공격 목표가 요동반도 서남부 해안지대의 ‘滿番汗’이었다는 사실은 이러한 가능성을 제고시킨다. 滿番汗지역은 요동반도와 산동반도를 연결하는 해상교통로의 朝鮮 쪽 거점으로, 燕은 遼西지역을 침입했던 조선에 대한 반격이라는 의미와 함께 齊의 잔여세력과 朝鮮의 연결 가능성을 말소한다는 전략적 차원에서 滿番汗지역을 최종 공격 목표로 하여 朝鮮에 대한 공격을 단행한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eer polity interaction of Old Chos?n, Yan, and Qi from the late 4<SUP>th</SUP> century to the early 3<SUP>rd</SUP> century BCE. In the introductory chapter, I represent the summary of previous studies on the topic and review the problems of those. In the previous studies only the relation between Old Chos?n and Yan has been focused, but the agency of Qi that was the military rival of Yan and the commercial partner of Old Chos?n has been ignored. The second chapter is on the interactional state formation process of Old Chos?n, Yan, and Qi around 323 BCE. In this chapter I suggest that the interactional birth of king(Wang) in these states implies archaic ‘state’ formation. The third chapter provides a historical approach to the interactional attack of Qi and Old Chos?n toward Yan from 314 to 312 BCE. According to the Yantieiun and the Bowuzhi, there was Old Chos?n’s invasion to Yan’s eastern region around 314 BCE when Qi plundered Yan’s ten castles. In the final chapter, I assert that from 284 to 280 BCE the expansion of Yan brought about interactional decline of Qi and Old Chos?n. As it is, Old Chos?n’s Manb?nhan that was Yan’s final attack point around 280 BCE was a important spot linking Old Chos?n and Qi through maritime route between Liaodong peninsula and Shandong peninsula.

      • KCI등재

        고조선 이동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박대재(Park Daejae)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5

        최근 학계에서 비교적 많은 공감을 받고 있는 고조선 중심지 이동설은『위략』에 보이는 연장(燕將) 진개(秦開)의 요동 진출 기록에 근거하고 있다. 기원전 3세기 초 연(燕)의 요동 진출을 계기로 고조선의 중심지가 요동[險瀆]에서 평양[王險城]으로 이동했다고 보는 것이다. 하지만『위략』에는 연이 침공했던 지역이 고조선의 중심지가 아니라 그 "서방(西方)"이었다고 나온다. 연의 침공지역은『사기』조선전에는 "진번(眞番)·조선(朝鮮)"으로 나오고『산해경』에는 한수(漢水) 동북의 "맥국(貊國)"으로 보인다. 연이 공격했던 조선의 서방은 바로 진번(古眞番), 맥국을 가리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古)진번(眞番)과 맥국의 위치는 서요하(西遼河, 遼水)와 동요하(東遼河, 沛水)가 합류하는 요북(遼北) 지역(鐵嶺 이북)으로 비정되며, 연과 조선의 경계가 된 "만번한(滿番汗)"돋 동요하 유역에 위치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연의 요동 진출은 고조선의 서방 세력을 멸망시켜 고조선 약화에 영향을 미쳤지만, 그 중심지 이동과는 무관하였다고 판단된다. The theory that the capital of Old Chosǒn (古朝鮮) moved, which has been widely accepted in recent years, is based upon the records regarding Qinkai (秦開), a general in the Yan (燕) state, who, according the the Weilue (魏略), invaded the Liaodong (遼東) region. In other words, this theory explains that the capital of Old Chosǒn moved from Xianduu (險瀆) in the Liaodong region to P" yǒngyang (平壤). Yet, the Weilue indicates that the region which the Yan state invaded was its "western area" (西方) rather that the capital. While the region into which the Yan state invaded was "Chinbǒn" (眞番朝鮮)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Chosǒn (朝鮮傳) in Shiji (史記), Shanhaijing (山海經) identifies the region as "Maekkuk" (貊國; the state of Maek) in the area northeast of the Han River (漢水). Thus, it is possible that the "western area" would of Chinbǒn and Maekkuk is considered to be the area of Liaobei (遼北), where the Xialiao River (西遼河, onee of the headwaters of the Liao River) and the Dongliao River (東遼河; the Pei River) meet. In regard to this suggestion, Manbǒnhan (滿番汗, or Bǒnhan 番汗), which was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Yan state and Old Chosǒn was likely located neara this region. Although the Yan state defeated Old Chosǒn"s states and ultimately undermined Old Chosǒn, the Yan state"s invasion wa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ransfer of the Old Chosǒn capitala.

      • KCI등재

        변진사회의 분화와 구야국의 성장

        박대재(Park, Dae-Jae) 한국고대사학회 201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4

        진한 12국은 辰王에게 속해 있었고, 변진 12국에도 별도의 왕이 있었다고 한 것으로 보아, 변진과 진한은 정치적 통속 관계에 의해 구분된 사회임을 알 수 있다. 김해 구야국은 중국군현과 왜를 연결하는 해상교역체계를 이용해 대국으로 성장하였다. 3세기 초 구야국은 포상 8국의 침공을 극복하고 함안의 안야국보다 우위에 있는 변진 12국을 대표한 왕으로 대두하였다. 하지만 3세기 중엽 이후 낙랑군-예맥-진한을 중심으로 한 육상교역체계가 부활되면서, 대방군을 중심으로 한 해상교역체계에 속해 있던 구야국은 피해를 보게 되었다. 3세기말의 상황을 전하는 『진서』 동이전에서 변진이 따로 보이지 않고, 변진 12국이 진한에 속해 있다고 한 것도 이러한 변화상을 보여준다. 3세기말 이후 구야국은 중국과의 교섭대신 왜국과의 양자교역을 더욱 활성화시키면서 새로운 교역체계를 주도하였다. 김해지역 대형 목곽묘에서 출토된 외래(북방계·왜계) 유물을 통해, 구야국을 매개로 북방의 고구려(동예) 및 신라와 열도의 왜가 연결된 교역체계가 존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세기말 이후에도 구야국은 대륙과 열도를 잇는 교역항을 가진 초기국가로 지속 성장해, 가야의 종주국(임나가라)으로 발전했던 것이다. Around 280 AD, the lord of Mahan(or King of Mahan) and the king of Chinhan sent envoys to Western Jin(西晉). Since Sanguozhi was compiled around this period, it is likely that Western Jin realized Mahan and Chinhan as local body politics of Han. Considering the record that 12 countries of Pyŏnhan had a king, Pyŏnjin might be appreciated by China as a group of the local powers with a king as a central figure as well. A big country generally had seven times population than a small country in Pyŏnjin, and Chief(巨帥) class was differentiated into five levels from Sinji(臣智) to Ŭpch’a(邑借). This phenomenon of differentiation indicates that the society of Pyŏnjin had a pluralistic structure, which had a group of small countries with a big country as a center. This type of structure, which can be identified as an early state, would be spread in each region. With its geopolitic advantage as a central port city on the marine routes in the third century and exportation of iron to Han, Ye(濊), Wa(倭), Lelang(樂浪) and Daifang(帶方) Prefectures, Kuya could be developed into a port city state. Although the marine trade of Kuya was threatened by the Eight P’osang Countries(蒲上八國), Kuya could overcome this challenge and develop into the central power(a king) of Pyŏnjin. Yet, when the trade route to connect the Lelang Prefecture and Chinhan(辰韓) flourished after the battle of Kiriyŏng in 246, the marine trade that Kuya and Daifang Prefecture played the major roles was beginning to decline. As a result, Kuya concentrated more on the trade with Wa, rather than the Chinese prefectures. The phenomenon that the Wa relics after the late third century are being concentrically excavated in the Kimhae region indicates the growth of the trade between these two regions during this period.

      • KCI등재

        문헌에 나타난 신라의 성립과 사로국

        박대재(Park, Dae-Jae) 한국고대사학회 202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100

        그동안 신라사 연구에서는 4세기 중·후반 내물왕대를 전후로 신라의 국가성립 과정에 획기적인 변화가 있었다고 상정해 왔다. 내물왕대를 실질적인 고대국가 성립기로 보면서 그 전의 진한 사로국 단계와 엄격히 분별해 본 것이다. 이러한 4세기 분기론에서는 『三國志』, 『晉書』 등 중국 정사의 기록을 보다 신뢰하며 『三國史記』 신라본기의 맥락을 분해해 보려는 입장을 견지한다. 하지만 4세기는 5호 16국의 분열과 혼란으로 인해 중국의 역사기록이 불완전한 시기였기 때문에 그에 근거해 신라사의 전개 과정을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신라의 기원은 진한이 아니라 사로국에 있으며, 경주지역의 소국이었던 사로국이 2~3세기 영역을 확장하며 진한 지역을 아우른 왕국으로 발전하는 연속선상에서 신라의 성립을 이해해야 한다. Until now, studies about the history of Silla had estimated that there was a groundbreaking change in the process of the state establishment of Silla around the reign of King Naemul (奈勿王) in the middle of the fourth century.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reign of King Naemul was practically the period of the formation of Ancient State (古代國家), it was to strictly distinguish the previous stage of Saroguk (斯盧國 ; Saro State) from the later stage. Generally, this divergence theory in the fourth century adhere to the position that attempts to disassemble the contexts of the Annals of Silla in Samguk Sagi, more trusting the records of Chinese official history documents such as Sanguozhi (三國志) or Jinshu (晉書). However, because of the chaos and division during the period of Five Barbarians and Sixteen Kingdoms, the historical events of China in the fourth century was not completely recorded. Thus, it is inappropriate to measur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illa’s history based on those incomplete records. The origin of Silla was not in Chinhan (辰韓), but in Saroguk.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ormation of Silla by taking the consecutive series of its developmental processes from a small country in Kyŏngju area to a kingdom encompassing the regions of Chinhan through the territorial expansion from the second to third century into account.

      • KCI등재

        삼한시기 논쟁의 맥락과 접점

        박대재(Park, Dae-Jae) 한국고대사학회 201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7

        馬韓, 辰韓, 弁韓(弁辰) 등 삼한이 백제, 신라, 가야 등 3국의 전신 내지 모체였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삼한과 3국의 시기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학계의 정설이 서있지 않다. 이런 가운데 4세기를 전후해 삼한이 3국으로 전환되었다고 보는 ‘前史論’이 최근 제기되고 있다. 4세기 이후 삼국시대와 그 이전의 삼한시기를 구분하며, 삼한을 백제, 신라, 가야의 前史로 다루는 것이다. 한편 4세기 이전을 삼국시대 전기로 보고 삼한과 3국의 국가형성 과정을 연결해 보는 경향은 ‘前期論’이라 명명되어 전사론과 대비되고 있다. 최근 논의에서 전사론과 전기론이 크게 다른 논지인 것처럼 대조되고 있지만, 사실 양자의 구분 자체가 다소 주관적인 것이다. 삼한과 삼국시대를 기원 전후로 명확히 구분해 보았던 전통적인 ‘前代論’과 달리, 전사론이나 전기론 모두 삼한의 하한을 魏·晉代까지 내려 보며 3국의 역사를 삼한의 斯盧國·伯濟國·狗邪國으로부터 파악하고 있다. 전사론과 전기론 모두 삼한을 3국의 起源史(origin history)로 보고 있다는 점에서 ‘源史論’이라 묶어 볼 수 있다. 전사론과 전기론의 접점에 주목해 보면, 삼한의 伯濟國, 斯盧國, 狗邪國은 백제, 신라, 가야의 기원으로써 삼국시대에 포괄되며, 삼한은 이들 중심 大國과 주변 小國의 상호관계로 이루어진 초기국가들의 복합체라고 이해할 수 있다.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ree Han(三韓) such as Mahan(馬韓), Chinhan(辰韓), Pyŏnhan(弁韓, or Pyŏnjin ; 弁辰) were former self or matrix of the three countries including Paekche(百濟), Silla(新羅), and Kaya(加耶). Yet, academic circle have not provided an orthodoxy to establish a period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Hans and the three countries. Recently, “Former History Theory”(前史論), which insists that the Three Hans transformed into Paekche, Silla and Kaya around the fourth century, is being actively presented by scholars. This theory distinguishes the Three Kingdoms Period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Hans after the fourth century, and regards the Three Hans as a former history of Paekche, Silla and Kaya.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other trend in academic circle contrast with Former History Theory ; this theory, which takes the period before the fourth century as a former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and connects it to the Three Hans, refers to “Former Period Theory”(前期論). In recent debates, historians often compare “Former History Theory” with “Former Period Theory” as if they are two totally different theories, but in fact, the distinction between these two theories is considerably subjective. In contrast to the traditional “Former Generation Theory”(前代論), which clearly distinguishes between the Three Kingdoms and Three Hans by the first century AD and BC, all of “Former History Theory” and “Former Period Theory” set the period of the Wei(魏) and Jin(晉) Dynasty as the lower limit of Three Han,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development from the Three Hans to Three Kingdoms as a successive result. Compared to “Former Generation Theory”, as “Former History Theory” and “Former Period Theory” argues that the Three Hans were an origin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they could be categorized as “Origin History Theory”(源史論). To pay attention to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Former History Theory” and “Former Period Theory,” Mahan, Chinhan, and Pyŏnhan, body politics during the state formation period(early states) cove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all origins of Paekche, Silla and Kaya.

      • KCI등재

        三韓의 ‘國邑’에 대한 재인식

        박대재(Park, Dae-Jae) 한국고대사학회 201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1

        기존 연구에서는 삼한의 ‘國邑’을 일반적인 諸國(小國)의 중심 읍락으로 이해했다. ‘국읍’의 ‘국’이 70여 국과 같은 일반 小國을 가리키며, 各國의 중심지를 ‘國邑’이라고 불렀다고 본 것이다. 하지만 ‘國邑’ 용어에 대한 검토를 통해, 국읍이 일반 諸國의 중심지가 아니라 인구가 밀집 분포하던 ‘大國’의 중심지로, 國中에 성곽을 갖추고 있던 ‘城邑’을 가리키는 것임을 밝혀보았다. 삼한 사회는 國(韓國) 안에 國(諸國)이 있는 특수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인구가 밀집 분포하고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던 “大國의 城邑”을 일반적인 도읍의 의미인 ‘都’와 구별하기 위해 ‘국읍’ 용어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부여나 고구려가 단일한 ‘국’을 이루고 있던 것과 달리, 삼한은 70여 개의 諸國들이 복합되어 있던 중층적인 구조였다. 삼한의 國에는 ‘大國’과 ‘小國’의 구분이 있었고, 대국은 ‘초기국가(early state)’로 발전한 양상을 보이는 반면, 소국은 제정일치 단계의 복합사회로 이해된다. ‘國邑’에는 인구가 밀집 분포한 “大國의 城邑”이란 의미 외에, 주변 諸小國의 중심지인 ‘別邑’(蘇塗)에 영향을 미치고 있던 지역 諸國의 중심지라는 의미도 내포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In previous studies, Kugŭp(國邑) in the Three Hans(or Samhan) was understood as a term for central towns of small states(小國) in general. This point of view wa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that Kug (國) refers to small states like the 70 states of Han, and the capital town of each state was called ‘Kugŭp.’ Yet, through analyzing the term, this paper proves that Kugŭp was not the central town of the Han’s small state in general, but a central town of the large state(大國) where the population was concentrated with castle walls, namely a ‘walled-town(Sŏngŭp 城邑).’ The society of the Three Hans had a unique structure that there were states(諸國) within a state(韓國). Presumably, the term ‘Kugŭp’ was used to distinguish the ‘walled-town of the large state,’ which had concentrated population and influence over the small states, from the term ‘To(都),’ a term generally used for a capital city. Unlike Puyŏ and Koguryŏ formed a state with a single consolidated government, the Three Hans consisted of over 70 states with a multi-layered political and social structure. Among the states of Han, there was a distinction between a ‘large state(大國)’ and ‘small state(小國).’ While a large state was developed into an ‘early state,’ a small state was generally understood as a theocratic and complex society. Apart from the ‘walled-town of the large state’ with concentrated population, the term Kugŭp could also mean the local capital that has influence over Pyŏrŭp(別邑, or Sodo 蘇塗), the central towns of the surrounding small states.

      • KCI등재

        손진태의 사회문화사 연구

        박대재 ( Park Dae-ja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8 民族文化硏究 Vol.78 No.-

        南滄 孫晉泰(1900-?, 1950년 납북)의 역사학은 일반적으로 新民族主義史學으로 규정되어 왔다. 하지만 손진태의 역사학은 해방 이후 정립된 신민족주의의 틀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다. 손진태의 학문은 1920년대 민속학 연구로부터 시작되었다. 1980년대 이후 손진태의 학문을 일제시기의 민속학과 해방 이후의 신민족주의 역사학으로 구분해 보려는 경향이 강하다. 학계 일각에선 일제시기 손진태의 학문이 滿鮮史學의 타율 사관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으며, 그에 대한 반성으로 해방 이후 신민족주의를 내세웠다고 보기도 한다. 하지만 1930년대 反貴族的 민족의식이 투영된 저술들을 통해 볼 때, 손진태의 학문자세나 문제의식이 해방 이후 크게 바뀌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글에서는 1920년대 후반부터 손진태가 지속적으로 추구했던 사회문화사 연구를 주목하였다. 민속학을 통한 사회문화사 연구는 손진태 학문의 基調였으며, 이를 통해 민속학과 신민족주의사학의 節合(articulation)도 가능하게 되었다. Historical studies by Namch'ang(南滄) Son Chint'ae(孫晉泰, 1900-?, abducted to North Korea in 1950) is generally classified as neo-nationalistic history. Yet, his historical researches cannot be interpreted under the frame of neo-nationalism, which was founded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His scholarship started from researches on folklore during 1920’s. From 1980’s,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classify his studies as a part of ethnolog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neo-nationalistic history after the independence of Korea. Some scholars viewed that his studies were not free from the heteronomous historical viewpoint of Manchuria-Choson History(滿鮮史學) during the Colonial Period; as a result, Son Chint'ae propounded neo-nationalism as his self-reflection after Korea’s liberatrion. Still, taking his writings from 1930’s reflecting his anti-aristocratism into consideration, it is hard to say he changed his academic attitude and critical mind after Korea’s liberation.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Son Chint'ae’s sociocultural studies he consistently pursued from the late 1920’s. Sociocultural researches by ethnology were the foundation of his academic career, which enabled articulation of Ethnology and Neo-Nationalistic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