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독일민법에 있어서 해제규정의 발생사

        박규용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9 국제법무 Vol.11 No.1

        In the event of the exercise of a release right reserved for one party to the contract, both parties to the contract must return the benefit received. The German Civil Code sets forth this provision under Article 346. There have been widespread rumors that give the seller the power to destroy contracts. The provisions related to this were accepted as the contents of ordinary law, and the right of release was started to be creat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opportunity to form a statutory right of dismissal was first found in the draft of Dresden, where principles for liquidation of the contract were presented. The release provisions contained in the Partial draft did not yet recognize the general provisions on release rights. However, by describing the effects of the release provisions in the same way, the General Regulations on the right of dismissal were created. The first and second committees, which were formed after that, discussed the contents of the right to dismiss and the right to dismiss the court separately. Considering that the contents of the liberalization prescribed in the Civil Code were set as an example of the legislation of Germany,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dismissal regulations and the legislative process in the German Civil Law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effects of the release. It will also make sense to see. 계약의 일방 당사자에게 유보되어 있는 해제권이 해제권자에 의해 행사되는 경우, 계약의 양당사자는 수령한 급부를 반환해야 한다. 독일민법은 제346조 이하에 그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으나, 해제에 관한 일반규정은 로마법이나 보통법에서 발견되지 않고, 계약의 당사자가 일방의 의사표시를 통하여 계약을 폐기할 수 있는 개별적인 경우들만이 로마법에서 인정되고 있었다. 예를 들어, 매수인이 매매대금을 적시에 지불하지 않을 때에 매도인에게 계약을 폐기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실권약관(lex commissoria), 매도인이 더 나은 조건의 제안을 받은 경우에 원래의 계약을 폐기할 수 있는 권한이 그에게 유보되어 있는 매매(in diem addictio), 매매목적물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매수인에게 해약권을 인정해주는 약관(pactum displicentiae) 등 매매에 있어서 계약을 파기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특약(pacta adiecta)이 널리 행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규정들은 보통법의 내용으로 수용되었으며, 일반 해제권이 19세기 말에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나, 그 당시에는 약정해제권만이 관련되어 있었고 법정해제권은 아직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해제에 관한 일반규정은 매매목적물에 하자가 있는 경우에 로마법과 보통법에서 인정되었던 매수인의 매매계약 해제소송(actio redhibitoria)이 논의되면서 발전하였고, 독일민법 제1초안에 처음 도입되었다. 우리 민법에 규정되어 있는 해제제도 역시 상당부분 독일의 입법례를 모범으로 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해제의 성질이나 효과 등을 실질적으로 이해함에 있어서 독일민법의 입법과정에서의 해제권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는 것도 적지 않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상가건물 임차인의 권리금 회수기회 보호

        박규용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9 法과 政策 Vol.25 No.3

        The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was amended on May 2015 and October 2018, new regulations on the protection of the opportunity to recoup premium were established. In relation to the duty of lessor to protect the opportunity to recoup the premium, it was not explicitly stipulated for the period in which the opportunity to recoup th premium is protected. This paper proposes a scheme for improvement to amend provisions concerning premiums in leasing commercial buildings. As regards premiums, it is necessary first to add new provisions concerning timing limitations on a lessor's duty to refrain from obstructing any lessee in collecting a premium. The Supreme Court recently ruled that even if period for demanding right of lease contract renewal has expired, lessor has an obligation to protect lessee the opportunity of recoup th premiu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provisions under which all grounds for rejecting a request for renewal are applicable mutatis mutandis as grounds for exemption from the duty to refrain from obstructing opportunities to collect a premium. To prevent disputes between lessor and lessee, it is also necessary to amend the Act to require compulsory use of the standard contract form for the lease of a commercial building and a premium agreement. Anyway there is a need for legislative improvement to balance the interests of lessor and lessee. 부동산의 임대차계약은 보통 임대인이 우월한 지위에 있고, 이로 인하여 야기되는 임대인과 임차인 사이의 불평등 내지 불균형은 계약의 성립에서 뿐만 아니라 계약을 갱신하거나 해지할 때에도 발생한다. 특히 상가건물의 경우에는 보증금이나 권리금 등을 지급한 임차인이 투자비용을 회수하지 못한 상태에서 계약을 해지당하고 그에 관한 분쟁이나 소송으로 진행되는 현상도 적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택임대차보호법과 유사한 내용을 담은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이 2001년 제정되었고, 이 법은 사업자등록의 대상이 되는 상가건물을 영업용으로 사용하는 임대차에 대하여 적용된다(제2조 1항).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의 적용을 받는 상가건물의 임대차는 그 등기 없이도 임차인이 건물의 인도와 사업자등록을 신청하면 그 다음 날부터 제3자에 대하여 효력이 생기고(제3조 1항), 임차인이 이러한 대항요건을 갖추고 관할 세무서장으로부터 임대차계약서상의 확정일자를 받은 경우, 경매 또는 공매 시 임차건물의 환가대금에서 후순위 권리자나 그 밖의 채권자보다 우선하여 보증금을 변제받을 수 있다(제5조 2항). 이와 같은 규정 이외에도 임차인 보호의 관점에서 임차인이 경매를 신청하는 경우에 반대의무의 이행을 집행개시의 요건으로 하지 않는다거나(제5조 1항), 임대차가 종료된 후 보증금이 반환되지 않은 경우에 신청할 수 있는 임차권등기명령(제6조 1항), 보증금 중 일정액의 최우선변제권(제14조) 등은 임차인의 보증금을 보호하고자 하는 입법자의 의도가 담긴 내용들이다. 그와 함께 2015년 개정에서 권리금을 법제화하였고 2018년 개정에서는 임차인의 갱신요구권을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하였다(제10조 2항). 특히 임차인의 투자비용 회수와 관련하여 보증금과 함께 권리금 역시 법적으로 보호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된 가운데 권리금 회수기회 보호를 명문으로 규정하였다.

      • KCI등재

        흡연자의 건강침해에 대한 담배제조사의 제조물책임

        박규용 한국민사법학회 2008 民事法學 Vol.40 No.-

        Die vorliegende Arbeit beschäftigt sich mit der Frage einer möglichen Ersatzfähigkeit der durch Tabakrauch verursachten Gesundheitsschäden. Dabei handelt es sich um die klassische Fragestellung der Produkthaftung. Zentrale Bedeutung für die Frage nach einer Haftung für Raucherschäden erlangt das Problem der Abgrenzung der Verantwortungsbereiche von Verbraucher und Hersteller und somit die Frage nach einem gerechten Abgrenzungsmaßstab zur Grenzziehung zwischen Eigen- und Fremdverantwortlichkeit im Produkthaftungsrecht. So schleißt die eine Haftung für Raucherschäden ablehnende Auffassung bereits auf Tatbestandebene eine Fehlerhaftigkeit von Tabakwaren im Sinne des Produkthaftungsgesetzes sowie im Sinne der deliktischen Produkthaftung mit dem Argument aus, die mit dem Rauchen verbundenen Gesundheitsgefahren seien dem Verbraucher allgemein bekannt und offensichtlich. Vor allem bedeutet Schwierigkeiten für den Geschädigten auch der Nachweis einer Verursachung der entstandenen Gesundheitsschäden durch Tabakprodukte. Die als typische Tabakschäden bekannten Gesundheitsschäden sind häufig multikausaler Art, welche auch durch eine Vielzahl anderer Umwelteinflüsse oder genetische Anlagen des Geschädigten ausgelöst werden können und erst nach langjährigem Genuß von Tabakwaren entstehen. Konsumiert der Verbraucher die Produkte verschiedener Hersteller, treten zu dieser Beweisproblematik auch die Schwierigkeiten. Fraglich ist aber, ob die eine Haftung des Zigarettenherstellers für Raucherschäden ablehnende Behauptung jederzeit zutreffend ist. Raucher, die zur Reduzierung des Gesundheitsrisikos Light-Produkte gewält haben oder auf diese umgestriegen sind, haben Ansprüche nach § 750 Zivilgesetzbuch, § 3 Abs. 1 Produkthaftungsgesetzbuch gegen die Hersteller dieser Produkte, sofern sie auf Grund des Tabakkonsums Gesundheitsschäden erleiden. Gleiches gilt für Zigarettenhersteller, denen Stoffe beigemischt worden sind, die das Abhängigkeitspotenzial erhöhen. Endlich stehen sich die strikte Ablehnung einer Haftung für Raucherschäden und ein zunehmendes Mehr an Verbraucherschutz im Bereich der Produkthaftung gegenüber.

      • KCI등재후보

        개정 독일민법에서의 해제에 관한 연구

        박규용 한국법학회 2003 법학연구 Vol.0 No.12

        Als Zentraltatbestand fur den Rucktritt wird nunmehr 323 BGB eingefuhrt. Voraussetzung gemas 323 Abs. 1 BGB ist zunachst, dass der Schuldner eine ihm obliegende Pflicht aus einem gegenseitigen Vertrag nicht oder nicht vertragsgeas erbracht hat. Neben der Pflichtverletzung ist weitere Voraussetzung nur noch, dass die Frist zur Erbringung der Leistung oder Nacherfullung erfolglos verstrichen ist. Die Voraussetzung des "Vertretenmussen" entfallt mit der neuen Regelung.Zu beachten ist noch, dass der Glaubiger auch bei der Verletzung einer Pflicht aus 241 Abs. 2 BGB zurucktreten kann. In dieser Konstellation handelt es sich nicht um Pflichten, die leistungsbezogen sind. Vielmehr werden von dieser Konstellation die Pflichten erfasst, die hinsichtlich des Schutzes der ubrigen Rechtsguter des Glaubigers bestanden. Es handelt sich dabei um die gleichen Pflichten, welche aus von 282 BGB erfasst werden. Hierbei ist zu beachten, dass es sich um eine wesentliche Pflichtverletzung handelt, bei der es dem Glaubiger nicht zugemutet werden kann, an dem Vertrag weiterhin festzuhalte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